최근 수정 시각 : 2025-07-21 01:03:51

월드 오브 워쉽


파일:wgn_logo__.png 월드 오브 시리즈
파일:wot_icon_.png
월드 오브 탱크
파일:wows_icon_.png
월드 오브 워쉽

파일:워쉽신로고백색바탕.png
{{{#!folding [ 열기 · 닫기 ] 함선 관련 정보
함종 국가별 함선 목록
강화 장치 소모품 장식 함장 및 함장 스킬
전투 관련 정보
전투 종류 무장과 전술 상태이상
게임 관련 정보
업적 항구 컬렉션 및 보급 화물
{{{#!wiki style="margin: -16px -11px;" 배틀 패스 자원과 수익 보너스 클랜 }}}
기타
콜라보레이션
월드오브워쉽 글로벌 마이너 갤러리 발매 전 정보
사건사고 문제점
}}} ||


월드 오브 워쉽
World of Warships
<nopad> 파일:world-of-warships-pc-1408439009-029.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e0e0e0> 개발 레스타 스튜디오
유통 워게이밍넷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워게이밍 게임센터 /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장르 MMO 해양슈팅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15년 9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3월 13일 아시아 서버 한국 서비스
서비스 종료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2022년 10월 12일 미르 코라블리로 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3월 13일 한국 서버 슈퍼테스트 종료
엔진 빅월드 엔진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아시아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북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유럽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중국
상점 페이지 파일:wgn_logo__.pn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에픽 게임즈 아이콘.svg
공식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KR]


1. 개요

파일:de8b9bac-a58f-11ee-b5f9-38eaa7374f3c.jpg 파일:e3b2bbe0-869d-11ed-bf37-38eaa7374f3c.jpg
> World of Warships는 20세기 초반의 대규모 해상 전투를 배경으로 한 해상 액션 MMO입니다. 수만 톤에 달하는 바다 위 거인들의 정수를 모은 함대가, 전세계의 대양을 무대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한 장대한 전투를 벌입니다. 이 서사적인 해전에서, 플레이어는 시대를 대표하는 전함들과 함께 바다를 지배하는 영광을 누릴 수 있습니다.

월드 오브 탱크,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 이은 워게이밍넷의 월드 오브 시리즈 세 번째 작품. 영미권에서는 영문 명칭인 World of Warships의 이니셜을 따 WOWS으로 지칭하며, 대한민국 유저들 사이에서는 워쉽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1차 세계대전시기부터 전간기, 2차 세계대전대서양 전투태평양 전쟁, 그리고 냉전기에 이르는 시기의 전함, 순양함, 구축함, 항공모함, 잠수함 등 다양한 국가의 실존 군함들과 페이퍼 플랜 군함들이 등장하며, 플레이어는 이들 군함을 연구하고 조종하며 전략적인 전투와 협동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다.

2025년 기준 서비스 10년차를 맞이한 장수 게임으로, 여러 논란과 워 썬더 해상전 등 경쟁작들의 출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상 전투 온라인 게임 부문에서 대체재가 없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발매 전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발매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발매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시스템 요구 사항

파일:Windows 로고 블랙.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rowcolor=#000000,#e0e0e0>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FHD 권장 사양 4K 권장 사양
운영 체제 Windows 7 x64 Windows 7 x64 / 8.1 / 10 / 11
CPU Core™ i3-3210 3.2 GHz
Athlon™ X4 970 Quad Core
Processor 3.8 GHz
Core™ i5-10400 2.9 GHz
Ryzen™ 5 3600 3.6 GHz
Core™ i7-8700K 4.2 GHz
Ryzen™ 5 3600 3.6 GHz
Core™ i7-8700K 4.2 GHz
Ryzen™ 5 3600 3.6 GHz
RAM 6 GB 8 GB
그래픽카드 GeForce® GT 640
Radeon™ R7 240
Intel® UHD 630
GeForce® GTX 770
Radeon™ RX 570
GeForce® RTX 2060
Radeon™ RX 5700 XT
GeForce® RTX 3060Ti
Radeon™ RX 6800 XT
VRAM 2 GB 4 GB 6 GB
API DirectX 11 호환
저장 공간 설치에 필요한 저장공간: 196.6GB / 게임이 차지하는 저장공간 145.5GB

4. 평가

기준일:
2025-06-08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world-of-warships/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world-of-warships/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6-08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892/world-of-warships|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fc430a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9e00b4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4aa1ce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80b06a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892/world-of-warships|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8)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78%, #2e2e2e 7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8%}}}}}}}}}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8)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78%, #2e2e2e 7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8%}}}}}}}}}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8) * 1.8deg)), #478c77, #76c8ff 78%, #2e2e2e 7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8%}}}}}}}}}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8) * 1.8deg)), #6c9059, #627f50 78%, #2e2e2e 7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8%}}}}}}}}}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892/world-of-warships|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기준일:
2025-06-08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5299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5299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5. 게임 플레이 관련 정보

5.1. 함선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본 문단은 게임에 등장하는 함선의 종류와 역할 및 세팅에 대해 다룹니다. 함선에 관련된 대략적인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함선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선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선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1. 함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함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국가별 함선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함선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선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선 관련 정보#국가별 함선 목록|국가별 함선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월드 오브 워쉽 테크트리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5px 0; text-align: center;"
미국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일본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소련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독일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영국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프랑스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이탈리아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네덜란드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스페인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범아시아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유럽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범아메리카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영연방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이벤트 함선 초군함
콜라보레이션 기타 함선
}}}}}} ||

5.1.3. 강화 장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강화 장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강화 장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강화 장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4. 소모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소모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소모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소모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5. 신호기와 깃발, 위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장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장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장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6. 함장 및 함장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함장 및 함장 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장 및 함장 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함장 및 함장 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전투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본 문단은 전투의 종류와 전장인 맵을 비롯하여 사용하는 무장 등 전투에 대해 다룹니다. 전투에 관련된 대략적인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전투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전투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전투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2. 전투의 종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전투 종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전투 종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전투 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3. 무장과 전략, 전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무장과 전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무장과 전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무장과 전술#무장|무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무장과 전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무장과 전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무장과 전술#전술|전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4. 상태이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상태이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상태이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상태이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게임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본 문단은 인게임 시스템과 재화 등 각종 요소에 대해 다룹니다.게임에 관련된 대략적인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게임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게임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게임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1. 업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업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업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업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2. 항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항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항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항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4. 자원과 수익 보너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자원과 수익 보너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자원과 수익 보너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자원과 수익 보너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5. 배틀 패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배틀 패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배틀 패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배틀 패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6. 컬렉션 및 보급 화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컬렉션 및 보급 화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컬렉션 및 보급 화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컬렉션 및 보급 화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문제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문제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문제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워게이밍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워게이밍#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워게이밍#비판|비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커뮤니티 컨트리뷰터(CC) 프로그램

파일:a39b6294-b030-11ec-91d7-8cdcd4b147d4.jpg
파일:워쉽컨뷰그래픽.jpg
커뮤니티 컨트리뷰터(Community Contributor, 통칭 CC) 프로그램은 월드 오브 워쉽 관련 컨텐츠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와 스트리머들을 지원하기 위한 워게이밍의 정책이다. CC가 되면 워게이밍으로부터 각종 보상과 개발중인 함선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슈퍼 계정을 지급받는 등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개발진과 인터뷰하거나 공식 스트리밍 참여, 워게이밍 본사 초청 및 간담회의 기회도 얻을 수 있다. 워쉽의 개발을 담당한 레스타 스튜디오가 워게이밍과 분사하기 이전에는 레스타 스튜디오가 위치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초청하여 모임을 가지도 했으며, 현재는 자주는 아니지만 워게이밍이 소재한 세르비아로 초청하는 행사를 가지기도 한다. CC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화 함장 출시를 위한 'The Ring'이라는 이벤트도 개최했던 바 또한 있다. #
The WoWs CC Dumpster fire - A Summary
2021년. 2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일 이벤트로 판매가 중지된 미국 9티어 프리미엄 전함 미주리의 재출시 관련 논란으로 인해 수많은 CC들이 프로그램을 탈퇴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워게이밍에 대한 논란은 2019년 연말 푸에르토리코 개인선창 이벤트 당시 시작되어, 워게이밍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종종 보여온 플라무(Flamu)에 대한 일방적 CC지위 박탈과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영연방 7티어 프리미엄 전함 유콘의 개발과정 중 유저 무시 논란 등 상당히 긴 시간동안 누적되어 오다가, 미주리 재출시 관련 논란에서 워게이밍측이 안하무인의 태도로 일관하자 분노의 인계점을 넘은 상당수의 CC들이 자진해서 프로그램을 탈퇴하는 사태로 폭발한 것이다. 이후, 결국 워게이밍측에서 사과문을 올리면서 사태가 일단락되었다.번역 영상

8.1. 커뮤니티 컨트리뷰터 목록

파일:a39b6294-b030-11ec-91d7-8cdcd4b147d4.jpg
국내 커뮤니티 컨트리뷰터 소개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초민
Not_Ch0m1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2020년 1월 CC가 되었다. 국내 CC들 중에서 워쉽을 주제로 하는 디스코드 서버들 중 가장 활성화된 서버를 운영하는것이 특징이며, 종종 CC코드를 추첨으로 배포한다. 실력은 오버롤 그레잇. 2020년 3월 기준, 돌연 갑자기 유튜브 채널이 사라졌다. 본인이 말하기를 이유는 저작권 위반이라는 이유로 영구정지 당했다고 하는데 어떤게 왜 저작권 위반인지 알 수 없다고 결론적으로 새로 채널을 팠다고. 데브블로그나 공식 방송 등 워쉽 최신 소식들은 거의 대부분이 초민이 번역하고 있다. 아카라이브 워게이밍 채널의 주딱도 맡고 있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해군원수NA
Haegun_Wons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북미 서버 플레이어로, 배우 류준열과 흡사한 외모로 쉽준열, 트준열 등의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방송시에는 기본적으로 반말을 사용하나, 가끔 존댓말을 섞어서 말하기도 한다. 왜인지 모를 나른한 목소리는 덤.방송 중 채팅으로 모르는 것을 물어보면 아는 것은 자세히 알려주며 모르는 것은 자신도 잘 모른다며 아는 사람한테 물어보라고 한다. 이유는 자신이 잘못된 정보를 알려줄 위험이 있기 때문이라고. 그리고, 시청자들간에 부적절하거나 잘못된 답변을 하는 것을 매우 경계한다. 방송시에는 보통 8티어부터 시작해 10티어까지 티어를 올리며 방송하고, 스킬 개편 이전에는 6.4km시마(8km+어뢰가속)를 좋아했었지만, 현재는 스킬 개편으로 인해 6.4km 어뢰를 쓰지 못하여 8km 어뢰를 쓰고 있다. 이런저런 다양한 플레이를 보여주는데, 갑자기 돌격하는 성향이 강하다. 실력은 유니컴~슈니컴, 넘버즈에서 확인하면 판수도 유니컴이다. 방송 시간은 오후 5~6시쯤 시작해 자정~오전 1시쯤까지 방송한다. CC코드는 매주 금요일에 방송에서 추첨으로 뿌린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롯테
Lotte_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아시아서버 플레이어로, 디시인사이드, 특히 바이크 갤러리에서 상당한 유명인사. 힛갤도 여러번 등재되었다. 굉장한 악성 류머티즘 투병 환자이며, 온갖 종류의 신약 실험에도 투입되는 등 말 그대로 언제 죽어도 이상할게 없는 인물. 19년 8월 갑자기 소식이 끊겨 모두들 사망한 게 아니냐? 하는 추축이 난무하던 가운데 2020년 1월 1일 기적적으로 갤에 인증을 남기며 탄생일뺨치는 스릴러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월드 오브 워쉽 초보 유저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주기도 하며, 가끔 썩은물도 모르는 꿀팁을 방출하기도 했지만 건강 상태가 악화되면서 2025년 시점에선 수개월째 방송을 쉬고 있다. 월드오브워쉽 글로벌 마이너갤러리의 주딱을 맡고 있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랜박
Random_Bo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아시아서버에서 방송중인 버츄얼 스트리머로, 본인은 남자이나 AI보이스를 사용해 여성 보이스로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MINER 클랜의 클랜장이자, 1만판 승률이 62퍼센트가 넘어가는 무시무시한 실력자이나, 방송을 보다보면 정작 워쉽보다 본인의 암컷 냄새를 뿜어내는 시간이 훨씬 길다. 방송 시간은 카페에 미리 공지하며, 보통 21시부터 다음날 3시정도까지 진행하는 편.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조종
jojong_SMA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종(인터넷 방송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종(인터넷 방송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종(인터넷 방송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루시퍼
Lusiper
-
-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얄땅
General_Ya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얄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얄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얄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EXIV
EXI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능지
Mr_NOIN_C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워쉽컨뷰그래픽.jpg
해외 커뮤니티 컨트리뷰터 소개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NotserN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북미 서버 플레이어로 텍사스 휴스턴에서 거주하고 있다. 깔끔한 발음의 영어로 친근하고 편안한 스타일로 트위치 방송을 하고 있다. 항공모함을 빼고[2][3] 전 함종을 고루 잘 다루며, 고티어, 중티어는 물론 저티어도 종종 하는 편으로 기본에 아주 충실한 플레이를 보여주기에 입문자들이 참고하기에 좋다.[4] 팀에 공헌할 수 있으며 공격적인 플레이를 선호하며 팀이 어지간히 노답이 아닌 이상 무난히 캐리하는 게임을 보여준다.[5] 다만 정말 형편 없는 팀과 만나면 어쩔 수 없이 멘붕하고 마는데, 그 와중에도 욕설을 입에 담지 않는 것이 특징. 분통 터질 일이 많은 이 게임에서 상대가 저지르고 있는 잘 못을 조목 조목 지적하는 식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편이다. 상당히 킬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안정적으로 킬을 확보할지 킬스틸 당할지 지켜보는 것이 방송의 백미. 다른 곳에 집중하다 섬을 못 봐 들이받는 짓을 하도 많이 해서 "Notser"가 "섬에 들이받다"를 뜻하는 동사로 쓰이는 밈도 탄생했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AerroonE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북미 및 유럽 서버에서 플레이하는 에스토니아인이다. 전 함종을 모두 잘하며 주로 고티어 배들을 플레이한다. 특히 오랫동안 항모를 주력으로 해왔기 때문에 항모 플레이에서 볼거리가 많은 편이다. 다만 현재는 자주 하는 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차근 차근 각 함선들의 특징과 상황을 해설해가며 플레이하기 때문에 영어만 된다면 게임 플레이 전반에서 배울 점이 많다. 덕력이 상당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손은 거쳐간 게임으로는 블레이드 앤 소울이나 칸코레 등이 있으며, 함장 보이스도 무조건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보이스만 사용한다. 다만 항모의 경우 배울 점이 많은 편이나 일단 항모 유저 자체가 적은 유럽이나 북미를 플레이하는 유저인지라 심층적인 면은 스스로 연습해야 한다. 특히 전투기 소사 버그를 비롯하여 항모 UI의 헛점을 이용한 온갖 기상천외한 스킬들이 줄줄이 동원되는 아시아의 정신나간 항모전 메타라면 아시아의 항모 유저들을 참고하는 편이 좋다. 항모 리워크 이후 완전히 뒤집어진 메타에 신물이 나 현재는 항모를 그만둔 상태. 이전보다 더 단차원적이고 일방적인 항모 플레이를 지적하며 대표적인 반(反)항모 CC가 되었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Tier_X_CV_AquilaASIA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Potato QualityN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TranlassE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종합 PC게임 트위치 스트리머로, 주로 워썬더와 월드 오브 워쉽을 다룬다. 월드 오브 워쉽의 CC와 워썬더의 콘텐츠 제작자를 겸하며, 때로는 슈팅 게임, RTS 게임, 호러 게임을 다루기도 한다. 영상에 사용하는 음악은 NCS의 음원을 사용한다.

[ 현재는 CC가 아닌 스트리머 목록 펼치기 · 접기 ]
파일:워쉽컨뷰그래픽.jpg
현재는 컨트리뷰터가 아닌 스트리머 소개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FlamuE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럽 서버 플레이어로 OMNI 클랜 소속. 핀란드인으로 전투 민족 핀란드답게 실로 괴물 같은 전투력[6]을 보여준다. 초공격적으로 플레이하며 가장 좋은 위치만 골라잡아 수 분만에 10만딜 이상을 뽑아내는 것을 보면 경이로울 지경. 전대 플레이도 자주하는 편이며 항공모함이나 연막 지원을 등에 업으면 10분도 안돼서 게임을 끝내버리기도 한다. 뛰어난 위치 선점과 상대의 행동을 훤히 꿰고 심리전으로 박살내는 등 수준 높은 플레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함선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어떤 배를 어떻게 플레이해야 하는지 어떤 함장 스킬과 모듈을 설정해야 할지 참고하기 좋다.[7] 전 함종 모두 잘하며 미묘하거나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성능을 지닌 배로도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마이크로 컨트롤 또한 예술이며, 그의 구축함, 순양함 플레이를 보면 교전중 사격을 하면서 신들린 속도 조절과 러더 조절로 탄들을 죄다 피해버리는 마법같은 상황을 자주 볼 수 있다.[8] 어떻게 게임을 이겨야 하는지 매우 잘 알고 있으며, 실제로도 팀의 대다수가 어벙한 워쉽 특성상 팀원들과 적들의 위치 선정이 왜 잘못되었는지 시청자들에게 자세히 알려준다. 방송은 매일 하며 핀란드인들이 그렇듯이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한다. 수많은 트롤들을 멱살 캐리하다보니 멘탈의 한계까지 내몰릴 때가 참 많은데, 온갖 잘못된 플레이들이 난무해도 적당히 비꼬는 선에서 끝난다. flamu rage라고 불릴만큼 거하게 분노하는 편은 적은 편. 하지만 게임 내내 시작 위치에서 저격만 하다가 낼름 킬만 줏어먹는 전함들은 정말로 싫어한다.[9] 특유의 발음으로 상대를 무조건 감자(뽓↗테에토)라고 불러대서 감자는 flamu의 상징이자 밈이 되었다. 그의 트위치를 구독하면 다양한 모양의 감자 이모티콘들을 제공한다. 매주 화요일에는 시청자 음악을 틀어주는데, 시청자들의 트롤링으로 소위 weeb이라 불리는 오타쿠 음악만 나와 고통 속에서 멱살 캐리를 한다. 최근에는 결국 덕후들의 등쌀에 떠밀려 개인 함딸도 생기고 일본 여행도 갔다오고 벽람항로를 플레이하기 시작하는 등 조금씩 재미를 보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나친 욕설과 비방, 한 성깔 하는 성격, 게임에 상당히 비관적인 자세를 비롯해 커뮤니티 곳곳에 출현해 한마디씩 참견하는 것 때문에 방송인들과 해외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싫어하는 사람이 많으며, 2017년 11월초 클랜전과 관련하여, 소속 클랜인 OMNI의 클랜전 도중 오더를 담당하는 stranger123을 심하게 디스하면서 클랜전을 개판으로 만들어 버리는 바람에 같은 클랜내부에서도 Flambass 등 많은 클랜원이 등을 돌렸다. 더불어, 아시아 서버에 탐방 왔다 저격메타에 순삭당하고 다시는 아시아서버에서 게임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같은 컨트리뷰터인 마이티 징글과 워게이밍 사무실을 탐방하기도 했다. # 하지만 한국 시간 기준 2021년 3월 2일에 결국 CC에서 짤렸다.[10] 평소 본 게임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비관적인 자세와 소련트리에 대해 비관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어서인지 CC에서 짤려짐이 밝혀지고, 위의 해당 동영상을 올렸다. 당연히 댓글의 반응은 워게이밍의 P2W화, 실제로 빈약한 소련 해군을 역사왜곡 급으로 강하게 만드는 소련 편애와, Flamu가 핀란드인이라서 짤렸다고 하거나, 겨울전쟁에서의 소련에게 있어 공포의 대상 저격수인 시모 해위해의 같은 국적의 사람을 짜르고 복수했다고 기뻐하는 워 게이밍이라고 하는 등, 비판적인 여론이 매우 강하다. 이런 사정 덕분에 2021년 8월 워쉽 CC 대거 이탈사태 때 사실상 외부인으로 팝콘 뜯으며 관람하는 입장이 되었는데, 워게이밍의 행보를 비판하며 사태와 관련된 영상을 만들 때 진심으로 팝콘을 뜯으며 즐거워 하는 모습이 일품.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YuroN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도네시아계 유튜버. 현재 가장 인기있는 CC 중 하나이다.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깊은 덕력의 소유자이며 본인도 POI 클랜 소속이었다가 TASH 클랜으로 옮겼다.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어드미럴 히퍼(벽람항로).이전에는 게임 내에서 Sekba, Yuro 등의 이름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이름을 워낙 자주 바꿔 영상을 꾸준히 보는 팬이 아니라면 공방에서 만나도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다. 본래 아시아/북미 서버 플레이어였으나 아시아의 저격메타가 지겨워지자 북미/유럽으로 옮기더니, 2020년에 와서는 말도 안 통하는 러시아 서버까지 진출했다. 본인은 자기 채널을 교육용이 아니라 엔터테인먼트용으로 봐 달라고 한다.
자신의 디스코드 서버의 닫힌 채널에서 Chink, Jews, Nigger 와 같은 인종차별 단어를 사용한 것이 내부폭로로 드러나 CC 자격을 박탈당했다. 애당초 외부에 공개적으로 발설할 의도가 없었고 진실된 인종차별 의도가 아닌 농담이었다고 했지만 좋은 변명이 되지는 못했고, 워게이밍은 자격을 영구적으로 박탈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CC로 복귀할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사건을 해명함과 동시에 앞으로는 어디서든 입조심하겠으며 자신과 더 이상 함께하고 싶지 않은 이들은 떠나도 좋다는 공지를 올린 후 몇 주 간 근신하다가 다시금 영상 제작에 복귀했다.
* How to: 칸코레, 벽람항로, 실제 역사 따위를 개그소재로 삼는 시니컬한 함선 리뷰들. 사실상 메인 컨텐츠이며, 영상을 찾아볼 정도로 게임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밥값 할 수 있는 스킬과 업그레이드 빌드, 플레이스타일을 간략하게 소개해 준다. 구축부터 항모까지 다루지 않는 함급이 없다.
* Funtage: 각종 웃긴 순간들 모음. 유로 본인이 워낙 현실적이고 시니컬한 성격이라 거의 비아냥거린다 볼 수 있을 정도로 상대 놀려먹는 데 특화되어 있다.
* World of Torpedoos: 유로비트가 흘러나오면서 어뢰 회피 기동을 하는 이른바 "Torpedobeat"는 그가 유행시킨 대표적인 밈. 제목 그대로 유로비트를 배경으로 어뢰 피하는 몽타주 영상들이다. 회피실력도 상당해 도저히 피할 수 없을듯한 어뢰를 다 피한다. 영상으로 직접 보자. 만약 공방에서 적으로 만났더라도 어뢰로 잡을 생각은 하지 말자.
2019년 4월의 만우절 이벤트가 어뢰 메인의 스피디한 이벤트로 대놓고 Torpedo Beats라고 이름붙여졌던 사례, 공식 0.8.8 개발자 다이어리에서 언급된 사례 등을 보면 워게이밍에서도 상당히 주목했던 CC.
북미 기준으로 슈퍼 유니컴을 유지하고 있는 준수한 실력자로, 항모 리워크 전까지 워쉽을 하지 않겠다 선언했던 시절 배틀필드 1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보통 플레이어라면 전혀 보지 못하고 발을 들였을 연막 속 지뢰도 귀신같이 찾아내고 도망치는 등 기본적으로 게임실력이 상당해 무슨 게임을 해도 상위권의 성적을 거둔다.
2017년 8월 초 즈음에 회사 일 때문에 유튜브 활동을 중단하게 되었는데 구조조정을 당하면서 3주 만에 다시 복귀하였다. 현재까지도 주 수입은 패트리온과 유튜브이고 직장은 덤인 모양. 직장 페이는 형편없는데[11] 패트리온은 안정적인 달러화로 받아 쓰레기같은 자기 나라 화폐로 환전하니 아파트 월세가 하도 싸서 패트리온 수입으로 충당하고도 남는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터넷 사정이 나은 지역에 살면서도 상태가 나빠 스트리밍은 하지 않는다.
복귀영상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공개하였으며 자신의 모국어가 영어가 아니기에 발음이 좋지 않은 것에 대해 양해를 구하였지만, 발음 외에 작문이나 어휘능력은 아시아권에서는 상위급이라 할 정도로 상당하며 가이드 영상 등에서는 보이스웨어를 사용하는데다 자막도 꾸준히 함께 올리기에 영어가 되는 함장이라면 영상 시청에는 지장이 없다. 해외 워쉽 커뮤니티에선 물밑으로 인기가 높아 디스코드 서버도 개설했으며, 패트리온 후원자 라인업도 빵빵해 CC를 떠난 지금도 워쉽 활동은 계속되고 있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ArliosN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북미 서버 플레이어로 재미있는 순간을 모아놓은 "Warship Moments" 영상을 올리고 있다. 역시나 다채로운 밈과 오덕 코드들이 난무한다. 프로필을 칸코레의 콩고를 쓰는 걸 보면 알 수 있듯이 만만치 않은 덕력의 양덕후다. 트위치 방송도 하고 있으며, 친구들과 전대 맺고 농담따먹기 하면서 즐겁게 게임하는 편이다. 주로 플레이하는 함종은 전함으로 준수한 실력의 유니컴 유저.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The Mighty JinglesE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럽 서버 유저로 월쉽과 월탱을 고루 플레이하는 영국인 유저. 편안한 목소리가 특징으로 영향력 있는 CC 중 하나이다. 머리가 하얗게 센 노안이라 본인도 개그요소로 쓰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중년이라 봐야 할 나이. 젊은 시절엔 영국 왕립해군에서 복무해서 영국 함선들에 대한 애착이 깊고, 당연히 관련 지식도 해박하니 해전사에도 관심이 높다. 그래서 집에서 키우는 메인쿤 고양이의 이름은 아키즈키. 채널에는 워쉽을 포함해 아머드 워페어, 서브노티카 등 군사나 해양과 관련된 게임을 자주 올리며 워해머를 비롯한 각종 미니어처/프라모델 제작기나 아키즈키의 성장기 등 일상물도 올라오고 있어 컨텐츠가 다양하다. The Ring 이벤트의 승자 중 하나로 게임에 영국 함장으로 구현되었다.
파일:워쉽컨트리뷰터아이콘.png farazellethE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럽 서버 유저로 항공모함을 전문적으로 플레이한다. 기본적인 항모 운용법과 국가별 항모들의 가이드를 하기도 하고 워게이밍의 항모 패치내역들을 리뷰하기도 한다. 항모를 배우고 싶다면 이 유튜버의 영상을 참고하면 된다.

9. 콜라보레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콜라보레이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콜라보레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워쉽/콜라보레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여담

한국어 보이스를 담당한 성우는 최한이다. 국내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한국어 보이스를 가리키는 별명은 짐 레이너이다.

게임 개발 중 파괴 불가능한 집이 포함되어 있는 육지가 있는 구역에서 이상하리 만큼 프레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조사 후에 알고보니 집 안의 욕조에 100만개의 폴리곤으로 이루어진 러버덕이 한 마리 떠 있는 이스터에그가 있었고, 이 초고퀄리티 오리를 로딩하는 과정에서 프레임 드랍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게임을 소재로 하는 만화 시리즈인 "Naval Nonsense"가 공식 트위터와 북미 홈페이지에 연재되었었다. 현실적으로 납득할 수가 없는 게임 메커니즘과 누구나 한 번쯤 겪어 봤을 상황 등을 소재로 하는데다, 주인공격인 두 캐릭터 솔티 맥그로 함장(Capt. Salty McGraw)과 테이트 R. 스미스 소위(Ens. Tate R. Smith)는[12] 이름부터 영미권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은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13] 맥그로는 전형적인 베테랑이지만 아니메 계열을 극히 싫어하며[14] 신참인 스미스는 덕후라는 극명한 조합을 보여준다. 해당 게임 경험이 많은 사람은 읽으면서 피식피식 웃을 수 있다. 최근에는 재패니메이션 관련 컨텐츠를 싫어하는 사람들을 대놓고 놀릴 심산인지 함선 소녀가 프리미엄 구축함 모나한과 정규트리 구축함 클렘슨이 등장해 만화의 유명세를 올리고 있다. 함선 소녀(Ship-Girl)은 모나한, 클렘슨, 게데, Z-39까지 나왔다. 모나한은 평소에는 성실하게 임하지만 맥그로 함장과는 악연이 있는지 적개심을 표한다. 클렘슨은 등장 초기에 모나한 휘하에 있었지만 모나한이 항모를 운용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나왔고 현재는 맥그로 함장 휘하.[15] 기본적으로 활기찬 소녀다. 게데는 뻔뻔하면서도 엉터리 독일식 억양 영어를 쓰는 일종의 컨셉충이다. 한때 Z-39 휘하였으나 지금은 스미스 휘하에 있다. Z-39는 느긋해보이지만 계정 레벨이 19나 되는 상위 플레이어다. 이외에도 아니메 계열은 아니지만 함을 수리해주는 인물로 조슬린 기관장(Ch. Eng. Joslyn)이 등장하며 시즌 2에서는 모나한 휘하 파일럿으로 활약했다.
콘스탄틴 시모노프: 기다려주오
영화를 방불케하는 퀄리티의 광고 영상이 화제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군 출신의 시인인 콘스탄틴 시모노프( Константи́н Миха́йлович Си́монов)의 시를 인용하여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재구성한 영상이며, 4~5분 수준의 긴 광고 영상이지만 퀄리티가 높고 평가도 긍정적이라 광고를 스킵하지 않고 끝까지 보는 유튜버도 있었다. 다만, 영상 퀄리티만 좋을 뿐이고 정작 게임에 관한 내용은 일절 없어 게임 링크와 로고가 아니면 광고라고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것 이라는 비판적 의견도 있다.

공식 유튜브에는 해전에서 큰 족적을 남긴 군함이나 선박 장비을 다루는 "Naval Legends" 컨텐츠가 비정기적으로 업로드된다. 영어로 되어 있지만 한국어 자막이 달려 있고 풍부하고 꼼꼼하게 고증된 정보 덕분에 나무위키에도 여럿 링크되어 있다.
월드 오브 탱크에서 전차 승무원이 구현되지 않은 점과 마찬가지로 승조원은 구현되지 않았다[16]. 이유는, 게임 내에서 가장 작은 구축함마저도 승조원이 100명 이상 되고, 그 중 갑판에서 활동하는 인원만 쳐도 최소 30-40명은 넘을 것인데다 그런 함선이 24척씩 돌아다니는데, 빅월드 엔진은 이렇게 많은 애니메이티드 오브젝트를 처리할 능력이 되지 않는다. 다만 언더 시즈콜라보 이벤트 기간 중 미국 프리미엄 전함 미주리에는 웬 요리사가 한 명 있었다.[17][18]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1586727142.jpg
한 개발진의 배경화면. 칸코레의 타카오아타고다.
그 오프닝 곡으로 만든 팬 뮤직비디오

개발자 Q&A중 "개발자들이 함대 컬렉션을 하는가?"라는 질문이 있는데, "칸코레가 뭔가? 질문을 이해 못하겠다"라고 답했다. 그런데 일본군 관련 고증자문을 담당하는 일본인에 대한 인터뷰 영상에서 개발진들에게 칸코레를 소개하는 장면이 잠깐 보이긴 했다. 그리고 막상 시간이 흐르기 시작하자 위의 답변은 어디가고 위와 같은 사진이 돌아다니기 시작했다. 2014년 E3쇼에서는 칸코레에 대한 질문에 '여자애들이 나오는 그거 말이지? 군함을 다루는 전세계의 모든 게임을 조사했으니까 알고 있어'라고 대답.

워게이밍 일본 지부가 자신들의 트위터에서 밝히길, 알파 테스트에 응모한 인원들 중 상당수가 '알파테스트에 응모한 이유'란에 '함대 컬렉션 때문에'라고 적어놓았다고 한다. 베타 테스터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요즘 무슨 게임을 하고 있는가' 항목에도 함대 컬렉션이 들어가 있었다.(참고). 2015년 7월 OBT로 전환한 뒤 시행한 설문조사에도 이 항목은 그대로 유지되어 있었다.

이 함대 컬렉션의 열기가 미치지 않았을 수 없는 북미에서조차 'Poi'[19]같은 대사가 한 번이라도 들렸다 하면 기본으로 몇 줄은 poi로 도배되는데다, 아예 닉네임부터 냄새가 난다거나 컨셉잡고 대사를 치는 게이머들까지 나오는 바람에 칸코레가 뭔지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자중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미 너무 유명해져서[20] 지나가던 게이머의 말을 빌려오자면 "워쉽을 하면서 poi가 뭔지 묻는다는 것은 월탱을 하면서 걸판이 뭔지 묻는 것과 같다" 라는 수준.

2015년 9월 17일 함대컬렉션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유명한 시바후 작가가 그린 일러스트가 있다. # 이듬해 1월 15일엔 몬타나 일러스트를 그렸다. #

자연스레 칸코레와의 콜라보레이션 여부 또한 자주 언급되는데, 성사될 확률은 굉장히 낮다. 칸코레 자체가 이렇게 크게 성장하리라 예상하지 않아서 일본 내수시장만을 목표로 제작된 게임이라, 글로벌 서비스 게임인 워쉽과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것 자체가 명목상 모순이다. 거기다 각종 팬게임도 제작 금지로 못박아 버리고 콜라보레이션도 일본 내 백화점, 편의점, 음식점 등과 진행하는 등 상당히 폐쇄적인 행보를 걷고 있고, 심지어 칸코레를 유통하는 DMM은 워게이밍이 가장 눈여겨보고 있는 라이벌인 워 썬더를 일본 내에 유통 중이다.

푸강아, 하이후리, 벽람항로 등 작품들과 콜라보를 할 때마다 북미 커뮤니티는 레딧이나 포럼에 들어와 깽판을 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로 이 게임을 너무 진지하게 취급하는 극성 밀덕후들인데,[21] 이게 멀쩡히 게임 잘 즐기는 사람들까지 건드려 싸움에 휘말리게 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아 암 걸리는 북미 커뮤니티를 풍자하는 만화도 생겼다.깨알같은 아시아 서버 부분의 한국인 사실상 동조하는 사람이라고는 같은 극성 밀덕후들과 재패니메이션 혐오자들 같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다수의 의견은 "게임 자체가 이벤트 컨텐츠를 안 볼 수 있게 배려를 해 주는데, 싫으면 안 보면 되지 왜 굳이 욕보여야 하나"로 요약된다.

월드 오브 워쉽을 개발중이었던 과거에 유투브 등 해외에서 '월드 오브 워쉽 게임 플레이 영상'으로 배틀스테이션 시리즈를 올려놓고 낚시했던 때가 있었다. 알파테스트때도 참가 규정상 게임 컨텐츠를 유포하는 걸 금지했었기 때문에, 한 알파테스터는 신원을 숨기고 유튜브에 플레이영상을 업로드하다가 무려 10만달러의 벌금을 물기도 했다. 결국 2015년 들어서 베타주말을 한이후로 일부 유투버들이 워게이밍의 허락을 받아서 플레이 영상 몇개를 업로드했고, 드디어 워쉽의 플레이 영상이 대중들에게 공개되었다.

발음이 비슷해서인지 'World of Warsheep'라는 드립도 있다. 워쉽이 공식 홈페이지 주소에서 ship을 sheep으로 바꿔 쓴 http://worldofwarsheeps.com/로 접속하면 "우리는 기꺼이 World of WarSheep을 만들 수 있지만, 동물 학대에 엄격히 반대한다."라고 적힌 페이지로 이동되었지만 현재는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

개발자 Q&A에서 아직 기획만 되어 있으며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은 독일/소련 트리를 묻는 질문이 많았는데, 답변들 중 하나에서 독일 10티어 항모로 비스마르크급 전함의 항모 개장 버전이 계획중이라는 떡밥이 던져진 상황이었으나, 개발자들이 독일항모 트리는 나오지 않을 것이며 그라프 체펠린만 프리미엄쉽으로 검토 중이라고 못박았....지만 2020년 4월 독일항모 트리가 발표되면서 워게이밍의 약속은 믿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상기시켜주었다.

월드 오브 탱크에 비해 등장하는 것들의 시간대가 약간 빠른 편이다. 월탱의 경우 1920년대~1960년대의(길면 70년대까지) 물건이 등장하나[22] 워쉽의 경우 1904년 즈음부터 시작해 50년대에서 끝난다. 2차대전 이후 대형 함선을 건조할 수 있는 이전의 강대국들은 (미국을 제외하면) 거의 파산 직전의 상태로 몰렸고,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항공모함을 제외한 대형 함선의 의미가 사라지면서 신규 건조 함종이 대부분 구축함/항공모함으로 압축되었기 때문.(사실 전함의 전성기는 진주만 공습으로 끝났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월탱의 전례가 있기 때문에 차후 티어와 실제 함선의 취역년도의 전체적인 시간대에 약간의 조정이 있을 가능성은 존재한다.[23]

곳곳에 넣을만한 실제 함선이 마땅히 없는 경우 페이퍼 함선을 넣는데,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24]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 등장한 별칭 중 하나가 '월드 오브 페이퍼쉽'. 그렇지만 이런 페이퍼 병기들을 게임속에서 조작해볼수 있게 하는 게 월드 시리즈의 재미라는 의견도 있다.[25][26]

그래픽쪽에서 최적화가 월탱보다 좋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월드 오브 탱크에서 중옵으로 30프레임이 나오는 PC가 워쉽의 경우 중상옵 40프레임 이상을 뽑아낸다는 것. 이는 월탱/워쉽의 엔진인 빅월드 엔진의 기술력 향상에 따른 결과로 월탱 제작 당시 상당히 시궁창이었던 빅월드 엔진의 성능이 워게이밍이 인수한 후 성능 면에서 비약적인 진보를 이뤄냈기 때문. 그래도 썩 완벽하진 않지만, 다중코어 지원이 어디냐는 평. 애초에 월탱과 달리 오브젝트 파괴가 불가능하고 맵에 존재하는 건 플레이어를 제외하면 크고 작은 섬들 뿐이니 처리량이 줄어든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0.6.10 패치에서 그래픽 엔진이 다이렉트 11[27]로 변경되어 최적화는 도 좋아질 예정이다.

한때 PV에서 잠수함이 살짝 등장한 적이 있었는데, 유저들의 요청이 많을 경우 추가를 고려해보겠다고 했지만 서비스 초반에는 개발목록에는 없었던 듯. 잠수함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현존 시스템과 게임성을 싹 갈아엎어야 한다는 모양이다.[28] 인터뷰에서는 사실은 이미 나왔는데 잠수 중이라 아무도 못보고 있을뿐이라는 드립을 쳤으나... 개발진에서 2016년엔 안나온다고 못을 박았다. 대신 다른 방면에 더 신경 쓸 예정이라고. 그런데 개발진 QnA에서 잊을 만 하면 잠수함 떡밥을 언급하며 '2016년엔 안나오지만 언젠가는 혹시...'라는 뉘앙스를 자꾸 흘리다가 옆동네 워 썬더가 2018년 만우절 이벤트로 무려 핵잠수함을 가장 먼저 선보인 것에 위기감을 느낀건지 2018년 9월 18일(한국시각) 워쉽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2018 할로윈 이벤트로 할로윈 잠수함(!!!)이 등장 할 것임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2019년 중반에 들어 공식 유튜브 채널의 연재 컨텐츠 'Naval Legends' 에서 잠수함들을 다루었고 2020년에는 실제 서버에 등장했다. 선행 테스트로 6티어 3척(독일,미국,소련)이 실제 서버에서 테스트를 거쳤다. 그리고 2021년에는 6,8,10티어 잠수함을 3일간 대여하여 전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US사의 메인보드/그래픽카드를 구입하면 프리미엄쉽 2티어 순양함 Diana, 모니터/사운드카드를 구입하면 2티어 구축함 Tachibana, 노트북/데스크탑을 구입하면 5티어 순양함 Marblehead의 신규 계정용 초대 코드를 받을 수 있다. #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2~3분 가량의 짧은 애니메이션인 'Bad advice'[29]를 비정기적으로 연재한다. 이에 대해서는 월드 오브 워쉽/팁 항목 참조.

무작위 전투에 참여하는 플레이어의 숫자가 바로 전차/항공기/함정의 숫자인 월드 오브 시리즈 특성상, 한 전투의 규모가 월드 오브 워플레인은 편대~비행대대급의 소규모 항공전, 월드 오브 탱크는 기갑 중대~대대급의 전술적 전투이지만, 워쉽은 전함과 항공모함이 수 척씩 침몰하는, 국가의 명운을 건 함대결전 수준이다.

2016 WGL 그랜드파이널 경승전 직전 약 1시간여동안 특별히 구성된 인원들로 이벤트전을 치렀다. 티어는 전체 8티어로 전함은 티르피츠가 픽되었으며 예상과는 달리 일구축은 나오지 않고 미구축과 소구축이 주로 픽이 되는 모습이었다. 항모는 두 팀 모두 쇼카쿠만을 픽하였다.

해전 스트라이크라는 모바일 MMO 해양슈팅게임이 10월 14일~17일까지 클로즈베타를 진행했는데, 인터페이스부터 거의 모든 것이 워쉽과 똑같고 항구 배경도 비슷해 화제가 되었다. 심지어 효과음마저 워쉽과 동일해 짭쉽블리츠라는 별명을 얻었다. 추가 정보에 따르면, 워게이밍측에서도 이에 대한 확인에 들어간 상황이며, 적법한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한다. 이후, 사실 워게이밍의 파트너 회사가 만든 게임임이 알려졌고, 그 회사에서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모바일 시스템 제작 및 유통을 맡게 되었다.

경쟁사의 작품인 가이진의 워 썬더 측에서도 해상전을 준비하고 있어 향후 비교가 될 듯 하다. 워쉽이 정식서비스를 개시한지 1년 후, 2016년 8월 12일 전에는 체력제게임에 적응을 못 하는 몇몇 리얼리스틱한 유저들이 워 썬더가 모듈제를 응용한, 전함과 순양함, 구축함, 항공모함, 잠수함이 아우러진 상당히 리얼한 대함전투를 내놓을 것을 엄청나게 갈망하고 있었다. 이전까지만 해도 워 썬더의 리얼한 대함전투를 구현해 줄것을 기다리며 억지로 워쉽을 하면서 때를 기다렸던 유저들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꽤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런 유저들의 기대와는 달리 가이진은 공식발표에서 전함 및 순양함같은 대형함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는 발표를 했고, 연안 경비정이나 어뢰정같은, 수준이하의 소해정 위주의 함정들만 내놓았던 탓에 유저들의 실망이 상상 할 수 없는 수준에까지 이르러서 결국 때가되면 접고 버리려 했던 워쉽을 다시 잡게 만들게 되었다.[30] 가이진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는 과거 소련해군의 대형함 전력이 2차 세계대전의 주전 국가들 중 질적이나 양적이나 거의 바닥에 가까운 수준을 기었으며 미국,영국,일본이나 이탈리아처럼 충만한 테크트리를 구성할 여건이 부실하다. 그 독일의 크릭스마리네도 부실하기는 마찬가지이나 최소한 소련보다는 나았다. 그리고 본인들이 사내에서 현 물리엔진을 기반으로 테스트를 거친 결과, 대형함으로 하는 해전이 굉장히 지루하고 한 척을 격침시키는 데만 해도 상당한 시간이 걸려서 30분 이내의 스피디한 전투를 구현해 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워 썬더는 통합 전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다가 회사 방침상 페이퍼플랜을 넣지 않는다고 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들이 맞물려 대형함을 추가 하지 않은 듯 하다. 그래서 워 썬더 유저들은 통통배, 통통썬더 등 한껏 비아냥을 하고 있는 중...[31]
가이진은 CBT결과에 따라 대형함을 추가할지 말지를 결정한다고 했으니 기다려 볼 여지는 있는 편. 만일 대형함이 추가된다면 조건이 같아져서 워쉽과 비교가 될 듯 하다.[32] 2018년 10월 OBT가 시작되면서 정식 트리에는 2차 대전기 경순양함에서 냉전시대 고속정까지 추가된 상태이다. 또한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에는 전후의 미사일 구축함 같은 함선들이 있고 2021 만우절 이벤트에서 VLS의 추가 가능성까지 암시한 것을 보면, 여태 들은 비난 및 워쉽과의 차별화, 그리고 순양함급 배수량까지만 내놓으면서도 고티어를 만들어내기 위해 지상군/헬리콥터의 예처럼 전후부터 냉전기, 21세기 초의 장비들을 넣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정작 대형함 추가 이후엔 월드 오브 워쉽의 라이벌은커녕 비교하기도 부끄럽다며 워썬더 유저 대부분에게 까이고 있는 형편이다.
The Duel
2021년 4월 26일 새로운 CG 트레일러 'The Duel'이 공개되었다. 내용은 모가미볼티모어랑 1대 1로 싸우는 내용의 트레일러다.[33] 트레일러에서 보면 볼티모어가 선제 공격 이후 모가미에게 선제피격을 당해 선체에 30초 4불이 붙은 상태로[34] 곧이어 주포 철갑탄을 끊어서 발포하여[35] 모가미를 유폭내고[36] 어뢰를 피할 때 어뢰를 도탄낸다.[37] 아마 이 때만큼은 대부분의 워쉽 유저들이 이해를 못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38] 최종 승자는 6,600피가 남은 볼티모어.[39] 중간에 볼티모어의 철갑탄이 날아갈 때 보이는 The 14.3 Rule은 바로 오버매칭 공식[40]이다.[41]

0.10.4 업뎃으로 월탱의 그것과 같은 시스템인 경매가 새로 생겼다. 첫 경매 물품은 10만 석탄[42], 영국 함장, 썬더러 깃발이다. 3일간 진행되었으며 석탄은 강화 장비, 특별 함장, 프리미엄 군함 등 강철과 함께 매우 요긴하게 쓰이는 자원이라 열기가 뜨거웠다[43]. 대부분 5천만~1억 사이에서 낙찰될 것이란 예상이 있었는데 최소 낙찰가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8천만 크레딧 이상으로 제보된 데다 안전빵으로 1억 이상을 박은 헤비 유저들이 많아 시작금액의 최소 3배가 넘는 금액이었다. 낙찰되지 못한 경우에는 입찰할 때 지불한 금액이 반환된다고 한다. 아시아 서버에는 한국의 법 때문에 골드 경매[44]를 진행하지 않는다.

지금도 어뢰 투발 시에는 리드를 잡아주지만, 놀랍게도 정식 서비스 개시 이후로도 상당한 기간 동안 주포 조준 시에도 에임핵을 기본 제공했었다. 일명 '스톱워치 에임'이라 불리는 것으로, 주포 조준 시에 리드를 정확하게 잡으면 탄착 시간 왼쪽에 표시되는 시계 모양 아이콘이 아주 살짝 움찔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조준했음을 알려주는 형태였다.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존재를 모른다면 알아채기가 정말 어려운 형태였던지라 유저들은 독일 전함 추가 직전에 워게이밍에서 이 시스템을 삭제한다는 공지가 뜨고 나서야 이런 것이 존재했음을 알게 되었다.

11. 외부 링크

11.1. 공식 사이트

아시아, 북미, 유럽 등 서버별로 주소가 다른 웹사이트는 별도의 표기가 없을 경우 아시아 서버 웹사이트를 기본으로 함.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신규 소식
    각종 패치 및 업데이트 정보와 이벤트, 역사 게시물 등이 업로드되는 공지 게시판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개발자 블로그[영문]
    개발중인 함선의 정보와 밸런스 조정, 업데이트 개발 현황과 예고 등 개발 정보가 업로드되는 웹사이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프리미엄 상점
    현금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각종 아이템을 판매하는 상점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무기고
    게임 내 무기고 메뉴의 웹 버전 페이지. 게임 내 자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각종 아이템을 판매하는 상점이다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보너스 코드
    여러 경로를 통해 공개되는 보너스 코드를 입력하여 적용하는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모집소
    게임 내 모집소 메뉴의 웹 버전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플레이어 전적
    본인 혹은 타 플레이어의 전적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모드스테이션
    워게이밍이 공식적으로 허용한 서드 파티 유저 모드 설치를 지원하는 공식 프로그램인 모드스테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클랜
    게임 내 클랜 탭의 웹 버전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고객 지원 FAQ
    유저들이 자주 질문하는 게임 관련 문제들에 대해 설명하는 고객 지원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고객 지원 티켓 생성
    게임 관련 문제에 대한 문의를 생성할 수 있는 고객 지원 페이지. 한국어 페이지에서 티켓을 생성하면 평일 업무시간 중 워게이밍 코리아를 통해 답변되므로, 금요일이나 토요일에는 영어로 페이지 언어를 전환해 영어로 문의하는 방법이 답변을 더 빠르게 받을 수 있다. 다만, 영어 페이지에서 한국어로 문의하거나 한국어 페이지에서 영어로 문의할 경우 시간이 훨씬 많이 소요되므로 유의가 필요하다.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공식 위키[영문]
    워게이밍에서 운영하는 게임 공식 위키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개발자 웹[영문]
    워게이밍 API를 이용한 외부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지원하는 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EULA
    서비스 이용 약관

11.2. 관련 사이트

  • wows-numbersASIA, wows-numbersNA

    • 통칭 넘버즈. 각 유저의 전적과 클랜, 함선의 평균 전적 등 각종 통계 사이트이다. 여러 커뮤니티에서 실력의 지표로 활용하는 통칭 레이팅은 본 사이트의 PR수치를 의미하며, 타 유저 통계 사이트에서도 본 사이트의 자료를 인용해 표시한다.
  • WoWs‑ShipBuilder[영문]
    통칭 쉽빌더. 포각, 탄도, 집탄 등 게임 내에서 확인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한 자세한 함선 스펙을 제공하며, 함장과 소모품, 강화 장치를 모의로 탈착하며 세팅에 따른 스펙을 비교할 수 있다
  • Ship Tool[영문]
    통칭 쉽툴. 인게임에서 확인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해 자세한 함선 스펙을 제공하며, Filter 기능을 통해 특정 함선들의 스펙을 표 형태로 제공받아 일괄적인 비교를 할 수 있다. 또한, 함장과 소모품, 장비를 모의로 탈착하며 세팅을 비교할 수 있다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ISAC 디스코드 봇[영문]
    통칭 아이작봇. 상술한 넘버즈에서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전적을 그래픽으로 간편하게 제작하여 제공한다. 플레이어 전적 뿐 아니라, 함선 별 전적과 클랜, 클랜전투, 최근 전적 등 다양한 그래픽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51]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Track 디스코드 봇[영문]
    통칭 미니맵 랜더러. 리플레이 파일을 업로드하면 전투 상황을 요약하여 20초 전후로 요약된 랜더링을 동영상으로 제작해 제공한다. 리플레이 파일은 게임 클라이언트에 업데이트가 적용되면 정상적인 방법으로 실행이 불가능하여, 오랫동안 보관하고 싶은 전투를 보관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Bismarck 디스코드 봇[영문]
    통칭 비스봇. 플레이어 전적이나 함선 스펙 등 정보를 임베드 형태로 제공한다.

11.3. 커뮤니티 사이트

  • 월드 오브 워쉽 갤러리
    한때 국내 워쉽 커뮤니티 중 가장 큰 규모였으나, 2025년 현재 디시인사이드 정갤 시스템의 고질적 문제인 분탕 차단 실패와 광고글 도배로 커뮤니티의 기능을 거의 상실한 상태이다.
  • 월드오브워쉽 글로벌 마이너갤러리
    디시인사이드 월드 오브 워쉽 갤러리 출신 유저들이 주축이 되어 이주한 마이너 갤러리. 이주 초기에는 아카라이브의 워게이밍 채널과 활성도가 비슷했으나, 현재는 월드오브워쉽 글로벌 갤러리의 글리젠이 훨씬 활발한 상태로 사실상 월드오브워쉽 갤러리의 후신이다. CC 롯테가 주딱을 맡고 있으며, 종종 CC코드를 추첨한다.
  • 아카라이브 워게이밍 채널
    디시인사이드 월드 오브 워쉽 갤러리 출신 유저들이 주축이 되어 이주한 아카라이브 채널. 국내에 거의 모든 공식 정보를 번역 및 소개하는것으로 유명한 CC 초민이 주딱을 맡고 있으며, 월드오브워쉽 글로벌 갤러리와 달리 글리젠이 꽤 적지만 초민이 작성하는 양질의 정보글과 번역글들이 많다.

12. 둘러보기

파일:워쉽신로고백색바탕.png
{{{#!folding [ 열기 · 닫기 ] 함선 관련 정보
함종 국가별 함선 목록
강화 장치 소모품 장식 함장 및 함장 스킬
전투 관련 정보
전투 종류 무장과 전술 상태이상
게임 관련 정보
업적 항구 컬렉션 및 보급 화물
{{{#!wiki style="margin: -16px -11px;" 배틀 패스 자원과 수익 보너스 클랜 }}}
기타
콜라보레이션
월드오브워쉽 글로벌 마이너 갤러리 발매 전 정보
사건사고 문제점
}}} ||


월드 오브 워쉽 테크트리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5px 0; text-align: center;"
미국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일본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소련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독일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영국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프랑스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이탈리아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네덜란드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스페인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범아시아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유럽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범아메리카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영연방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잠수함 프리미엄
이벤트 함선 초군함
콜라보레이션 기타 함선
}}}}}} ||


파일:워쉽X벽람아이콘.png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 항로
콜라보레이션 관련 문서
월드 오브 워쉽 벽람항로
월드 오브 워쉽에 출시된 함선 목록
[목록 펼치기 • 접기]
몬트필리어유키카제리토리오소비에츠카야 로시야아브로라아즈마체셔하인리히시마카제에기르호넷키어사지힌덴부르크비스마르크고리치아
월드 오브 워쉽에 출시된 함장 목록
[목록 펼치기 • 접기]
힌덴부르크샤른호르스트벨파스트장 바르아즈마차파예프콜로라도퀸 엘리자베스유키카제클리블랜드엔터프라이즈덩케르크리토리오차라에기르호넷후드얏센그라프 쉬페키어사지비스마르크몬트필리어넬슨넵튠쇼카쿠볼티모어포미더블뉴저지프린츠 하인리히아트미랄 히퍼소비에츠카야 로시야프린츠 오이겐생 루이체셔시마카제후소아타고판매중단카가판매중단
벽람항로에 출시된 특별계획함 목록
[목록 펼치기 • 접기]
넵튠모나크이부키이즈모생 루이아즈마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시애틀조지아키타카제가스코뉴드레이크체셔마인츠오딘샹파뉴하쿠류에기르앵커리지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마르코 폴로플리머스브레스트프린츠 루프레히트치칼로프하얼빈힌덴부르크키어사지시만토플랑드르펠릭스 슐츠나폴리어드미럴 나히모프다이센할포드바야르하우덴 레이우메클렌부르크드미트리 돈스코이캔자스비토리오 쿠니베르티

월드 오브 워쉽 시리즈
월드 오브 워쉽미르 코라블리[RU]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함께 보기]
월드 오브 시리즈월드 오브 탱크 시리즈

[KR] 워게이밍의 한국 지사인 워게이밍 코리아에서 운영을 맡은 계정. 한국 유저의 게임 매커니즘 관련 문의는 고객 지원이 아닌 본 계정의 DM으로 접수한다.[2] 그의 말마따나 북미 서버는 항공모함과 만날 일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될 정도로 항모 이용자 수가 적다.[3] 그렇다고 아예 안 하는 건 아니다. 그라프 제펠린, 엔터프라이즈, 에식스 등을 했었다.[4] 한때 섬에 자주 들이 받는 일이 많아 그걸로 유명했지만 지금은 거의 보기 힘들다.[5] 특이하게도 전대 없이 오로지 솔로 게임만 한다.[6] 2020년 3월 기준으로 개인 승률 67%, 전대 승률 78%라는 괴물같은 전적을 보유하고 있다.[7] 다만 어느 정도 실력이 받쳐줘야 가능한 구성들이 많다.[8]96남은 구축으로 피 5만남은 전함을 태워죽이기도 한다.[9] 한 번은 트롤 팀원들을 캐리하려고 애쓰는 와중 전함은 항상 철갑탄을 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가진 팀원들에게 병신(Retard)이라고 욕하고, 마우스를 집어던질 적반하장의 상황에서도 욕 한마디 안 하고 3:1 싸움을 털어버리며 그 게임을 기적같이 캐리했다. 물론 해당 영상 댓글란에 신세한탄비슷한걸 하긴 했지만...[10] 썸네일을 보면 본인을 숙청 이후 스탈린 옆에서 찍힌 사진에서 지워진 니콜라이 예조프에 합성해놨다.(...)[11] 시각디자인 전공으로 광고/마케팅 회사에서 그래픽 담당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2] 이중 스미스는 시즌 2부터 중위(Lieutenant)로 등장한다.[13] Salt는 게임이 잘 안 풀려서 받는 스트레스를 뜻해, 형용사형인 salty는 말 그대로 게임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상황을 지칭한다. Tate는 potato의 준말로, potato는 무언가 열등한 것을 지칭하는 데 쓴다. 가령 potato PC는 내장그래픽 따위를 돌리는 사무용급 저성능 컴퓨터, potato player는 게임을 못 해도 너무 못 하는 멍청한 플레이어를 뜻한다.[14] 다만 스미스가 권유한 우주 테마도 질색하거나 그냥 게임이라는 스미스의 말에 역사에 기반한 게임이라고 강조하는 걸 보면 역사에 심취한 것일지도[15] 상술했듯이 맥그로 함장은 아니메 계열을 무지 싫어하기에 비-아니메 계열 보조를 선발하려고 했지만 자원부족으로 클렘슨을 받아들어야했다.[16] 다만 함재기가 격추되면 드물게 함재기 조종사가 낙하산 펴고 뛰어내린 후 천천히 낙하하기도 한다.[17] 계약 만료로 현재는 삭제되었다.[18] 파일럿전차 승무원까지 구현해놓은 워 썬더는 결국 승조원을 구현했지만, 실질적으로 HP와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가진다.[19] 실제 사례로,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적 플레이어 중 하나가 내뱉은 말이 "poi motherfxxker" 북미서버에서 일어난 일이다.[20] 또다른 사례로 한 방에 8대 의 콩고와 키리시마가 잡히자 "World of Kongo" 드립이 나왔는데, 채팅창이 바로 "Burning Love!" 드립으로 채워지는 일도 있었다.[21] 이들의 주된 주장은 "실제로 건조되지 않은 계획함/가공함들은 플레이할 가치가 없으며, 전쟁을 다루는 게임에 일본 애니메이션 따위가 낄 자리는 없다."[22] 전차는 1차대전 중에나 겨우 등장한 완전히 새로운 병기였고 2차대전 중에 눈부신 발전을 하며 수많은 종류들을 만들어낸 후 현대에 오며 무기의 발전으로 몇가지로 합쳐졌다. 따라서 게임에 등장시킬 전차의 범위가 나름대로 확실했고 약간 애매한 2차대전 후 전차들은 자체적인 제한을 두고 구현을 하지 않았다.[23] 한 예로 월탱의 경우 예전 만우절용으로 만들어둔 현대 3세대 전차들을 일회성 이벤트이지만 게임 내에 추가할 계획이다! 하지만 워쉽은 그정도까지 확대하진 못할 듯. 전함의 도태 후 군함의 전투 방식이 완전히 바뀌어버렸고 무지막지하게 길어진 사정 거리와 함께 마치 전차나 전투기처럼 무조건 한방에 빠르게 상대를 격침시켜 버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본게임의 기본적인 전투 시스템 자체(서로 발견해서 누구 하나가 죽을 때까지 치고박는)가 쓸모없어지는 형태. 앞의 월탱 현대전차나 현대 장비들끼리만 붙게 만든다거나 옆동네처럼 무지막지한 체력을 주거나 미사일 딜을 떡너프한다면 혹시 모를까...[24] 러시아 제정 - 소련 해군 트리의 경우 현재 알려진 함선들의 대부분이 페이퍼 플랜으로 끝났을 정도.[25] 20~30년대 페이퍼 플랜의 경우 갑판 장갑이 제2차 대전 중 함선 보다 빈약한 게 많아 따로 개장 형식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26] 네이비필드의 소련트리도 러시아 제국 시절 건조된 전노급과 노급을 제외하면 사실상 페이퍼플랜으로 채워져있다. 수상함대가 취약했던 독일 역시 말할 것이 없고, 항모트리의 경우 일본, 영국, 미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페이퍼 플랜으로 떡칠되어 있다. 이렇게라도 안 하면 트리 구성 자체가 안 된다..[27] 기존 엔진은 다이렉트 9.[28] 참고로 워쉽 홈페이지에서 404 페이지가 뜨면 잠수함이 나온다. 그것도 모델링이 된 형태로, 즉 아주 놓은 것은 아니고 진짜 고려중인 모양. 예시[29] 한국 공홈명은 '부적절한 조언'[30] 2017년 5월 초 쯤에 뒤늦게나마 구축함을 추가하기는 했다. 다만, 유튜브에 올라온 여러 플레이 영상에 따르면 속도가 좀 느릿한 편이다.[31] 이러한 문제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가이진을 싸잡아서 비난하고 있다. 함을 추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유저 동영상들이 유튜브에 올라와 있고 매번 CBT 플레이영상이 올라오면 '나는 저 따위 보트가 아니라 망할 전함을 원한다'라는 뉘앙스의 댓글들을 상당히 볼 수 있다.[32] 워썬더 해상전은 플레이어마다 한 판에 함급에 상관없이 총 3대의 함선과 2대의 항공기를 투입할 수 있다. 아무리 대형함이 없다 해도 16:16 대전에서 양측 구축함과 경순양함 32척이 3번씩 등장한다면…[33] 모가미의 고폭탄 피해가 3,300이고 구경이 203mm이라고 표기된 것을 보면 경순양함에서 중순양함으로 바꾼 모가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순양함 모가미의 고폭 최대 피해량은 2,600에 구경은 155mm다. 또한 체력이 39,100이라고 뜨는 것을 보아 모가미 B형이거나 C형의 선체를 들고 나왔음을 알 수 있으며 볼티모어의 체력이 42,400인 것을 보아 볼티모어는 B형 선체를 들고 나왔다는 점을 알 수 있다.[34] 고폭탄에 맞아 선수, 선체 중앙, 선미 모두 불이 붙었고, 1번 주포가 고장났다. 참고로 고폭탄도 잘못 맞으면 모듈 고장이 의외로 쉽게 잘 난다. 피해 복구반을 준비하지 못했나보다.[35] 처음에는 함선 위 탑 같은거(Superstructure)에 과관통이 나거나 집중 방호 구역 이외를 맞춰서 비관통이 난다.[36] 좀 더 정확하게는 집중 방호 구역에 아주 제대로 맞은 듯하다. 모가미는 어뢰각이 경순양함 형태이건 중순양함 형태이건 둘 다 처참한 수준이라서 현측을 내줘야 조준이 가능하다. 광고 내에서도 모가미가 측면을 보여주고 어뢰를 쏜게 바로 이 이유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이때 집중 방호 구역 입사각이 다. 철갑탄의 경우 오버매칭 공식(후술할 14.3Rule이다.) 이후 정규화(Normalization)를 거치게 되면 함선 착탄시 장갑에 대한 입사각이 45º이상으로 들어와야 도탄 확률이 생기는데 입사각이 0º이면 도탄이나 비관통 없이 바로 관통 판정이 뜬다. 게다가 모가미의 체력이 39,100이고 불티모어의 철갑탄 최대 데미지는 5,000인데 여기에 집중 방호 구역 관통 판정이 우수수 떠버렸으니 결정타 업적은 반쯤 확정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37] 참고로 저 어뢰는 93-1식 산소어뢰다.[38] 물론 어뢰가 저런 식으로 터지지 않는 경우는 겜 하면서 거의 없다시피하지만 그렇다고 게임 상에서 없는 것도 아니다. 사실 어뢰 자체에도 체력이 있는데 이 체력이 300~3,000사이쯤 된다. 다만 이 체력이 까이는 건 어뢰가 발사된 이후로는 까이진 않고 함선이 피격당했을 때 어뢰도 모듈로 취급되는지라 모듈 손상으로 인해 어뢰관이 손상을 입을 수도 있는 방식이다. 모가미가 볼티모어에게 철갑탄 여러 발을 쳐 맞다가 어뢰 몇 개에서 어뢰관이 맛이 가버리는 바람에 착탄은 했는데 터지지 않았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모가미는 죽어서도 억까를 당했다.[39] 어뢰 도탄을 내기 이전에 볼티모어의 오른쪽 하단을 자세히 잘 보면 어뢰 하나가 터지면서 볼티모어 선미에 착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뢰 도탄(?) 장면 이후 뜨는 Flooding Chance(침수 피해 확률)에서 어뢰 피격을 한 번 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침수가 발생하지도 않았고 집중 방호 구역에 맞질 않아서 피해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 뿐이다. 어뢰도 중앙을 맞으면 피해가 대량으로 들어오지만 선수나 선미에 맞으면 어뢰 피해가 씹히는 상황까지도 생긴다.[40] 포탄 구경 / 피격 지점의 장갑두께 > 14.3인 경우 입사각에 상관없이 무조건 관통[41] 볼티모어의 체력이 42,400중 6,600이 남은 수준이면 15%밖에 남지 않은 수준으로 저 정도면 한 대 맞고 터지기 직전까지 얻어맞고 불 타서 돌아왔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기사 게임 상에서 보기도 어렵다는 4불까지 났는데 피해 복구반을 돌리질 않았으니 멀쩡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 같다.[42] 입찰 시작금액 2500만 크레딧. 10티어 전함 가격이다.[43] 게다가 10티어 프리미엄쉽은 22만 석탄 정도의 가격이라 많은 사람들이 이번에 크레딧을 풀어넣었다.[44] 유료 경매. 경매 품목은 골쉽 중에서도 수요가 가장 많고 경매에 올리기 쉬운 판금쉽으로 알려져 있다.[영문] 한국어 번역이 지원되지 않는 영문 웹사이트[영문] [영문] [영문] [영문] [영문] [51] 파일:wwsjohn_the_ruthless.png 북미 서버의 유명 플레이어 john_the_ruthless의 전적을 그래픽으로 제공한 모습[영문]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