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캐릭터
그라프 체펠린급 항공모함 ||
}}}}}}}}} ||
그라프 체펠린급 항공모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번함 | 2번함 | 무장설계 변경안 | 꼬마함선 |
| | | | |
그라프 체펠린 | 페터 슈트라서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꼬마 그라프 체펠린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KMS August von Parseval / アウグスト・フォン・パーセヴァル | |||
| |||
<colbgcolor=#a48252> 세력 | | ||
등급 | Priority PRY | ||
함종 | 항공모함 | ||
일러스트 | 侑了个侑 | ||
원본 함선 | 그라프 체펠린급 항공모함 무장 변경 설계안 | ||
성우 | 타치바나 리카 | ||
획득 방법 | |||
입수 경로 | 개발 도크에서 개발 | ||
건조 종류 | 건조 불가 |
1. 개요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의 등장인물이다. 메탈 블러드(철혈) 소속 항공모함이며, 월드 오브 워쉽의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을 콜라보한 캐릭터다.2. 설정
"발버둥치는 것도 좋겠지. 저항하고 저항한 끝에 무참히 패배한 당신의 표정이 기대되네."
언제나 침착한 분위기를 두르고 있으며, 인심장악에 능한 철혈의 '특별계획함'.
운명에 저항하고, 결국 무참히 패배하는 사람의 모습을 보는 것에서 최고의 기쁨을 느낀다.#
언제나 침착한 분위기를 두르고 있으며, 인심장악에 능한 철혈의 '특별계획함'.
운명에 저항하고, 결국 무참히 패배하는 사람의 모습을 보는 것에서 최고의 기쁨을 느낀다.#
파르제팔의 원본이 된 월드 오브 워쉽의 함선은 크릭스마리네의 유일한 정규항공모함이었던 그라프 체펠린급 함공모함의 후속 발전형 설계를 구현한 독일 정규항공모함 트리 8티어의 KMS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로, WOWS에서는 이전 티어의 베저를 이어 본함인 8티어의 그라프 체펠린, 체펠린급의 선행 설계안을 구현한 6티어 프리미엄 함선인 에리히 뢰벤하르트가 같이 구현되었다. 한편 벽람항로에서는 원래 그라프 체펠린급 항모의 동형함에 내정된 이름이었던 페터 슈트라서가 그대로 그라프 체펠린급 2번함으로 등장했다.
월드 오브 워쉽의 원본 A. 파르제팔은 그라프 체펠린과 동일하게 철갑 로켓과 철갑 급강하폭격을 사용해서 갑판장갑이 얇은 수상함들을 상대하기 좋은 함선이나, 대신 부무장은 그라프 체펠린에 비해 빈약한 것이 특징이다. 부무장으로 105mm와 150mm 부포를 주렁주렁 달고 있어 라인으로 돌진하며 적팀의 구축함과 용감무쌍하게 포격전을 펼치고 항모를 포탄으로 두들겨패는 항공모함인(...) 그라프 체펠린에 비교하면 좀더 정석적인 항공모함 플레이가 가능한 함선이지만, 반대로 말하면 후방으로 밀고 들어온 구축함이나 순양함을 부포로 상대할 수 있는 그라프 체펠린에 비해서는 대응성이 조금 떨어진다고도 할 수 있다. 파르제팔이나 체펠린이나 둘 다 독일 트리의 특징인 터틀백 장갑을 받은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무장이 든든한 체펠린은 장갑을 믿고 전진할 수 있지만, 함재기에 의존해야 하는 파르제팔은 장갑으로 공격을 막아내는 방식이기 때문.[1] 때문에 새디스트 컨셉의 캐릭터와는 반대로 원본 함선의 플레이는 마조히스트에 가까운 편이다.
캐릭터성은 조용한 성격이지만 인심장악에 능하다는 설명처럼 지휘관을 가지고 놀길 좋아하는 새디스트 컨셉을 잡았다. 특히나 본인을 '마녀'라고 지칭하는데다 기본 자세부터가 다리를 꼬고 하이힐을 반쯤 벗고 있어서 이러한 성향이 더욱 부각된다. 정작 실제 대사를 들어보면 파르제팔은 마녀라기보다는 새디스트의 탈을 쓴 종잡을 수 없는 사차원 캐릭터에 가까운데, 특히 특수터치 시의 정신승리 대사가 압권이다. 때문에 유저들은 농담삼아 그라프 체펠린급은 네임쉽은 세계멸망 소망, 2번함은 시간엄수 강박, 이세계의 2번함은 4차원 새디스트라서 정상이 하나도 없다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3. 성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캐릭터 능력치
SSR 이상 항공모함 ||
}}}}}}}}} ||
SSR 이상 항공모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내구 | 장갑 | 장전 | 포격 | 회피 | 대공 | 항공 | 대잠 | 소비 | 전투기 | 폭격기 | 뇌격기 | |
SSR 정규항모 | 엔터프라이즈 | 6193 | 중형 (中) | 132 | 0 | 62 | 329 | 429 | 0 | 13 | 125% | 125% | 125% |
에식스 | 6647 | 131 | 54 | 331 | 433 | 140% | 130% | 120% | |||||
인트레피드 | 6634 | 430 | |||||||||||
타이콘데로가 | 6622 | 433 | |||||||||||
벙커힐 | 6610 | 309 | 425 | 115% | |||||||||
샹그릴라 | 6647 | 331 | 430 | ||||||||||
호넷 II | 6634 | 55 | 334 | 433 | 120% | ||||||||
일러스트리어스 | 6561 | 중 (重) | 117 | 53 | 296 | 400 | 135% | 135%전 | 110% | ||||
일러스트리어스(μ장비) | 6513 | 293 | 407 | 125% | 125% | 135% | |||||||
빅토리어스 | 6262 | 104 | 289 | 410 | 120% | 130% | 130% | ||||||
포미더블 | 6481 | 117 | 51 | 413 | 120%전폭 | 135%뇌 | 125% | ||||||
포미더블(μ장비) | 6321 | 287 | 419 | ||||||||||
인도미터블 | 6369 | 120 | 53 | 309 | 429 | 140% | 140% | 120% | |||||
아카기 | 6588 | 중형 (中) | 131 | 54 | 323 | 409 | 125% | 125% | 125% | ||||
아카기(μ장비) | 6541 | 408 | |||||||||||
카가 | 6771 | 49 | 110% | 110% | 150% | ||||||||
쇼카쿠 | 6729 | 120 | 56 | 349 | 412 | ||||||||
즈이카쿠 | 7193 | 57 | 323 | 414 | 130% | 125% | 125% | ||||||
다이호 | 7310 | 중 (重) | 54 | 319 | 399 | 120% | 130% | 140% | |||||
다이호(μ장비) | 7195 | 309 | 400 | ||||||||||
카츠라기 | 6079 | 중형 (中) | 419 | 125% | 115% | 135% | |||||||
그라프 체펠린 | 7488 | 127 | 50 | 319 | 423 | 120% | 130% | 130%폭 | |||||
페터 슈트라서 | 139 | 309 | 140% | ||||||||||
아퀼라 | 6217 | 127 | 45 | 363 | 398 | 120%전폭 | 130% | ||||||
임페로 | 7026 | 121 | 331 | 429 | 110% | 130% | |||||||
볼가 | 6970 | 123 | 363 | 396 | 140% | 120% | |||||||
조프르 | 6458 | 129 | 52 | 314 | 419 | 135% | 135% | ||||||
팽르베 | 6311 | 127 | 50 | 307 | 413 | 130% | 130% | ||||||
SSR 정규항모 (개장) | 새러토가改 | 7122 | 130 | 57 | 353 | 442 | 12 | 125% | 140% | 140%폭 | |||
아크로열改 | 6317 | 132 | 53 | 357 | 435 | 143%뇌 | 143% | 95%폭 | |||||
소류改 | 5456 | 141 | 66 | 363 | 425 | 150% | 125% | 115% | |||||
히류改 | 5678 | 361 | 426 | 115% | 150% | ||||||||
SSR 경항모 | 퍼시어스 | 5540 | 168 | 71 | 264 | 327 | 144 | 100% | 100% | 110% (대공포) | |||
센토 | 6626 | 160 | 70 | 268 | 421 | 126 | 13 | 125% | 120%전 | 140% | |||
알비온 | 6627 | 163 | 270 | 425 | 128 | 140%폭뇌 | |||||||
테세우스 | 5069 | 167 | 69 | 428 | 127 | 110% | 125% | 150% | |||||
류호 | 4986 | 189 | 276 | 317 | 112 | 12 | 130% | 145% | 80% (대공포) | ||||
즈이호 | 4614 | 195 | 70 | 264 | 310 | 91 | 140%전 | 140%뇌 | |||||
SSR 경항모 (개장) | 인디펜던스改 | 5006 | 202 | 83 | 338 | 330 | 109 | 11 | 145% | 150% | |||
유니콘改 | 5547 | 168 | 66 | 352 | 135%뇌 | ||||||||
젠하이改 | 3861 | 206 | 151 | 51 | 211 | 359 | 0 | 150%수전 | 150%수구전폭뇌 | 100% (대공포) | |||
UR 정규항모 | 요크타운 II | 7484 | 135 | 0 | 55 | 364 | 452 | 15 | 120% | 135% | 135%전폭뇌 | ||
임플래커블 | 6843 | 중 (重) | 126 | 327 | 438 | 140% | 130%전폭뇌 | 130% | |||||
시나노 | 8616 | 49 | 317 | 437 | 125%전폭뇌 | 130% | 140% | ||||||
PR 정규항모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7238 | 중형 (中) | 120 | 47 | 327 | 430 | 14 | 140% | 110% | |||
치칼로프 | 6284 | 321 | 436 | 120% | 120% | 155% | |||||||
DR 정규항모 | 하쿠류 | 8354 | 중 (重) | 126 | 57 | 323 | 453 | 17 | 125%전뇌 | 150% | 130%뇌폭 | ||
구분 | 내구 | 장갑 | 장전 | 포격 | 회피 | 대공 | 항공 | 대잠 | 소비 | 전투기 | 폭격기 | 뇌격기 | |
|
경순양함과 중순양함에 대한 대미지 상승 버프와 경장갑, 중형장갑에게 파갑효과를 가지며 전투기 배율이 높다. 또한 스킬 효과를 보려면 쳘혈 함재기를 사용해야 한다. 전체적인 스킬 특성상 시제 함재형 BF-109G 전투기를 채용하여 경순양함과 중순양함 보스 함대 편성 위주에 어울린다. 단, 시제 함재형 BF-109G 전투기는 철갑로켓을 장착한 사실상의 공격기라 적 함재기 요격을 나가지 않아 대공 능력은 약화된다. 그리고 장전을 올려주는 스킬 덕분에 텐라이 장착에 있어서 사속조절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2022년 8월 19일 업데이트로 용골편찬이 추가되었다. 용골편찬으로 인해 기존의 75% 적 함대의 항속을 0으로 만드는 바인딩 스킬의 확률이 100%의 확률로 변경되어 아크로열보다 후열 항공모함 함대[2]의 안정적인 딜링이 가능해졌다. 물론 아크로열을 포함한 항공모함 함대의 대미지의 고점은 더 크다.
그러나 이듬해 등장한 로열 소속의 UR등급 항모인 임플래커블이 다른 후열 함선들의 공격을 더욱 용이하게 적중하도록 만들어주는 감속과 정지가 조합된 매커니즘의 슬로우 부여 성능을 가지고 나온 탓에 파르제팔의 슬로우보다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비컨 전투 등에서의 채용 빈도는 대폭 하락했다.
2025년 6월 페터 슈트라서에게 전용 특수 장비가 추가되어 기존의 확률적 감속이 공중 지원 시 확정으로 변경되어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
능력치 (레벨1/호감도50 → 레벨120/호감도100 → 레벨120/호감도200) | |||||||||||
내구 | 1273 → 7238 | 장갑 | 중형(中) | 장전 | 44 → 120 | ||||||
포격 | 0 | 뇌장 | 0 | 기동 | 13 → 47 | ||||||
대공 | 62 → 327 | 항공 | 83 → 430 | 명중 | 37 → 108 | ||||||
대잠 | 0 | 항속 | 31 | ||||||||
행운 | 0(15)[3] | 소모 | 8 → 14 | ||||||||
<colbgcolor=#a48252> 장비 정보 | |||||||||||
번호 | 장비 종류 | 공격 횟수 (MIN/MAX) | 보정률 (MIN/MAX) | ||||||||
1 | 전투기 | 1 / 2 | 120% / 140% | ||||||||
2 | 폭격기 | 1 / 3 | 105% / 110% | ||||||||
3 | 뇌격기 | 1 / 3 | 115% / 140% | ||||||||
4 | 설비 | - | - | ||||||||
5 | 설비 | - | - | ||||||||
개발 효과[4]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v.5 | 내구 +310 / 대공 +15 / 폭격기 탑재량 +1 / 전투기 효율 +5% | |||||||||
Lv.10 | 스킬 습득 -【안티 세이렌】/ 전투기 효율 +5% | ||||||||||
Lv.15 | 내구 +621 / 대공 +30 / 뇌격기 탑재량 +1 / 뇌격기 효율 +10% | ||||||||||
Lv.20 | 【안티 세이렌】스킬 강화 / 격납고 용량 +1 / 뇌격기 효율 +10% | ||||||||||
Lv.25 | 내구 +931 / 대공 +46 / 함재기 탑재량 +1 | ||||||||||
Lv.30 | 【안티 세이렌】스킬 강화 / 함재기 효율 +5% | ||||||||||
함대 기술 | |||||||||||
함대 기술점수 | 획득 | 돌파MAX | Lv.120 | ||||||||
36 | 72 | 54 | |||||||||
함대 추가 능력치 | 항공모함, 경항공모함 명중 +1 | 항공모함, 경항공모함 항공 +2 | }}} |
3.2. 스킬
스킬 | |
통찰기술 - 사상장악 | 자신의 공중 지원 시 45(75)% 확률로
|
통찰기술 - 사상장악+ (용골편찬) | 자신의 공중 지원 시 50(100)% 확률로
|
공격기술 - 본아굉격 | 자신의 공중 지원 시, 특수 항공 탄막 Lv.1(10) 을 전개한다 (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
특수기술 - 철혈시익 | 자신이 경순양함, 중순양함에게 주는 대미지가 10(20)% 상승한다. 자신이 한개 이상의 메탈 블러드 함재기를 장비한 경우
|
안티 세이렌Ⅰ/Ⅱ/Ⅲ | 자신이 세이렌에게 주는 대미지가 5(15)% 상승한다. |
4. 스킨
4.1. 메이드 마녀(御使い魔女)
| |||||
가격 | 880다이아 | 스킨 소개 |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 |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메이드 마녀) | |||||
<color#FFFFFF> 입수시 | 髪の毛は…ふぅ、よし。助けは不要よ。今の貴方はご主人様、私は「貴方に仕えるもの」、この仮初の夢を楽しんでおきなさい。ふふふ 머리카락은… 후우, 좋아. 도움은 필요 없어. 지금의 당신은 주인님, 나는 「당신을 섬기는 것」 잠시 동안의 꿈을 즐겨주시길. 후후후 | ||||
<color#FFFFFF> 로그인 | やってきたわね。私の使い魔にして「ご主人様」。今日はどんな望みを、想いを、願いを私にぶつけてくるのか…ふふふ、この夢が覚めるまでは叶えてやるわ 왔군. 나의 사역마이자 「주인님」. 오늘은 어떤 소망을, 생각을, 소원을 나에게 던져올지… 후후, 이 꿈이 깨어나기 전까지는 실현시켜 줄거야 | ||||
<color#FFFFFF> 상세확인 | 今に限っては、貴方の思うがままにしてかまわないわ。貴方が仮初の屈服に滿足している分、目覚めたときの遺憾、後悔、やるせなさが――満たしてくれるわ 지금에 한해서는 당신 마음대로해도 상관없어. 당신이 잠깐 동안의 굴복에 만족하고 있는 만큼, 눈을 떴을 때의 유감, 후회, 안타까움이―― 채워줄 거야 | ||||
<color#FFFFFF> 메인1 | 仮初の立場にいつまでも甘んじていたら、私の心を折らせられないわ。貴方は永遠を望むだろうけど、いつかは元の現実に戻るのよ 잠시의 입장에 언제까지나 만족하고 있다면, 내 마음을 꺾을 수 없겠지. 당신은 영원을 바라겠지만 언젠가는 원래의 현실로 돌아오게 될 거야 | ||||
<color#FFFFFF> 메인2 | じっと見つめるだけでは満足できない性分だと分かっているわ。ご主人様 가만히 바라만 보아서는 만족할 수 없는 성품이라는 것을 알고 일지. 주인님 | ||||
<color#FFFFFF> 메인3 | ヒトである貴方が私に勝ったのではなく、私が貴方に「負けて差し上げました」のよ。ふふふ…♡ 사람인 당신이 나에게 이긴 것이 아니라, 내가 당신에게 「일부러 진」거라고. 후후후…♡ | ||||
<color#FFFFFF> 터치 | はい、「ご主人様」…… 네, 「주인님」…… | ||||
<color#FFFFFF> 터치2 | そう、思う存分メイドに甘えなさい。「ご主人様」 그래, 마음껏 메이드에게 응석부리시길. 「주인님」 | ||||
<color#FFFFFF> 터치3 | …っ。はい、なんなり、と… …읏. 네, 무엇이든지… | ||||
<color#FFFFFF> 메일 | 手紙……ご確認、を… 편지… 확인을… | ||||
<color#FFFFFF> 모항귀환 | おかえりなさい、「ご主人様」。このアウグストになんでも…っ…なんでもご命令ください… 어서 오세요, 「주인님」 아우구스트에게 뭐든지… 뭐든지 명령만 주시길… | ||||
<color#FFFFFF> 강화성공 | この力だけが現実よ 이 힘만이 현실이야 | ||||
<color#FFFFFF> 전투시작 | 目覚めぬ夢に足掻き続けなさい 눈을 뜨지 않는 꿈에 계속 발버둥 치시길 | ||||
<color#FFFFFF> 승리 | 貴方の望んだ勝利よ、「ご主人様」。ふふふ 당신이 바란 승리야, 「주인님」. 후후후 | ||||
<color#FFFFFF> 패배 | …っ、立場を弁えず、申し訳…ございません… …읏, 입장을 분별하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
"머리를 좀 더 이렇게.... 후, 됐군. 네가 수고롭게 도울 필요 없어. 지금은 네가 주인이니까. 난 단지 '너를 모시는 존재'일 뿐. 이 잠깐의 아름다운 꿈을 만끽하라고 후후."
메이드 카페 종업원 설정의 스킨.[6] 사디즘 성향이 가득한 기본 스킨과는 반대되는 성격을 보여주는 스킨으로 전용 대사들 수위도 제법 강하다. 파르제팔과 같이 출시된 에기르의 메이드 스킨 대사에 따르면 에기르는 파르제팔의 메이드로서의 모습은 설정이나 컨셉이 아니라 정말 본인이 즐기는 거라고 확신하고 있다.4.2. 마녀의 오후(魔女の昼下がり)
| |||||
가격 | 980다이아 | 스킨 소개 |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 |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마녀의 오후) | |||||
<color#FFFFFF> 입수시 | やっと来たわね、私の使い魔。いつ目覚めるかと…ん?少し優しくなったって?ええ、私とて穏やかな心境の時くらいあるわ。それとも使い魔は、私からもっと強く当たって欲しい? . | ||||
<color#FFFFFF> 로그인 | うららかな日差しに、お誂え向きの貴方…早速「魔女のひと時」を楽しませてちょうだい。無論、使い魔の貴方に異論は唱えさせないわ | ||||
<color#FFFFFF> 메인1 | この日差しも片時の安寧も私が授けたものではなくとも、共に愉しむことを許すわ . | ||||
<color#FFFFFF> 메인2 | 今日の予定は?貴方が足掻いてみせて、それをねじ伏せる快楽で私をもてなすのも一興よ . | ||||
<color#FFFFFF> 메인3 | 心を見透かされるのが分かっていてもなお、見つめるのをやめない…貴方、その目は一体どこを見つめているの…? . | ||||
<color#FFFFFF> 터치 | 今度はマッサージを口実に使うつもり? . | ||||
<color#FFFFFF> 터치2 | ふぅ…また昨日みたいに抵抗したくなった? . | ||||
<color#FFFFFF> 터치3 | ほう?自らの両手で髪を整えるのは「魔女らしくない」と?なら、我が使い魔である貴方に一任するわ . | ||||
<color#FFFFFF> 임무 | もっと早く任務を片付けて戻るべきだったわ。指揮官 . | ||||
<color#FFFFFF> 임무완료 | もちろん、これは使い魔である貴方への報酬よ。もしや他に私に求めたいことでも? . | ||||
<color#FFFFFF> 메일 | ふふふ…手紙を確認するくらいの時間はあるわね? . | ||||
<color#FFFFFF> 모항귀환 | おかえりなさい。もうしばらくこの格好のままでいるけど…怠けているわけではないわ。使い魔は自分が指図できない立場にいるのを弁えていて? . | ||||
<color#FFFFFF> 의뢰완료 | 委託が完了した?早く次の指示を出しなさい . | ||||
<color#FFFFFF> 사랑 | シャツ?ああ、これは紛れもなく貴方が昨日身につけていたものよ。何か問題でも?使い魔である貴方が、魔女である私に夜の「謝礼」を捧げるのは当然の道理じゃなくて? . |
"지금, 마녀가 이 순간을 즐길 수 있게 해줘. 당연히, 반대할 권리는 없어."
5. 대사
도감-자기소개 | |
메탈 블러드 항공모함,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이다. 나는 너의 함선이자, 널 속박하는 존재. 명심하거라, 나의 "지휘관", 나의 사역마. | |
<colbgcolor=#a48252> 일반 대사 | |
입수 | 드디어 왔군, 나의 사역마... 아니, 나의 "지휘관". 나는 "마녀"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여기서 널 한참 동안 기다렸다. |
로그인 | 조용... 네가 와서 이 아이가 안절부절 못하는구나. 신경 쓰지 마라. |
상세확인 | 반항하고 싶다면 안 될 것도 없다. 네가 실패했을때 달가워하지 않는 표정이 기대가 되는군. |
메인1 | "마녀"에게 어떠한 잔재주들이 있는지 알고 싶은가? 안심해, 넌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거니까. |
메인2 | 이렇게 조용하다니... 잠시 반항을 포기한 건가? 네가 그렇게 쉽게 순종하면 재미없는데. |
메인3 | 이렇게 계속 쳐다보면 쉽게 속이 들여다보일 수 있다. 지휘관. |
터치1 | 마녀에게 물어보고 싶은 게 있니? |
터치2 | 아직도 자아에 저항하지 못하는 것인가... 그럼 이대로 패배의 행복 속에 빠져 보아라. |
임무 | 이정도의 임무, 이정도 사소한 장애에, 애먹을 리는 없겠지. |
임무완료 | 임무가 완료되었다. 축하한다, 또 매혹적이고 위험한 고봉을 향해 한 걸음 전진했구나. |
우편 | 새로운 우편이다. 최대한 빠르게 읽어보도록. |
모항귀환 | 괜찮은 전투였다, 지휘관. 네가 언제 나에게 도전할지 기대 되는군. |
의뢰완료 | 의뢰조 동료들이 돌아왔구나,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겠지? |
강화성공 | 규칙, 강화 |
전투시작 | 내 앞에 고개숙여라--- |
승리 | 이게 네가 바라던 승리다. 전혀 그리 어렵지 않지. 안그런가? |
패배 | 추락도 피할 수 없는 건가... |
스킬 | 누구도 마녀의 손에서 벗어날 수 없다ㅡㅡ |
HP 경고 | 조급해 말아라. 애도할 시간은 아직 아니다. |
호감도 대사 | |
실망 | 싸울 수 없는 사람에게, 나는 할 말이 없다. |
낯섦 | 노력한 후의 단맛을 즐기든, 타락한 후의 쓴맛을 핥아먹든, 네가 결정해라. 네가 바라는 대로, 지휘관. |
호감 | 체펠린과 나는 안다. 네가 운명에 반항하려는 약하고 처참한 존재라는 것을. 이대로 운명의 심판을 순순히 받아들이지는 않겠지? |
기쁨 | 나를 넘어 압도하고 싶게 만든ㅡㅡ 너에게 이런 "족쇄" 를 가한 나야말로 처음부터 너에게 끌린 존재다... 나에게 보여다오. 너의 그 처참하고 비애로운 "가능성"을. |
사랑 | 사람은 자신의 감정을 이길 수 없다... 내가 너에 대한 사랑을 억누를 수 없듯이 너도 내 감정을 거부할 수 없다. 계속해서 발버둥치고, 저항해라. 이것이 바로 너와 나를 잇는 영원한 굴레다. |
서약 | 네가 나를 이길 수 있는 가능성에 네가 직접 사형을 선고할 줄은. ... 좋다, "사랑"이라는 이름의 새장 안에서 계속 반항하거라. 이대로 나의 존재로서 영원히 내 곁에 있어라, "나의 사랑" ㅡㅡ |
특수 대사 | |
페터 슈트라서와 출격 시 | 羨ましい精力だものね |
그라프 체펠린과 출격 시 | 終焉の貌を見せて頂戴 |
에기르와 출격 시 | 「魔術」はそっちのほうが心得があるわね |
6. 기타
- 함명은 독일의 비행선 설계자 및 공학자인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August von Parseval)'에서 유래했다. 이름이 복잡해서인지 월드 오브 워쉽과 벽람항로 한섭의 정식 표기인 파르제팔, 미국식으로 읽은 퍼시벌, 둘이 섞인 파르제발, 일본식 표기를 번역기로 돌리면 나오는 파세발, 혹은 이거마저 길다고 다시 축약해서 시발이, 시발쨩 등 정말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 첫 공개시 유저들 사이에서는 본 캐릭터보다 거대한 의장에 대해 이야기가 많았다. 철혈 캐릭터들이 기괴한 괴수 같은 의장을 지니고 다니는건 자주 있는 일이지만, 그래도 보통 머리~목 정도까지만 묘사되었던 데에 반해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은 아예 4족보행 드래곤 형태로 머리부터 꼬리까지 전신이 일러스트 내에 묘사되어서 캐릭터보다 의장에 더 눈이 간다는 평도 꽤 많을 정도다. 이는 캐릭터의 컨셉인 마녀와 사역마에서 유래한 디자인으로 보여지며, 파르제팔은 항공모함이기 때문에 의장의 사이즈가 이례적이긴 해도 납득이 간다는 평가가 많다. 덕분에 파르제팔을 시작으로 이후에 등장한 철혈함들은 전반적으로 의장의 크기가 거대해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 철혈 함선 중 유일하게 뿔과 더불어 고양이 귀와 같은 장신구를 달고 있는데, 담당 성우의 유명한 고양이 캐릭터와 닯은 모습 때문에 국내에선 장난 삼아 캐르나 파루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7] 실루엣이 각청과 닮았다는 감상도 꽤 있다. 그래서 캬루와 각청을 닮았다고 이를 섞어 각루 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다른 공식일러에서 보면 뿔과 고양이귀는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 그라프 체펠린과 마찬가지로 운명(미래)와 관련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그라프 체펠린은 그로 인해 시니컬하고 염세적인 모습으로 표출되지만, 파르제팔은 운명에 패배하는 모습을 즐기는 새디스틱한 면모로 표현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SD로는 귀여운 모습을 보이는 그라프 체펠린처럼, 파르제팔도 숙소에서 보면 대사와는 딴판으로 좀 깨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일러스트가 수려하게 잘 나온지라 캐릭터 자체의 매력을 칭찬하는 반응이 많다.
7. 둘러보기
||<rowbg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
×![파일:external/gamingwithdaopa.ellatha.com/World-of-Warships-Logo-300.png]()
특별계획함 ||
특별계획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기수 | 등급 | 함선 |
<colbgcolor=#fff,#1f2023> 1기 | PR | 넵튠* | 모나크* | 이부키* | 이즈모* | 론* | 생 루이* | |
2기 | DR | 아즈마* |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
PR | 시애틀* | 조지아* | 키타카제* | 가스코뉴* | ||
3기 | DR | 드레이크* | |
PR | 체셔* | 마인츠* | 오딘* | 샹파뉴* | ||
4기 | DR | 하쿠류* | 에기르 | |
PR | 앵커리지*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마르코 폴로* | ||
5기 | DR | 플리머스 | 브레스트 | |
PR | 프린츠 루프레히트* | 치칼로프* | 하얼빈* | ||
6기 | DR | 힌덴부르크 | 키어사지 | |
PR | 시만토* | 플랑드르* | 펠릭스 슐츠* | ||
7기 | DR | 나폴리 | 어드미럴 나히모프 | |
PR | 다이센 | 할포드 | 바야르 | ||
8기 | DR | 하우덴 리우 | 메클렌부르크 | |
PR | 드미트리 돈스코이 | 캔자스 | 비토리오 쿠니베르티 | ||
| }}}}}}}}}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bgcolor=#007FFF,#0060B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bgcolor=#007FFF,#0060BF><width=40%> ||<width=6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함종 | 등급 | 함선 |
경항공모함 | SSR | HMS 센토 · 알비온 · 테세우스 · 퍼시어스 · IJN 류호 · 즈이호 · FFNF 부아 벨루 · 기타 루나E· 유미아 리스펠트E · 클라우디아 발렌츠E | |
SR | USS 랭글리 II · 바탄 · 샌 재신토 · 인디펜던스改 · 프린스턴 · HMS 아거스 · 유니콘改 · 체이서 · IJN 류조 · 치요다 · 치토세 · 호쇼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베저 · 야드 · 엘베 · ROC 젠하이改 · 화지아改 · META 준요(META)S · 프린스턴(META)S · 호쇼(META)S · 히요(META)S · 기타 무라사키E · 무라사키 시온E · 사라나E · 우루루E | ||
R | USS 롱 아일랜드改 · 카사블랑카 · IJN 쇼호改 · 준요 · 히요 | ||
N | USS 레인저改 · 랭글리改 · 보그改 · HMS 허미즈改 | ||
항공모함 | DR | IJN 하쿠류 · SN 어드미럴 나히모프 | |
UR | USS 요크타운 II · HMS 임플래커블 · IJN 시나노 · 아마기 · 하쿠호 · KMS 프리츠 루메이 | ||
PR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SN 치칼로프 | ||
SSR | USS 벙커힐 · 샹그릴라 · 에식스改 · 엔터프라이즈 · 인트레피드 · 타이콘데로가 · 프랭클린 · 호넷 II · HMS 빅토리어스 · 인도미터블 · 일러스트리어스 · 일러스트리어스(μ장비) · 포미더블 · 포미더블(μ장비) · IJN 다이호 · 다이호(μ장비) · 쇼카쿠 · 아카기 · 아카기(μ장비) · 즈이카쿠 · 카가 · 카츠라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그라프 체펠린 · 페터 슈트라서 · FFNF 팽르베 · MNF 조프르 · SN 볼가 · RN 아퀼라 · 임페로 · META 글로리어스(META) · 다이호(META) · 베아른(META) · 소류(META) · 아크로열(META) · 호넷(META) · 히류(META) · 기타 그린 하트E · 데드 마스터E · 아스카가와 치세E · 유미E · 키사라기 치하야E · 키즈나 아이 애니버서리E · 토키노 소라E | ||
SR | USS 꼬마 엔터프라이즈 · 렉싱턴 · 새러토가改 · 요크타운 · 호넷 · HMS 글로리어스 · 꼬마 일러스트리어스 · 꼬마 포미더블 · 아크로열改 · 이글 · IJN 꼬마 다이호 · 꼬마 아카기 · 꼬마 시나노 · 소류改 · 히류改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꼬마 그라프 체펠린 · FFNF 베아른 · 기타 뇨텐구E · 벨E · 세리 글로스E · 오오카미 미오E · 코테가와 유이E · 후미뤼르E | ||
R | USS 와스프 | ||
미구현 | META 본험 리차드(META) · 아카기(META) · 에식스(META) · 엔터프라이즈(META) · 요크타운(META) | ||
구축함 | |||
경순양함 | |||
중순양함ㆍ대형순양함ㆍ모니터함 | |||
전함ㆍ순양전함ㆍ항공전함 | |||
운송함ㆍ공작함 | |||
범선ㆍ잠수함 | |||
| }}}}}}}}} |
[1] 사실 이는 수상함이 부족해서 항모에 충분한 호위함을 붙여줄 수 없었던 크릭스마리네의 사정상 항공모함이 자기방어가 가능해야 했기에 포곽식 부포와 터틀백 장갑구조가 채택되었던 역사를 반영한 것으로, 실제로 그라프 체펠린급의 선행 설계 당시에는 활주로 길이 문제로 결국 폐기되었기는 했지만 아예 항모에 포탑을 올리자는 주장까지도 있었다.[2] 시나노, 하쿠류를 포함한 후열 함대를 의미한다.[3] 용골편찬으로 강화 가능[4] 도감 개방, 레어도 상승 효과 제외[5] 받는 항공 대미지가 8% 증가한다.[6] 설정화[7] 정작 벽람항로에서 캬루처럼 츤데레에 고양이 같은 캐릭터로는 허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