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3 00:18:06

서울 버스 407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Seoul407-a.png 파일:Seoul407-c.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금광동 기점 시절3.2. 송파공영차고지 입주 이후
4. 특징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07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송파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동대문역사문화공원)
종점행 첫차 04:00 기점행 첫차 04:56
막차 23:00 막차 00:10
평일배차 7~16분 주말배차 토요일 10~18분/공휴일 12~20분
운수사명 대성운수 인가대수 25대(예비 1대)[1]
노선 송파공영차고지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강남한양수자인아파트 - 대왕초등학교 - 헌인마을 - 헌인릉 - 코트라 - 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한남대교 - 블루스퀘어 - 버티고개 - 약수역 - 동대입구역,장충체육관 - 광희동 → 을지로6가 → 종로5가 → 종로6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이후 역순

2. 개요

대성운수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폐선직전 기준으로 50.22km였다.

3. 역사

3.1. 금광동 기점 시절

  • 2004년 7월 1일 버스개편 때 번호만 9410번으로 바뀌었다.
  • 2006년 12월 18일에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407번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가스충전문제로 인해 심야운행을 중지했다.[2]
  • 기존 승객들의 민원으로 인해 2007년 9월 30일부터 심야버스 운행을 재개하였다.
  • 2009년 7월 1일부터 금광동 차고지를 비우고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주하면서 동대문을 들른 후에 성남시로 갔다가 송파차고지로 들어오도록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folding [ 연장 이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07 노선도(금광동).png}}}

3.2. 송파공영차고지 입주 이후

  • 기점이 원래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이었는데, CNG 차량이 운행되고 있었으나 이동식 충전시설을 사용하던 상황이라 모든 차량을 충전시키기 어려웠다. 이 때, 광명시 화영운수에서 중고 가스차량까지 도입하기도 했다. 여러 차례 정식 충전소를 지으려고 했으나 부지가 너무 협소했던 데다, 주민들이 좋게 봐 주지 않다 보니 결국 차고지를 2009년 7월 1일 송파공영차고지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408번과 같이 심야 운행을 접게 되었다.[3] 여튼 송파공영차고지에 들어가서 노선 길이가 대폭 늘어났는데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440번 인가대수의 절반[4]을 감차해 이 노선과 408번에 배분해주려 했으나, 440번 감차분의 거의 대부분(12대)은 408번으로 갔고 407번에는 겨우 2대만 증차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408번은 이후 333번 신설을 위해 성남구간이 단축되고 몇 달이 못 되어서 또 감차되고 말았다.
  • 2010년 8월 21일에 333번이 신설되면서 4대가 감차되었다.
  • 2015년 3월 2일부로 세곡2지구 입주시 교통대책으로 인해 결국 성남시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게시물 장지역에서 세곡2지구로 들어갔다가 대왕초등학교로 내려오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단 대체 노선이 마련된 듯하지만 신시가지 운행 노선이 아닌 관계로 기존 노선에서 빼와야 하는데다가[5] 과거 폐선된 4420번을 대신했던 442번이 파행 운행 끝에 폐지된 전례가 있는 터라 향후 추세를 더 봐야 할 듯. 110번 노선이 대체 노선으로 확정되었으며, 성남시의 예비차량을 활용해 출근시간 전용 맞춤버스도 운행한다. 하지만 이것 마저 사라지고 60번에 통합, 연장되었다. 사실상 폐선 관련 게시물 407번이 지나가거나 지나갔던 구간에 아직도 성남 구간 단축이 반영되지 않은 노선도가 곳곳에 조금 있다.
  • 2018년 1월, 위례신도시 연계 노선 신설 목적이라는 이유[6]로 이 노선을 폐선하자는 방안이 나오고 있지만, 폐선 시 세곡2지구 주민들의 거센 항의가 예상되어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동대문 일대에서 세곡동 안쪽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이고 세곡2지구 입주 때문에 성남시 구간도 자른 것이기 때문. 게다가 이번 노선조정안 중에는 407번 폐선 뿐만이 아니라 140번의 염곡사거리 단축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세곡2지구 뿐만이 아니라 내곡동에서도 반발이 일어날 여지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결국 140번 염곡사거리 단축안과 함께 이 노선의 폐선안이 가결되었다. 하지만 3월 16일 단축이 확정된 노선들과 달리 서울시 공문상에 '별도시행'으로 날짜가 박힌 것이 확인되어 당분간은 현행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3320번 개통과 관련해 성남시와의 협의가 잘 되지 않아서 3320번의 경로나 인가대수, 운행계통 등을 재설정하고 이에 따라 나머지 차량들에 대한 활용 계획도 다시 수립해야 하는 탓에 7월말까지도 노선을 운행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7]
  • 결국 신설노선의 경로와 폐선 후 기존 407번 차량들의 활용 계획이 정해지면서[8] 2018년 8월 24일에 끝내 폐선되었으며, 이로써 개편 이전 739번 좌석버스에서 시작되어 917번 심야좌석 → 9410번 광역버스를 거쳐 407번까지 이어진 역사를 마감했다. 관련 공문 대성운수의 광역버스 출신 노선이 모두 사라진 셈.

4. 특징

  • 2015년에 333번이 위례신도시를 경유하게 되면서 대성운수의 유일한 복정역 경유 노선으로 남게 되었으나 이 노선도 폐선되었다. 하지만 신설된 343번과 그리고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된 3313번이 복정역을 경유한다.
  • 운행 거리가 길다 보니 상술했듯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선 0시 20분 전후까지 운행하여 나름대로의 심야 기능을 수행했다. 그러나 2013년 9월 N13번이 신설되었고, 동대문공원 자체가 원래 성남에서 매우 늦게까지 다니는 노선 중 하나인 9403번을 탈 수 있는 곳이어서 별 의미는 없었다.
  • 다산로를 다니는 142번이나 144번의 혼잡을 해소해주긴 했지만 출퇴근 시간대를 빼면 공기수송이었다. 2015년 3월 이후 더 이상 성남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에게는 500-5와 462번을 커버할 수 없게 되었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에서 강남역사거리까지는 144번과 동일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역들만 기재.

[1] 토요일은 18대, 공휴일은 15대로 운행.[2] 기존에 운행하던 BH116은 중고차로 팔리거나 폐차되었다. 그러면서 대신 투입된 차가 BS106과 BS110CN[3] 407, 408번 심야노선이 없어지고 몇 년이 지나서야 심야 기능은 서울 버스 N13서울특별시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4] 감차하기 전만 해도 28대 운행이던 노선이었다.[5] 거의 대부분의 버스 동호인들조차 모르는 사실이지만, 경기도 시내버스도 신시가지 운행이거나 정말로 부득이한 경우가 아닌 이상 순수 증차가 불가능하다. 물론 경기도 시내버스는 그 부득이한 사유로 순수 증차되는 이뤄지는 사례가 제법 있긴 하지만.[6] 복정역~위례신도시~가락시장 노선(가칭 3320번) 신설 및 333, 440 증차. 서울쪽 단지에서는 복정역행 노선을 만들어달라는 민원+기존 장지역 경유 노선의 운행간격 단축, 하남시쪽 단지에서는 서울 잠실방면 노선 신설 요구가 폭발하고 있는 상황이다.[7] 333번440번을 각각 몇 대씩 증차할 것인지도 정해야 하고, 이 뿐 아니라 3313번이 복정역 연장될 경우 한서교통 측 타 노선에서 차량을 충분히 어렵다면 대성운수가 3313번 공배에 참여할 가능성도 상당한 것이 현 상황이다.[8] 이곳의 문서 내용에 따르면 333번440번에 각각 4대, 3대가 투입된다. 또한 10대는 343번에, 나머지 차량은 3313번에 투입되어 대성운수가 3313번을 공동배차 운행하게 된다.[9] 장충동.동국대학교 입구 하차[10] 서울중부기술교육원.블루스퀘어 하차[11] 동대문 방향은 양재2동주민센터.양재꽃시장 하차, 송파차고지 방향은 AT센터.양재꽃시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