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4:18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7c30> 상징 국가 · 국호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폴로츠크 공국 · 투로프 공국 · 백루테니아 · 흑루테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러시아 제국 ·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 소련(벨라루스 SSR) · 색깔혁명(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벨라루스/외교 · 벨라루스 여권
경제 벨라루스 루블
국방 벨라루스군
교통 민스크 지하철
문화 정교회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요리(보르시)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인물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 안드레이 그로미코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지리 벨로베즈스카야 숲
민족 벨라루스인(러시아계 · 독일계) · 벨라루스계 미국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 벨라루스계 라트비아인 · 벨라루스계 영국인 · 벨라루스계 프랑스인 · 벨라루스계 독일인 · 벨라루스계 리투아니아인 · 벨라루스계 캐나다인 ·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벨라루스계 스페인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74acd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아르헨티나 연합국 · 포클랜드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아르헨티나 공화국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 경제 전반 · 아르헨티나 페소 · G20
국방 아르헨티나군 · 아르헨티나 해군
교통 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하철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탱고 · 가우초 · 요리 · 축구 국가대표팀 · 럭비 국가대표팀 · 포도주 · 스페인어 · 야간어
인물 호세 데 산 마르틴 · 마누엘 벨그라노 · 에바 페론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체 게바라 · 마리오 켐페스 · 디에고 마라도나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에르난 크레스포 · 리오넬 메시 · 세르히오 아구에로 · 앙헬 디 마리아
지리 부에노스아이레스 · 코르도바 · 로사리오 · 파타고니아 · 팜파스 · 티에라델푸에고
민족 아르헨티나인(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메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슬로베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헨티나 유대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아르헨티나계 미국인 · 마푸체
}}}}}}}}} ||
파일:800px-Colectividad_Bielorrusa_de_Argentina.jpg

1. 개요2. 이민사3. 현황4.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들은 아르헨티나에 거주하는 벨라루스 출신 후손들을 의미한다. 현재는 확인된 수로는 약 7,000명, 그리고 예상되는 후손들은 50,000명으로 추정된다.

2. 이민사

우크라이나계와 마찬가지로 전간기(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의 시기) 폴란드 제2공화국 시절 이민 온 경우이다. 1차대전 이전 러시아 제국은 정교회 신도들의 외국 이민을 제한하였고, 이 때문에 유대교나 가톨릭 신도가 아닌 정교회를 믿는 벨라루스인들이 미국이나 브라질, 아르헨티나로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와중에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고 벨라루스 영토 서부 상당 지역이 폴란드 제2공화국에 병합되면서 이런 제약이 풀린 것은 물론 새로 독립한 폴란드 제2공화국 내에서 벨라루스인 정교회 신도들은 2등 시민으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게 되었다. 폴란드 제2공화국에서 아르헨티나로 이민한 사람들 중 절반은 정교회 신도 혹은 동방 가톨릭 교회[1] 신도였다. 한 편 미국은 1911년부로 폴란드계 등을 대상으로 이민 쿼터제를 시행하여 이민을 막았고, 1929년에는 대공황을 이유로 미국으로 새로 유입된 이민자들도 직장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전간기 당시에는 유럽 전역에서 아르헨티나 이민 붐이 불던 시대였고, 적지 않은 폴란드 내 벨라루스인들이 아르헨티나 이민을 선택하였다.

3. 현황

비교하자면 미국의 벨라루스인들은 러시아계 미국인 혹은 미국 아슈케나짐 사회로 그대로 흡수된 것과 다르게 아르헨티나에는 상술한 것처럼 정교도 러시아인 이민자가 적었고,[2] 폴란드에서 정교회 차별을 피해 건너온 벨라루스인 이민자가 더 많았기 때문에, 벨라루스계 고유 정체성이 보존되었다. 러시아계는 적은편이지만 러시아 내전하고 소련 시절의 탄압을 피해 이민을 왔으며 주로 라 팜파(La pampa) 주하고 엔트레리오스 (Entre ríos) 주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관련 항목



[1]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문서 참조[2] 1901년 러시아 제국의 지원으로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정교회 성당이 건설되었으나, 예배보는 사람들 대부분은 그리스인이나 아랍계 기독교인(아랍계 기독교인들 중 정교회 신도들)들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