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7c30> 상징 | 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 역사 |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폴로츠크 공국 · 투로프 공국 · 백루테니아 · 흑루테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러시아 제국 ·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 소련(벨라루스 SSR) · 색깔혁명(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 외교 | 벨라루스/외교 · 벨라루스 여권 | |
| 경제 | 벨라루스 루블 | |
| 국방 | 벨라루스군 | |
| 교통 | 민스크 지하철 | |
| 문화 | 정교회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요리(보르시)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 인물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 안드레이 그로미코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 |
| 지리 | 벨로베즈스카야 숲 | |
| 민족 | 벨라루스인(러시아계 · 독일계) · 벨라루스계 미국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 벨라루스계 라트비아인 · 벨라루스계 영국인 · 벨라루스계 프랑스인 · 벨라루스계 독일인 · 벨라루스계 리투아니아인 · 벨라루스계 캐나다인 ·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벨라루스계 스페인인 |
민스크 지하철 노선도(2020년 11월 기준)
마스코우스카야선 레닌 광장(Плошча Леніна)역.
1. 개요
| 벨라루스 민스크 지하철 개통 역사 |
벨라루스어: Мінскі метрапалітэн
러시아어: Мин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벨라루스의 수도인 민스크에 있는 지하철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계획되었으며, 1977년 6월에 건설을 시작하여 1984년 6월에 1호선 마스코우스카야선(Маскоўская лінія)(파란색, 모스콥스카야선[A]) 8개 역으로 처음으로 개통하였다. 이는 소련에서 건설된 9번째 지하철이었다. 소련 붕괴 1년 전인 1990년 2호선 아우타자보츠카야선(Аўтазаводская лінія)(빨간색, 아브토자보츠카야선[A])이 개통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에도 계속 건설이 지속되어, 현재는 3개 노선 33개 역을 가지고 있다.
한때 타슈켄트, 바쿠, 예레반 등 구 소련권 지하철 노선들처럼 사진촬영은 금지되어 있었지만, 2019년 해제된 듯 하다. #
2020년 11월 7일[3] 새로운 지하철 노선인 3호선 젤레날루즈스카야선(Зеленалужская лінія)(초록색, 젤레노루즈스카야선[A])이 개통하였다. 원래 8월 9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2020년 벨라루스 시위의 여파에 따라 11월 7일 개통하였다. 기사 루카셴카 벨라루스 대통령은 "이번 지하철 개통은 벨라루스 시민사회의 안정을 보여준다"고 선전했다. 기사 2024년 12월 30일 3호선 남쪽의 3개 정거장(아에로드롬나야, 네모르샨스키 사드, 슬루츠키 고스티네츠역[5])이 연장 개통되었다. 2025년 현재 3호선을 북쪽으로 7정거장 더 연장할 계획이다.
기존 노선의 추가 연장과 더불어 미래에는 순환선인 4호선도 건설 및 개통시킬 계획이다. 2027~2037년에 준공, 완료, 시운전을 한 다음 영업이 시작될 것이라고 한다.
안내방송은 벨라루스어와 영어로 이루어지며, 의외로 러시아어는 안 나온다. 예를 들어 마스코우스카야선의 카스트리치니츠카야(Кастрычніцкая)역은 10월 혁명의 '10월'이라는 뜻으로 러시아어 역명은 옥탸브르스카야(Октябрьская)이지만 안내방송에서는 안 나온다.
1회권 가격은 2025년 현재 1벨라루스 루블(약 400원)이며, 전용카드 또는 토큰으로 승차할수 있다.
구 소련권의 여느 지하철이 그렇듯 광궤를 사용한다.
차량의 경우에도 역시나 구소련권 지하철답게 81-717/714형 차량 및 81-540/541형 차량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2020년부터 슈타들러의 M110/M111형 차량이 도입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슈타들러 레일이 벨라루스 사업을 축소하면서 M110/M111은 총합 10편성 제작으로 끝났고, 러시아에서 제작된 메트로바곤마시 81-765.7 차량이 대신 도입되었다.
2. 사건 사고
- 1999년 냐미하역 압사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