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5 08:42:10

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include(틀:링크시 주의, 링크=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또는 #)]
<colkeepall> 파일:명일방주 로고 (FFFFFF).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게임 정보
파일:ak_DIAGRAM.webp
설정
설정종족기술아츠연표
오리지늄광석병이동도시
테라등장인물 및 세력
{{{#!wiki style="text-align:center; margin:0 auto; display:tabl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주요 세력 및 국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fff"
세력
파일:logo_glasgow.png
글래스고 갱단
파일:logo_rhine.png
라인 랩
파일:logo_rhodes_override.png
로도스
아일랜드
파일:logo_elite.png
로도스 아일랜드 정예 오퍼레이터
파일:logo_reunion.png
리유니온
파일:logo_babel.png
바벨
파일:logo_blacksteel.png
블랙스틸 월드와이드
파일:logo_victoria.png
빅토리아
대공작
파일:logo_sui.png
쉐이
파일:logo_abyssal.png
어비설 헌터스
파일:logo_karlan.png
카란
무역회사
파일:Kazimierz_General_Chamber_of_Commerce.webp
카시미어
상업연합회
파일:logo_crimson.png
크림슨
극단
파일:logo_penguin.png
펭귄
로지스틱스
국가
파일:Gaul.webp
가울
파일:logo_higashi.png
극동
파일:logo_Leithanien.png
라이타니엔
파일:logo_Laterano.png
라테라노
파일:arknights_rim.png
림 빌리턴
파일:logo_minos.png
미노스
파일:logo_bolivar.png
볼리바르
파일:logo_victoria.png
빅토리아
파일:logo_sami.png
사미
파일:logo_sargon.png
사르곤
파일:logo_kjerag.png
쉐라그
파일:logo_siracusa.png
시라쿠사
파일:logo_yan.png
파일:logo_egir.png
에기르
파일:logo_ursus.png
우르수스
파일:logo_iberia.png
이베리아
파일:logo_kazimierz.png
카시미어
파일:Kazdel.png
카즈델
파일:logo_columbia.png
컬럼비아
파일:logo_dublinn.png
타라
도시
파일:logo_siesta.png
시에스타
파일:Durin.webp
쎄루에르차
파일:logo_Laterano.png
암브로시우스 수도원
파일:logo_lungmen.png
용문
}}}}}}}}}}}} ||
파일:ak_MAINSTORY.png
스토리
메인 (Act initiumAct ⅠAct ⅡAct Ⅲ)
파일:ak_OPERATOR.webp
시스템
로비 시스템영광의 길메일
임무기반시설재화 및 재료
공개모집헤드헌팅포지션
오퍼레이터오퍼레이터 레코드패러독스 시뮬레이션모듈
파일:ak_BATTLE.webp
전투
전투 인터페이스 및 조작법기믹
작전 (섬멸 작전보안 파견위기 협약)
{{{#!folding [ 적 유닛 목록 ]
메인 (Act initiumAct ⅠAct ⅡAct Ⅲ)
사이드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이벤트 모드 (보안 파견통합 전략생존 연산협동 경기벡터 돌파기타 이벤트)
}}} ||
파일:ak_EVENT.webp
이벤트
연도별 이벤트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folding [ 에피소드 • 사이드 스토리 ]2019년
기병과 사냥꾼파란 불꽃의 마음소란의 법칙
2020년
흑야의 회고록 ◇월루몽드의 황혼위대한 족장 가비알 리턴즈마리아 니어맨스필드 브레이크
2021년
화중인오리지늄 더스트 ☆워크 인 더 더스트 ◇언더 타이즈 ◇도솔레스 홀리데이니어 라이트브레이크 디 아이스
2022년
장진주가이딩 어헤드스툴티페라 나비스 ◇링거링 에코스도로시의 비전이상적인 도시: 엔드리스 카니발시라쿠사인불로 비춰주소서
2023년
등림의불을 쫓는 낙엽 ☆론 트레일 ◇공상의 정원화산의 꿈 여행부정축재츠빌링슈튀르메의 가을은심호 열차
2024년
회서리루센트 애로우헤드 ☆바벨 ◇삶의 길태양을 뿌리쳐라테라밥 ☆위대한 서곡의 끝 ◇막을 여는 자들창백한 바다로부터의 탈출
2025년
상견환불타버린 엘레지여중생의 여정붉게 물든 벨벳
◇: 에피소드 ☆: 타사 콜라보 이벤트
}}} ||
{{{#!folding [ 이벤트 모드 ]상설 이벤트 모드
통합 전략보안 파견생존 연산
시즌제 이벤트 모드
위기 협약인도자의 시련로도스 아일랜드 협동 경기벡터 돌파
일회성 이벤트 모드
다원 협력인터락킹 컴페티션분쟁 연의위수 협의폴리비전 박물관
기타 모드
4월 수록
}}} ||
{{{#!folding [ 시즌별 위기 협약 ]리뉴얼 이전
위기 협약황무지 작전파이라이트 작전칼날 작전잿불 작전리드씰 작전스펙트럼 작전와일드 스케일 작전파인 숫 작전돈시커 작전딥니스 작전애쉬링 작전페이크웨이브 작전베이스포인트 작전
리뉴얼 이후
첨멸 실험 작전파이롤리시스 작전언더던 작전정죄 작전
}}} ||
{{{#!folding [ 시즌별 통합 전략 ] 케오베의 버섯안개미궁팬텀 & 크림슨 솔리테어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살카즈의 영겁 기담
}}} ||
파일:ak_SHOP.webp
상점
구매센터스킨가구
파일:ak_ITEM.webp
기타
출시 전 정보일러스트레이터성우
평가사건 사고갤러리채널
용어게임 가이드메인 트레일러
콜라보레이션e스포츠
미디어 믹스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TVA 1기TVA 2기TVA 3기)
PVHoly Knight Light클로저의 기밀 파일
리의 탐정사무소케오의 그림일기유오의 테라 기행
음악
BGM테마곡(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folding [ 연도별 음악회 목록 ] 앰비언스 시네스티시아
(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명일방주 오케스트라 콘서트
}}} ||
기타 만화설정집화집입체화보드 게임디지털 굿즈드라마 CD
관련 사이트
명일방주 마이너 갤러리
하이퍼그리프(Hypergryph) 마이너 갤러리
명일방주 채널
둘러보기
오퍼레이터 둘러보기등장인물 둘러보기
스토리 둘러보기사이드 이벤트 둘러보기
위기 협약 둘러보기통합 전략 둘러보기
}}}}}}
}}} ||
파일:명일방주 로고 (FFFFFF).svg

애니메이션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TVA 메인 스토리 시리즈
파일:LO_20221012182235.png 파일:LO_20231102173338.png 파일:LO_202506261414221.png
명일방주
[여명의 전주곡]
명일방주
[서리 속의 죽음]
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ONA 미니 시리즈
리의 탐정사무소 케오의 그림일기 유오의 테라 기행
}}}}}}
}}} ||
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2025)
アークナイツ【焔燼曙明/RISE FROM EMBER】
Arknights: Rise from Ember
<nopad> 파일: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키 비주얼.jpg
{{{#ffffff,#fafafa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장르 SF, 판타지
원작 Hypergryph
Studio Montagne
캐릭터 원안 唯@W
IP 디렉터
감독 와타나베 유키
음향 감독
부감독 니시카와 마사키
시리즈 구성 Yostar Pictures
애니메이션 제작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타카후지 아야
서브 캐릭터 디자인 모리시게 호타루(守重 蛍)
코구레 리나(小暮梨奈)
타니구치 츠부라(谷口円来)
타테노 안나(立野杏奈)
사토 리사(佐藤里咲)
무라카미 타카야(村上貴哉)
시미즈 카이토(清水海都)
이와케 준야(井分詢也)
타마키 토모코(田巻智子)
프롭 디자인 와카야마 요시(若山 温)
미술 감독 오오니시 미노루(大西 穣)
미술 설정 사카모토 류(坂本 竜)
색채 설계 고토 케이코(後藤恵子)
촬영 감독 차이차이윈(蔡 彩云)
타나다 코헤이(棚田耕平)
CG 디렉터 우에노 유다이(上野雄大)
편집 시게무라 켄고(重村建吾)
음향 효과 카와다 키요타카(川田清貴)
음악 하야시 유키
음악 제작 레젠도아(レジェンドア)
그라운딩 랩(グラウンディングラボ)
기획 황이펑(黃一峰)
야오멍(姚蒙)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해묘
제작총괄 이나가키 료스케(稲垣亮祐)
프로듀서 Ametora
陈卓
张心怡
지츠카와 코타(實川昂太)
顶超
裴衍杰
李晓萬
王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하타 타케히로(畑 岳央)
제작 Hypergryph
Studio Montagne
Yostar
Yostar Pictures
방영 기간 2025. 07. 04. ~ 2025. 09. 0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금) 23:30
파일:중국 국기.svg 빌리빌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일) 01:0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42906|▶]]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0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관련 사이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대한민국2.1.2. 일본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주요 성우진5. 설정6. 음악
6.1. 주제가6.2. 삽입곡6.3. OST
7. 회차 목록8. 회차별 WEB 예고편9. 에피소드 가이드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11. 평가
11.1. 방영 전11.2. 방영 후11.3. 총평
12. 기타

1. 개요

중국의 모바일 게임 명일방주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3기. 감독은 와타나베 유키, 제작사는 Yostar Pictures. 방영 시기는 2025년 7월.

2. 공개 정보

  • 2024년 4월 27일, 명일방주 3기의 제작이 결정되었고 PV가 공개되었다. #
  • 2024년 10월 26일, 티저 PV가 공개되었다. #
  • 2025년 1월 11일, 티저 PV 제2탄이 공개되었다.
  • 2025년 4월 26일, 메인 PV 공개와 함께 세부 제작진 및 방영 시기가 발표되었다.

2.1. PV

2.1.1. 대한민국

제작 결정 PV
티저 PV
티저 PV 제2탄
메인 PV
방송 직전 시리즈 회고 PV

2.1.2. 일본

제작 결정 PV
티저 PV
티저 PV 제2탄
메인 PV
방송 직전 시리즈 회고 PV

2.2. 키 비주얼

파일:명방3기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키 비주얼.jpg
<rowcolor=#ffffff,#fafafa>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일본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명방3기_애니키비주얼.jp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키 비주얼 EN.jpg }}}}}}}}}}}}

3. 줄거리

'그녀'는 희망의 등불이 될 예정이었다.
그 분노가, 증오가, 전쟁의 불꽃이 되어 사람들을 집어삼키려 하고 있었다.

리유니온 무브먼트의 폭주와 그 배후에서
도사리고 있는 음모를 저지할 수 있는 것은 중립 조직인 로도스뿐.
아미야 일행은 용문으로 다가오는 체르노보그 중추 구역으로 향한다.
그곳에서 그녀들을 기다리고 있는 운명은──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일방주/등장인물 및 세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일방주/등장인물 및 세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일방주/등장인물 및 세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0 0; color: #fff"
파일:명일방주 로고 (FFFFFF).svg

등장인물 및 세력 & 성우진

{{{#!wiki style="margin: 0 -10px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10px)"
{{{#!folding [ 로도스 아일랜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tablewidth=100%>
파일:명일방주 박사1.png 파일:명일방주 아미야1.png 파일:애니로즈몬티스.png 파일:명일방주 켈시1.png
박사
(CV. 카이다 유키)
아미야
(CV. 쿠로사와 토모요)
로즈몬티스
(CV. 오구라 유이)
켈시
(CV. 히카사 요코)
}}}}}}}}}
[ 용문 ]
[ 리유니온 ]

}}}}}} ||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일방주/설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일방주/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일방주/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악

6.1. 주제가

6.1.1. O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 of Day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nd of Day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nd of Day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nd of Days|
OP
End of Days
]]
TV ver.
MV ver.
Anime MV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노래 ReoNa
작사 하야시 케이 (LIVE LAB.)
ReoNa
rui (fade)
작곡 rui (fade)
편곡 호리에 쇼타
현 편곡 미야노 사치코(宮野幸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콘티 니시카와 마사키
연출
작화감독 타카후지 아야
코구레 리나(小暮梨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踏みつけた 小さい花
후미츠케타 치-사이하나
짓밟아버린 작은 꽃

心は傷つきましたか?
코코로와키즈츠키마시타카?
그 마음은 상처받았나요?

ちゃんと痛いですか?
챵또이따이데스카?
제대로 아프긴 한가요?

生まれる場所さえ (Oh)
우마레루바쇼사에 (Oh)
태어날 곳조차 (Oh)

散りゆく場所さえ (Oh)
치리유쿠바쇼사에 (Oh)
스러져갈 곳조차 (Oh)

じゃあ 何が選べるのですか?
쟈- 나니가에라베루노데스카?
그럼, 대체 뭘 선택할 수 있단 건가요?

Don't you see what I see?
Don't you see what I see?
제가 보는 게 보이지 않나요?

命 燃えてる
이노치 모에테루
생명이 타오르고 있어요

遠く 光
토-쿠 히카리
저 멀리 빛이

Don't you see? 苦しいよ
Don't you see? 쿠루시-요
보이지 않나요? 괴로워요

失って 間違って 傷つけ 傷ついて
우시낫테 마치갓떼 키즈츠케 키즈츠이테
잃어버리고, 어긋나고, 상처 주고, 상처받고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End of days どうか どうか 終わりを
End of days 도-카 도-카 오와리오
종말의 날이여, 제발 제발 최후를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灯火 燃え尽きて
토모시비 모에츠키테
불빛은 다 타버리고

灰さえ踏みにじっていく
하이사에후미니짓떼이쿠
재마저 짓밟고 가네요

ああ 空が泣いている
아아, 소라가나이테이루
아아, 하늘이 울고 있어요

どこまで堕ちれば (Oh)
도코마데오치레바 (Oh)
어디까지 타락해야 (Oh)

どこまで願えば (Oh)
도코마데네가에바 (Oh)
얼마나 더 빌어야 (Oh)

赦されるのでしょうか
유루사레루노데쇼-카
용서받을 수 있는 걸까요?

どうか 光を どうか 痛みを
도-카 히카리오 도-카 이타미오
부디 빛을 부디 아픔을

どうか 怒りを どうか 救いを
도-카 이카리오 도-카 스쿠이오
부디 분노를 부디 구원을

どうか 裁きを どうか 赦しを
도-카 사바키오 도-카 유루시오
부디 심판을 부디 용서를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どうか どうか どうか 終わりを
도-카 도-카 도-카 오와리오
제발 제발 제발 최후를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どうして どうして どうして 苦しいの
도-시테 도-시테 도-시테 쿠루시-노
왜 이렇게 왜 이렇게 왜 이렇게 괴로운 거야?

どうか 光を どうか 痛みを
도-카 히카리오 도-카 이타미오
부디 빛을 부디 아픔을

どうか 怒りを どうか 救いを
도-카 이카리오 도-카 스쿠이오
부디 분노를 부디 구원을

Don't you see what I see?
Don't you see what I see?
제가 보는 게 보이지 않나요?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命 泣いてる
이노치 나이테루
생명이 울고 있어요

End of days どうか どうか 終わりを
End of days 도-카 도-카 오와리오
종말의 날이여, 제발 제발 최후를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To all the lives a place of peace a tranquil sleep)
(모든 생명에게 평화로운 안식처와 편안한 잠을)
}}}}}}}}} ||

6.1.2. 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ruth(명일방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ruth(명일방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ruth(명일방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ruth(명일방주)|
ED
Truth
]]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노래 이토키 하나(糸奇はな)
작사
작곡
편곡 카네마츠 슈(兼松 衆)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콘티 와타나베 유키
연출
작화감독
원화 타카후지 아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hat night, with a hope colored light
Shone you against the bleak

Last night, how your eyes burned so bright
Now to the sky they seek

Why must fate write in scarlet ?
Cured by blood that the stars let

In the morrow
Shall this sorrow
Finally cease
Come my peace

That night, like a candle's last light
Flickered our laughs and dreams

Lost knight, how your song echoed bright
Now you in silence sleep

Why must fate dance our threads so ?
Tangled close, just to spread so

In the morrow
Pray let sorrow
Part us too
Face the truth

Why must fate write in scarlet ?
Cured by blood that the stars let

In the morrow
Pray let sorrow
Part us too
Embrace the truth
}}}}}}}}} ||

6.1.3. 26화 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생명의 전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생명의 전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생명의 전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생명의 전환|
26화 ED
生命換装
생명의 전환 / 생명 교체
]]
Special Ending Theme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노래 ReoNa
작사 카사무라 토타
작곡
편곡 미야노 사치코(宮野幸子)

6.2. 삽입곡

24화 삽입곡
Lullabye
TV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노래 메피스토(CV: 아마사키 코헤이)
작사 고아미 루나(五阿弥ルナ)
작곡 Obadiah Brown-Beach
편곡 하야시 유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leep sleep
잘 자렴
귀여운 아이야
close close
행복한 잠든 얼굴을
보여 주렴
그래 꿈속에서
무서운 눈을 보면
키가 커질 수 있을까?
지켜보고 있어
달은 길잡이
속삭여
운명을 기록한
옛날이야기를
그 길에서
달아나지 않아
밤의 장막 안에는
날카롭게 빛났던
눈동자
자장가를 너에게
이대로 잘 자렴
대지는 요람
속눈썹을
자, 내려앉히렴
이 노래를 너에게만
꿈의 나라로
잠에서 깰 때까지
}}}}}}}}} ||

6.3. OST

7.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afafa> 회차 제목[1]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7화[2] 離別 Confession
이별 Confession
Hypergryph
미나즈키 아키
(水月 秋)
니시카와 마사키 시미즈 카이토
(清水海都)
타카후지 아야
모리시게 호타루
(守重 蛍)
무라카미 타카야
(村上貴哉)
코구레 리나
(小暮梨奈)
타테노 안나
(立野杏奈)
Nagu
李文婧
崔芝兰
徐光咏
日: 2025.07.04.
韓: 2025.07.06.
제18화 向光 Consumables
향광 Consumables
와타나베 유키 이와케 준야
(井分詢也)
타카후지 아야
코구레 리나
모리시게 호타루
사토 리사
(佐藤里咲)
오오소라 조이
(大空丈倭)
시미즈 카이토
핫토리 료마
(服部涼真)
니시키 히로노
(錦 寛乃)
劉陳軒
張碩源
차이 멍수
(蔡 孟書)
范言新
豪D
劉玟萓
李文婧
崔芝蘭
徐光咏
雷江龍
와타나베 유키
日: 2025.07.11.
韓: 2025.07.13.
제19화 兵器 Mission
병기 Mission
와타나베 유키
이와케 준야
타카후지 아야
코구레 리나
모리시게 호타루
타니구치 츠부라
(谷口円来)
시미즈 카이토
니시키 히로노
李文婧
崔芝蘭
徐光咏
장한별
한혜민
尹东梅
李泽毅
齐鹤钧
张洹
赵雪莉
冯静雯
孙景辉
周俊杰
富春
Fincrossed Studio
와타나베 유키
日: 2025.07.18.
韓: 2025.07.20.
제20화 運命 Patriot
운명 Patriot
니시카와 마사키 니시카와 마사키 타테노 안나
모리시게 호타루
타카후지 아야
오오소라 조이
Fincrossed Studio
李文婧
崔芝蘭
徐光咏
와타나베 유키
日: 2025.07.25.
韓: 2025.07.27.
제21화 失序 Vengeance
실서 Vengeance
시미즈 카이토 타카후지 아야
타테노 안나
코구레 리나
타니구치 츠부라
오오소라 조이
시미즈 카이토
曾品喬
차이 멍수
范言新
蔣平翊
劉玟萓
李育蓁
豪D
日堯
张筱北
李泽毅
齐鹤钧
冯静雯
孙景辉
尹东梅
赵雪莉
Fincrossed Studio
日: 2025.08.01.
韓: 2025.08.03.
제22화 凛冽 Recurrence
늠렬 Recurrence
이치무라 사토야
(市村仁弥)
이치무라 사토야 타테노 안나
코구레 리나
오오소라 조이
모리시게 호타루
치카사와 준페이
(近澤純平)
사토 미사
타카후지 아야
와타나베 유키
李文婧
闫志燚
崔芝蘭
徐光咏
Fincrossed Studio
顾彬
倪孟伦
叶州志
載钰琪
日: 2025.08.08.
韓: 2025.08.10.
제23화 泥濘 Stain
진창 Stain
와타나베 유키 타카후지 아야
코구레 리나
타테노 안나
모리시게 호타루
오오소라 조이
니시키 히로노
타니구치 츠부라
시미즈 카이토
劉玟萓
日堯
孫弘志
李文婧
崔芝蘭
徐光咏
良心
장한별
와타나베 유키
日: 2025.08.15.
韓: 2025.08.17.
제24화 残響 Recall
잔향 Recall
시미즈 카이토 타카후지 아야
타테노 안나
코구레 리나
오오소라 조이
모리시게 호타루
무라카미 타카야
니시키 히로노
시미즈 카이토
와타나베 유키
李文婧
梁宇欣
崔芝蘭
宁贞嘉
日: 2025.08.22.
韓: 2025.08.24.
제25화[3] 赫怒 Inferno
격노 Inferno
니시카와 마사키 타카후지 아야
타테노 안나
코구레 리나
모리시게 호타루
후지나미 유시
(藤浪雄士)
오기소 하루카
(小木曾 遥)
시미즈 카이토
오오소라 조이
야마나 메구미
(山名めぐみ)
핫토리 료마
니시키 히로노
李文婧
崔芝蘭
宁贞嘉
王昱凱
장한별
한혜민
와타나베 유키
日: 2025.08.29.
韓: 2025.08.31.
제26화[4] 黎明 Dawn
여명 Dawn
Hypergryph
미나즈키 아키
와타나베 유키
와타나베 유키 오오소라 조이
타니구치 츠부라
코구레 리나
타테노 안나
시미즈 카이토
무라카미 타카야
니시키 히로노
후지나미 유시
사토 리사
야마나 메구미
모리시게 호타루
타사카 치하루
(田阪千晴)
오카다 케이스케
(岡田圭佑)
타카후지 아야
와타나베 유키
日: 2025.09.05.
韓: 2025.09.07.

8.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afaf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9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0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9. 에피소드 가이드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에피소드)]

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1기, 2기에 이어 애니플러스에서 2025년 3분기 한중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이번 시즌도 원작 배포사인 Yostar가 조우리와 공동으로 번역을 담당하며[5], 검수는 홍성욱, 종합편집은 김수진이 맡았다.

전작들과의 차별을 꾀하기 위함인지 타이틀 로고 없이 하얀색 글씨를 적용하였다.

11. 평가

11.1. 방영 전

2기의 결말이 노골적으로 복선을 깔아놓은 채로 끝나면서[6] 후속 시즌의 제작이 점쳐졌고 결국 제작이 결정되었다. 일단 명일방주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총괄하는 감독 와타나베 유키를 필두로 한 제작진들은 원작과 캐릭터들의 대한 이해도가 높아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호평이 많았는데,[7] 액션을 균일하게 못 끌어냈다는 점이 약점이었던 만큼, 원작 메인 스토리 1부의 하이라이트인 패트리어트탈룰라와의 본격적인 최종전이 시작되는 본작부터는 액션을 제대로 개선했으면 한다는 반응이 많다.[8] 물론 이미 이전 두 시즌이 액션에서 기복을 보인 전례가 있어서 큰 개선은 어려울 수도 있으나 제작사 Yostar Pictures가 끊임없이 제작 체계 혁신을 꾀하고 있으며 특히 2024년 전대대실격에서 대대적으로 일신하는 모습을 보여줬던 만큼[9] 액션으로 유명한 연출가와 애니메이터들을 더 섭외 가능하다는 기대가 있다. 실제로 액션 작화가 특기인 애니메이터 EVAKOI, 스기타 슈가 참가 선언을 했으며, 공개된 메인 PV에서도 이전 시리즈들에 비해 액션 퀄리티가 확연히 상승하면서 1부 최종장에 걸맞게 원작의 명장면들이 재현되리라 기대하는 반응이 많아졌다.

다만 명일방주 원작에서 6장 이후 7장(141,947자)과 8장(212,122자)은 유난히 분량이 많아졌던 시점이라 한 장이 2기만큼의 분량을 자랑했으며,[10] 메인 스토리뿐만이 아니라 흑야의 회고록 에피소드도 다룬다는 사실이 확정되며 애니 한 시즌에 이 분량을 다 담아낼 수 있을 지에 대한 우려도 있는 만큼 이번에는 굳이 8화로 고집하지 않고 최소 1쿨 분량인 12~13화 정도로 충분히 전개해 나가거나 불필요한 묘사는 과감히 생략해 달라는 반응이 많았다. 최종적으로 배정된 3기의 분량은 10화이며, 또 메인 PV에서 묘사된 바로는 8장 내용까지 다루는 것은 확정으로 보인다.

참가 애니메이터 EVAKOI 말로는 제작 스케줄이 지옥이었다고 한다.[11] 별개로 퀄리티는 문제 없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11.2. 방영 후

이전 시리즈들과 마찬가지로 원작 팬들은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17화(3기 1화)는 오프닝과 엔딩을 생략해 분량을 늘려 이 용문을 빠져나가는 당위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또 잠깐 나오는 첸과 호시구마의 일기토 전투 장면도 짤막하지만 고품질의 작화와 연출로 밀도 높게 묘사되었는데, 특히 2기에서 비판 받았던 첸의 적소 발동 씬이 크게 개선되어 호평을 받았다. 19화(3기 3화)도 용문으로 진격하는 체르노보그의 내부 상황과 이를 막아내려는 로도스 아일랜드 간의 대립 윤곽을 수준 높은 드라마 연출로 묘사하였고, 또 로즈몬티스의 아츠 능력도 강력하다는 설정에 맞도록 건물들을 순식간에 가르는 강렬한 연출로 선보였다. 21화(3기 5화)도 역시 로즈몬티스의 불안정한 정신 상태와 감정이 격해진 끝에 도시 방어벽을 순식간에 파괴하는 아츠의 파괴력이 절륜하게 묘사되어 호평을 받았다.

다만 18화(3기 2화)는 흑야의 회고록 스토리를 전부 다루는 압축률을 보여주어 호불호가 갈렸다. 아무래도 흑야의 회고록 내용이 7장과 8장의 핵심 인물인 W의 행적과 관계된 만큼 분량을 고려해 한 화로 압축하겠다는 제작진의 결단으로 보이는데, 흑야의 회고록 자체도 분량이 상당하다 보니 거의 다이제스트 총집편에 가깝게 나왔다. 그래서 대사가 빠르고 여러 상황이 휙휙 지나가는데, 이 때문에 원작 스토리를 감상한 팬들은 해당 회차를 하이라이트 요약편으로 여기며 괜찮게 감상했다는 평이 많지만, 애니메이션으로 스토리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전개가 너무 빠르고 정신없다고 평하며 평가가 양분되었다. 그래도 와타나베 유키 감독이 직접 콘티를 그려내 작화와 연출이 우수하게 뽑혀 나왔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는 편이며, 이후 공개된 인터뷰에서 흑야의 회고록의 빠른 전개가 W의 주마등 같은 회상으로 보여주기 위해 이런 연출이 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존에 흑야의 회고록은 애니화 계획이 없었으나, 스토리 흐름의 이해를 위해 애니팀 측에서 먼저 애니화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화(3기 4화)에서 전개된 패트리어트 전투씬은 팬들이 기대했던 대로 패트리어트의 투창으로 대표되는 묵직하고도 파괴적인 공격과 켈시, 로즈몬티스를 비롯한 오퍼레이터들의 맹공격을 버티는 터프함이 드러나도록 설계되어 호평을 받았다. 예언 씬은 원작과 애니메이션 제작진의 해석 차이가 발생해 호불호가 갈렸다.[12]

21화(3기 5화)~26화(3기 10화)까지는 8장 내용을 다루었는데, 원작처럼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교차 시점으로 그려졌으며, 분량의 한계로 스토리의 진행도 빨라지며 이해가 어려워졌다는 일부 반응도 있지만 핵심 내용인 탈룰라의 과거와 카셰이의 개입으로 인한 타락, 그리고 로도스 대원들이 분투하며 희망을 추구하는 장면들이 애니메이션 분량에 맞게 잘 압축되어 두 진영의 대비 효과가 상승했다. 여기에 아츠 능력을 발산하는 이펙트와 액션 장면도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특히 25화(3기 9화)에서 아미야가 적소를 발도하는 장면은 유명 애니메이터 스기타 슈가 전담하여 원작초월이라는 호평을 받았으며, 26화(3기 10화)는 탈룰라와의 결전을 각종 아츠 능력이 어우러지면서 화려하게 연출하여 메인 스토리 1부의 대미를 장식했다.

11.3. 총평

1기, 2기의 단점을 상당 부분 개선한 수작이다. 제작진의 성장이 결실을 맺었고, 그 결과 적어도 1기부터 본작까지 명일방주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모두 봐왔던 시청자와 원작 팬들에게는 만족스러운 작품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전투신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연출을 감독 와타나베 유키와 부감독 니시카와 마사키가 담당했고, 두 명 모두 다수의 명일방주 영상화를 담당해 오면서 다져진 연출력을 아낌없이 드러내었다. 여기에 Yostar Pictures의 애니메이터들도 지속적인 수련과 육성의 결과가 나타나 본작의 고난도 액션 작화를 여럿 그려내었다. 그 결과 아미야, 로즈몬티스, 탈룰라 등 주요 인물들이 지닌 아츠 능력들이 파괴력 높고 스케일 크게 묘사되면서 비로소 세계관의 진가가 드러났다는 호평이 많다.

반면, 각색에 있어서는 1기, 2기보다 호불호가 많은 편이다. 비록 1기, 2기도 각각 8화로 원작의 분량에 비해 빠듯한 화수였지만, 스토리의 핵심을 보여주기 위해 세세하게 짚고 넘어가 이해에 차질은 없었던 반면 3기는 두 화가 많은 10화를 배정 받았지만 원작의 분량이 이를 훨씬 상회하기 때문에 전개의 호흡과 대사 속도가 빨라지며 따라가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왔다. 또한 핵심 인물들에게 이야기의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1기, 2기에 비해 군세 간의 격돌 장면이 다수 생략되어 일촉즉발의 전쟁 위기라는 긴장감이 많이 옅어졌고, 특히 18화(3기 2화) 한 화만으로 흑야의 회고록 내용을 전부 다루려고 하는 건 무리수였다는 비판이 많다. 다만 흑야의 회고록을 빼놓고서 진행했으면 원작을 잘 모르고 애니메이션으로 유입된 시청자들이 보기에 W의 행보를 이해할 수 없게 될 테니 방식은 무리수였어도 넣기는 했었어야 한다고 이해한다는 반응도 있는 편이다.

12. 기타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2기 명일방주 [서리 속의 죽음]에서 화수를 이어 간다.[3] 원화: 니시카와 마사키, 스기타 슈, 에이케이(えーけー), EVAKOI제2원화 등.[4] 원화: 니시카와 마사키, 와타나베 유키 등.[5] 18화(3기 2화)부터는 Yostar가 단독으로 맡았다.[6] 사실 원작에서는 프로스트노바 사망 직후 후일담이 꽤 있는데, 이 장면을 약 1분 분량으로 압축시키면서 급하게 끝내버렸다.[7] 같은 Yostar가 서비스 하는 게임인 블루 아카이브가 원작이고 Yostar Pictures에서 제작한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이 감독 야마기시 다이고의 미숙함이 드러나 원작의 감성을 전혀 못 느낄 정도로 원작파괴가 심하고 퀄리티가 안 좋았던 만큼 반대로 퀄리티도 양호하고 원작 반영률도 높으며 캐릭터 서사도 보강된 명일방주 애니메이션이 재조명되는 일이 있었다.[8] 일단 Yostar Pictures가 2024년 2분기에 동시 제작, 방영한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는 처참한 퀄리티로 폭망했고, 전대대실격은 퀄리티는 양호하지만 이쪽은 작품 자체가 호불호가 심히 갈리는 편이다. 따라서 이번 명일방주 3기는 여러모로 Yostar Pictures로선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9] 이전에는 오로지 디지털 작화만 고집했었으나 전대대실격을 계기로 종이 작화 애니메이터도 참여할 수 있게끔 방침이 일부 바뀐 것으로 보인다.[10] 애니 1기였던 0~3장 기준 88,084자, 애니 2기였던 4~6장 기준 185,181자[11] 실제로 1, 2기와 비교해서 작화감독에 하청사와 소속 애니메이터 이름이 다수 추가되었다.[12] 원작에서는 패트리어트가 예언을 강렬한 독백으로 읊고 이를 듣던 오퍼레이터들을 켈시가 다급하게 저지하는 장면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패트리어트가 예언을 비교적 조용히 읊고 켈시도 원작보다 침착하게 저지하는 모양새로 연출되면서 원작에 비해 밋밋해졌다는 비판과 예언의 기괴함을 더했다는 호평이 양립했다. 다만 애니에서는 켈시가 원작보다도 더 냉혈에 가까운 냉철한 이미지가 강하기에 만약 여기서 갑자기 원작과도 같은 모습을 했으면 그건 그것대로 모양새가 이상해졌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