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아카데미]]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K리그 주니어 U-18 20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 <colcolor=#ffffff> A | | | | |
| | | | ||
B | | | | | |
| | | | ||
C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colbgcolor=#194996> 정보 | <colbgcolor=#cc0000> 구단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8 | |
선수단 | 로스터 | 로스터(간략) | 로스터(임대) | |||
코치 · 스태프 | 프로 코치진 | 유소년 코치진 | 스태프진 | |||
역사와 문화 | 역사 | 역사 | 기록 | ACL 기록 | 역대 시즌 | 유니폼 | 등번호 | ||
기록 | K리그1 | 1998 | 1999 | 2004 | 2008 | ||
FA컵 | 2002 | 2009 | 2010 | 2016 | 2019 | |||
AFC 챔피언스 리그 | 2001 | 2002 | |||
관련 인물 | 공식 레전드 | 역대 주요 선수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부주장 | |||
문화 | 응원가 | 응원가(과거 사용) | 응원가(간략) | 그랑블루 | 하이랜드 에스떼 | 프렌테 트리콜로 | 마스코트 | 캐치프레이즈 | |||
관련 정보 | 더비 매치 | |||
기타 | 매탄소년단 | 팬 커뮤니티 수블미 | 팬 커뮤니티 청백적 | 수원삼성블루윙즈 갤러리 | 팬 팟캐스트 수블프렌즈 | 사건사고 | | |||
구단 시설 | 경기장 | 수원종합운동장(1996~2002) | 수원월드컵경기장(2001~ ) | ||
훈련 · 재활 | 화성 클럽하우스(2006~ ) | 삼성 트레이닝 센터(2007~ ) | |||
기타 | 연고지 | 경기도 수원시 | ||
기업 | 삼성전자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
경영진 | 강우영(대표이사) | 박경훈(단장) | 오동석(자문역) |
| | |
매탄고등학교 축구부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8 | ||
<colbgcolor=#cc0000,#cc0000><colcolor=#ffffff,#ffffff> 창단 | 2008년 3월 3일 | |
구단 형태 | K리그 산하 고교 축구부 | |
소속 리그 | K리그 주니어 | |
연고지 | 경기도 수원시 | |
홈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보조구장 | |
소속 프로 구단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8~ ) | |
감독 | 배기종 | |
주장 | 미상 | |
우승 기록 | ||
K리그 주니어 (8회) ★★★★★★★★ | 2010, 2012, 2016후, 2017전, 2018전, 2018후, 2019전, 2024전 | |
K리그 유스 챔피언십 (U-17 2회, 최다) ★★★ | 2017, 2018, 2023[1] | |
백운기 축구대회 (2회) ★★ | 2013, 2019 | |
춘계 고교 연맹전 (4회) ★★★★ | 2016, 2017, 2018, 2022 | |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 (2회) ★★ | 2020, 2024 |
1. 개요
수원 삼성 블루윙즈 산하 18세 이하 유소년 구단이자 매탄고등학교 산하 운동부.2. 역사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AFC에서 요구하는 클럽 라이선스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2008년 3월 3일 당시 신설 고등학교인 매탄고등학교에 축구부를 창설하고 구단 산하 U-18로 등록했다.창단 해에 신설된 고교클럽 챌린지리그(現 K리그 주니어)에 참가했으나 초창기라 부족한 선수층으로 인해 저조한 성적으로 첫 시즌은 결국 조 꼴지를 기록했다. 그나마 전체 순위 결정전에서 이겨 8팀 중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09 시즌엔 참가팀이 더 늘어났음에도 선전하여 조 3위를 기록,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왕중왕전에 진출했다.
2010 시즌엔 2위와의 승점 차를 9점으로 벌리며 여유있게 조 1위를 기록, B조 1위인 울산 현대 유스 현대고등학교와의 결승전에서 승리하며 고교클럽 챌린지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 그 해 출전한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왕중왕전에서는 4강에 올랐다.
2011 시즌엔 조 2위를 기록, 순위결정전에서 승리하며 전체 3위로 시즌을 마감했고, 그 해 출전한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은 4강까지 올라갔다.
2012 시즌엔 다시 조 1위를 기록했으나 순위결정전을 열지 않아 B조 1위 포항 스틸러스 유스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와 공동 우승으로 마감했다. 그 해 출전한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에서는 준우승에 머물렀다.
3. 연혁
2022 | 2022 춘계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 우승 |
2020 | 제41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 고등학교 축구대회 우승 |
2019 | 제21회 백운기 우승 K리그 주니어 전기리그 우승 |
2018 | 주승진 감독, 유스 총괄 디렉터 선임 K리그 주니어 전기리그 우승 K리그 주니어 후기리그 우승 K리그 U17 챔피언십 우승 제54회 춘계 고등연맹전 우승 및 3연패 |
2017 | 제53회 춘계 고등연맹전 우승 고등축구 왕중왕전(전기) 우승 K리그 U17 챔피언십 우승 |
2016 | 제52회 춘계 고등연맹전 우승 K리그 주니어 후기리그 우승 고등축구 왕중왕전(후기) 우승 |
2013 | 제16회 백운기 우승 제94회 전국체전 남고부 우승 제4회 세종대왕배 우승 |
2012 | 챌린지리그 우승 |
2010 | 챌린지리그 우승 |
2008 | 매탄고등학교 축구부 창단 |
4. 특징
현재 거의 모든 K리그 유스팀들이 그렇겠지만 전국에서 볼 좀 찬다는 유망주들이 거의 다 일반 학교 축구부로 진학하기보다는 K리그 유스팀으로 진학하고 K리그팀들끼리 스카우트 경쟁도 있지만 그중에서도 수원에서 대대적으로 전국 유망주들을 끌어모은다. 중학생 때부터 U-15팀으로 스카우트하여 키운 뒤 경쟁력이 있는 선수들은 U-18팀 매탄고등학교로 올린다.그러나 대부분의 K리그 팀이 그러하듯이 유스에서 키운 선수들이 프로팀으로 와서 빛을 보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고, 특히 수원의 경우 과거에는 선수층이 두터워 아무리 유스 때 잘했더라도 프로팀에 와서 당장 기회를 잡기가 쉽지 않았다. 더군다나 유스팀이 생길 당시부터 해서 2012년까지는 차범근, 윤성효 감독이 부임할 당시[2]라 유스들에게 기회가 더 없었다.
2011년에는 2010 고교클럽 챌린지리그 우승을 이끈 주역으로 6명을 프로팀으로 콜업했으나 지금까지 프로로 뛰는 선수들은 일찍 군복무를 해결한 이종성과 구자룡 뿐이다. 2013년부터 서정원 감독이 부임하고 팀 정책이 유스 육성, 투자에 집중되면서 유스 출신 선수들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유스 출신 선수들도 하나둘 자리잡는 선수들이 늘어나 민상기, 권창훈 등이 두각을 나타냈다.
2017년에는 1학년에서는 골키퍼 김민재, 공격수 오현규 외 큰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가 없었지만 2학년, 3학년들 중에서는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이 꽤 되는 편이었다. 2학년들 중에서는 이미 탈고교급 윙어라고 불린 김태환, 골키퍼 박지민, 미드필더 이상재, 용동현, 신상휘가 큰 가능성을 보여, 매탄고 내에서는 이들 중 한 명은 무조건 프로로 직행한다는[3] 말이 나왔다.
3학년들은 대부분이 높은 가능성을 보여, 특히 주장 전세진과 권민호, 최정훈이 지명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권민호, 최정훈은 지명 후 대학행이 유력한 반면, 에이스 전세진은 성인 팀내 염기훈, 조나탄, 산토스 등 전방 공격 자원은 물론이고 장호익, 김민우, 고승범, 다미르 등의 측면 자원이 두터워 거취가 애매할 것으로 전망되었다.[4] 그러나 유주안의 사례도 있는 만큼 직행 가능성 역시 존재했고, 결국 전세진과 최정훈만이 직행에 성공했다.
2018년에는 K리그 최초로 준프로 계약이 도입되어 3학년 박지민과 김태환이 프로로 직행했다. 2019년에는 위 둘을 포함해 신상휘가 프로로 직행하였고, 김상준과 오현규가 준프로 계약을 맺었다.
2020년에는 강현묵이 프로 직행, 정상빈과 손호준이 준프로 계약을 맺고, 대학으로 진학한 이이기, 이용언, 안찬기가 1군에 합류하였다. 2021년에는 프로 직행과 준프로는 없고, 대학으로 진학한 이성주와 강태원을 불러들였다. 특히 2021년에는 김태환, 강현묵, 정상빈의 활약이 돋보이며 매탄소년단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2022년에는 구민서와 황인택이 프로 직행 형식으로 1군에 진출했고, 대학 진학한 허동호가 합류했다. 여름에는 이상민이 준프로 계약을 맺었다.
2023년에는 프로 직행 없이 대학 진학 선수들을 콜업했으며, 서정원의 아들 서동한을 비롯해 이규석, 진현태를 불러들였다. 여름에는 1~2학년 선수 5명과 준프로 계약을 맺었다.
5. 선수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직책 | 이름 | 로마자 이름 | 국적 | 생년월일 | 비고 | |||||
<colbgcolor=#cc0000> 감독 | 백승주 | - | | 1984년 | |||||||
고학년 코치 | 정영춘 | - | | - | |||||||
저학년 코치 | 김철준 | - | | 1988년 6월 7일 | |||||||
골키퍼 코치 | 고재윤 | KO Jaeyun | | 1986년 4월 1일 | |||||||
피지컬 코치 | 인승혁 | IN Seunghyuk | | 1993년 1월 5일 | |||||||
분석관 | 김종민 | - | | - | |||||||
의무 | 김정우 | - | | - | |||||||
유소년 디렉터/스카우트 | 이수길 | LEE Sookil | | 1979년 4월 9일 | |||||||
스카우트 | 이경렬 | LEE Kyung-Ryul | | 1988년 1월 16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8 2025 시즌 스쿼드 | ||||||
<rowcolor=#194996,#194996> 번호 | 포지션 | 학년 | 이름 | 생년월일 | 신체 | 비고 |
<colbgcolor=#cc0000,#cc0000><colcolor=#ffffff,#ffffff> 1 | 골키퍼 | 3학년 | 이진혁 | |||
11 | 수비수 | 이평안 | ||||
13 | 여민준 | |||||
20 | 모경빈 | |||||
44 | 홍상원 | |||||
6 | 미드필더 | 장세동 | ||||
8 | 이현서 | |||||
10 | 김민우 | |||||
7 | 공격수 | 서우성 | ||||
9 | 김동연 | |||||
21 | 골키퍼 | 2학년 | 방희상 | |||
4 | 수비수 | 허환 | ||||
18 | 김승현 | |||||
27 | 임성현 | |||||
42 | 이준우 | |||||
5 | 미드필더 | 김지성 | ||||
14 | 김강민 | |||||
30 | 이지호 | |||||
16 | 공격수 | 정서우 | ||||
17 | 윤지호 | |||||
19 | 전민승 | |||||
29 | 장요한 | |||||
39 | 이휘고 | |||||
31 | 골키퍼 | 1학년 | 유진석 | |||
2 | 수비수 | 박준희 | ||||
3 | 김정현 | |||||
12 | 이잎새 | |||||
15 | 최다훈 | |||||
24 | 석민 | |||||
37 | 고도형 | |||||
28 | 미드필더 | 선효준 | ||||
32 | 이진혁 | |||||
33 | 최지언 | |||||
36 | 박경훈 | |||||
38 | 이인우 | |||||
22 | 공격수 | 안주완 | ||||
25 | 김동훈 | |||||
26 | 박주영 |
6. 출신 선수
졸업 연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입단 | 미입단 | ||
프로 직행 | 대학 진학 후 입단 (대학명, 수원 입단 연도) | 클럽 입단 | 대학 진학/미상 | |
<colbgcolor=#cc0000,#cc0000> 2010 | 주재현 민상기[A] | 김민섭(관동대 → 고양) | ||
2011 | 권태안 이종성 노형구 권태안 김승민[A] 구자룡[A] | 전현욱(전주대, 2015)[A] | 권지성(전주대 → 포천) | 윤시앙(전주대), 강동진(동국대), 조준형, 정재민 |
2012 | 김관철[A] | 연제민(한남대, 2013) 박용준(선문대, 2013) 김종우(선문대, 2015) 은성수(숭실대, 2016) 김선우(성균관대, 2016) | 이재진(숭실대), 이상욱(남부대), 김상혁(홍익대) | |
2013 | 권창훈 | 방찬준(한남대, 2015) 강성진(숭실대, 2016) | 채선일(배재대 → 화성) | 윤수혁(경기대), 이예찬(부경대) |
2014 | 고민성 이우석 | 김건희(고려대, 2016) | 박성민(인천대), 김창연(동국대), 서동환(광운대), 정하늘(명지대 평생교육원), 박장훈(경기대) | |
2015 | 최주용 | 주현호(동국대, 2017) 윤용호(단국대, 2017) 송준평(연세대, 2017) | 정훈우(동국대 → 니엔도르퍼) 김강국(인천대 → 인천) | 장원빈(용인대), 권지완(용인대), 김민석(?) |
2016 | 김진래 유한솔 | 김민호(연세대, 2018) 송진규(중앙대, 2018) 윤서호(경희대, 2019) 이이기(수원대, 2020) | 나준수(김해) 이연규(경희대 → 강원) | |
2017 | 유주안 | 박대원(고려대, 2019) 박상혁(고려대, 2019) 안찬기(인천대, 2020) 이용언(단국대, 2020) | 김성태(호남대 → 평택) 유수빈(상지대 → 당진) | |
2018 | 전세진 최정훈 | 이성주(동국대, 2021) | 권민호(숭실대 → 중랑) 김성훈(대전) 임수성(아주대 → 화성) | |
2019 | 박지민[B] 김태환[B] 신상휘 | 허동호(선문대, 2022) | 김석현(아주대 → 경주) | |
2020 | 오현규[B] 김상준[B] 강현묵 | 서동한(고려대, 2023) 이규석(홍익대, 2023) 진현태(칼빈대, 2023) | 이정(성균관대 → 부산) 김민재(고려대 → 김포) | |
2021 | 정상빈[B] 손호준[B] 강태원 | 김태현(제주국제대 → 명지대 → 남양주) 박세준(고려대 → 화성) | ||
2022 | 구민서 황인택 | 류승완(전주대, 2024) | 문현호(아산) | |
2023 | 이상민[B] | 김정훈(고려대, 2025) 문형진(중앙대 → 파주, 2025) | 유승범(코레일) | |
2024 | 이건희 정성민 | 김도연(중앙대, ?) 나영우(중앙대, ?) | 홍진민(아산) 황석기(오세르) | |
2025 | 김성주[B] 임현섭[B] 고종현[B] 곽성훈[B] 이경준[B] | |||
2026 | 박승수[B] | 김민우, 모경빈 |
6.1. 수원 삼성 블루윙즈 입단 선수
매탄고등학교-수원 삼성 블루윙즈 입단 선수 명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2010년 ~ 현재 | ||||
<rowcolor=#ffffff,#ffffff>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프로 직행 주재현 드래프트 민상기 | 프로 직행 이종성, 권태안, 노형구, 신연수 드래프트 김승민, 구자룡 | 드래프트 김관철 | 프로 직행 권창훈 대학 진학 후 입단 연제민, 박용준 | 프로 직행 고민성, 이우석 | |
<rowcolor=#ffffff,#ffffff>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프로 직행 최주용 대학 진학 후 입단 방찬준, 김종우 그 외 전현욱 | 프로 직행 김진래, 유한솔 대학 진학 후 입단 김건희, 김선우, 강성진, 은성수 | 프로 직행 유주안 대학 진학 후 입단 윤용호, 송준평, 주현호 | 프로 직행 전진우, 최정훈 대학 진학 후 입단 김민호, 송진규 준프로 계약 박지민[a], 김태환 | 프로 직행 신상휘 대학 진학 후 입단 박대원[b], 박상혁 준프로 계약 오현규, 김상준 | |
<rowcolor=#ffffff,#ffffff>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프로 직행 강현묵 대학 진학 후 입단 이용언, 이이기, 안찬기 준프로 계약 정상빈, 손호준 | 대학 진학 후 입단 이성주, 강태원 | 프로 직행 구민서, 황인택 대학 진학 후 입단 허동호 준프로 계약 이상민 | 대학 진학 후 입단 서동한, 이규석, 진현태 준프로 계약 고종현, 곽성훈[c], 김성주, 박승수, 임현섭 | 프로 직행 이건희, 정성민[d] 대학 진학 후 입단 류승완 준프로 계약 이경준 | |
<rowcolor=#ffffff,#ffffff>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
대학 진학 후 입단 김정훈, 문형진[e] | |||||
* 현재 수원에 소속되거나 수원으로부터 임대 중인 선수는 볼드 처리 하였습니다. |
6.2. 타 구단 입단 선수
- 김강국 - 인천 유나이티드 FC 입단
- 김석현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입단
- 김성훈 - 대전 시티즌 입단
- 김성태 - 평택 시티즌 입단
- 김태현 - 남양주 FC 입단
- 나준수 - 김해시청 축구단 입단
- 문현호 - 충남 아산 FC 입단
- 박세준 - 화성 FC 입단
- 유수빈 - 당진시민축구단 입단
- 유승범 - 대전 코레일 FC 입단
- 이정 - 부산 아이파크 입단
- 유병헌 - 강원 FC 입단
6.3. 유럽 진출 선수
매탄고등학교 축구부 출신 선수 중 유럽에 진출한 선수는 2025년 기준 총 6명을 배출했다.- 권창훈 (2013년 졸업 후 수원 입단, 2017년 디종 FCO로 이적)
- 정상빈 (2020년 재학 중 수원 입단, 2022년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 이적 후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로 임대)
- 오현규 (2019년 재학 중 수원 입단, 2023년 셀틱 FC로 이적)
- 황인택 (2022년 졸업 후 수원 입단, 2023년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로 임대)
- 황석기 (2024년 졸업 후 유럽으로 입단 테스트, AJ 오세르 입단)
- 박승수 (2023년 재학 중 수원 입단, 2025년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로 이적)
6.4. 매탄고 10번
에이스에게 10번을 배정하는데 대부분 프로 구단에 입성까지는 하나 꾸준히 프로에 뛰면서 두각을 드러낸 선수는 많지 않다.연도 | 선수 |
2010 | 전현욱 |
2011 | 김종우 |
2012 | 권창훈 |
2013 | 김건희 |
2014 | 윤용호 |
2015 | 나준수 |
2016 | 유주안 |
2017 | 전세진 |
2018 | 신상휘 |
2019 | 강현묵 |
2020 | 박세준 |
2021 | 신혁진 |
2022 | 이상민 |
2023 | 김도연 |
2024 | 김성주 |
2025 | 김민우 |
7. 스태프
연도 | 감독 | 코치 | 골키퍼 코치 | 피지컬 코치 | 의무 | 비디오 분석 |
2008 | 황득하 | 김진우 | 박준영 | |||
2009 | 박건하 | 조재민 | ||||
20101 | 조재민 | 이재석 | ||||
20112 | 정성훈 | 고종수 | ||||
2012 | 조현두 | 김재호, 양승민 | ||||
2013 | 김대환 | |||||
20143 | 김성근 | |||||
2015 | 김대의 | |||||
2016 | 주승진 | 김석우, 강성남 | 한상수 | |||
2017 | ||||||
2018 | 김석우, 곽희주 | |||||
2019 | 김석우 | 강성남, 곽희주 | 고재윤 | |||
2020 | 박원홍, 강재원 | |||||
2021 | 정영환, 조성준 | |||||
2022 | 강승조, 조성준 | |||||
2023 | 백승주 | 정영춘, 김철준 | ||||
2024 | 김재현 | |||||
2025 | 배기종 | 이현웅, 이승민 | 최병호 | 유승일 | 신찬재 | 이상현 |
2 시즌 중 고종수가 1군 트레이너로 승격.
3 시즌 중 조현두와 김대의가 매탄고 감독-1군 스카우터 역할을 맞바꿈.
[1] 최초 U18 우승[2] 당시 K리그에서 운영비 지출이 많은 팀이 수원이었다. 신인 육성보다는 잘한다 싶은 선수들을 외부에서 영입하는 기조였다.[3] 제일 유력한게 박지민으로, 사실 나머지 세 명도 못하는게 아니라 수원 내에 이미 동 포지션 내 좋은 선수가 많아 직행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은 것이다.[4] 이들 중 조나탄, 산토스, 김민우, 다미르는 계약 해지되었으나 그 공백을 신속하게 메워놨기에 주전 경쟁의 어려움은 변하지 않았다.[A] 우선 지명으로 입단하지 않은 케이스.[A] [A] [A] [A] [B] 고교 재학 당시 준프로 계약으로 입단.[B] [B] [B] [B] [B] [B] [B] [B] [B] [B] [B] [B] [a] 성남 FC 임대[b] 김천 상무 FC 입대[c] 광주 FC 임대[d] 시흥시민축구단 임대[e]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