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2 20:34:23

디아블로 시리즈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Xbox 로고.svg파일:Xbox 로고 화이트.svg XBOX
주요 게임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로고.png파일:Zoo_Tycoon.webp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Halo_logo_%282010-present%29.png파일:Fable Reboot.png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주 타이쿤헤일로페이블
파일:포르자 로고.png파일:logo_forza_white_dfa79ead37.png파일:Perfect Dark_rebot_logo.png파일: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 로고.png파일:Viva_Piñata_Logo.png
포르자퍼펙트 다크기어스 오브 워비바 피냐타
파일:Banjo-Kazooie_Logo.png파일:스테이트 오브 디케이 로고.png파일:스테이트 오브 디케이 로고 화이트.png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파일:씨 오브 시브즈 로고.png
반조-카주이스테이트 오브 디케이마인크래프트씨 오브 시브즈
파일:블리딩 엣지 로고.png파일:battletoads-logo.png파일:psychonauts-logo.png파일:그라운디드 로고.png
블리딩 엣지배틀토드사이코너츠그라운디드
파일:펜티먼트 로고.png파일:헬블레이드 로고.png파일:Avowed(2024)_logo.png파일:South of Midnight_logo.png파일:South of Midnight_logo_white.png
펜티먼트헬블레이드어바우드사우스 오브 미드나잇
파일:ClockworkRevolution-logo.png파일:keeper-logo-on-light.svg파일:keeper-logo-on-dark-logo.svg파일:The Outer Worlds LOGO.png파일:projectmara-logo.png파일:projectmara-logo-white.jpg
클락워크 레볼루션키퍼아우터 월드프로젝트: 마라
파일:wasteland-logo_black.png파일:wasteland-logo.png파일:마이크로소프트 솔리테어 로고.png파일:지뢰 찾기 로고 화이트.png
웨이스트랜드지뢰 찾기
}}}
}}}
}}}
[ 엑스박스 유통 ]
[ 제니맥스 & 베데스다 유통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4>파일:제니맥스 미디어 로고 화이트.svg & 파일:베데스다 소프트웍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돔 시리즈 로고.png파일:돔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파일:PngItem_3325169.png파일:퀘이크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파일:The Elder Scrolls Logo.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Fallout_logo.svg.png
퀘이크엘더스크롤폴아웃
파일:Wolfenstein_logo.png파일:Wolf_logo_white.png파일:rage-logo.png파일:Dishonored_logo.webp파일:Dishonored_logo_white.png파일:디 이블 위딘 로고.png파일:디 이블 위딘 로고 화이트.png
울펜슈타인레이지디스아너드디 이블 위딘
파일:프레이 로고 블랙.png파일:프레이 로고.png파일:delop-logo.png파일:deathloop-logo.png파일:고스트와이어 도쿄 로고 블랙.png파일:고스트와이어 도쿄 로고.png파일:starfield_logo_black.png파일:starfield_logo.png
프레이데스루프Starfield
파일:logo_Redfall.png파일: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 로고.png파일:하이-파이 러시 로고.webp파일:marvelsblade_logo_01.png
레드폴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하이-파이 러시*1마블 블레이드
파일:heretic_logo.png
헤러틱 - 헥센
*1: 크래프톤에 IP를 매각하면서 후속작에 대한 권리는 크래프톤이 가지고, 1편의 퍼블리싱 권리만 가짐.
[ 액티비전 블리자드 유통 ]

}}} ||
엑스박스 관련 문서 · 엑스박스 주요 모바일 게임 · 게임 출시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566b0> 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블리자드
주요 게임 프랜차이즈
}}}
<colbgcolor=#650001><colcolor=#fff>{{{#!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50001><tablebgcolor=#650001> 파일:디아블로 흰 아이콘.png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IP
Diablo
}}}
파일:Diablo 25th Anniversary.jpg
▲ 디아블로 25주년 일러스트
장르 다크 판타지, 액션 RPG
시작 작품 디아블로
1996년 12월 31일
최근 작품 디아블로 4
2023년 6월 6일
출시 경과 [age(1996-12-31)]주년, [dday(1996-12-31)]일

1. 개요2. 상세
2.1. 직업 변천사
3. 시리즈 일람
3.1. 메인 시리즈3.2. 외전
4. 배경 스토리5. 주요 인물
5.1. 인간 혹은 네팔렘5.2. 악마5.3. 천사5.4. 기타
6. 관련 문서7. 관련 작품
7.1. 소설7.2. 설정집7.3. 만화7.4. 애니메이션7.5. TRPG7.6. 패러디
8. 외부 링크

1. 개요

<nopad> 파일:DIABLO CINEMATIC BLIZZARD LOGO.gif
▲ 디아블로 시네마틱의 블리자드 로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유통하는 액션 RPG 시리즈.

2. 상세

1996년 첫 작품이 발매됐을 당시에 존재하던 타 RPG와는 달리 액션 성향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흔히 포인트 앤 클릭이라 불리는, 마우스만으로 진행 가능한 게임 방식 또한 또 다른 특징. 기존의 90년대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들이 화면의 오브젝트 선택 및 상호 작용하는 편리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디아블로는 직관적인 조작 방식을 실시간 액션에 도입하여 새로운 액션성을 만들어내게 된다.

원래 블리자드 노스는 디아블로를 턴제 게임으로 구성할 생각이었으나 본사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측이 강하게 말리며 빌 로퍼를 투입, 빌 로퍼의 설득에 따라 몇 시간 만에 턴제였던 디아블로가 포인트 앤 클릭 형식으로 바뀐 뒤 플레이해본 블리자드 노스와 빌 로퍼 양쪽 다 감탄하여 턴제에서 포인트 앤 클릭 형식으로 바뀌었다.[1]

호러 장르 역시 포함되는데, 꿈도 희망도 없어 보이는 마을과 끝도 없는 지하 미궁, 그 속에 담긴 고어한 분위기와 으스스한 배경 음악들은 그 당시 게이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다. 이어 출시된 2편은 1편의 연장선으로 보이는 지하 묘지와 확장된 세계관으로 성역의 어느 지역을 가도 안전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주며 어둠의 방랑자를 추격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서의 공포를 잘 이끌어냈다. 현대 게임 기술에 비해서는 월등히 적은 픽셀로 이루어진 배경과 괴물들이 되려 공포감을 일으키는 데 한 몫 했다고 볼 수 있다. 3편에서는 그 분위기가 많이 반감되어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으나 과거 1, 2편의 분위기를 따라잡겠다고 공언한 4편에서는 특유의 고독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다시 살렸다.

로그라이크 요소가 있어 다른 로그라이크 게임처럼 마을을 제외한 던전은 자동으로 랜덤하게 생성되며 아이템도 고유 혹은 전설 아이템을 제외하고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붙어 랜덤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아이템 생성 방식은 예전에도 있었지만 흔히 쓰이지는 않았는데, 디아블로 1편의 대성공 이후 여러 RPG 게임으로 퍼져나가서 RPG의 필수요소화 되다시피 했다. 심지어 자사의 다른 게임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도 이 시스템을 갖다 썼다.

블리자드 노스의 전신인 콘도르의 대표였던 데이비드 브레빅의 강연 내용에 따르면 디아블로라는 게임 제목은 자신이 살던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디아블로 산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제작 1일차부터 콘솔 동시발매를 고려한 오버워치를 제외하면 블리자드 게임 중 가장 콘솔 친화력이 높은 타이틀이다. 디아블로 1은 워크래프트 2와 함께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출시되었으며, 디아블로 3은 PS3/XBOX360/PS4/XBOX1/닌텐도 스위치의 5개 콘솔로 발매되었다. 2018년 닌텐도 스위치용으로 디아블로 3의 이식판이 발매된다는 소식을 닌텐도를 통해 밝혔고 디아블로 3 이터널 콜렉션이 2019년 8월에 발매되었다.

2020년 2월 28일,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 제작사의 수장인 더 코얼리션의 스튜디오 디렉터(헤드) 로드 퍼거슨이 15년 동안 일하다가 퇴사한다는 소식#을 밝혔고, 3월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 입사하여 디아블로 시리즈를 감독하는 총괄 부사장으로 재직중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국에서 디아블로 5라는 짝퉁이 나오기도 했다.

티리엘의 기록을 마지막으로 제우미디어가 디아블로 시리즈 관련 서적의 정발을 중단한 상황이라 한국에서는 설정 관련 정보의 갱신이나 교차검증이 어려워졌다. 때문에 극소수 유투버들의 설명이나, 드물게 원서를 사서 읽은 팬들이 알려주는 정보로 겨우 알 수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본국의 디아블로 위키랑 달리 나무위키의 정보는 미정발 소설의 정보는 반영이 잘 안되어있다. 같은 제작사의 워크래프트 시리즈는 최소한 최신 소설과 연대기는 제우미디어가 정발해주니 그나마 낫지만 한국에 정발되지 않은 소설이나 설정집이 많아서 이쪽 정보는 영어판 위키나 와우헤드에서 확인해야만 한다.

크리스 멧젠을 재기용한 후 격전의 아제로스부터 어둠땅 확팩까지 문제가 많았던 워크래프트 시리즈 스토리가 용군단부터 개선되고 있는 반면에 디아블로 시리즈는 로드 퍼거슨이 총괄을 맡으면서 디아블로 4부터 여러가지로 평이 안좋은 상황이다. 그래서 중국의 넷이즈가 개발을 맡고 있는 디아블로 이모탈이 오히려 재평가받고 있다.[2]

2.1. 직업 변천사

|| || 디아블로 1 || 디아블로 2 || 디아블로 3 || 디아블로 이모탈 || 디아블로 4 ||
검방전사 전사 성기사 성전사 성전사 없음
궁수
(노궁)
도적 아마존 악마사냥꾼 악마사냥꾼 도적
마법사 원소술사 원소술사(여) 마법사 마법사 원소술사
중전사 야만용사 야만용사 야만용사 야만용사 야만용사
격투가
(주먹무기)
수도사(맨손) 암살자 수도사 수도사 없음
전투마법사
(근접마법사)
음유시인, 수도사(봉술) 없음 없음 혈기사, 격풍사 혼령사
소환사
(체력이 있는 소환물)
없음 강령술사 부두술사, 강령술사 강령술사 강령술사
변신술사 없음 드루이드 없음 드루이드 드루이드

3. 시리즈 일람

파일:diabloseriesnew.png
디아블로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min-width:300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메인 시리즈
파일:diablologo.png
파일:hellfirelogo.png
파일:6b18d371703cf5221bc39c1a03a3be64.png
디아블로디아블로: 헬파이어 +디아블로 + 헬파이어 R
파일:diablo2logo.png
파일:diablo2lodlogo.png
파일:diablo2rlogo.png
디아블로 2디아블로 2: 파괴의 군주 +디아블로 2: 레저렉션 R
파일:diablo3logo.png
파일:diablo3roslogo.png
파일:diablo3rotn.png
디아블로 3디아블로 3: 영혼을 거두는 자 +디아블로 3: 강령술사의 귀환 +
파일:diablo4logo2.png
파일:D4 VOH Logo.png
디아블로 4디아블로 4: 증오의 그릇 +디아블로 4 두번째 확장팩(가제) +
외전
파일:diabloimmortallogo.png
디아블로 이모탈
미디어 믹스
<colbgcolor=#222>소설피의 유산 · 검은 길 · 데몬베인 · 그림자의 왕국 · 거미의 달 · 죄악의 전쟁 · 호라드림 결사단 · 빛의 폭풍 · 모르베드· 호라드릭 도서관의 이야기
코믹스<colcolor=#000,#fff>정의의 검 · 디아블로 전설 시리즈 1편 야만용사 불카토스 · 디아블로 전설 시리즈 2편 강령술사 라트마 · 증오의 새벽
설정집케인의 기록 · 티리엘의 기록 · 아드리아의 기록 · 로라스의 기록 · 프라바의 기록
애니메이션디아블로 3: 분노}}}}}}}}}

3.1. 메인 시리즈

3.2. 외전

4. 배경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아블로 시리즈/배경 스토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블로 시리즈/배경 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블로 시리즈/배경 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요 인물

5.1. 인간 혹은 네팔렘

5.2. 악마

5.3. 천사

5.4. 기타

기타 등장인물은 아래 문서 참조.

6. 관련 문서

7. 관련 작품

7.1. 소설

  • 디아블로: 피의 유산: (번역판 절판)
  • 디아블로: 검은 길: 디아블로 1과 동일 시기에 서부원정지의 장교 대릭 랭이 타락한 자카룸의 사제 바이어드 콜릭과 그가 숭배하는 악마 카브락시스를 막는 이야기.[6](영어판)
  • 디아블로: 데몬베인: (영어판) 마법단 전쟁이 비제레이의 패전으로 끝난 후의 이야기를 다룬다. 마법단 전쟁 종전으로부터 2년 후 엔티스티그에서 디아블로의 부하 아수르(Assur) 남작이 벌이는 음모를 막기 위한 주인공 일행의 활약이 나오며, 이 사건 이후 사르나카일은 서부대륙에서 5년간 원소마법을 배운 후 케지스탄으로 돌아가서 비제레이 마법학자들이 악마의 마법을 버리고 원소마법을 배우도록 개혁을 이끌었다. 즉 비제레이 마법학자가 원소술사가 된 건 마법단 전쟁으로부터 7년 후이다.[7]
  • 디아블로: 그림자의 왕국: 2002년 출간. 전설의 도시 우레를 찾는 비제레이의 마술사 쿠오브 친과 그가 고용한 용병 대장 켄트릴 듀몬과 용병단의 모험이야기. 디아블로 3: 영혼을 거두는 자에 등장하는 강령술사 자일이 여기서 첫등장 한다.(영어판)
  • 디아블로: 거미의 달: 배경은 디아블로 2 엔딩 트리스트럼의 몰락 이후. 과거 디아블로의 오른팔이었던 아스트로가가 비제레이에 의해 봉인된 거미의 달이라는 유물을 찾아서 해방시키려는 알드릭 지탄 경과 그를 막으려는 강령술사 자일의 이야기.(영어판)
  • 디아블로: 죄악의 전쟁
  • 디아블로 3: 호라드림 결사단: 배경은 케지스탄력 1272년. 데커드 케인과 레아가 호라드림 결사단의 흔적을 찾아서 쿠라스트로 향하고 레아의 불가사의한 힘에 눈독을 들인 거짓의 군주 벨리알에게 레아가 납치 당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
  • 디아블로 3: 빛의 폭풍
  • 디아블로 3: 모르베드: (영어판)
  • 호라드릭 도서관의 이야기(Tales from the Horadric Library): 원서(영문판) 2022년 10월 8일 출판. 한국어 번역판 없음. 호라드릭 도서관의 호라드림 사서가 과거의 역사 일부를 모아서 엮은 책이며 사서 본인은 후세에 교훈을 남기려고 옛 역사들을 수집하여 이 책을 저술했다고 밝히는데, 책에 실린 단편 소설 중 호라드림과 관계 있는 이야기는 바알이 탈 라샤와 함께 봉인된 후 있었던 후일담을 다룬 '탈 라샤의 무덤'과 '가라앉은 자'란 괴물들을 조사하러 파견된 호라드림 요원들의 이야기가 나오는 '소금 냄새'뿐이고 나머지는 호라드림과 관계가 없다. 단편 소설 중 조각난 봉우리의 전 지배자였던 네팔렘 카산더[8]의 이야기가 있는 걸 볼 때 사서는 대강 영혼을 거두는 자 이후에서 빛의 대성당 재림 사이의 시간대에 이 책을 저술한 걸로 보인다.

7.2. 설정집

워크래프트 연대기와는 달리 타임 라인에 따라 역사를 전개하는 게 아니라 책의 주제를 정하고 그것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케인의 기록은 성역의 역사 및 지역들, 티리엘의 기록은 성역의 조직과 인물들, 아드리아의 기록은 몬스터, 로라스의 기록은 유물, 프라바의 기록은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며 케인의 기록을 제외한 나머지는 사건의 전개를 중간에 부록으로 끼워넣는 식으로 언급한다.
  • 케인의 기록(Book of Cain): 원서(영문판) 2011년 12월 3일 출판. 한국어 번역판(제우미디어) 2012년 4월 출판. 아마존에서 이북으로도 팔고 있으며 구입 후 Amazon Kindle이라는 앱을 설치해서 영판으로 볼 수 있다. 주제는 성역의 역사와 지역들이다.
  • 티리엘의 기록(Book of Tyrael): 원서(영문판) 2013년 10월 22일 출판. 한국어 번역판(제우미디어) 2015년 3월 출판. 아마존에서 이북으로도 팔고 있으며 구입 후 Amazon Kindle이라는 앱을 설치해서 영판으로 볼 수 있다. 주제는 성역의 조직들과 인물들이다. 한국에 마지막으로 정발된 디아블로 시리즈 관련 서적이며, 이후로는 제우미디어가 아예 디아블로 시리즈의 정발을 중단했다.
  • 아드리아의 기록(Book of Adria): 원서(영문판) 2018년 12월 4일 출판. 한국어 번역판 없음.[9] 주제는 성역의 괴물들이지만 아드리아가 디아블로에게 가담하게 된 과정과 7단 합체 대악마를 만드는 여정도 나온다.
  • 로라스의 기록(Book of lorath): 2023년4월18일 출판. 한국어 번역판은 없으며, 제우미디어는 정발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아마존에서 이북으로도 팔고 있으며 구입 후 Amazon Kindle이라는 앱을 설치해서 영판으로 볼 수 있다. 디아블로 4 오리지널 엔딩 이후 로라스가 네이렐을 찾아다닌 과정이 나온다. 주제는 성역의 주요 유물들이다.
  • 프라바의 기록: 프라바가 디아블로 4 오리지널 엔딩 이후 키요바사드로 돌아온 시점부터 저술한 책으로 그을린 기사단의 세력이 커지고 본인의 입지가 흔들리는 상황에 쓴 것으로 보인다. 주제는 성역의 종교다. 디아블로 4 오리지널 시점의 냉혹한 광신도였던 프라바가 여러 가지 일을 겪고 배워가며 증오의 그릇 시점의 온화한 프라바로 변해가고 우리바르의 세력이 강해져가는 과정이 나온다.[10] 제우미디어는 정발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7.3. 만화

  • 성역 이야기: 디아블로 2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이야기를 단편식으로 담고 있다.
  • DC 코믹스 만화 DIABLO 정의의 검: #
    디아블로 3로부터 약간 과거 시점의 이야기다. 주인공은 제이콥(Jacob)이라는 이름의 청년. 스탈브레이크 시(이모탈의 남부 공포의 땅 지역)[11]에 악마의 저주가 퍼져서 이에 감염된 제이콥의 아버지 제프리 스탈렉이 아내인 마레나를 죽이려고 하자 아들인 제이콥이 이를 저지하려다가 아버지를 죽이게 되고[12] 이 때문에 살인혐의로 쫒겨다니던 중 루트 골레인에 방문했을 때 1권에서 만난 선지자의[13] 예언에 이끌려 아라녹 사막의 동굴[14]에서 티리엘이 세계석을 파괴하는 데 사용한 엘드루인을 발견하게 된다. 룬검 앞에 서서 기다리고 있던 여자는 자신을 샤나(Shanar)라는 이름의 마법사(Wizard)라 소개하며, 제이콥이 선택받은 자임을 이야기해준다. 그러나 상황을 채 정리하기도 전에 제이콥을 추적하던 군대가 들이닥치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이후 제이콥은 올빼미 부족 야만용사들을 저주로 배후조종하며 스탈브레이크 시 일대를 어지럽히던 악마 켈릭(Khelric)을 쓰러트리고 평화를 되찾는다. 이후 살인자로서의 오명을 벗은 제이콥은 엘드루인을 티리엘에게 돌려주기 위해 동쪽으로 여행을 떠나며 이야기가 끝난다. 제이콥의 풀네임은 제이콥 스탈렉이며 어머니는 올빼미 부족 야만용사였던 마레나 스탈렉, 아버지는 스탈브레이크의 폭군 에이머 영주와 싸웠던 저항군의 지도자였던 제프리 스탈렉이다. 참고로 제프리 스탈렉은 코믹스 시점에서는 악마에게 조종당하는 광인이지만 이모탈 시점에서는 고결한 영웅으로 나온다. 2023년 12월 14일 업데이트된 디아블로 이모탈 남부 공포의 땅 스테이지에 제이콥과 그의 부모님이 등장했다. 아마존에서 이북으로도 팔고 있으며, 총 5화까지 연재되었다.
  • 디아블로 전설 시리즈 1편 야만용사 불카토스: 불카토스의 리즈 시절을 다룬 만화로 세계석의 힘을 노리고 불카토스의 아들 히람을 세뇌하여 음모를 꾸미는 릴리트에 불카토스가 대항하는 이야기다. 설정집 프라바의 기록에서도 짤막하게 이 때의 일을 소개했다. 그러나 장렬하게 희생한 불카토스의 딸 나아라는 이후 야만용사 부족에서 영웅으로 대우받았지만 아들인 히람은 설정집에서 아예 이름도 안나온 걸 보면 야만용사 부족이 흑역사로 취급하며 이름을 역사서에서 지워버린 듯하다.
  • 디아블로 전설 시리즈 2편 강령술사 라트마: 라트마의 리즈 시절 이야기로 라트마가 강령술에 대한 소질을 깨우치고 성역에서 벌어지는 음모에 맞서는 이야기다.
  • 증오의 새벽: 2025년 5월부터 연재 예정인 만화로 디아블로 4 증오의 그릇의 후일담을 다루고 아카라트의 육신을 차지한 메피스토가 뭘 꾸미는지가 나올 예정이다.
  • 성역의 기묘한 이야기

7.4. 애니메이션

7.5. TRPG

워크래프트 시리즈를 d20 시스템룰로 펴낸 워크래프트 RPG와 유사하게, 디아블로도 TRPG 버전이 있다.
  • Diablo II: The Awakening: 2000년도 발매. 기반 시스템은 AD&D. 흡사 오리지널 레이븐로프트마냥 기존 캠페인 세팅에 상관없이 플레이에 끼워넣을 수 있는 시나리오 모듈 개념이다.
    발매되던 당시 아직 디아블로 2가 개발되던 도중이어서 그런지, 명칭은 디아블로 2이지만 드랍 아이템 표나 스킬 시스템, 몬스터 등은 디아블로 1/헬파이어 쪽 데이터 비중이 크다. 이걸 그대로 사용한다면 D&D 클래스의 캐릭터 키트로 재현된 디아블로 2 캐릭터들이 트리스트럼에서 디아블로를 때려잡는 시나리오 정도를 플레이할 수 있다.
  • Diablo II: Diablerie
    2001년도 발매. 시스템은 d20. To Hell and Back과 한세트이다. 디아블로 2의 플레이어 클래스와 마법, 아이템 등을 다루고 있다. 내용면에서는 Diablo II: The Awakening에서 트리스트럼 관련 내용만 빼고서 d20용으로 컨버전한 것에 가까운데, 당장에 디아블로 1에만 나오는 아이템이나 디아블로 1 몬스터들도 그대로 실려있다.
  • Diablo II: To Hell and Back
    Diablerie와 한세트. 디아블로 2 본편의 액트와 퀘스트를 d20 버전으로 컨버전하여 수록하였고, Diablerie에 실려있지 않은 다른 디아블로2 몬스터의 데이터도 실려있는 데이터집이다.
  • Secret Cow Level
    Diablerie/To Hell and Back용 웹 서플. 카우 레벨을 플레이할 수 있게 했다. CR 9짜리 지옥소 1000마리[15]를 잡아야 하며, 대놓고 20레벨 캐릭터를 가져오라고 언급할 정도로 난이도는 최고 수준이다.

7.6. 패러디

8. 외부 링크


[1] 여담으로 포인트 앤 클릭으로 바꾸라는 명령에 반감이 생긴 블리자드 노스는 이 게임을 그토록 고집하는 실시간으로 바꾸면 얼마나 끔찍할지 느껴보라는 심정으로 순식간에 만들었다가 포인트 앤 클릭의 게임성에 감탄하고, 블리자드 본사는 이걸 순식간에 턴제에서 실시간으로 바꾼 블리자드 노스의 기량에 감탄했다고 한다.[2] 특히 드루이드의 외모 차이가 너무 커서 해외에서도 이모탈이 더 낫다는 이야기가 나온다.[3] 그런데 사실 진짜 하칸 2세는 살아있으며, 벨리알이 하칸을 어디에 감금시킨뒤 하칸의 모습으로 황제 행세를 했다고 한다.[4] 성역 창조로 앙기리스 의회 명예직이 박탈되었을 뿐만 아니라 죄악의 전쟁 당시 울디시안을 저지한다는 이유로 디아블로와 영합한 결과 드높은 천상으로부터 영구제명을 당한 상태이다.[5] 티리엘의 부관이었으나 타락해서 불타는 지옥의 편에 선데다 심지어 종족 자체가 천사에서 악마로 변했다.[6] 참고로 카브락시스는 불타는 지옥의 다른 대악마 형제들과도 대립하는 위치의 강력한 악마였다고 한다.[7] 참고로 사르나카일의 칭호가 적마법사(Red Wizard)인데 소설 출간 당시에는 아직 디아블로 3 개발 전이라 마법사(Wizard)가 금지된 위험한 마법에 손을 대는 반항적인 마법 사용자라는 설정이 없었기 때문에 일종의 존경을 담은 칭호고 블리자드가 설정을 뒤집는 게 한두번도 아니라 깊이 생각하지 말자. 이 소설이 디아블로 3 개발 전에 나왔기 때문인지 현재의 설정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도 일부 있다고 한다.[8] 세계석 파괴 이후에 등장한 디아블로 3 플레이어 캐릭터 같은 신세대 네팔렘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살아있었던 구세대 네팔렘이고 소설 '죽음의 성가'에서 구세대 네팔렘은 노화와 질병에 면역이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몇대부터 노화와 질병 면역이 없어져 인간으로 퇴화했는지는 불명이다.[9] 케인의 기록, 티리엘의 기록을 번역 출간한 제우미디어측에서 아드리아의 기록은 번역 출간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0] 아드리아도 그렇지만 디아블로 4 오리지널 시점까지의 프라바 역시 인간성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 광신도가 인성질하는 내용이 설정집에 계속 나와서 독자가 뭐 이런 녀석이 다 있냐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하며 후반으로 가면서 프라바가 자신의 잘못을 돌아보고 회개하는 내용으로 바뀐다.[11] 아리앗 분화구와 이브고로드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자카룸 신도들이 자신들의 적인 야만용사와 이브고로드의 수도사들이 손을 잡는 일을 막으려고 가운데에 도시를 만들어 알박기를 했다. 물론 이모탈 시점에서는 더이상 서로 싸우는 사이는 아니라서(악감정은 남아있지만) 비교적 평화로운 상태다.[12] 죽을 때 제정신으로 돌아오긴 했다.[13] 자기가 예지학파 마법학자들의 집단인 타안 마법단 출신이라고 말하기는 했는데 알고보니 이 영감님은 골동품 상인이자 타안 마법학자인 카린(Kahrin)이 알려준 예언을 전해주기만 했을 뿐이고 사기꾼에 도둑놈이었다. 카린이 과욕을 부리면 당신은 죽게 되는 미래가 예정되어 있다고 경고했는데 이걸 무시하고 도둑질을 했다가 덜미가 잡혀 끔살당했다.[14] 디아블로 이모탈의 플레이어가 티리엘과 작별할 때 그의 부탁을 받아서 이곳에 보관했다. 미래에 예정된 제이콥 스탈렉의 운명을 이루기 위해서 이렇게 한 것으로 보이며 이 동굴은 마법사 샤나가 예지능력으로 알게 된 미래의 일을 조각한 벽화가 새겨져 있었는데 그 벽화에는 티리엘과 엘드루인을 손에 든 제이콥이 그려져 있었다. 이모탈에서 티리엘의 검이 아라녹 지역의 동굴에 보관되는 이야기가 나오기 전까지는 티리엘이 아리앗에서 집어던졌던 엘드루인이 왜 엉뚱하게 아라녹 사막에 있었는지 개연성의 문제가 있었다. 애초에 블리자드가 디아블로 이모탈의 제작을 발표하면서 표면적으로 내세운 명분이 디아블로 2와 디아블로 3 사이의 미싱 링크를 채워서 시리즈 스토리의 개연성을 보완하겠다는 것이었다.[15] 정확히는 지옥소 100마리씩을 상대하는 인카운트(CR 23상당)를 10번 치르도록 되어있다. 다만 이게 지옥소들이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게 아니라 저 천 마리가 그리 넓지 않은 필드에서 대기를 타고 있다가 플레이어가 근처에 접근하거나 공격을 하면 무리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이라, 어그로가 잘못 끌리면 몇백마리를 동시에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