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0:20:21

강북구 을

강북을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강북구/정치
,
,
,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용산
곽상언 전현희 박성준 권영세
광진 갑 광진 을
이정헌 고민정 안규백 장경태
중랑 갑 중랑 을 성북 갑 성북 을
서영교 박홍근 김영배 김남근
강북 갑 강북 을 도봉 갑 도봉 을
천준호 한민수 김재섭 오기형
노원 갑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우원식 김성환 박주민 김우영
마포 갑 마포 을
김동아 김영호 조정훈 정청래
양천 갑 양천 을 구로 갑 구로 을
황희 이용선 이인영 윤건영
강서 갑 강서 을 강서 병 금천
강선우 진성준 한정애 최기상
동작 갑 동작 을
채현일 김민석 김병기 나경원
관악 갑 관악 을 서초 갑 서초 을
박민규 정태호 조은희 신동욱
강남 갑 강남 을 강남 병 송파 갑
서명옥 박수민 고동진 박정훈
송파 을 송파 병 강동 갑 강동 을
배현진 남인순 진선미 이해식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강북구 을
미아동, 삼양동, 번3동
江北區 乙
Gangbuk B
}}}
파일:국회선거구 강북구 을.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28,295명 (2024)
상위 행정구역 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강북구 일부
번3동, 미아동, 삼양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신설년도 1996년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한민수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북서울꿈의숲미아뉴타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동북권 벨트 지역인 강북구에서도 특히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 중의 텃밭이다.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한민수 의원이다.

이 지역구는 신설된 이래 단 한 번도 보수정당이 이긴 적이 없으며, 중선거구제를 포함하더라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1985년)가 마지막이었다. 소선거구제만 포함하면 무려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때가 마지막이다.

즉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국회의원 선거 때마다 민주당계 정당이 전승해 온, 서울에서 단 둘 뿐인 선거구라는 얘기[1].

강북구 을 지역구가 신설된 이래 단 한 번도 3선 이상을 한 사례가 전무하다.[2]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 편의상 성북구가 신설(1949년)된 이후의 국회의원부터 서술한다.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비고
성북구[3]
제2대 조소앙
[[사회당(1948년)|
사회당
]]
1950년 5월 31일 ~ 1950년 6월 30일 6.25 전쟁에 휘말려 납북됨.
제3대 김일

[[자유당(1951년)|
파일:자유당_투명.png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제4대 서범석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제5대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성북구 을(성북구 돈암동, 종암동, 상월곡동, 하월곡동, 미아동, 장위동, 석관동, 번동, 우이동, 수유동, 창동, 월계동, 쌍문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도봉동, 방학동)[4]
제6대 서범석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신민당(1967년)|
파일:0789.png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성북구 을(종암동, 길음동, 인수동, 송천동, 삼양1동, 삼양2동 화계동)
제8대 서범석

[[신민당(1967년)|
파일:0789.png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성북구
제9대 고흥문

[[신민당(1967년)|
파일:0789.pn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정래혁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도봉구[5]
제10대 고흥문

[[신민당(1967년)|
파일:0789.png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8월 27일 [6]
홍성우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제11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김태수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제12대 조순형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홍성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도봉구 갑(미아3동, 미아4동, 번1동, 번2동, 수유3동, 쌍문1동, 쌍문2동, 쌍문3동, 방학1동, 방학2동)
제13대 신오철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도봉구 을(미아1동, 미아2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4동, 수유5동)
제13대 이철용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도봉구 갑(수유3동, 쌍문1동, 쌍문2동, 쌍문3동, 쌍문4동, 방학1동, 방학2동, 방학3동, 도봉1동, 도봉2동)
제14대 유인태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도봉구 을(미아1동, 미아2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4동, 수유5동)
제14대 김원길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도봉구 병(미아3동, 미아4동, 미아9동, 번1동, 번2동, 번3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
제14대 조순형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4대의 도봉구 병(미아3동, 미아4동, 미아9동, 번1동, 번2동, 번3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에서 창1~5동을 제외한 전역과 도봉구 을 전역, 도봉구 갑의 수유3동이 강북구로 분구되면서 도봉구 갑·을의 관할이 대대적으로 조정[7]되었다.
강북구 을(미아1~9동, 번3동)
제15대 조순형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 최규식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강북구 을(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3동)
제19대 유대운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박용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 한민수
파일:zsdkl3gasdg.svg
2024년 5월 30일 ~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구 을
미아1동, 미아2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4동, 수유5동
[8]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배성동(裵成東) 23,981 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3.84% 낙선
2 임정규(林井圭) 17,714 3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7.61% 낙선
3 이철용(李喆鎔) 32,283 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2.09% 당선
4 김우경(金遇敬) 12,932 4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2.85% 낙선
5 박영식(朴永植) 1,200 7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9% 낙선
6 전대열(全大烈) 3,262 6위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3.24% 낙선
7 진복기(陳福基) 901 9위

파일:기독성민당글자.png
0.89% 낙선
8 김원길(金元吉) 7,344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30% 낙선
9 이영수(李永守) 973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96% 낙선
선거인 수 149,467 투표율
67.91%
투표 수 101,503
무효표 수 913

3.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구 을
미아1동, 미아2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4동, 수유5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규원(金奎元) 32,336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1.21% 낙선
2 김원길(金元吉) 39,749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8.37% 당선
3 김충섭(金忠燮) 14,638 3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4.13% 낙선
4 조수휘(趙秀輝) 2,423 5위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2.33% 낙선
5 박종애(朴宗愛) 1,489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3% 낙선
6 소순관(蘇淳官) 2,401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1% 낙선
7 이철용(李喆鎔) 10,546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18% 낙선
선거인 수 153,596 투표율
68.27%
투표 수 104,867
무효표 수 1,285

3.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1동, 미아2동, 미아3동, 미아4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미아9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철용(李喆鎔) 22,923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51% 낙선
2 조순형(趙舜衡) 36,405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5.28% 당선
3 이기택(李起鐸)[9] 7,066 4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8.78% 낙선
4 김태환(金泰煥) 12,006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4.93% 낙선
5 고충석(高忠錫) 649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80% 낙선
6 조구성(趙求星) 1,344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7% 낙선
선거인 수 144,185 투표율
56.73%
투표 수 81,794
무효표 수 1,401

3.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1동, 미아2동, 미아3동, 미아4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미아9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대열(全大烈) 16,636 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26.32% 낙선
2 조순형(趙舜衡) 29,351 1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46.45% 당선
3 고병렬(高秉烈) 2,480 5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3.92% 낙선
4 이병석(李炳碩) 929 6위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1.47% 낙선
5 박용진(朴用鎭) 8,381 3위
[include(틀:민주노동당)] 13.26% 낙선
6 장명철(張明哲) 695 7위
[include(틀:청년진보당(1998년))] 1.09% 낙선
7 김태환(金太煥) 4,716 4위
[include(틀:무소속)] 7.46% 낙선
선거인 수 127,261 투표율
50.18%
투표 수 63,862
무효표 수 674
이 지역에서 재선까지 했던 전직 국회의원 박용진의 첫 도전이 이때 있었다. 비록 3위로 낙선했지만 13%란 나쁘지 않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3.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1동, 미아2동, 미아3동, 미아4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미아9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홍렬(安鴻烈) 27,838 2위
[include(틀:한나라당)] 32.64% 낙선
2 김경재(金景梓) 13,403 3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15.71% 낙선
3 최규식(崔奎植) 36,206 1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42.46% 당선
4 안종모(安淙模) 771 5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0.90% 낙선
5 안길수(安吉秀) 7,046 4위
[include(틀:민주노동당)] 8.26% 낙선
선거인 수 143,522 투표율
59.91%
투표 수 85,990
무효표 수 726
현역 의원은 새천년민주당 조순형 의원이었으나, 열린우리당 창당을 반대하고 새천년민주당 대표로서 탄핵을 주도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역주의도 타파한다는 명분하에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겠다며 간 상황이었다.

조순형 의원의 빈자리에 새천년민주당의 순천 지역 의원인 김경재 의원이 이 지역에 출마했다. 김경재 의원은 미국 망명 당시 김형욱 전 정보부장의 회고록을 집필한 일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김경재 의원은 "평소 소신을 굽히거나 당적을 이동한 전력이 없는 우수한 상품성"을 강점으로 인물론을 내세웠고, 정동영 의장의 노인펌하 발언으로 지역 노년층 표가 민주당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열린우리당에서는 한국일보 기자 출신의 최규식 논설위원이 출마했다. 정동영 의장의 권고로 정치에 입문한 정치신인으로, 인지도는 낮지만 참신성, 개혁성, 정당 경쟁력으로 승부하고자 했다.

최 후보는 언론사 편집국장을 지내면서도 골프를 모르는 서민적인 인물로 영입인사인 만큼 전문성도 인정받았다는 긍정적인 점도 있었다. 또, 유대운 전 서울시의원이 경선에서 탈락한 뒤에도 선대본부장을 맡아 적극 지원해주는 것이 큰 힘이 되었다.

한나라당은 검사출신의 변호사 안홍렬 후보가 나왔다. 보령서천 지역구에서 지역구를 옮긴 이후 무료 변론으로 주민접촉이 많아 당선을 기대했다.

그러나 검사 재직 당시 마약밀매조직을 수사하면서 압수된 피의자 통장에서 2500만 원을 빌려 함정수사를 벌였다가 실패하자 온라인으로 돈을 도로 입금시켜줬다는 것이 사유로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낙선 대상에 올랐다.

강북구 지역은 노무현 대통령이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린 곳인만큼, 탄핵 정국에 힘입어 열린우리당 초강세 양상으로 나타났고, 결국 최규식 후보가 42.46%의 득표율로 당선에 성공했다.

3.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1동, 미아2동, 미아3동, 미아4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미아9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규식(崔奎植) 26,391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3.50% 당선
2 이수희(李秀姬) 22,94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83% 낙선
3 임강신(林康伸) 2,096 4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5% 낙선
4 김혜신(金蕙信) 1,741 5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6% 낙선
6 박용진(朴用鎭) 7,088 3위


[[진보신당|
파일:진보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68% 낙선
7 조한복(趙漢福) 398 6위


[[평화통일가정당|
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0.65% 낙선
선거인 수 139,997 투표율
43.65%
투표 수 61,107
무효표 수 444
현역인 통합민주당 최규식 의원은 당선 이후 정동영 의장 언론특보, 비서실장을 지내며 대선 종합상황본부장을 맡는 등, 정동영 의장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18대 총선에서 재선에 도전했다.

최규식 후보는 "강북 발전은 당이 아니라 인물이 중요하다. 이미 검증된 최규식을 압도적으로 선택해 달라"며, 미아뉴타운 추가 지정 등을 공약했다.

한나라당은 변호사 출신인 이수희 후보를 공천했다. 이수희 후보는 "대통령도 정권교체로 바꿨으니 지역을 대표할 의원도 참신한 새 얼굴로 바꿔 달라"며 "북한산 고도제한 등 각종 규제 철폐와 재건축 추진을 통해 주민 재산권을 지키겠다"고 밝혔다.[10]

진보신당에서는 박용진 전 민주노동당 대변인이 출마했다. 박용진 후보는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표와 함께 민주노동당을 창당해 진보정당활동을 하며 16대 총선에서 만 29세의 나이로 도전해 13.26%라는 높은 득표율을 보여주었던 경쟁력 있는 후보로 평가받았다.[11]

선거 상황은 이수희 후보가 막판까지 따라가 접전을 벌였지만, 5.67% 차이로 최규식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3.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동, 삼각산동, 삼양동, 송중동, 송천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홍렬(安鴻烈) 32,009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56% 낙선
2 유대운(劉大運) 40,755 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54.19% 당선
6 홍성남(洪性南) 2,441 4위


[[국민생각|
파일:국민생각 흰색 로고타입.svg
]]
3.24% 낙선
선거인 수 146,336 투표율
51.85%
투표 수 75,876
무효표 수 671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강북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안홍렬 유대운 격차
전체 41.9% 55.1% 13.2%p
현역 민주통합당 최규식 의원이 일명 '청목회 사건'으로 기소돼 1심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으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최규식 의원은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당의 위기 극복과 쇄신을 위해 불출마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노무현 재단 기획의원 출신인 유대운 후보가 출마했다. 유대운 후보의 이력이 특이한데, 충남 서산의 부성국민학교를 졸업하고 무작정 상경해 중국집 배달부나 건설회사 인부로 일하다가 임금을 떼이며 열악한 노동환경에 눈을 뜨고 노동운동에 투신했으며, 강북 서민주택진위원회 위원장과 번동철거보상대책위원회 위원장등을 맡으며 지역기반을 다지다가 정계에 입문했다.

정계 입문 이후 서울시의회 부의장을 지내다가, 잠시 정계를 떠났지만 노무현재단 기획위원을 맡으며 복귀했다. 이런 이력에 언론에서는 그를 브라질 대통령 룰라에 비교하기도 했다.

유대운 후보는 "강남북간 교육·복지·지역개발 격차의 원인은 재산세 불균형으로 인한 세수 차이"라며 "국회에 등원하면 현재 50%인 재산세 공동과세 비율을 100%로 올려 지역 격차를 줄이기 위한 재원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17대 총선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던 검사, 변호사 출신의 안홍렬 후보가 다시 나섰지만 유대운 후보에게 11.63%p 차이로 패했다. 유대운 후보는 중국집 배달부로 시작해 국회의원에 당선돼 성공 스토리를 이어갔다.[12]

3.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동, 삼각산동, 삼양동, 송중동, 송천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홍렬(安鴻烈) 27,809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5.18% 낙선
2 박용진(朴用鎭) 40,373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08% 당선
3 조구성(趙求星) 10,849 3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13.72% 낙선
선거인 수 141,334 투표율
56.67%
투표 수 80,095
무효표 수 1,06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강북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안홍렬 박용진 격차
전체 37.5% 48.1% 10.6%p
더불어민주당의 현역 유대운 의원과 박용진 더민주 정책위 부의장이 경선을 벌였는데, 32.8%의 압도적인 차이로 박용진 부의장이 현역 유대운 의원을 꺾었다.

박용진 부의장은 민주노동당 창당에 기여하고, 16대, 18대 총선에 이 지역에서 출마해 1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렸던 인물이다. 진보정당 활동을 하며 야권통합을 했다.

이후 시민통합당 창당에 함께했다가 민주당과 합당하면서 입당했다. 당 대변인과 홍보위원장을 거쳐 정책위 상근 부의장이 되었고, 종편 등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3.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동, 삼각산동, 삼양동, 송중동, 송천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용진(朴用鎭) 57,013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4.45% 당선
2 안홍렬(安鴻烈) 30,708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71% 낙선
7 좌태홍(左太弘) 737 3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83% 낙선
선거인 수 137,495 투표율
65.19%
투표 수 89,639
무효표 수 1,181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4ea2> 21대 총선 서울 강북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용진 안홍렬
득표수
(득표율)
57,013
(64.45%)
30,708
(34.71%)
+26,305
(△29.74)
89,639
(65.19%)
미아동[A] 65.02% 34.13% △30.89 62.51
삼각산동[B] 65.03% 34.32% △30.71 70.49
삼양동[c] 63.80% 35.37% △28.43 58.41
송중동[D] 63.32% 35.91% △27.41 60.24
송천동 61.72% 37.26% △24.46 60.23
번3동[E] 61.13% 37.93% △23.20 64.68
후보 박용진 안홍렬 격차
거소·선상투표 56.11% 41.66% △14.44
관외사전투표 72.87% 26.19% △46.68
재외투표 67.17% 31.29% △35.88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강북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박용진 안홍렬 격차
전체 63.0% 36.4% 26.6%p
위에 서술했듯이 이 지역은 원래부터 아파트 지역을 감안하더라도, 진보세가 강하고 유치원 3법으로 몸값을 올린 박용진 후보가 지난 총선 국민의당 후보가 받은 표를 산술적으로 완전히 흡수하며 무려 64.45%(!) 라는 매우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8] 전 지역 모든 투표소에서 이겼으며, 삼각산동에서는 무려 5,233표 차이로 안홍렬 후보를 크게 앞질렀다.

3.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강북구 을
미아동, 삼각산동, 삼양동, 송중동, 송천동, 번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한민수(韓民洙) 44,623 1위

파일:zsdkl3gasdg.svg
52.94% 당선
2 박진웅(朴振雄) 34,989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1.51% 낙선
6 이석현(李錫玄) 4,672 3위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svg
5.55% 낙선
선거인 수 128,295 투표율
65.69%
투표 수 84,284
무효표 수 1,303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서울 강북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민수 박진웅
득표수
(득표율)
44,623
(52.94%)
34,989
(41.51%)
+9,634
(△11.43)
84,284
(65.69%)
미아동[A] 53.99% 40.64% △13.35 62.53
삼각산동[B] 51.69% 42.15% △9.54 71.17
삼양동[c] 52.92% 41.83% △11.09 60.50
송중동 50.17% 44.18% △5.99 59.85
송천동[D] 50.81% 43.58% △7.23 61.22
번3동[E] 50.01% 45.02% △4.99 65.38
후보 한민수 박진웅 격차
거소·선상투표 50.36% 38.68% △11.68
관외사전투표 61.33% 33.29% △28.04
재외투표 71.53% 24.23% △47.30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강북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한민수 박진웅 격차
전체 56.8% 38.5% 18.3%p
박용진 의원이 별 일이 없다면 3선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초강세 지역구이지만 소장파인 현역 의원에 대한 친명 세력의 반대가 큰 지역구이다.

또한, 8회 지선 당시 박용진이 본인의 최측근 최선을 강북구청장 후보자로 공천[24]하려다 이에 강력 반발한 지역 당원들에 의해 경선으로 전환되어 이순희가 대신 공천받은 바 있다. 이 일로 지역 내 당원들이 박용진에 대한 불신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리고 의원평가 하위 10% 통보를 받으면서 공천을 받기 힘들어졌다.
중앙당 전략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승훈 법무법인 금성 변호사가 출마를 선언했다. 이 변호사는 당내 친명 강성세력 '퇴진과 혁신' 모임에 이름을 올렸다.
21대 총선에서 금태섭 전 의원에 대한 저격성 출마를 시도했던 적이 있는 정봉주 민주당 교육연수원장도 전 지역구였던 노원 갑과 인접한 지역구라는 이유로 출마설이 돌았다. 실제로 1월 8일, 강북구 을 출마를 선언했다.
2024년 2월 23일 박용진 의원, 정봉주 전 의원, 이승훈 변호사가 경선을 펼쳐 3월 6일 경선 결과 박용진 의원과 정봉주 전 의원이 결선을 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결선 결과 정봉주 전 의원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군인 조롱 등 과거 발언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되었다.
이후 3월 15일 최고위에서 전략 선거구로 지정하고 전략 경선을 실시하기로 하면서 3월 17일, 박용진 의원과 조수진 노무현재단 이사의 양자 경선이 결정되었다. 결국 조수진 후보가 승리해 공천이 확정되었다.

이어 해당 경선에 대해 이재명 대표는 "가·감산을 안 한 상태에서 박 의원이 30.08%, 조 후보가 69.93%이었고 가·감산하면 19.4%대 80.6%이었다고 한다"며 박용진 의원과 조수진 변호사의 득표율을 공개했다. #

그러나 조수진 후보의 변호 이력 관련 논란이 다수의 언론 보도를 타자 결국 3월 22일 새벽, 조수진 후보는 후보직에서 사퇴 의사를 밝힌다. 이 날이 후보자 등록 마감일이었기 때문에 민주당은 이 날 오후 6시 안으로 신속하게 후보자를 공천하여 등록해야 했던 상황이었고, 가까스로 한민수 대변인을 최종적으로 전략공천했다.

공천은 그렇게 끝났지만, 조수진의 변호 이력 논란에 관한 언론 보도는 자극적·악의적으로 부풀려졌다는 사실이 그 이후에 드러나며 언론이 자행한 사건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상대측에서 평범한 네거티브용으로 써먹을 만한 수준이지 후보 사퇴할 정도의 문제 행위를 저지른 적이 결코 없었는데 언론이 후보자 등록 마감을 앞두고 대대적으로 부풀려 보도하자 부담을 느끼고 사퇴한 것이었다. 조수진 허위보도로 인한 국회의원 후보 사퇴 사건 문서 참고.

국민의힘은 이곳에 계속 출마하던 안홍렬 변호사는 사무실을 구로구 오류동 (구로구 갑)으로 옮긴 후 그 곳에서 주민과 소통 정치를 하며 국회에 입성하겠다고 밝히면서 더 이상 강북에 출마할 가능성은 없어졌다. #

국민의힘 입장에서 험지를 넘어, 사지에 가까운 지역인 이곳에 굳이 출마하려는 영입 인재가 있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애초에 이곳은 제2공화국 시절부터 소선거구제에서는 민주당계 정당만 당선된 지역구이다.[25]
홍성남 강북포럼 대표의 출마 가능성도 있다. 홍 대표는 중앙당 중앙위원회 문화관광분과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에서 18대 총선 이래 계속 출마하던 안홍렬 변호사가 구로구 오류동으로 주소지를 옮기게 되면서 새로운 후보가 출마하게 되었다.

홍성남 강북포럼 대표와 임영신 전 미아동 주민자치회 회장이 출마를 선언했지만, 2024년 2월 21일, 강북구 갑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천준호 의원의 대항마로 전상범 후보가 공천을 받아 낙마했던 박진웅 전 대통령실 행정관을 전략공천했다.

새로운미래에서는 비례대표를 신청했다가 컷오프 된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이 후보등록 2시간여를 남겨두고 돌연 “박용진의 뜻을 받들 것”이라면서 전격 출마를 선언했다. #

공교롭게도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후보와 새로운미래 이석현 후보는 전북 익산시 갑에서 출마를 준비하다 서울 강북구 을에서 맞붙게 되었다.

개표 결과 새로운미래 이석현 후보와의 민주당 지지층 표 분산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한민수 당선인이 두 자릿수 득표율 차이로 여유롭게 당선됐다.

다만 잦은 후보 교체로 인한 반감이 없진 않았는지, 이전 선거에 비해 민주당 한민수 후보가 적은 득표율을 받고 국민의힘 박진웅 후보가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긴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나머지 하나는 바로 광진구 을이다. 다른 민주당 텃밭 중 구로구 을은 15대와 2001년 하반기 재보궐에서, 은평구 갑은 16대에서 보수정당에게 의석을 내줬다.[2] 다만 조순형은 전신인 도봉구 병(현 강북구 을 일부 지역)까지 포함하면 3선을 하였다. 물론 강북구 을로만 한정하면 재선까지 지냈다.[3] 현재의 강북구 지역(당시 고양군 숭인면)은 1949년 서울로 재편입되면서 신설 성북구 관할로 들어갔다.[4] 강조된 부분이 현 강북구 갑 지역(번3동은 강북구 을)이다.[5] 1973년 7월 1일부로,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 창동, 월계동, 쌍문동, 상계동, 중계동, 도봉동, 방학동, 공릉동, 하계동이 도봉구로 분구되어, 국회의원 선거구도 이에 맞게 종전의 성북구 선거구에서 도봉구 선거구로 분구되었다.[6] 1980년 8월 27일에 사직하였다.[7] 기존의 도봉구 갑은 창1~5동을 받는 대신 쌍문1동과 쌍문3동을 제외한 쌍문2동, 쌍문4동과 방학1~3동, 도봉1·2동을 도봉구 을로 이관했다. 사실상 도봉구 을 선거구를 새로 분구한 셈.[8] 지금의 강북구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9] 당연히 그 이기택과는 동명이인이다.[10] 이수희는 이후 아예 강동구로 기반을 옮겼으며 강동구청장에 당선된다.[11] 박용진은 이후 민주당에 입당해 재선 의원을 지낸다.[12] 놀랍게도 그가 이 지역구 첫 과반 당선이다. 그간 매번 다자 구도로 당선자 득표율이 낮았기 때문.[A] 성신여자대학교 미아운정그린캠퍼스가 있는 동네이자, 다세대주택들이 밀집해있는 동네.[B] 미아뉴타운으로 조성된 동네.[c] 벽산 라이브파크가 있는 동네이자 다세대주택들이 밀집해있는 동네.[D] 꿈의숲 롯데캐슬, 꿈의숲 해링턴 플레이스 등의 아파트들과 다세대주택이 공존해있는 동네.[E] 북서울꿈의숲이 위치한 동네이자, 번동주공아파트 1~3단지 등 아파트들이 밀집해있는 동네.[18] 감이 오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첨언하자면 21대 총선 서울 지역 중 두 번째로 높은, 서울 지역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중에서는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A] [B] [c] [D] [E] [24] 상술했듯 공천 논란 때문에 원래는 쉽게 이길 수 있었던 걸 이순희가 400여 표 차이의 신승을 거두었다.[25] 상술한 공천 잡음과 윤석열 대통령 취임 4주차 허니문으로 400여표차로 이순희가 신승한거지, 원래는 20대 대선에서도 국민의힘이 9% 차이로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