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2:37:28

광진구 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광진구/정치
,
,
,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용산
곽상언 전현희 박성준 권영세
광진 갑 광진 을
이정헌 고민정 안규백 장경태
중랑 갑 중랑 을 성북 갑 성북 을
서영교 박홍근 김영배 김남근
강북 갑 강북 을 도봉 갑 도봉 을
천준호 한민수 김재섭 오기형
노원 갑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우원식 김성환 박주민 김우영
마포 갑 마포 을
김동아 김영호 조정훈 정청래
양천 갑 양천 을 강서 갑 강서 을
황희 이용선 강선우 진성준
강서 병 구로 갑 구로 을 금천
한정애 이인영 윤건영 최기상
동작 갑 동작 을
채현일 김민석 김병기 나경원
관악 갑 관악 을 서초 갑 서초 을
박민규 정태호 조은희 신동욱
강남 갑 강남 을 강남 병 송파 갑
서명옥 박수민 고동진 박정훈
송파 을 송파 병 강동 갑 강동 을
배현진 남인순 진선미 이해식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동, 능동
廣津區 甲
Gwangjin A
}}}
파일:국회선거구 광진구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50,187명 (2024)
상위 행정구역 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진구 일부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국회의원
이정헌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한 선거구. 현역 국회의원은 무소속 전혜숙 의원이다.

2. 분석

강북에서 마포구, 용산구, 중구, 성동구와 함께 한강벨트로 묶이는, 일명 스윙보터로 불리는 지역. 2010년대 이후로 민주당 우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8회 지방선거에서는 오세훈의 득표가 앞섰던 지역이다.

광진구의 북부 지역으로 5호선, 7호선과 인접한 행정동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 구성이 다양한 편인데, 군자역이 있는 능동과 중곡역이 있는 중곡동의 경우 원래 대형 개인주택 위주의 상류층 거주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나, 2010년대로 들어서면서 기존의 대형 개인주택들이 점점 철거되고 원룸, 투룸 신축이 대대적으로 진행 중이기 때문에 주민 평균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뉴타운 총선으로 불렸던 18대 총선 이후로는 민주당계 정당이 19, 20, 21대 연속으로 국회의원 당선자를 배출하였다. 한강을 접하고 있는 광장동은 이 지역구에서 보수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비고
성동구 을[1]
13대 조세형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4대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광진구 갑
15대 김상우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16대 김영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2]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 권택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김한길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전혜숙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2대 이정헌
2024년 5월 30일 ~

3.1. 광진구 갑 (1996~현재)

3.1.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춘(金榮春) 22,309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7.93% 낙선
2 김상우(金翔宇) 23,636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29.59% 당선
3 강수림(姜秀淋) 12,321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5.42% 낙선
4 박종철(朴宗喆) 8,785 5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0.99% 낙선
5 김도현(金道鉉) 12,17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5.24% 낙선
6 이태희(李泰熙) 650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81% 낙선
선거인 수 132,766 투표율
61.1%
투표 수 81,124
무효표 수 1,250
김영삼 전 대통령의 보좌관 출신인 신한국당 김영춘 후보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관 출신인 국민회의 김상우 후보가 맞붙으면서 양김의 대리전 양상을 띄었고, 여기에 이 지역 현역의원인 통합민주당 강수림 후보와 문체부 차관 출신인 무소속 김도현 후보까지 출마하면서 여권과 야권이 모두 분열된 4파전 구도로 진행되었다. 개표 결과는 1,300여 표차로 김상우 후보의 승리. 여담으로 환빠 정치인으로 유명한 이태희한나라당 공동대표가 처음 출마한 선거이기도 하다.

3.1.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춘(金榮春) 37,446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0.79% 당선
2 김상우(金翔宇) 30,518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1.40% 낙선
3 박명진(朴明鎭) 2,797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79% 낙선
4 정은희(鄭恩喜) 2,953 3위


파일:청년진보당 글자.svg
4.00% 낙선
선거인 수 136,953 투표율
54.30%
투표 수 74,368
무효표 수 654

3.1.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홍희곤(洪憙坤) 35,646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62% 낙선
2 임동순(任東淳) 6,167 3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7.02% 낙선
3 김영춘(金榮春) 44,519 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50.73% 당선
4 김광해(金光海) 78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89% 낙선
5 마석구(馬錫九) 424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48% 낙선
6 최낙성(崔洛誠) 214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24% 낙선
선거인 수 144,174 투표율
61.37%
투표 수 88,476
무효표 수 723
한국일보 기자 출신인 한나라당 홍희곤 후보와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열린우리당에 합류한 김영춘 의원이 맞붙었다. 서울시의원 출신인 새천년민주당 임동순 후보도 출마했다.

한국일보 기자를 거쳐 이회창 후보 보좌역, 한나라당 제2창당 준비위 위원을 역임했던 홍희곤 후보는 "국민을 갈라놓는 정치, 편을 나누고 대립시키는 선동의 정치를 끝내야 한다"며 탄핵역풍 돌파를 다짐했다.

문민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실 정무비서관을 지냈으며 현역의원으로 4년간 지역구를 탄탄히 다져온 열린우리당 김영춘 후보는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국민소환제 입법과 위해식품 제조ㆍ판매 근절, 초ㆍ중ㆍ고교 신설을 통한 장거리 통학문제 등을 해결하겠다"며 생활 정치를 강조했다.

현역 김영춘 의원이 10.11% 차이로 승리해 재선에 성공했다.

3.1.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임동순(任東淳) 22,123 2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35.77% 낙선
2 권택기(權宅起) 33,255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3.77% 당선
3 김준교(金俊敎) 4,425 3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7.15% 낙선
6 김영준(金榮俊) 2,034 4위


[[평화통일가정당|
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3.28% 낙선
선거인 수 145,896 투표율
42.90%
투표 수 62,594
무효표 수 757
현역 김영춘 의원이 이 지역에 불출마한 상황에서[3] 통합민주당 후보로는 민주통합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부위원장인 임동순 후보가 출마했고, 한나라당 후보로는 한나라당 미래연대 사무처장이었던 권택기 후보가 출마했다. 자유선진당에서는 김준교 후보가 나섰다.

4명의 후보가 모두 국립서울병원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권택기 후보는 복개천 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임동순 후보는 이에 반대했다. 다른 후보들은 30년 이상 이 지역에서 태어나거나 활동한 점을 내세웠지만 권택기 후보는 지역에 전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이 약점이었다. 그러나 "1990년 중곡동 반지하방에서 자취생활을 시작했고,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결혼도 하고 첫 아이를 본 곳도 광진구"라고 주장했다. 임동순 후보는 낙후된 광진구의 발전을 위해 자신을 뽑아달라고 주장했다.

결과는 권택기 후보의 압승이었다. 임동순 후보를 18% 차이로 제치고 당선에 성공했다.

3.1.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송학(鄭松鶴) 37,902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4.55% 낙선
2 김한길(金한길) 44,334 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52.11% 당선
6 김용(金勇) 2,84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33% 낙선
선거인 수 150,634 투표율
56.77%
투표 수 85,519
무효표 수 443
새누리당 정송학 후보와 민주통합당 김한길 전 의원의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김한길 후보는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구로구 을에서 3선에 성공했으나,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고, 18대 총선에서는 불출마했었다. 이 지역의 전혜숙 후보가 금품 논란에 휩싸이자 민주통합당이 공천을 취소하고 야인으로 있던 김한길 전 의원을 전략공천했다.

김한길 후보는 이 지역의 숙원사업인 국립서울병원 문제는 18대 권택기 의원의 공약이고 당시 서울시장도 한나라당 오세훈, 구청장도 한나라당 소속인데[4] 왜 해결하지 못하느냐며 추진능력에 의문을 던졌다. 이에 정송학 후보는 쉽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5만 2천평의 동시개발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병원부지 중심부터 먼저 개발하자고 했다.

김한길 후보가 7.56% 차이로 정송학 후보를 제치고 4선에 성공, 원내로 복귀하게 되었다.

3.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송학(鄭松鶴) 33,445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94% 낙선
2 전혜숙(全惠淑) 35,855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67% 당선
3 임동순(任東淳) 17,573 3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93% 낙선
5 이정희(李廷姬) 770 4위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파일: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흰색 로고타입.svg
]]
0.87% 낙선
6 백승원(白承元) 507 5위


[[한나라당(2014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
0.57% 낙선
선거인 수 152,431 투표율
58.51%
투표 수 89,191
무효표 수 1,041
20대 총선 광진구 갑 개표 결과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송학 전혜숙
득표수
(득표율)
33,445
(37.94%)
35,855
(40.67%)
-2,410
(▼2.73)
58.51%
중곡1동 37.29% 39.42% ▼2.13 53.93
중곡2동 36.74% 41.28% ▼ 4.54 54.67
중곡3동 39.46% 37.48% △1.98 51.41
중곡4동 38.70% 39.35% ▼0.65 55.98
능동 34.14% 45.47% 11.33 57.65
구의2동 39.00% 38.67% △0.33 55.84
광장동 40.80% 40.59% △0.21 64.35
군자동 35.94% 42.44% ▼6.50 55.02
후보 정송학 전혜숙 격차
거소·선상투표 47.67% 28.48% △19.19
관외사전투표 34.20% 44.25% ▼10.05
국외부재자투표 22.18% 67.91% 45.73
현역 김한길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으로 가면서 상황이 변했다. 19대 총선에서 금품 의혹으로 낙천된 전혜숙 전 의원이 2013년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음으로써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나서게 되었다. 전혜숙 후보는 2014년 지방선거에서 광진구청장 후보 공천을 신청했다가 낙천했다. 이를 당시 대표였던 김한길 의원의 압박 탓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연대나 단일화는 어려운 상황이라 3자구도가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에서는 19대 총선에서 패했던 정송학 전 구청장이 다시 출마했다. 새누리당의 전지명 수석대변인도 예비후보를 신청했지만, 경선에서 정송학 후보가 승리해 공천되었다. 총선 한달전 여론조사에서는 정송학 후보가 전혜숙, 김한길 후보를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김한길 의원이 당과 갈등으로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전혜숙, 정송학 후보와의 대결은 성사되지 않았고, 국민의당에서는 임동순 후보가 나오게 되었다.

3.1.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혜숙(全惠淑) 56,608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3.68% 당선
2 김병민(金炳玟) 42,822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60% 낙선
3 임동순(任東淳) 1,842 4위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1.74% 낙선
6 오봉석(吳奉錫) 3,690 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3.49% 낙선
7 이승욱(李丞勖) 492 5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46% 낙선
선거인 수 156,559 투표율
68.03%
투표 수 106,506
무효표 수 1,052
21대 총선 서울 광진구 갑 개표 결과
<colbgcolor=#eee,#353535>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전혜숙 김병민
득표수
(득표율)
56,608
(53.68%)
42,822
(40.60%)
+ 13,786
(△13.08)
106,506
(66.44%)
중곡1동 55.79% 37.26% △18.53 63.01
중곡2동 55.05% 38.81% △16.24 62.99
중곡3동 53.19% 40.78% △12.41 62.00
중곡4동 53.81% 40.12% △13.69 65.67
능동 55.40% 38.15% △17.25 67.69
구의2동 54.05% 40.79% △13.25 65.67
광장동 46.00% 50.07% ▼4.07 73.31
군자동 54.26% 39.29% △14.97 62.54
후보 전혜숙 김병민 격차
거소·선상투표 39.47% 46.84% ▼7.37
관외사전투표 61.75% 32.15% △29.60
재외투표 70.33% 26.31% △44.02
광진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colbgcolor=#eee,#353535>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1위/2위)
후보 전혜숙 김병민
SK 53.77% 40.94% △12.83
래미안 파크 스위트 48.21% 48.08% △0.13
현역 전혜숙 의원이 재출마 의사를 보였고, 김용한 광진느루길 대표와 경선 끝에 전혜숙이 공천을 받고 예비후보로 등록하면서 3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김광수 건축사사무소 으뜸 대표, 김오진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전지명 전 당협위원장, 정송학 전 광진구청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지만 청년공천 지정 지역이 되어 김병민 경희대 객원교수가 전략공천이 되었다.

민생당에서는 임동순 전 서울시의회 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정의당에서는 오봉석 직접민주주의포럼 대표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결과, 출구조사에서는 전혜숙 후보가 김병민 후보에게 3% 이내로 앞서는 경합으로 분류되었으나, 개표 결과가 더욱 벌어져서 전혜숙 후보가 13.08% 차이로 여유롭게 당선되었다.[5] 김병민 후보는 아파트 단지에서도 광진 동양파라곤 1단지 아파트에서만 이겼을 뿐 전부 졌다. 그래도 당시 미래통합당이 젊은층 우대(?)한답시고 서울에 젊은 후보자들 꽂은 지역들 중에서는 40%를 넘긴 드문 후보였다.[6]

3.1.8.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광진구 갑
군자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능동, 광장동, 구의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정헌(李政憲) 54,105 1위

52.53% 당선
2 김병민(金炳玟) 48,881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7.46% 낙선
선거인 수 150,187 투표율
69.50%
투표 수 104,311
무효표 수 1,325
22대 총선 서울 광진구 갑 개표 결과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정헌 김병민
득표수
(득표율)
54,105
(52.53%)
48,881
(47.46%)
+5,224
(△5.07%)
104,311
(69.5%)
중곡1동 54.91% 45.09% △9.82 64.12
중곡2동 53.55% 46.45% △7.1 64.21
중곡3동 51.06% 48.94% △2.12 63.94
중곡4동 51.80% 48.20% △3.6 67.15
능동 55.35% 44.65% △10.7 65.83
구의2동 53.39% 46.61% △6.78 66.74
광장동 43.56% 56.44% ▼12.88 74.00
군자동 53.52% 46.48% △7.04 61.80
후보 이정헌 김병민 격차
거소·선상투표 48.52% 51.47% ▼2.95
관외사전투표 61.21% 38.78% △22.43
재외투표 72.60% 27.39% △45.21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낙연계인 전혜숙 의원이 4선에 도전할 것으로 보이지만,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오현정 전 서울시의회 의원도 경선 도전장을 내밀었다. 또한 박성오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과 이정헌 전 JTBC 앵커도 광진구 갑 선거구 예비후보 등록을 했다. 문종철 전 서울시의원도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2024년 2월 23일 더불어민주당은 전혜숙 의원과 이정헌 전 JTBC 앵커가 경선을 치른다고 밝혔다. 3월 6일 이정헌 전 JTBC 앵커가 공천을 받게 됐다.

이후 3월 11일, 전혜숙 의원이 탈당하였다. 이낙연이 당 대표로 있는 새로운미래에 합류할것으로 예상했으나, 본인이 거부했다.[7]

국민의힘에서는 지난 총선에도 출마한 김병민 전 최고위원이 큰 변수가 없는 한 공천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주영 변호사도 공천신청을 했지만, 결국 김병민 전 최고위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출구조사 결과 이정헌이 54.1%, 김병민이 45.9%로 이정헌이 우세를 보였으나 막상 개표를 시작해보니 김병민과 접전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막판에 관외사전투표함이 개봉되면서 이정헌이 표차를 급격히 벌림으로서 이정헌이 신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김병민도 보수험지 광진구 갑에서 47.46%라는 득표율을 기록함으로서 인물론에서 밀리지 않았음을 증명하였다.

[1] 1995년 광진구 신설 이전까지 성동구 선거구에 포함되어 있었다. (군자동, 화양동 한정)[2] 2003년 한나라당 탈당 열린우리당 입당[3] 이후 잠시 정계와 거리를 두고 야인으로 있다가 19대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를 부산의 부산진구 갑으로 옮겼고, 해당 지역구에서 기반을 다진 끝에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당선된다.[4] 다만, 해당 총선 당시엔 막 바뀐 서울시장과 광진구청장 자리는 모두 비 보수계열 인사들(박원순, 김기동)이 차지하고 있었다.[5] 광장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승리하였다.[6] 당시 서울에서 40%를 넘긴 보수쪽 젊은 정치인은 김병민 외 노원병 이준석, 도봉갑 김재섭 3명 뿐이었다고 한다.[7] 경선 불복에 의한 탈당이라 지역구 출마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