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D50037>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nopad> 강릉시 | ||||
| 강릉시외 | 강릉고속 | 주문진 | 강릉아산병원 | 삽당령 | |
| <nopad> 동해시 | <nopad> 삼척시 | ||||
| 동해 | 삼척시외 | 삼척고속 | 호산 | 임원 | |
| <nopad> 속초시 | <nopad> 원주시 | ||||
| 속초시외 | 속초고속 | 설악산입구 | 원주종합 | 문막 | |
| <nopad> 춘천시 | <nopad> 태백시 | <nopad> 고성군 | |||
| 춘천시외 | 춘천고속 | 태백 | 간성 | 거진 | |
| <nopad> 고성군 | <nopad> 양구군 | <nopad> 양양군 | |||
| 대진 | 양구 | 양구정중앙 | 양양 | 낙산 | |
| <nopad> 양양군 | |||||
| 장수대 | 한계령 | 오색 | 손양 | 하조대 | |
| <nopad> 양양군 | <nopad> 영월군 | ||||
| 인구 | 남애 | 영월 | 상동 | 주천 | |
| <nopad> 인제군 | |||||
| 인제 | 원통 | 현리 | 상남 | 서화 | |
| <nopad> 정선군 | <nopad> 철원군 | ||||
| 정선 | 고한사북 | 동송 | 신철원 | 와수 | |
| <nopad> 평창군 | <nopad> 홍천군 | ||||
| 평창 | 장평 | 진부 | 횡계 | 홍천 | |
| <nopad> 화천군 | <nopad> 횡성군 | ||||
| 화천 | 횡성 | 둔내 | 안흥 | 횡성휴게소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eb612a><colcolor=#ffffff><tablebgcolor=white,#191919>철도 | 강릉역 · 정동진역 | ||||
| 영동선 | 강릉역 · 정동진역 | |||||
| | ||||||
| 도로 | 고속도로 | |||||
| 국도 | 6 · 7 · 35 · 59 | |||||
| 지방도 | 410 · 415 · 456 | |||||
| 버스 | 시내버스 | 강릉시 시내버스 | ||||
| 시외 · 고속버스 | 강릉시외버스터미널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주문진공영버스터미널 | |||||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 항만 | 무역항 | 옥계항 | ||||
| 연안항 | 주문진항 | |||||
| 어항 | 강릉항 외 10개소 | |||||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 }}}}}}}}} | |||||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江陵高速停留場 | Gangneung Express Bus Terminal | |
| <colcolor=#fff> 다국어 표기 | |
| 영어 | Gangneung Express Bus Terminal |
| 중국어 | 江陵高速巴士客运站 |
| 일본어 | 江陵高速バスターミナル |
| 주소 | |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슬라로 15 (홍제동) | |
| 터미널 코드/행선지 표기 | |
| 200 / 강릉 | |
| 운영사 | |
| 동부고속 | |
| 개업일 | |
| 1976년 (강릉고속버스터미널 개업) 1995년 7월 (홍제동 이전) | |
| 운영 노선(행선지) | |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노선 | |
| 연계 철도역 | |
| 강릉역 | |
| 홈페이지 | |
| | |
| <nopad> | <nopad> |
| <rowcolor=white> 터미널 입구 | 승차장 |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홍제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강릉시외버스터미널과 건물 자체는 별도이지만, 가운데에 광장을 공유하고 있고 뒤쪽으로 반원형 구조물로 연결되어 있는 디자인이라 사실상 한 건물이다. 그 이유는 터미널을 만들었을 당시에는 강원여객과 동부고속이 한 회사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속/시외터미널을 묶어서 강릉종합터미널이라고도 한다.터미널에 동부화재, 동부생명, 동부증권 간판이 달려있는 반면에 동부고속이 2014년 동부그룹에서 독립해서 강릉고속버스터미널은 현재 DB그룹이랑 관련이 없고, 시외버스터미널만 관련이 있다. 그런 이유 때문에 DB로 이름이 변경되었지만 구 명칭이 유지되고 있다.
2. 고속버스 노선
- 프리미엄 : 마일리지 적립 불가능하지만 사용은 가능하다.
| | | |
| 일반 (시외/고속) | 우등 (시외/고속) | 프리미엄 (시외/고속) |
| 수도권 | |||||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
| 횡성휴게소 서울 | 일 23회 (월~금) 일 24회 (토) 일 25회 (일) | 동부고속 중앙고속 |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경포해변·강릉발 서울행 |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 가톨릭관동대학교 | 발권불가 | ||||
| 횡성휴게소 | 0:55 | ₩ 9,700 (우등) | |||
| 서울(경부) | 2:50 | ₩ 24,600 (우등) ₩ 28,700 (프리미엄 (월~목)) ₩ 30,300 (프리미엄 (금~일, 공휴일)) ₩ 34,400 (심야프리미엄 (월~목)) ₩ 36,300 (심야프리미엄 (금~일, 공휴일)) | |||
| 운행시각표 (월~금) | 06:00, 06:40, 07:20, 08:00, 08:40, 09:20(관동대 경유), 10:00, 11:00, 12:00(관동대 경유), 13:00, 13:40(홀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4:00(경포해변 발), 14:20(관동대 경유), 15:00(짝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5:20(경포해변 발), 15:40(관동대 경유), 16:20(홀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7:00(짝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8:00(관동대 경유), 19:00, 20:00, 21:00(관동대 경유), (심야) 22:00 | ||||
| 운행시각표 (토) | 06:00, 06:40, 07:20, 08:00, 08:40, 09:20(관동대 경유), 10:00, 11:00, 12:00(관동대 경유), 13:00, 13:40(홀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4:00(경포해변 발), 14:20(관동대 경유), 14:40, 15:00(짝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5:20(경포해변 발), 15:40(관동대 경유), 16:20(홀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7:00(짝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8:00(관동대 경유), 19:00, 20:00, 21:00(관동대 경유), (심야) 22:00 | ||||
| 운행시각표 (일) | 06:00, 06:40, 07:20, 08:00, 08:40, 09:00, 09:20(관동대 경유), 10:00, 11:00, 12:00(관동대 경유), 13:00, 13:40(홀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4:00(경포해변 발), 14:20(관동대 경유), 15:00(짝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5:20(경포해변 발), 15:40(관동대 경유), 16:20(홀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7:00(짝수달 한정 경포해변 발), 18:00(관동대 경유), 19:00, 20:00, 20:30, 21:00(관동대 경유), (심야) 22:00 | ||||
| 고속버스 서울경부-강릉·경포해변 참조. 08:00 ~ 20:30 횡성휴게소 발권이 가능하다. (프리미엄 제외) 2024년 5월 3일부터 동부고속의 우등고속 한정으로 일부 시간대에 경포해수욕장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하였다. 2025년 9월 1일부터 일 6회 한정 가톨릭관동대학교를 경유한다. 동시에 일반고속은 철수하였다. 전 등급 학생 할인이 적용되나, 프리미엄은 대학생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강릉선 KTX 개통 후 운행 횟수가 감회되었다. 따라서 이 시간대 이외에 서울과 강릉을 오가려면 강릉역으로 가야 한다. | |||||
| 횡성휴게소 동서울 | 일 9회 | 동부고속 (프리미엄) 중앙고속 (우등) |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강릉발 동서울행 |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 횡성휴게소 | 0:55 | ₩ 9,700 (우등) | |||
| 동서울 | 2:30 | ₩ 22,300 (우등) ₩ 25,200 (프리미엄) | |||
| 운행시각표 | 06:20, 08:10, 10:00, 11:50, 14:00, 15:50, 17:40, 19:00, 20:40 | ||||
| 고속버스 동서울-강릉 참조. 첫차 제외 전 시간대 횡성휴게소 발권이 가능하다. (프리미엄 제외) 우등 한정 학생 할인이 적용된다. 2024년 2월 5일부터 동부고속 한정으로 프리미엄 버스가 일 3회 투입되었다. 현재는 모든 시간대에서 우등과 프리미엄이 매일 번갈아가며 운행한다. 동일 노선에 동서울 ↔ 강릉시외 노선이 운행 중이다. 시외버스, 강릉선 KTX와의 매우 심하게 피터지는 경쟁으로 막차가 다소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강릉역으로 가야 한다. | |||||
고양 | 일 5회 (월~목) 일 6회 (금~일) | 동부고속 중앙고속 |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강릉발 고양행 |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 주문진 | 발권불가 | ||||
| 고양(백석) | 2:50 | ₩ 26,600 (우등) | |||
| 운행시각표 (월~목) | 07:00, 10:00, 13:00, 15:00, 18:20 | ||||
| 운행시각표 (금~일) | 07:00, 09:00, 12:00, 14:10, 17:30, 19:40 | ||||
| 고속버스 고양백석-강릉 참조. 주문진 경유 후, 서울양양고속도로 경로로 운행하는 관계로 횡성휴게소를 경유하지 않는다. 학생 할인이 적용된다. | |||||
| 충청권 | |||||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
| 횡성휴게소 대전 | 일 3회 | 대원고속 |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강릉발 대전행 |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 횡성휴게소 | 0:55 | ₩ 9,700 (우등) | |||
| 대전 | 3:20 | ₩ 27,300 (우등) | |||
| 운행시각표 | 09:30, 15:00, 19:40 | ||||
| 고속버스 강릉-대전복합 참조. 전 시간대 횡성휴게소 발권이 가능하다. 본래 동부고속, 속리산고속이 운행했으나, 원주하고 동일하게 2010년 07월부터 대원고속으로 매각했다.
동일 노선에 대전 ↔ 강릉시외 노선이 운행 중이다. 시외버스와 운행 경로가 겹친다는 이유로 일 3회만 운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맞지 않으면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 |||||
2014년 6월 30일에 문산행 노선이 개통했는데 수요가 부족해 2016년 6월 15일 부로 문산행 노선에서 속리산고속이 철수하며 과거 대전 ↔ 강릉 노선 매각 이후 강원권 노선에서 다시 철수하게 됐다. 이후 경기고속이 김포를 추가로 경유하여 시외로 전환하여 운행하다가 이마저도 수요가 부족해 2018년 9월 1일 철수하면서 노선이 폐지됐다.
프리미엄 고속버스만 2회 운행했던 인천국제공항 - 양양 노선이 수요 저조 때문에 우등고속으로 다운그레이드되면서, 당시 해당 노선에 운행 중이던 동부고속의 실크로드 프리미엄형이 서울 ↔ 강릉 노선으로 이동했다. 이에 따라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증회됐다.[1]
강릉선 KTX의 개통 영향으로 승객이 35% 감소해서 서울 ↔ 강릉 노선이 감편되었고[2], 2018년 7월 2일 서울 ↔ 강릉 첫차부터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포함한 모든 차편에 중고생, 대학생 할인이 적용된다. 프리미엄 고속버스에 중고생, 대학생 할인이 적용된 것은 모든 노선 중 처음이라고 한다.
서울 ↔ 강릉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학생 할인이 적용된다.
2022년 01월부터 철산(속초 착발)(광명(KTX) 경유)의 노선이 수요 저조로 철수했다.
2022년 12월에 원주시외버스터미널과 원주고속버스터미널이 통합되면서 원주행 노선이 운행이 중지되었다.
3. 승차장
4. 접근성
터미널이 시 외곽에 있어서 시내와는 거리가 있지만, 시내버스가 잘 이어주기 때문에 접근성이 그렇게 떨어지지 않는다. 원래는 시외버스터미널과 함께 강릉역 근처에 있었는데 이곳으로 옮겨온 것. 강릉역 근처의 널찍한 주차장이 터미널이 있던 곳이고, 아예 이 근처 버스정류장 명칭도 '구터미널'이다.5. 둘러보기
| 매일신문미디어홀딩스 ・ 경북고속 (구)코리아와이드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rowcolor=#fff> 매일신문미디어홀딩스 | |
| 미디어 | 매일신문 ・ 시니어매일 ・ 매일애드 | |
| 임대 | 영남사림 ・ 아스톤에셋 ・ 에이케이스포츠 ・ MMH경산 | |
| 여객운수 | 동부고속 ・ 속리산고속 ・ 일선교통 | |
| 터미널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삼척고속버스터미널 · 제천고속버스터미널 · 양양종합여객터미널 ・ 대구북부정류장 ・ 동대구화물터미널 · 주문진공영버스터미널 | |
| <rowcolor=#fff> 경북고속 | ||
| 여객운수 | 경북고속 ・ 진안고속 ・ 대성고속 ・ 청주교통 ・ 대화교통 | |
| 터미널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동대구터미널 ·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
| <rowcolor=#fff> 분리된 계열사 | ||
| 여객운수 | 포항버스 ・ 포항마을버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