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p Hop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gray,#2d2f34><colcolor=#fff> 음악 | 힙합 음악 | 랩 | 비트메이킹 | DJ | 비트박스 |
음악적 분류 붐뱁, 트랩, 갱스타 랩, 지펑크, 크렁크, 코미디 힙합, 팝 랩, 컨셔스 힙합, 하드코어 힙합, 프로그레시브 랩, 익스페리멘탈 힙합, 랩 록, 뉴 메탈, 올드스쿨 힙합, 뉴스쿨 힙합, 얼터너티브 힙합, 트립 합, 재즈 랩, 래칫, 멈블 랩, 클라우드 랩, 이모 랩, 드릴, 레이지, 뉴재즈 | ||
지역적 분류 | ||
춤 | 스트릿댄스 | 비보잉 | 힙합 댄스 | |
미술 | 그래피티 | |
기타 | 역사 | 언더그라운드 힙합 | 디스전 | 한국 힙합 | 한국 힙합레이블 | 한국 힙합크루 |
힙합 Hip Hop | |
<colbgcolor=#4B5957><colcolor=#fff> 기원 | 장르 디스코, 훵크 등[1] |
지역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등장 시기 | 1973년 8월 11일 뉴욕 브롱스 |
악기 | 보컬, 샘플러, 드럼머신, 스테이지 피아노, 전자오르간(하몬드 오르간, 콤보 오르간), 신디사이저, 턴테이블 |
시대 | 1973년 ~ 현재 전성기 1990년대 초반 – 2020년대 초반[2] |
1. 개요
랩 음악(Rap music), 또는 힙합 음악(Hip hop music)은 기존의 젊은이들의 음악이었던 락 음악을 대체한 장르이며 팝 음악과 함께 서로 영향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으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그리고 현재 전 세계에서 젊은 세대에게 가장 인기있는 음악 장르이다.2. 특징
양아치 허세충 힙찔이들이나 하는 것이다.3. 역사
4. 힙합 음악의 하위 장르
미국 내에선 지역적으로 크게 동부(이스트코스트 힙합), 서부(웨스트코스트 힙합), 남부(서던 힙합), 중서부(미드웨스트 힙합) 계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간혹 서부 힙합 중에서 포틀랜드(오리건 주)와 시애틀(워싱턴 주) 중심의 북서부 힙합(퍼시픽 노스웨스트 힙합)을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북부 힙합(노던 힙합)은 메이저한 분류로 정의되진 않으며 간혹 디트로이트 중심의 힙합을 북부 힙합이라고 칭하는 정도다.4.1. 동부 힙합
4.1.1. 붐뱁
4.1.2. 재즈 힙합
4.1.3. 로파이 힙합
R&B풍의 부드럽고 차분한 로파이 사운드를 혼합한 동부 힙합의 하위 장르. 자세한건 문서를 참조.
4.1.4. 칩멍크 소울
극한으로 올린 나이트코어 사운드와 위의 로파이 힙합을 혼합한 동부 힙합의 하위 장르.
비트에 들어간 보컬 코러스가 앨빈과 슈퍼밴드의 다람쥐 엘빈 3형제가 노래하는거 같다고 해서 칩멍크 소울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비트는 주로 붐뱁 비트를 개량해서 만들었다. 칸예 웨스트가 Jay-Z의 The Blueprint, 자신의 데뷔 앨범인 The College Dropout에서 시도한 기법으로 2000년대 초중반에 인기 있던 기법이기도 했다.
4.2. 서부 힙합
4.2.1. 컨셔스 힙합
4.2.2. 갱스터 랩
4.2.2.1. 지펑크
펑크 음악과 갱스터 랩을 혼합한 하위 장르. 자세한건 문서 참조.
4.2.3. 뉴 잭 스윙
디스코와 댄스홀, 댄스 팝의 요소를 혼합한 서부 힙합의 하위 장르.
자세한건 문서 참조.
4.3. 중서부 힙합
4.3.1. 포크 랩/컨트리 랩
북서부에서 기원해 중서부쪽에서 유행하고 있는 포크 음악/컨트리 뮤직의 요소를 가미한 중서부 힙합의 하위 장르.
주로 우드, 밴조나 차랑고, 만돌린, 테오르보, 발랄라이카, 어쿠스틱 기타, 아이리시 부주키같은 류트/기타족 발현악기들을 사용하며 중간 강도의 드럼 연주에 가벼운 턴테이블 사운드를 가미한 붐뱁 비트가 장르의 특징.
4.3.2. 랩 록
이름 그대로 록 음악과 힙합을 융합한 중서부 힙합의 하위 장르,
주로 힙합의 태동 이전에 록 밴드들이 자주 활동했던 디트로이트등의 중서부 도시들이 기원지이며, 그 시작을 에어로스미스&Run DMC의 Walk This Way로 보는 리스너들이 많다. 일렉트릭 피아노, 베이스 기타, 일렉트릭 기타등의 전기악기로 연주되는 글램 록/하드 록 스타일의 전기음 멜로디에 강렬한 드럼 사운드와 턴테이블을 가미한 붐뱁 비트가 장르적 특징.
4.3.3. 랩코어/랩메탈
위의 랩 록에서 파생된 중서부 힙합의 하위 장르로 이쪽은
얼터너티브 록/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을 가미한 하드코어 펑크(포스트 하드코어)/익스트림 메탈 사운드의 멜로디가 장르적 특징.
4.3.4. 뉴 메탈/뉴 메탈코어
록 음악의 하위 장르중 얼터너티브 록, 이모 록과 포스트 하드코어, 얼터너티브 메탈, 얼터너티브 힙합을 접목한 중서부 힙합의 하위 장르. 자세한건 문서 참조.
4.4. 남부 힙합
4.4.1. 글리치 합
4.4.2. 마이애미 베이스
1980년대 중반 미국 마이애미에서 기원한 남부 힙합의 하위 장르. 일렉트로 펑크(electro funk), 드럼 앤 베이스 등을 바탕에 둔 빠른 템포의 리듬이 장르적 특징이다.
4.4.3. 뉴올리언스 바운스
1980년대 중후반 뉴올리언스 지역에서 기원한 남부 힙함의 하위 장르.
아래의 트랩 음악에 영향을 끼친 장르중 하나로 위의 마이애미 베이스처럼 일렉트로 펑크등의 일렉트로니카와 일렉트로팝을 바탕으로 한 전자드럼 비트가 장르적 특징이다.
4.4.4. 트랩
4.4.5. 멤피스 랩
4.5. 팝 랩
4.6. 폴리티컬 힙합
4.7. 인스트루멘탈 힙합
4.8. 익스페리멘탈 힙합
4.9. 인더스트리얼 힙합
인더스트리얼 음악과 힙합을 혼합한 장르. 마치 얼터너티브 메탈이나 익스트림 메탈을 연상시키는 강력한 전기음과 전자음을 혼합한 멜로디와 167~200 bpm 정도의 빠른고 빡센 트랩 비트가 장르적 특징.4.10. 앱스트랙트 힙합
4.11. 이모 랩
4.12. 클라우드 랩
4.13. 코미디 힙합
5. 대한민국의 힙합 음악
6. 래퍼 및 힙합 뮤지션
6.1. 랩 포지션 아이돌
- 보이그룹/포지션, 걸그룹/포지션, 일본 아이돌/포지션 문서 참고.
서태지와 아이들, 현진영, 듀스와 같은 한국 힙합의 선구자격 인물들이 이와 동시에 K-POP 아이돌 뮤직의 청사진을 제공한지라 태생적으로 아이돌 뮤직에는 랩이 대부분 들어가 있었으며, 현 시점에서도 대한민국 아이돌에는 한 두명씩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반면 일본 아이돌엔 거의 없다.
과거에는 가창력이 부족한 비주얼 멤버들을 어떻게든 파트를 주기 위해 랩 포지션을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 때 생긴 아이돌 래퍼에 대한 이미지가 아직까지도 힙합 팬들의 선입견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하지만 뛰어난 실력을 가진 여러 아이돌 래퍼들이 대한민국 힙합 문화에 큰 영향을 주며 선입견을 조금씩 깨고 있는 중이다. 일단 현재로써는 지코, 송민호, BOBBY. 등이 탈아이돌급으로 인정받는다.
보컬 위주의 아이돌 그룹과 다르게, 힙합 그룹을 표방하는 아이돌 그룹도 있다. 대표적으로 1세대의 DJ DOC, 원타임과, 2세대의 빅뱅, 3세대의 방탄소년단이 있다.[3]
7. 관련 문서
- 디스
- SHOW ME THE MONEY 시리즈
- 고등래퍼 시리즈
- 언프리티 랩스타
- 언프리티 랩스타 2
- 언프리티 랩스타 3
- 한국의 힙합 레이블들
- 한국의 힙합 크루들
- 대한민국(힙합 앨범)
- 힙합 디스전
- Epic Rap Battles of History
- 세기의 대결 - 케인즈 vs 하이에크
- 히프노시스 마이크
- 니코랩
[1] 디스코의 영향을 정통으로 받아 성장했으며 올드스쿨 시기까지는 블루스나 디스코에 랩만 얹은 수준이었다. 또한 초기 힙합에서는 블루스/펑크 밴드를 직접 고용해 랩을 얹는 경우가 많았다. 그 외에 영향을 받은 장르로는 덥, 재즈, 리듬 앤 블루스, 레게, 댄스홀, 토스팅, 퍼포먼스 포에트리, 스포큰 워드, 시그니파잉, 더즌스, 그라이엇, 스캣, 토킹 블루스 등이 있다.[2] 2010년대 후반부터 거세진 레트로 열풍과 코로나 이후 대두된 이지 리스닝의 강세로 R&B, 신스웨이브, 라틴 팝 등의 음악이 2020년대 초중반부터 힙합의 자리를 대체하기 시작했고, 힙합은 반대로 침체가 일어나면서 전성기가 끝났다고 보는 평가가 강해졌다. 실제 2020년대 중반부터는 켄드릭 라마-드레이크 디스전 같은 힙합계의 빅 이벤트조차도 과거의 랩배틀과 달리 대중의 유행을 선도하지 못 하고 있다. 더군다나 디디 게이트같은 각종 악재가 겹치며 힙합의 이미지 하락도 가속화되었다.[3] 방탄소년단의 경우는 랩실력으로 힙합 리스너들과 팬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나는데, RM이 그나마 들을만하다는 의견이 많고, 슈가는 과거에는 굉장히 많이 까였으나 그 후 스크래치를 줄이고 스타일을 조금 바꾸었다. 다만 이 정도도 아이돌 래퍼들 중에서 하위권인 편. 단, 방탄소년단은 출발할 때 힙합그룹을 모토로 출발한 그룹이지 2018년 즈음부터는 특정한 장르에 얽매이지 않는쪽으로 지향점이 크게 바뀌었다. 사실 RM은 원타임 같은 정통 힙합 그룹인 줄 알고 들어왔다가 일종의 취업 사기(?)를 당한 케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