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춘선의 폐지된 동명의 역에 대한 내용은 화랑대역(경춘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화랑대(서울여대입구)역 | ||
응암순환태릉입구 ← 0.9 ㎞ | 6호선 (646) | 신내 방면봉화산 0.7 ㎞ → |
역명 표기 | ||
6호선 | 화랑대 (서울여대입구) Hwarangdae (Seoul Women's Univ.) 花郞臺(서울女大入口) / 花郎台(首尔女子大学) / [ruby(花郎台, ruby=ファランデ)] | |
주소 |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510 (공릉동 285-2) | ||
소속 영업사업소 | ||
6호선 | 동묘영업사업소 화랑대역 | |
운영 기관 | ||
6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6호선 | 2000년 8월 7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6호선 646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510 (공릉동 285-2)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대합실 |
본래 1991년에 정식 역명으로 정해진 이름은 태릉앞이었으나 1995년에 이름이 바뀌어 태릉 이름은 현재의 태릉입구역으로 갔고, 대신 육군사관학교에서 따온 화랑대가 정식 역명이 되었다.[1]
역명의 유래가 된 화랑대(花郞臺)는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이다. 육군사관학교는 일반 학교가 아닌 군사시설이기 때문에 군법상 일반 지도에 직접적으로 표기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역명으로 별칭을 쓴 것이다. 그렇다고 병기역명인 서울여대입구를 주역명으로 쓰자니 개정된 도시철도법에 맞지 않아 쓸 수가 없었다. 이칭(異稱)이라 틀린 건 아니긴 한데 정확한 명칭은 아닌 셈이다.
육군사관학교가 대학교 취급되기 때문에 역명의 '대'의 한자 표기를 '大'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臺'자가 맞다.[2] 역의 5, 6, 7번 출구가 중랑구 묵동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건설 당시에는 묵동역이라는 가칭을 사용했다.[3]
병기역명은 서울여대입구로, 인근에 서울여자대학교가 있어서 유래했다.
3. 역 주변 정보
옛 경춘선 선로와 인접해 있으며,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선로 부지 북쪽으로는 아파트가 많이 조성되어 있다.지하 1층 대합실은 1번 출구와 엘리베이터 주변이 지붕이 없는 형태로 지어졌는데, 처음에 화랑대역 엘리베이터 주변에 왜 난간이 있나 어리둥절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대합실로 들어가 보면 그 난간의 정체 때문에 놀라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1번 출구로 들어가거나 엘리베이터를 탄다면 바로 알아채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햇빛이 들어오는 공간은 폭우와 폭설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제외하면 출입을 금하고 있다.
화랑대역 2번 출구 바로 앞에 묵동역이, 북동동쪽으로 800m 떨어진 곳에 경춘선 화랑대역이 있었다. 그러나 묵동역은 1944년 3월 31일, 구) 화랑대역은 2010년 12월 21일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현재 묵동역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병기역명인 서울여자대학교와의 거리는 남문 1km + α 정도다. 남문에서 가장 가까운 바롬교육관조차도 5분은 걸어야 한다. 학생들이 수업을 듣는 제 1, 2과학관만 가도 힘들지만, 인문사회관 정도만 되면 이제부터는 총체적 난국이 시작된다. 다니면 다닐수록 어째서 서울여대입구라는 별칭이 붙어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게 되다, 종국엔 석계역(1호선 유저 한정)이나 태릉입구역에서 버스 타고 등교한다. 1학기 초반, 신입생들이 뭣도 모르고 걸어다닐 때와, 슬슬 시일이 지나 이게 걷기엔 무리가 오는 거리라는걸 알게 되면서부터의 기간 이후의 화랑대역 사용 인구 차가 꽤 크다. 일요일 오후에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제복입고 007가방 들고 이 역에 대거 몰려와서 1155번, 2212번, 남양주 115번을 타고 학교로 들어가는 광경도 볼 수 있다. 육사 정문은 경춘선 화랑대역 쪽이지만, 육사 생도 및 관람객들은 전부 서울여대 옆의 문으로 들어가고 나온다. 화랑대역에서 서울여대를 가려면 환승으로 버스를 탄 뒤 두 정거장을 지난 화랑타운아파트 정류장(후문)이나 세 정거장을 지나 서울여대정문 정류장(정문)에 내리면 유용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화랑대역 6, 7번 출구에서 태릉고등학교 후문은 50m도 안 되는 거리에 위치해있어 사실상 태릉고등학교의 입구이다. 어느정도냐면 밑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 [4] 그리고 화랑대역이 오히려 태릉입구역보다 태릉에서 가깝고, 태릉입구역은 태릉과 한참 떨어져 있다. 태릉입구역의 경우 개통 이전 '불암역' 이라는 임시역명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태릉고등학교와 태릉의 거리도 꽤 먼데, 애초에 태릉고등학교는 중랑구 묵동에 있다. 그래서 화랑대에서 이름을 따서 화랑고등학교로 바꾸자는 발언들이 가끔 먹힌다. 참고로 화랑초등학교는 존재한다. 서울여자대학교 캠퍼스 안에 있으며, 동일 재단에서 운영하는 사립초등학교이다.
화랑대역과 한참 멀리 떨어져 있는 별내신도시 주민이나 삼육대학교 학생들, 또는 202번 종점 근처 주민이나 군인들은 거의 항상 변함없이 이 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이 역을 연계해주는 버스노선들이 대개 석계역에서 출발하고 태릉입구역을 거치기 때문에 앞의 두 역에서 먼저 버스를 타는 경우가 상당수다[5]. 하지만 요즘 들어 1132번 버스를 중심으로 중계동의 출퇴근 인구가 화랑대역으로 몰리고 있어서 출퇴근시간 한정으로 유동인구가 굉장히 많다[6].
태릉고등학교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공릉동 아파트단지와 연결된 3번 출구에서 6,7번 출구로 걸어서 등교하거나 반대로 가서 하교하는 경우가 많다. 공릉동 아파트단지에서 태릉고등학교까지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경춘선이 길을 막고 있어서 공릉동 학생들은 지하로 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후 경춘선이 이설되면서 화랑대역을 통해서 가지 않아도 태릉고등학교로 갈 순 있다. 하지만 횡단보도를 2개를 건너야 하는 건 함정이다.
육군사관학교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사관학교 입학시험을 치는 날 유동인구가 매우 많아진다. 태릉고등학교 역시 수능시험장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날에도 유동인구가 많아진다.
2000년대 초반에 상봉터미널을 폐쇄하고 이 역 주차장 부지에 임시 터미널을 만들 계획이 있었지만 무산되었던 일이 있다.# 참고로 기사에서 언급된 이전 검토 예정지 중 국군창동병원 부지에는 서울북부지방법원과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이, 망우동 삼표연탄 부지에는 현대프레미어스 엠코라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섰다.
2019년 12월에 6호선 신내역이 개통하면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환승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 역이 옛 경춘선 화랑대역의 역할을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3.1. 출구 정보
화랑대(서울여대입구)역 출구 정보 | |
1 | 태릉사거리 공릉119안전센터 삼육대학교 방면 다운복지관 |
2 | 원자력병원 서울생활사박물관 태릉사거리 경춘선 숲길 |
3 | 서울여자대학교 공릉2동·공릉2동주민센터 서울태릉초등학교 공릉중학교 공릉청소년정보문화센터 |
4 | 태릉선수촌 방면 육군사관학교 방면 서울둘레길 1코스 |
5 | 공릉근린공원 화랑대역환승주차장 |
6 | 중랑정보도서관 중랑구민체육센터 원묵고등학교 |
7 | 묵1동 원묵초·중학교 태릉고등학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d7c2f><bgcolor=#cd7c2f> 연도 || ||<bgcolor=#cd7c2f>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7,407명 | [7] | ||
2001년 | 15,380명 | ||||
2002년 | 19,368명 | 비고 | |||
2003년 | 20,525명 | ||||
2004년 | 22,185명 | ||||
2005년 | 21,959명 | ||||
2006년 | 21,828명 | ||||
2007년 | 21,492명 | ||||
2008년 | 21,140명 | ||||
2009년 | 20,628명 | }}}}}}}}} | |||
2010년 | 21,018명 | ||||
2011년 | 21,101명 | ||||
2012년 | 21,910명 | ||||
2013년 | 23,200명 | ||||
2014년 | 23,737명 | ||||
2015년 | 23,596명 | ||||
2016년 | 23,462명 | ||||
2017년 | 23,284명 | ||||
2018년 | 23,016명 | ||||
2019년 | 23,232명 | ||||
2020년 | 16,459명 | ||||
2021년 | 16,660명 | ||||
2022년 | 18,910명 | ||||
2023년 | 20,309명 | ||||
2024년 | 20,691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육군사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태릉선수촌으로 가는 길목에 있어 이와 관련된 군인, 운동선수, 대학생들의 잠재적 수요가 많다. 게다가 화랑로를 통해 남양주시의 별내신도시와 직결되어, 별내를 포함해 퇴계원읍,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일대에서 서울로 넘어오는 길목이기도 하다. 이렇게 유리한 입지를 차지한 덕분에 2023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20,309명이 이용하여 6호선 내에서 이용객이 전체 12위로 중상위권이다.
- 다만 위에서 설명한 대로라면 이보다 승객이 훨씬 많아야 정상인데, 실제로는 그냥저냥 평범한 수준의 이용객에 그친다. 2만 명대 초중반이면 적지는 않아도 딱히 많다고도 볼 수 없는 숫자이다. 6호선이 서울의 도심, 부도심으로 직접 연결해주지 않고 구간 수요에 초점이 맞춰진 환승 유도 노선이기 때문에 화랑대역에서 6호선을 타고 목적지까지 가려면 어차피 다시 한 번 환승을 더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지역에서 서울로 오는 승객의 상당수는 화랑대역이 아닌 태릉입구역, 석계역에서 각각 7호선, 1호선으로 갈아탄다. 즉 육사, 서울여대, 태릉이나 남양주에서 오는 수요를 화랑대역이 온전히 흡수하지는 못한다는 이야기이다.
5. 승강장
6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8]
태릉입구 ↑ | |||
하 | ㅣ | ㅣ | 상 |
↓ 봉화산 |
상 | 서울 지하철 6호선 | 태릉입구·석계·동묘앞·응암 방면 |
하 | 봉화산·신내 방면 |
6. 연계 교통
화랑로 정류소와 신내로 정류소를 지나는 노선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1221번, 75번만 양쪽 모두를 경유한다.6.1. 화랑로 정류소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화랑대역1번출구(11118·79035)
}}}}}}}}} ||
* 1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화랑로 동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화랑타운A 방면 | |
지선 | ||
효성A 방면 | ||
간선 | ||
지선 | ||
일반시내 | ||
마을 | ||
북부간선도로 방면 | ||
일반시내 | ||
봉화산역 방면 | ||
지선 | ||
일반시내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화랑대역2번출구(11139·79036)
}}}}}}}}} ||
* 2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화랑로 서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태릉입구역 방면 | |
지선 | ||
일반시내 | ||
목동구길 방면 | ||
간선 | ||
마을 |
6.2. 신내로 정류소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화랑대역5번출구(07295)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화랑타운A 방면 | |
지선 | ||
태릉입구역 방면 | ||
지선 | ||
일반시내 | ||
태릉 방면 | ||
지선 | ||
U턴 노선 | ||
일반시내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화랑대역6번출구(07294)
}}}}}}}}} ||
* 6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신내로 동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봉화산역 방면 | |
지선 | ||
일반시내 | ||
신내우체국 방면 | ||
지선 | ||
원묵초교 방면 | ||
지선 |
7. 사건 사고
- 2023년 12월 1일 오후 1시 30분경부터 3시경까지 1시간 20여 분간 서울 지하철 6호선 4개역(석계역, 태릉입구역, 화랑대역, 봉화산역)에서 동시에 정전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복구가 될 때까지 4내역 역내 개찰구,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네트워크, 전화 등이 작동을 하지 않았으며 상점에도 전기 공급이 끊겨 이용객들이 여러모로 불편을 겪었다. 다행히 전동차는 정상 운행됐으나, 해당 역사들의 개찰구가 작동하지 않은 탓에 카드 태그가 불가능해 무임승차 가능 고객을 제외한 나머지 고객들은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신내역, 돌곶이역 등 정전되지 않은 인근 지하철역으로 이동하는 불편을 겪었다. 서울 지하철 6호선 관계자는 "4개의 역이 하나의 변전소에 묶여 있어 문제가 생기면 한꺼번에 전기가 나갈 수 있다"고 전했다. #1 #2
8.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 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구산 → |
일반 구간 | 응암 - 새절 - 증산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다시「가양대교」로(조선일보)[2] 주로 국직·육직부대 이름에 들어가는 별칭이다. 연무대, 계룡대, 상무대, 자운대, 무열대, 선봉대, 충성대, 칠성대, 문무대, 상승대 등.[3] 즉, 역의 위치는 노원구 공릉동과 중랑구 묵동의 경계선상에 있다.[4] 심지어 엘리베이터는 후문 바로 옆에 있다.[5] 지하철 6호선은 석계역에서 태릉입구역, 화랑대역을 거쳐 봉화산역과 신내역으로 이어지지만, 봉화산~신내역 구간은 화랑로를 따라가던 석계~화랑대 구간으로 옆으로 빠져 신내로 방향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화랑로를 따라가야 하는 육사생도 및 군인, 삼육대생 및 서울여대생, 별내신도시 주민들은 늦어도 화랑대역에서는 내려야 가려던 길을 따라 갈 수 있다. 물론 어차피 지하철에서 내려 버스로 한번 갈아타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고 이 버스들은 당연히 화랑로를 따라가면서 석계, 태릉입구, 화랑대역 정거장에 한번씩 정차하니 눈치껏 자리 잡기 쉬워보이는 역에서 내려서 버스로 환승하면 된다.[6] 1132번 버스가 화랑대역에서 중계동 쪽으로 넘어가는 길은 노원로인데, 노원로의 화랑대역(북부간선도로 태릉IC)~공릉터널 구간은 평소에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가끔 막힐 경우 운전자의 이가 박박 갈릴 정도로 꼼짝도 안하는 상황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일년에 몇번정도이기는 하지만 걸어서도 20분이 안 걸리는 거리를 통과하는데 30~40분이 넘게 걸려서 미치는 상황도 발생할 정도. 특히 북부간선도로를 통해 구리-남양주쪽으로 이어지는 해당 구간의 특성상 평일 출퇴근시간이나 휴일 나들이시즌에는 교통량이 상당히 많아져서 체증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7] 개통일인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 2016년 김포공항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 이후로, 김포공항역 새 안전문이 교체 후 모든 역에 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울려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