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ee1c25>상징 | <colcolor=#000,#fff>양자형기 · 자형화 |
역사 | 역사 · 난징 조약 · 영국령 홍콩 · 홍콩일치시기 · 중영공동선언 · 홍콩 반환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독립운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국가보안법(국가안전수호조례) · 홍콩특별행정구 | |
정치 | 정치(입법회 · 행정조직) · 일국양제 · 홍콩 행정장관 · 선거(입법회 · 구의회) · 정당(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홍콩 기본법 | |
외교 | 외교(한홍관계 · 본토-홍콩 관계 · 대만-홍콩 관계) · 홍콩 여권 · APEC · 영국-홍콩 관계 · 호주-홍콩 관계 · 미국-홍콩 관계 | |
경제 | 경제 · 홍콩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
지리 및 행정구역 | 틀:홍콩의 행정구역 · 홍콩섬 · 구룡반도 · 신계 | |
국방 | 국방 ·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 |
치안 | 치안 · 홍콩 보안국(홍콩 경무처 · 홍콩 소방처 · 홍콩 정부비행복무대 · 홍콩 징교처 · 홍콩 해관 · 홍콩 입경사무처) | |
문화 | 문화 · 홍콩 영화 · 중화권 · 언어 · 광동어(월어병음) · 번체자 · 영어 · 표준 중국어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
관광 | 관광 · | |
교통 | 교통 · 강주아오 대교 · MTR · 홍콩 버스 · 홍콩 트램 · 피크트램 · 캐세이퍼시픽항공 · | |
기타 | 홍콩인 |
홍콩 소방처의 조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통 및 철도사고 구조대 | 고공 구조대 | 화학구조대 | 재난대응구조대 | 소방통신센터 | }}}}}}}}} |
홍콩소방처 소방훈련학교 | |
명칭 | Fire Services Training School | 消防訓練學校 |
약어 | FSTS |
설립일 | 1968년 |
폐교일 | 2016년 |
위치 | 123, Fan Kam Road, Pat Heung, Yuen Long, New Territories , 홍콩 |
전신 | 영국령 홍콩 소방사무처 (1968~1997) Hong Kong Fire Services Department | 香港消防處(1997~2016) |
[clearfix]
1. 개요
홍콩 보안국 산하 홍콩 소방처의 소방 교육기관이었다. 홍콩 윈롱구 팟흥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면적은 약 29,000평방미터이다. 새로 채용된 모든 소방관과 소방대장 후보생은은 26주간의 기본 및 전문 교육을 이곳에서 받아야 했다. 2016년 정관오 지역에 소방훈련학교가 소방 및 구급 학교로 통합 개편된 후 이전하여 이곳은 폐쇄되고, 이듬해에 홍콩 경무처에서 리모델링을 통해 청소년 체험기관 등의 다목적 시설을 조성했다.2. 역사
2.1. 개교 이전
1962년 이전에는 소방대에 기초 훈련을 위한 전용 장소가 없었다. 그런 이유로 소방서에서 일상 업무 외에도 교육생 교육훈련 역할도 수행해야 했다. 1959년부터 1961년까지 중앙소방서 , 완차이 소방서, 몽콕 소방서, 추엔완 소방서에서 모두 3개월 반의 하사관을 포함해 소방 간부후보생과 소방관을 위한, 3개월 소방관 기초 훈련 과정과 1개월 소방관 운전사 교육과정을 운영했다.1962년 소방처는 정규 훈련원으로 구성된 팀과 독립 훈련센터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임시 훈련팀장으로 소방관 1급을 임명했다.
2.2. 소방 훈련팀 창설
1963년에 채텀 로드 감금 캠프(현재 시의회 100주년 공원 지역)에 임시 청사를 두고 훈련 팀이 설립되었다. 1964년부터 교육팀은 타 정부 부처와 민간 조직을 대상으로 소방 교육 및 훈련 과정도 진행했다.1965년에 소방 훈련 학교는 현재의 침사추이 소방서 위치로 이전했고. 1966년에 옛 해군 건물로 이전하는 등 여러 곳을 전전하는 신세였다.
2.3. 팟흥 소방학교로 이전
1968년 7월 20일, 윈롱구 팟흥에 새로운 소방 훈련 학교를 준공해 공식적으로 개교식을 거행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홍콩 총독도 참여했다고 한다. 앞으로 새로 충원되는 모든 소방대원은 26주의 기본 교육 과정과 다양한 유형의 전문교육 및 재교육 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2.4. 반환 이후
반환 이후 급변하는 재난에 대처하기 위해 소방관은 보다 체계화된 소방 및 구조 기술을 교육받아야 했다. 하지만 소방 훈련 학교는 1968년에 설립된 관계로 너무 노후화되고 훈련 및 후생시설이 포화된 상태였다. 당시의 홍콩 소방처에서는 소방훈련학교(훈련탑 3개, 운동장 1개, 최대 218명 야간 훈련 가능)과 마온산 소방서에 있던 구급훈련센터 (최대 86명), 그리고 2006년에 문을 연 서구룡 구조훈련센터로 교육 및 훈련 기관이 분산되어 있었다. 이를 대비해 1986년에 카이탁에 소방차 운전교육센터를 임시로 설립했지만, 수용 인원이 부족합니다. 훈련 수준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2000년대부터 소방처에서는 정관오 지역에 현대적이고 최고 수준의 소방학교를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2011년 2월 3일, 홍콩 정부는 정관오 지역에 화재잔압과 구조, 구급 및 전문 차량 운전 훈련을 통합한 세계적 수준의 소방 및 구급 학교를 건설을 결정했다. 이 소방학교 건설을 통해 과거 팟흥의 소방훈련학교, 마온산의 구급교육센터, 서구룡의 구조훈련센터로 분산되어 교육을 가야 했던 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기대되었다. 소방처는 2012년 5월 27일 새로 지어지는 소방학교 부지에서 소방 및 구급 학교 착공식이 거행되었으며, 2016년 3월 소방 및 구급 학교가 개교된 후 이곳은 폐쇄됬고, 이듬해 경찰의 청소년 교육 체험 기관이 문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