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8 13:33:08

죽죽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달라 이사금 시대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죽죽(사로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급찬(級飡) 죽죽
관등 사지(舍知)
급찬(級飡)
이름 죽죽(竹竹)
아버지 학열(郝熱)
출생지 대야주(大耶州)
사망지 대야성(大耶城)
생몰연도 ? ~ 642년

1. 개요2. 생애3. 여담4. 창작물5. 둘러보기

1. 개요

신라 군인으로 대야성 전투에서 사투했다.

2. 생애

원래 대야주(大耶州, 경상남도 합천군) 사람으로, 찬간 학열(郝熱)의 아들이다. 즉 지방 토착민. 서라벌에서 부임해 온 불량품 낙하산으로 요약될 대야 성주 김품석4두품 직책인 사지(舍知)로서 옆에서 보좌하게 되었다.

642년 8월에 백제 장수 윤충이 군을 이끌고 대야성으로 쳐들어왔는데, 예전에 김품석은 부하 검일의 아내가 아름다워 그녀를 빼앗은 적이 있어 검일은 원한을 가지고 있었다. 검일은 윤충과 내통해 군량고에 불을 질렀고 식량이 부족해 백제군에 맞서 방어를 계속하기가 어렵게 됐다. 윤충은 김품석에게 항복하면 살려주겠으며 태양에 걸고 맹세한다고 하자 김품석은 이를 믿고 나가려 했다.
백제는 자주 말을 뒤집는 나라이므로 믿을 수 없습니다. 윤충의 말이 달콤한 것은 필시 우리를 꾀려는 수작이라 만약 성을 나가면 틀림없이 적의 포로가 될 것이니 쥐새끼처럼 엎드려 삶을 구걸하느니 차라리 호랑이처럼 용맹하게 싸우다가 죽는 게 낫습니다.
죽죽은 직감으로 품석을 말렸지만 품석은 이를 듣지 않고 성문을 열었다. 과연 윤충은 약속을 어기고 먼저 나간 병사들을 죽여버렸고, 계략에 걸린 것을 안 품석은 처자식을 죽이고 목을 찔러 자살해버렸다. 죽죽은 혼란을 급히 수습하고 겨우 성문을 다시 닫고 적을 막았다. 그러나 대장을 잃고 창고도 날아간 성에서 오래 저항하긴 힘들었으므로 곁에 있던 용석(龍石)이 항복을 권했지만 죽죽이 말하길,
그대의 말이 마땅하다. 그러나 나의 아버지가 나를 죽죽이라고 이름지은 것은, 차가운 날씨에도 시들지 말며 꺾일지언정 굽히지 말라는 뜻이다.[1] 어찌 죽음이 두렵다고 살아서 항복하겠는가?
결국 끝까지 싸우다 성이 함락되고 용석과 죽죽은 전사했다. 선덕여왕이 이 소식을 듣고 죽죽을 급벌찬(6두품)으로 추증하고, 그의 남은 유가족을 서라벌로 옮겨와 귀족으로 살게 했다.

3. 여담

  • 합천 지역을 대표하는 충신이기에 조선 시대에 죽죽을 기리는 비석(신라 충신 죽죽 지비)을 세운 바 있다.
  • 합천에는 대야성이나 죽죽의 이름을 붙인 행사가 많다. 합천군의 공식 지역 축제인 대야 문화제에도 죽죽 장군 추모제가 포함된다.

4. 창작물

5. 둘러보기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죽죽 이름의 竹은 대나무 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