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4:54:02

조진호(야구)

조진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c81e><tablebgcolor=#ffc81e> 파일:쌍방울 레이더스 엠블럼.svg쌍방울 레이더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c8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90년~199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박찬홍(1)
최해식
조규제 방극천 박상수 이군옥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강필선 석수철
{{{#!folding (고졸)
오상민
{{{#!folding (고졸)
조진호
{{{#!folding (고졸)
이진영
{{{#!folding (고졸)
2000년 파일:쌍방울 레이더스 워드마크.svg
이승호
(1) 지명 후 미입단
}}}}}}}}}}}} ||
조진호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 [[보스턴 레드삭스|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61번}}}
짐 버드
(1993)
조진호
(1998~1999)
웨인 고메스
(2002)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54번}}}
한승진
(2000~2001)
조진호
(2002)
결번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30번}}}
김기덕
(2000~2002)
조진호
(2003)
조중근
(2004~2006)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54번}}}
결번 조진호
(2004)
이창욱
(2007~2008)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9번}}}
강현성
(2007)
조진호
(2008~2009)
이규대
(2010~2012)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4번}}}
라준성
(2013)
조진호
(2014~2019)
권오준
(2022~2024)
}}} ||
}}} ||
파일:/image/151/2007/12/18/3.jpg
보스턴 레드삭스 시절
파일:external/www.sksports.net/Large_2003070623275466368_5191.jpg
SK 와이번스 시절
조진호
曺珍鎬 | Cho Jinho
출생 1975년 8월 16일 ([age(1975-08-16)]세)
전라북도 전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전주진북초 - 전라중 - 전주고 - 원광대[1]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8년 1차 지명 (쌍방울)[2]
199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BOS)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1998~1999)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마이너 (2000~2002)
SK 와이번스 (2002~2004)
삼성 라이온즈 (2008~2009)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3군 투수코치 (2014~2015)
삼성 라이온즈 1군 불펜코치 (2016)
삼성 라이온즈 3군 투수코치 (2017)
삼성 라이온즈 BBArk 투수코치 (2018~2019)
위덕대학교 야구부 감독 (2020)[3]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1)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1~2022)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3~2024)
금남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5)
가족 조카 조영건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여담5. 연도별 주요 성적6. 관련 문서

1. 개요

보스턴 레드삭스, SK 와이번스, 삼성 라이온즈 소속의 투수. 박찬호에 이은 한국인 2호 메이저리거다.

2. 선수 경력

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원광대학교 3학년 때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김선우, 문동환 등과 함께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 참가했다. 원광대 졸업 후 1998년 신인 지명 때 연고 팀 쌍방울 레이더스의 1차 지명을 받았으나, 당시 쌍방울이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었고 그 해 말 IMF까지 터지면서 원하는 계약금을 받기 힘들어지자[4] 계약금 85만 달러를 받고 메이저리그보스턴 레드삭스에 입단했다.[5]

1998년 루키, 싱글 A, 더블 A를 3개월 만에 졸업하고, 7월 5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전에서 처음으로 메이저리그 선발로 등판했다.[6] 박찬호를 이어 한국인 2호 메이저리그 투수가 되었다. 1999년 6월 20일 텍사스전에서 승리해 한국인 2호 메이저리그 승리 투수가 되기도 했다.[7]

1999년 이후 향수병...은 언론 인터뷰 핑계였고, 미국으로 진출한 1998년에 돌아가신 아버지의 임종을 가족들이 알리지 않았고, 조진호는 1998시즌 끝난 후 귀국해서야 그 사실을 알고 슬펐지만, 향수병은 크게 없었다고 한다. 본인 인터뷰에 따르면, 너무 빨리 메이저리그 올라간 게 독이었다고 한다.[8] 메이저리그를 쉽게 생각해서, 웨이트 트레이닝, 기술 훈련에도 관심이 적었고, 술이나 도박은 안 했지만 낚시하러 다니고, 한국 드라마 보고, 그냥 건전하게 훈련 안 했다고(...).

그 결과 마이너리그를 전전했으며, 결국 2002년 6월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방출되어 귀국길에 올랐다. 그 뒤 쌍방울 레이더스의 지명권을 계승한 SK 와이번스에 입단했는데, 선수 등록 마감 시한을 넘겨서 2002년에는 뛰지 못했고 2003년 SK 와이번스에서 4승 5패 평균자책점 5.20을 기록했다. 병역비리 사건으로 구속되어 8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고, 당시 조범현 감독과 갈등을 빚고 있던 상태라 SK에서도 방출되어 그라운드를 떠났다. 이후 징역을 8개월간[9] 살았기 때문에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대체복무를 했다.

소집 해제된 뒤 모두의 기억에서 잊혀질 때 쯤이었던 2007년 말 입단 테스트를 거쳐 연봉 5,000만원을 받고 삼성 라이온즈 유니폼을 입었다. 그리고 2008년 5월 4일, 드디어 5년 만에 대한민국에서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야말로 인간 승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이 삼성 입단 이후 처음이자 현역으로서의 마지막 승리였다. 그 후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고[10] 허리디스크에 시달리며 2년 간 15경기에 등판해 1승 4패를 거두는 데 그쳤으며, 2009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에서 방출당했다. 2010년롯데 자이언츠 입단 테스트를 받기도 했지만 결국 그대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의 코치로 일했고, 2012년에는 대전고등학교 야구부의 코치를 역임했다. 대전고 코치 재임 때에는 2013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지명받은 조상우를 전담 지도하기도 했다. 이 때 조상우에게 오버핸드에서 쓰리쿼터로 바꾸라고 조언을 해줬다.

2013년 12월 16일 삼성 라이온즈에 영입되었다. 공식적인 보직은 2군 투수코치지만, 이미 2군 투수코치에 양일환이 있고 전년도 3군 투수코치였던 전병호kt 위즈로 옮겨서, 실질적으로는 3군 투수코치를 맡았다.

2015 시즌을 마치고 계약이 만료된 후 일본으로 돌아간 카도쿠라 켄을 대신해 삼성의 1군 불펜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 다만 불펜이 영 신통치는 않아보이는 듯. 2016년 9월 중에는 김태한 투수코치가 부친상을 당해 1군 투수코치 대행으로 나섰다.

2017 시즌에는 정현욱에게 불펜코치를 넘기고, 육성군으로 이동했다.

2019 시즌 이후 구단으로부터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아 팀을 떠나게 되었다. 그 후 신생팀인 위덕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들어갔으나# 팀 창단이 무산되면서 사임하고 2021년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이동했다.

2021년 7월 제주고 코치직을 사임했고, 8월 1일자로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코치로 부임했다.

2023년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이동하였다.

2025년 금남고등학교 코치로 옮겼으나, 6월까지만 하고, 7월부터는 지도자 휴업하고, 제주도에 있다.
선수들이 클럽, 레슨장, 아카데미 등에서 개인 교습을 받다 보니까, 학교 코치 조언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힘들었다고 한다.

4. 여담

  • 외모가 박찬호를 닮아 이라는 별명이 있다. 보스턴, SK 시절에 박찬호의 트레이드 마크인 61번을 달기도 했다.
  • 보스턴 시절 미국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가뜩이나 힘든 시기를 보낼 때 팀 동료들이 조진호의 이름 'Ho'를 갖고 성적인 농담을 하곤 했다고. 그런 조진호를 당시 같은 팀에 있었던 최경환이 도와줬다고 한다. 이미 몇 년 간 미국 생활을 경험해 미국 선수들에 대해 잘 아는 최경환[11]은 조진호를 위해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했다. 조진호를 놀리는 동료들을 모아놓고 말하기를,
    진호 쟤 덩치[12] 봐라. 쟤 원래 한국에서 갱스터였다. 한국에서 사고 치고 여기 와서 마음 잡고 운동하려고 하니 너무 그러지들 마라.

    등의 말을 했다. 최경환의 말을 들은 미국 선수들은 더 이상 조진호를 괴롭히지 않았고, 심지어 이치로, 오승환처럼 해외 리그를 거치고 온 베테랑들도 하는 루키 헤이징(신인 신고식)조차 안 시켰다고 한다.
최경환 뿐 아니라, 당시 같이 뛰었던 김선우, 송승준 등도 조진호 형이 싸움 잘 하니까 조심하라고 엄포를 놓았고, 실제로 덩치 좋은 조진호에게 건방지게 굴다가 맞은 히스패닉, 일본 선수도 몇 명 있었다고...
  • 키움 히어로즈의 우완투수 조영건이 조진호의 조카다. 대전 충남중학교를 졸업한 후 청주고에 진학했으나 슬럼프로 인해 백송고로 전학, 원래 내야수였으나 전학 직후 곧바로 유급해 투수로 전향한 뒤 프로 지명이 유력한 학교의 에이스로 성장했다. 삼촌의 야구 DNA를 물려받았다는 평이 있을 정도. 2018년 9월 10일 열린 2019년도 신인 2차 지명에서 넥센에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았다.
  • 보스턴에서 뛰던 시절, 룸메이트가 3살 선배 최경환과 2살 후배 김선우였다. 선술한 하얀 거짓말 일화에서 알 수 있듯이 최경환이 여러 방면으로 조진호를 잘 챙겨줬으며, 요리도 잘 하는 덕에 식사 걱정도 딱히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13]

5. 연도별 주요 성적

5.1. MiLB

  • 한 연도에 동일 구단 산하 여러 레벨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Rk → A- → A → A+ → AA → AAA 순으로 서술.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1998 사라소타 레드삭스(A+) 5 32 3 1 0 0 .750 3.09 33 1 5 30 14 11 1.19
트렌턴 썬더(AA) 13 74 5 2 0 0 .714 2.19 59 4 23 62 21 18 1.05
1998 시즌 합계 18 106 8 3 0 0 .727 2.46 92 5 28 92 35 29 1.09
1999 포터킷 레드삭스(AAA) 17 109⅔ 9 3 0 0 .750 3.45 99 12 33 80 46 42 1.17
2000 사라소타 레드삭스(A+) 3 15 1 1 0 0 .500 2.40 13 1 0 15 5 4 0.87
트렌턴 썬더(AA) 10 58⅔ 3 5 0 0 .375 5.83 76 8 11 32 45 38 1.43
포터킷 레드삭스(AAA) 13 71⅔ 4 3 0 0 .571 4.65 77 9 13 37 37 37 1.26
2000 시즌 합계 26 145⅓ 8 9 0 0 .471 4.89 166 18 24 84 87 79 1.29
2001 포터킷 레드삭스(AAA) 37 117⅔ 3 10 10 0 .231 4.51 133 14 22 77 62 59 1.27
2002 20 54⅓ 3 6 2 0 .333 5.63 74 10 15 20 37 34 1.58
MiLB 통산
(5시즌)
<rowcolor=#1f2023> 118 533 31 31 12 0 .500 4.10 564 59 121 353 267 243 1.25
완투, 완봉 기록
연도 완투 완봉
1998년 1완투 1완봉
1999년 4완투 0완봉
2000년 1완투 0완봉
MiLB 통산 6완투 1완봉

5.2. MLB

역대 기록(투수)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fWAR bWAR
1998 BOS 4 18⅔ 0 3 0 0 .000 8.20 28 4 4 15 17 17 1.66 0.1 -0.4
1999 9 39⅓ 2 3 0 0 .400 5.72 45 7 10 16 26 25 1.35 0.1 0.1
MLB 통산
(2시즌)
<rowcolor=#1f2023> 13 58 2 6 0 0 .250 6.52 73 11 14 31 43 42 1.45 0.2 -0.3

역대 기록(타자)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bWAR
1999 BOS 1 1 .00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 0.0
MLB 통산
(1시즌)
<rowcolor=#1f2023> 1 1 .00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 0.0

5.3. KBO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3 SK 19 79⅔ 4 5 0 0 .444 5.20 99 10 20 22 50 46 1.46
연도 출장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8 삼성 11 29 1 3 0 0 .250 7.45 40 3 11 11 24 24 1.72
2009 4 10 0 1 0 1 .000 8.10 14 1 6 6 9 9 2.00
KBO 통산
(3시즌)
<rowcolor=#1f2023> 34 118⅔ 5 9 0 1 .357 5.99 153 14 37 39 83 79 1.57

6. 관련 문서


[1] 1994학번[2] SK 지명권 승계 후 2002년 시즌 중 입단[3] 대학야구단 창단 무산.[4] 단순한 돈 욕심 때문이 아니라, 폐암으로 투병하던 부친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5] 만일 쌍방울에 그대로 입단했다 하더라도 저 정도의 계약금은 못 받았을 확률이 100%고, 게다가 97년 말 IMF가 터지면서 원화의 가치가 하락해 환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 것도 고려해야 한다.[6] 당시 맞대결을 했던 상대 팀 화이트삭스의 투수 존 스나이더(John Snyder)도 루키였는데, 스나이더도 선발로서는 첫 경기였다. 더구나 이 경기는 무려 공중파 FOX로 미국 전역에 생중계되었다. 물론 iTV에서도 한국시간으로 새벽임에도 당연히 생중계를 했다.[7] 여담으로 이때 조진호의 승리를 지켜준 마무리 투수는 바로 이 사람.#[8] 김병현도 본인이 한국 프로 경험도, 마이너리그 경험도 없어서, 장기 시즌에 대처하는 자기 관리 요령을 배우지 못하고 젊음으로만 메이저리그에서 던지다 보니까 롱런하지 못했다며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실제로 90년대 기조였던 빠른 콜업이 득보다 실이 많다고 판단한 MLB 구단들은 유망주가 아무리 잘 해도 세심한 관리 아래 최소 1~2년 마이너리그 경험을 시키고 있다.[9] 과거부터 병역법상 6개월 ~ 18개월 사이의 기간동안 감옥에 살았던 사람은 4급 공익근무요원 판정을 받는다. 18개월 이상부터는 5급 제2국민역(실질적인 면제)이 된다. 참고로 이는 나눠서 살아도 무방하다. 한 범죄사건으로 9개월을 살았던 사람이, 출소 후 다른 범죄로 10개월을 다시 살면 합쳐서 18개월이 넘으므로 5급 제2국민역이다. 민주화운동 시기에 이런 식으로 5급을 받아 합법적으로 군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들이 꽤 많았다. 민주화운동 주동자들은 3년~5년씩 감옥에서 살았기에 당연히 군복무를 하지 않았지만, 주동자가 아니라 애매한 중간간부급이라서 한번의 시위마다 6~7개월씩 3번 가고 제2국민역이 된 사람도 있다. 前 정치인 안희정의 경우는 민주화운동으로 한번에 10개월~1년 사이로 2번을 감옥에서 살다가 나와서 5급이 되었다.[10] 단, 2008 포스트시즌에서는 구원승을 따내긴 했다.[11] 김선우와 같이 룸메이트였다고 한다. 덤으로 최경환은 오랜 해외 생활로 인해 영어스페인어에도 능통한 편이다.[12] 키 190cm에 미국에 있을 때는 체중이 100kg를 넘어 미국 선수들 못지않게 컸다.[13] 최경환이 요리를 하면, 설거지를 후배들이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