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7 04:33:37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

파일:ODK_romancecar_logo.svg
오다큐 로망스카 차량
30000형
(EXE/EXEα)
60000형
(MSE)
70000형
(GS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퇴역
3000형
(SE/SSE)
3100형
(NSE)
7000형
(LSE)
10000형
(HiSE)
20000형
(RSE)
50000형
(VSE)
타사 차량
(퇴역)
JR도카이 371계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ea2>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
수상 차량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 151계 전동차 킨테츠 10100계 전동차 키하 81계 동차 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킨테츠 20100계 전동차 오다큐 3100형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 키하 8000계 동차 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583계 전동차 EF66형 전기기관차 세이부 5000계 전동차 - 14계 객차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83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 - 한큐 6300계 전동차 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킨테츠 12400계 전동차 킨테츠 30000계 전동차 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오다큐 7000형 전동차 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 14계 객차 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 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 키하 83·84형 동차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오다큐 10000형 전동차 킨테츠 21000계 전동차 651계 전동차 도부 100계 전동차 오다큐 20000형 전동차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787계 전동차 -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883계 전동차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신칸센 500계 전동차 285계 전동차 E26계 객차 885계 전동차 E257계 전동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킨테츠 21020계 전동차 5100형 전동차 M250계 전동차 오다큐 50000형 전동차 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오다큐 60000형 전동차 E259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 신칸센 E5계 전동차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 킨테츠 50000계 전동차 신칸센 E7·W7계 전동차 한신 5700계 전동차 BEC819계 전동차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5계 객차 오다큐 70000형 전동차 세이부 001계 전동차 킨테츠 80000계 전동차 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HC 85계 동차 도부 N100계 전동차 273계 전동차 - -
}}}}}}}}} ||

이 문단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단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운행이 중단되어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차량이 폐차될 경우 틀을 교체해주시고, 차량이 재운행 될 경우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oerold_w.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 오다큐 3000형 전동차 (초대)
小田急3000形電車 (初代)
Odaku 3000 series (1st)
(Super Express / Short Super Express)
}}}
파일:小田急se.jpg
▲ 3000형 SE 외부
파일:11_201905261828125f4.jpg
▲ 리뉴얼이 진행된 3000형 SSE 외부
차량 정보
용도 특급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8량 1편성 → 5량 1편성[1][2]
운행노선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 오다와라선
파일:ODK-OE.svg 에노시마선
하코네 등산철도 파일:ODK-OHr.svg 철도선[3]
JR 도카이 파일:JRC-CB.svg 고텐바선
도입시기 1957년 ~ 1959년
제작사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차량
소유기관 오다큐 전철
운영기관
운행시기 1957년 ~ 1992년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15,950㎜(선두차)
12,700㎜(중간차)
전폭 2,800㎜
전고 3,450㎜
궤간 1,067㎜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운전보안장치 OM-ATS
제어방식 도요전기제 저항 제어
동력장치 TD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기어비 78:21 → 80:19
제동방식
주전동기 출력 100kW
최고속도 영업 110㎞/h 
설계 145㎞/h
가속도 1.6㎞/h/s
감속도 4.15㎞/h/s
MT 비 8M0T → 4M1T }}}}}}}}}

1. 개요

1957년부터 1992년까지 운행한 오다큐 최초의 로망스카 차량이다. 당시 그 유명한 다이토큐에서 독립한 이후, 오다큐는 신주쿠-오다와라 간을 1시간 내에 잇겠다는 목표 아래에서 설정한 "획기적인 경량 고성능 신형 특급차량"을 계획하고 있었다. 국철의 항공기술을 접목한 초고속차량의 구상에 오다큐가 눈독을 들여, 국철의 철도기술연구소에서 기술적 협조에 힘입어 신기술이 다수 들어갔으며, 이후 신칸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이게 없었으면 신칸센도 없었기에, "신칸센의 루트" 또는 "초고속철도의 파이오니어"로 부르기도 했다. 등장 당시에 도카이도 본선에서 진행된 최고속도 실험에서, 당시 협궤철도 최고속도인 시속 145킬로미터를 기록하여, 이후 국철의 전동차 특급의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블루리본상도 이 녀석 때문에 생겼으니, 당연히 초대 수상차량으로 선정되었다. 당초엔 8량 연접차로 등장했지만, 1968년, 고텐바선 입선을 위해 8량에서 5량으로 단축, 전면형상도 다른 모습으로 개조되어, SSE(Short Super Express)차가 되었다. 이래놓고 1992년까지 운행하다가, 20000형 RSE가 도입되어 1992년에 퇴역했다. 그 이후로, 30000형 EXE를 제외한 차량들은 모두 차량을 이미지한 글자 뒤에 슈퍼 익스프레스를 뜻하는 SE가 붙게 되어, SE > SSE > NSE > LSE > HiSE > RSE > VSE > MSE > GSE 순으로 이어지게 된다.
로망스카 뮤지엄에 이 열차가 전시되어 있다.



[1] 고텐바선 직통을 위해 단축[2] 전두부 형상이 변경되었으며, SSE(Short Super Express)로 불린다.[3] 하코네유모토역까지 직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