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0:26:24

양주 버스 83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51a12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경기순환 8906
직행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양주시 공영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마을버스
양주시 공영버스
}}}}}}}}} ||


파일:양주 83E-sky.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양주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24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양주시 CI_White.svg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8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양주버스83.jpg
기점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양주교통본사) 종점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양주역)
종점행 첫차 04:55 기점행 첫차 05:45
막차 19:55 막차 20:30
배차간격 80~120분(일 11회)
운수사명 양주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양주교통본사 - 율정마을7.8단지 - 제일풍경채레이크시티.율정마을13단지 - 삼숭1교차로 - 로제비앙메트로파크 - TS1.2차아파트 - 고읍주공4단지 - 광사동.넉바위 - 양주역

===# 폐지된 노선 #===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83-1번
기점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세창아파트) 종점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양주역)
종점행 첫차 05:09 기점행 첫차 -
막차 15:43(주말, 공휴일)/15:50(평일) 막차 -
평일배차 출퇴근 10분/평시 14~49분 주말배차 20~50분
운수사명 양주교통 인가대수 지정차량 없음
노선 (양주교통본사)[1] → 세창아파트 → 옥정고등학교 → 율정초등학교 → 옥정13단지 → 65사단 → 삼숭교차로 → 성우.나래.TS아파트 → 덕현초교.덕고개 → 고읍주공4단지 → 광사동.넉바위 → 양주시청 → 양주역 → 이후 83번으로 번호를 바꾸어 본선과 같이 운행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83-2번
기점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양주역) 종점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세창아파트)
종점행 첫차 10:10(평일)/11:05(주말, 공휴일) 기점행 첫차 -
막차 00:05 막차 -
평일배차 출퇴근 15분/평시 10~49분 주말배차 15~40분
운수사명 양주교통 인가대수 지정차량 없음[2]
노선 양주역 → 양주시청 → 광사동.넉바위 → 고읍주공4단지 → 덕현초교.덕고개 → 성우.나래.TS아파트 → 삼숭교차로 → 65사단 → 옥정13단지 → 율정초등학교 → 옥정고등학교 → 세창아파트 → 이후 양주교통본사까지 회송 후 가스충전 혹은 운행종료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83-3번
기점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율정초등학교) 종점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양주역)
종점행 첫차 05:37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16:45(평일)/16:05(주말 및 공휴일) 막차 18:10(평일)/17:30(주말 및 공휴일)
평일배차 출퇴근 20분/평시 45분 주말배차 40분
운수사명 양주교통 인가대수 지정차량 없음
노선 율정초등학교 → 옥정고등학교 → 세창아파트 → 서재말 → 덕정주공1~8단지 → 덕정역 → 덕정사거리 → 국군양주병원 → 서정대본관 → 회차 이후 양주역까지 본선과 동일하게 운행 → 이후 번호를 83번으로 바꾸고 본선과 동일하게 운행

3. 역사

  • 2011년 2월 7일에 자이아파트, 고읍지구 수요에 대비하여 개통된 노선으로 초기에는 동 사의 79번[3], 82번을 보조해주어 물갈이가 잘 되던 노선으로 시작하였다. 특히 양주교통이 고읍지구 수요에 미리 대비한 덕분에 71번(서정대 - 덕정주공 - 세창아파트)[4]과 통폐합하기 전까지만 해도 양주교통 80번대 시리즈의 대표적인 노선으로 많이 알려졌다.
  • 그러다가 83번도 덕정주공, 덕정역, 서정대학교로 구간을 연장하게 되었고 서정대학교 이용자가 폭증하는 바람에 본래 사용하던 덕정역 정류장에서 다른 버스들이 정차하는데 힘을 쓰지 못하자 결국 2013년 9월 25일부터 한 블럭 옮겨간 신 정류장에서만 정차해왔다가 노선이 단축된 이후에는 91번에게 넘겨주고 다시 원래의 정류장으로 돌아왔다. 게다가 당시만 해도 서정대에서 세창아파트까지만 운행하던 71번과의 물갈이도 굉장히 잘 돼서 83번이 71번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기도 했다.
  • 그러나 2014년 11월 71번과 83번이 중복 노선 정리를 위해 통폐합을 하면서 노선의 일부 구간도 바뀌게 되었다. 그 이유는 옥정지구에 시범으로 준공하여 동년 12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율정마을 7단지, 13단지, 그리고 2015년 3월에 개교한 옥정고등학교 학생 수요에 대비하게 됐기 때문이라고.[5]
  • 2017년 5월 15일에 덕정역까지는 기존과 동일하되 서희스타힐스와 충성아파트까지 운행하고 주박하거나 회차하는 것으로 바꾸는 대신, 덕정6단지에서 출발하여[6] 국군양주병원과 서정대 본관 직통 노선인 91번과 예원예대 본관까지 운행하는 88번으로 나누어 운행한다.[7] 또한 83번에서 사용했던 차량의 일부는 91번으로 넘어갔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8월 20일에 81번이 분리신설되면서 인가대수 10대 중 7대가 차출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4월 15일에 양주시청.화원과 주내파출소로 돌아가지 않고 바로 고읍지구로 가게끔 경로가 변경되었고, '옥정13단지 - 율정초등학교 - 옥정고등학교 - 세창아파트 - 서재말 - 덕정주공1~8단지 - 덕정역 - 덕정초등학교 - 서희아파트 - 충성아파트' 구간이 '옥정13단지 - 율정마을7.8단지 - 양주교통본사'로 단축/변경되었다. # 동시에 2대가 증차되어, 81번 개통 때 차량이 넘어가면서 대폭 벌어졌던 배차간격이 10~25분 수준까지 개선되었다. 또한 차고지 착발 노선으로 바뀌면서 기종점이 서로 바뀌었고, 회송용 노선인 83-1번과 83-2번이 충성아파트 착발 노선으로 유지되는 81번 소속으로 넘어갔다.
  • 2023년 2월 23일부터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공지사항

4. 특징

  • 지선 노선이 꽤 많았다. 2019년 4월 15일 노선 개편 이후로는 해당되지 않지만, 그 이전까지는 두~세개의 지선형 노선이 있었다. 차고지 착발 노선이 아니었던지라 가스 충전의 이유도 있었고, 옥정/고읍에서 양주역 방면으로의 첫차시간이 지나치게 늦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함이기도 했다.[8] 옥정/고읍에서의 상당수 노선들이 양주역을 경유하고 있고, 양주역 착발 열차가 있어 앉아갈 확률이 조금이나마 높기 때문.
    • 세창아파트 → 양주역 방면으로 편도운행한 83-1번은 출근시간이나, 가스 충전 후인 점심시간대에 운행했다.
    • 양주역 → 세창아파트 방면으로 편도운행한 83-2번은 막차시간 83번 노선의 회송형 노선이었다.
    • 세창아파트 → 서정대 방면으로 편도운행한 83-3번은 세창아파트~서정대 구간의 배차간격 보정을 위해 운행되었으나, 다른 노선들보더 먼저 폐선되었다. 이 당시 83번 본선도 서정대까지 운행되었기에 지선노선 역시 서정대까지 운행되었다.
  • 서정대까지 가던 시절에는 서정대, 예원예대[9]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했고[10], 현재는 덕정역, 덕정주공, 옥정지구 주민들, 옥정고교, 덕현고교[11] 학생들에게는 굉장히 인기있는 프리미엄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12]
  • 81번이 신설되기 전에는 실제로 퇴근 시간대에 덕정역 정류장에 가면 83번이 정류장에 들어올 때마다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과장 좀 보태서 거의 진공청소기 수준. 그나마 82번은 배차간격이라도 이 노선보다 짧아서 조금 혼잡도가 덜하지만 이 노선은 10분 간격이라 미어터졌다. 거기다 83번이 먼저 도착하는 경우 먼저 정류장에 있는 승객을 태운 뒤 좀 기다리다 1호선에서 승객이 내려 정류장으로 몰려와 차량을 꽉 채우면 그제서야 출발해 혼잡도는 배가 되었다. 물론 출근 시간대에는 양주역 방향에서 옥정고등학교[13]와 덕현고등학교[14] 학생들이 죄다 쓸어담아왔고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91번 신설 전 은현면 방향에서 서정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학생들이 통근객/통학생들의 빈 자리를 메꾼 적도 있었다.
  • 단, 덕현고등학교에 다닌다면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이 버스를 이용하는 주민들 중 일부가 양주교통 외에도 각 학교에 버스 혼잡 문제로 민원을 넣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현재 두 학교에서 버스 이용 시 혼잡할 경우 안으로 들어가라고 꾸준히 계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매 노선인 80번도 출퇴근 시간에 덕정역이나 덕계동에서 덕현고 학생들로 꽉 차는 순간 덕현고등학교까지는 무조건 무정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만일 중간에 내리는 사람이 있다면 내렸다가 다시 타야 하는 불편함도 감수해야 하겠지만.
  • 한때 동 사82번, 91번처럼 무전기를 사용하여 배차를 조절했다. 과거 이 노선이 생기기 훨씬 전인 회천운수 시절에는 전 차량이 무전기를 사용했으나 양주교통으로 바뀐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회천운수에서 양주교통으로 바뀐 이후에 무전기를 되살린 시점은 71번과 83번이 통합한 지 약 1년 2개월 이후인 것으로 사료된다. 무전기 사용은 차량 배차 및 승객 수송 관련으로 교신을 자주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옥정고/덕현고, 예원예대/서정대 학생 수송 시 승객이 한 순간에 꽉 차면 다음 차량을 일찍 보내달라고 할 뿐만 아니라 운행 중 차량에 기능고장이 발생할 경우 다음 차량을 서둘러 보내달라고 해야 하는 데에 대비하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옥정 경유 양주교통 노선 중 유일하게 시간표가 게재되지 않음에 따른 불편 민원 때문인지 2022년부터 시간표를 게재하고 있다.

4.1. 시간표

  • 2023년 2월 23일 기준

4.2. 노선

파일:양주시 CI_White.svg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83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양주역
39439·39920
외미교차로
미정차
-
양주시청.양주시청년센터
39456
양주시청.양주시청년센터
39451
마전동
39462
마전동
39464
주내파출소.주내교회
39467
주내파출소.주내교회
39468
응달마을
39496
응달마을
39497
양짓말
39518
양짓말
39517
원학동.골프장입구
53827
원학동.골프장입구
53828
광사동.넉바위
39547
광사동.넉바위
39545
광사1통마을회관
39570
광사1통마을회관
39589
서반창.삽사동
39584
서반창.삽사동
39589
대방신도아파트
39593
대방신도아파트
39595
고읍주공4단지.건강보험양주지사
53726
고읍주공4단지.건강보험양주지사
53753
덕현초교.덕고개
39625
덕현초교.덕고개
39624
TS1.2차아파트
39628
TS1.2차아파트
39627
장거리한양수자인1단지
53798
장거리한양수자인1단지
53792
TS3차아파트
39662
TS3차아파트
39659
로제비앙메트로파크
39900
로제비앙메트로파크
39861
성우.나래아파트
39686
성우.나래아파트
39685
삼숭교
53770
삼숭교
53771
- 삼숭교차로
53836
삼숭교차로
53842
삼숭교차로
53835
지에스제이드웰21단지
53838
삼숭1교차로
53824
- 지에스제이드웰21단지
53834
금호제이드웰21단지
353839
금호제이드웰21단지
53833
옥정교차로.세영리첼14단지
39728
옥정교차로.세영리첼14단지
39727
제일풍경채레이크시티.율정마을13단지
39737
제일풍경채레이크시티.율정마을13단지
39736
귀율교앞.제일풍경채후문
39729
귀율교앞.제일풍경채후문
39726
율정초등학교
39003
율정초등학교
39720
율정마을7.8단지
39700
율정마을7.8단지
39701
대륜발전소.리젠시빌란트6단지
39003
대륜발전소.리젠시빌란트6단지
53811
양주교통본사
53754 · 53736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신도시 연계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유 백석/덕계 착발 덕정 착발 옥정/고암 착발
회천3동
행정복지센터
- [[양주 버스 81|
81
]] · [[양주 버스 87|
87
]] · [[양주 버스 1100|
1100
]] · [[양주 버스 1101|
1101
]]
[[양주 버스 G1200|
G1200
]] · [[양주 버스 G1300|
G1300N
]] · [[양주 버스 8300|
8300
]]
[[양주 버스 76|
76
]] · [[양주 버스 80|
80
]]
덕계역 [[양주 버스 10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f99d1c; font-size:14px"
101}}}]] · [[양주 버스 1304|
1304
]]
- [[양주 버스 77|
77
]] · [[양주 버스 700|
700
]]
덕계동 [[양주 버스 72|
72
]] · [[양주 버스 73|
73
]] · [[양주 버스 73-1|
73-1
]] · [[양주 버스 73-2|
73-2
]]
- [[양주 버스 73-3|
73-3
]] · [[양주 버스 77|
77
]] · [[양주 버스 80|
80
]]
삼숭 - - [[양주 버스 77|
77
]] · [[양주 버스 77-1|
77-1
]]
고읍 - [[양주 버스 81|
81
]] · [[양주 버스 87|
87
]] · [[양주 버스 118|
118
]] · [[양주 버스 1100|
1100
]] · [[양주 버스 1101|
1101
]]
[[양주 버스 G1200|
G1200
]] · [[양주 버스 G1300|
G1300N
]] · [[양주 버스 8300|
8300
]] · [[양주 버스 8906|
8906
]]
(장거리 미경유) [[양주 버스 77-1|
77-1
]] · [[양주 버스 80|
80
]]
(장거리 경유) [[양주 버스 83|
83
]] · [[양주 버스 99|
99
]] · [[서울 버스 서울05|
서울05(장거리 무정차)
]]
양주역 - (시청 경유) [[양주 버스 87|
87
]]
(시청 미경유) [[양주 버스 81|
81
]]
(시청 경유) [[양주 버스 77-1|
77-1
]] · [[양주 버스 80|
80
]] · [[양주 버스 701|
701
]]
(시청 미경유) [[양주 버스 83|
83
]] · [[양주 버스 99|
99
]]
관외
(의정부 경유)
(한강 이남) [[양주 버스 1304|
1304
]]
(경기 남부) [[양주 버스 8906|
8906
]]
(한강 이남) [[양주 버스 G1300|
G1300N
]]
(한강 이북) [[양주 버스 118|
118
]] · [[양주 버스 1100|
1100
]] · [[양주 버스 1101|
1101
]] · [[양주 버스 G1200|
G1200
]]
[[양주 버스 8300|
8300(의정부 무정차)
]]
(한강 이북)[[서울 버스 서울05|
서울05(의정부 무정차)
]]
세부 경로는 각 문서 및 양주신도시/교통 문단 참조
}}}}}}}}} ||


[1] 서류상 기점은 세창아파트이나, 양주교통 본사에서도 탑승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많지 않은 듯.[2] 행선판을 운전석 앞에 두어 83-2번임을 알린다.[3] 현재는 82번으로 통폐합되었는데, 전 차량이 저상버스로 운행하는 기염을 토했다.[4] 83번 통폐합 전 전신으로도 알려진 71번은 이미 2007~08년 즈음하여 독바위, 자이아파트 수요에 맞게 신설된 노선으로서 활약을 한 적이 있는데, 독바위 구간이 옥정지구 개발로 인해 이 구간은 폐선됨과 동시에 동사 타 노선에게 물려주고 서정대 - 덕정역 - 덕정주공(1~8단지 모두 경유) - 세창아파트 노선으로 바꾸어 운행하기도 했다.[5] 덕분에 세창아파트까지 운행하던 77번, 80번도 2015년 2월 27일부터 옥정지구 수요에 대비하여 세창아파트에서 65사단으로 종점을 연장하기도 했다.[6] 덕정6단지에서 덕정역, 덕정사거리까지는 기존의 83번과 동일하다.[7] 초기에는 예원예대 본관 경유 후 서정대 본관까지 가는 91-1번이었는데 예원예대로 단축하며 노선번호가 바뀌었다.[8] 본선 첫차가 양주역 기준 5시 37분이었고, 서정대 기준 6시 35분이었다. 이 말인즉슨 덕정주공과 옥정LH 쪽은 덕정역 방면으로 가는 차량이 최소 6시~6시 5분, 양주역 방면은 6시 45~55분 사이에나 도착한단 얘기. 그나마 고읍지구 쪽은 82번 덕에 양주역까지 빠르게 갈 수 있긴 했다.[9] 국군양주병원 정류장에서 내려 캠퍼스까지 약 500m 정도 걸어가면 된다.[10] 5월 15일부터 상술한 91, 91-1번이 예원예대 입구(91-1번은 예원예대 본관까지 경유)와 서정대 본관까지 운행한다.[11] TS1.2차아파트나 덕현초교.덕고개 정류장에서 내리면 금방이다.[12] 옥정고, 덕현고 학생들을 은현면, 덕정역, 덕정주공에서 죄다 쓸어담은 바람에 한 번은 무정차 통과를 하기도 했다. 동두천시, 연천군 수요가 터져나가는 39번보다는 낫지만 학생 수요를 생각하면...[13] 주로 덕정역과 덕정지구에서 많이 타는 편.[14] 덕정역과 덕정지구, 옥정지구도 좀 타는 편이지만 대다수가 나래.성우아파트와 TS 3차에서 꽉 채울 때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