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20:15:15

양성(전진)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梁成
(? ~ 383)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약양(略陽)의 저족. 삭방환후 양평로의 아들.

2. 생애

건원 5년(369년) 12월, 전진 조정에 임관하여 건위장군을 지내던 양성은 보국장군 왕맹, 건무장군 등강과 함께 30,000 군사를 거느리고 전연을 정벌하여 전연의 낙주(洛州)자사 모용축(慕容筑)이 지키는 낙양을 쳤다.

건원 6년(369년) 정월, 전연 조정에서 위대장군 모용장(慕容臧)에게 100,000명의 정예병을 주어 낙양을 구원케 하니, 양성은 왕맹의 명령을 받고 등강과 함께 병력 중 10,000여 명을 선발해 형양(滎陽)에서 모용장을 요격하여 대파하였다. 이를 본 모용축은 낙양성을 들어 왕맹에게 항복하였다. 이 공으로 양성은 중루장군(中壘將軍)으로 승진하였다.

건원 7년(370년) 2월, 연주(兗州)자사로 부임하였다.

건원 15년(379년) 2월, 장낙공 부비가 양양(襄陽)을 함락시키자, 천왕 부견은 양성을 남중랑장, 도독형양주제군사(都督荊揚州諸軍事), 형주(荊州)자사, 영 호남만교위(領護南蠻校尉)로 삼고, 그에게 병사 10,000명을 배속시켜 양양을 진수케 하였다. 이후 위장군(衛將軍)으로 승진하였다.

건원 19년(383년) 8월, 천왕 부견이 남벌을 선포하면서 100만 대군을 일으켰다. 이때 양성은 부견의 동생이자 이번 정벌에서 선봉군을 지휘하게 된 양평공 부융과 종군하였다.

건원 19년(383년) 10월, 부융이 동진의 용양장군 호빈(胡彬)이 수비하는 협석(硤石)을 공략하면서 양성에게 50,000 군사를 주어 양주(揚州)자사 왕현(王顯), 익양(弋陽)태수 왕영(王詠)을 거느리고 낙간(洛澗)에 주둔할 것을 명하였다. 낙간에 도착한 양성은 회수(淮水)가에 목책을 세워 동진군의 습격에 대비하였다. 상서복야 사석이 이끄는 동진군은 도하를 시도해보았지만 강가에 놓인 목책에 막혀 결국 실패하였고, 물러나 낙간에서 25리 떨어진 곳에 주둔하며 나아가지 못하였다.

건원 19년(383년) 11월, 동진의 관군장군 사현의 명령을 받은 광릉상 유뢰지가 정예병 5,000명으로 양성을 습격하러 하간으로 향하였다. 유뢰지의 군사가 10리에 못 미치는 거리에 이르렀을 때, 양성은 이미 준비를 마친 채 유뢰지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유뢰지는 아랑곳하지 않고 순식간에 강을 건너 양성의 진영으로 돌진하였으며, 용맹하게 싸워 양성의 철통 같던 방어를 허물어 그 군대를 격파하였다. 이때 유뢰지가 군사를 나누어 퇴로를 막는 바람에 15,000여 명의 전진군이 회수를 건너 도망을 시도하다가 익사하였고, 대장인 양성을 포함해서 그의 동생 양운(梁雲), 익양태수 왕영 등 10여 명의 장수가 전사하였다. 전진의 양주자사 왕현, 장수 양타(梁他), 양제(梁悌), 모용굴씨(慕容屈氏) 등은 목숨은 건졌지만 모두 동진군의 포로가 되었고, 병장기와 군수물자는 역시 동진군에게 전부 빼앗기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