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20:42:13

서울예술대학교/동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예술대학교
파일:서울예술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color: #a40e17" dark-style="color: #ee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캠퍼스
안산캠퍼스 남산캠퍼스
기타 정보
동문 동아리 CULTUREHUB }}}}}}}}}

1. 일러두기2. 기업인3. 정치인4. 영화감독5. 패션 디자이너6. 방송7. 성우8. 음악9. 문학10. 무용11. 연극 및 뮤지컬12. 외부 링크

1. 일러두기

  • 2006년까지 연극, 영화, 방송연예과 세부 전공에 '연기' 전공이 있었다. 2007년, 세 학과에 분화되어 있던 연기 전공을 통합하여 연기전공을 신설함에 따라 '방송연예과'는 학과명을 '방송영상과'으로 변경하였다.[1] 즉, 과거 방송연예과 출신에 대해 학교 측에서 공식적으로는 방송영상전공 동문으로 표기한다.
  • 국악과는 2010년에 '한국음악과'로 학과명을 변경하였으며 2021년, '실내디자인전공'은 '공간디자인전공'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지금의 학부제는 2015년부터 시행된 것으로 이것들을 이해한다면 하단의 표기들을 이해하기 수월하다.
  • 예술경영전공은 2015년에 연극, 영화, 방송영상과에 존재하던 세부전공을 독립시켜 통합하였다. 과거 각 전공의 예술경영 세부전공자들은 기수제로 예술경영 전공자들과 같이 분류한다.
  • 아래의 명단은 현재 현업에 종사 중인 동문 모두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출신 전공(학과) 기재는 각각의 인물들의 졸업 및 중퇴 당시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서울예술대학교는 1962년 '드라마센터 부설 한국연극아카데미'라는 이름으로 개교한 이래, 서울연극학교(1964~1974) - 서울예술전문학교(1974~1978) - 서울예술전문대학(1978~1998) - 서울예술대학(1998~2012) - 서울예술대학교(2012~현재)와 같은 교명의 변경을 거쳤다. 초기의 교명을 통해 서울예술대학교의 뿌리는 드라마센터, 즉 극장(연극)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영상(영화, 방송 관련), 문예(순문학, 극문학), 음악(국악, 대중음악), 미술(디자인, 사진)을 비롯하여 광고, 예술공학, 예술경영에까지 교육의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는 현재 전문학사 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총 15개의 전공을 의미한다. 국악과의 명칭을 한국음악과로, 실내디자인과의 명칭을 공간디자인과로 변경하는 등의 전공명의 변화가 많았던 편이다. 더불어 연기 관련(연극, 뮤지컬, 영화, 드라마, 코미디, 성우 등) 출신 인물들은 대부분 현재의 연기자 양성을 담당하고 있는 '공연학부 연기전공(2007~)'이 아닌 연극과, 영화과, 방송연예과 등에 산재해 있다. 이는 2007년 세 학과에 세부 전공으로 존립해온 연기 전공을 통합하여 연기과를 출범하기 전의 일이다. 그렇기에 다수의 출신 인물들의 세부 전공 및 당시의 학과 명칭을 일일이 기재하는 것은, 당사자가 직접 자신의 세부 전공을 밝히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고 이를 일일이 구분하여 기재할 경우 발생하는 유사 명칭에 의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렇기에 학번을 통해 알 수 있는 당대의 교명과 전공명을 그대로 기재한다(학력 기재는 졸업 및 재학 당시가 원칙이다). 그렇기에 '영상학부 방송연예과'와 같은 엉성하게 결합된 명칭을 표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학부제가 도입된 것은 2015년도이며, 방송연예과가 방송영상과로 명칭을 변경한 것은 2007년도이다). 또한 서울예술대학교는 2024년 기준 개교 이래 62년 동안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제외한, 즉 대부분의 학생들이 재학 및 인식하고 있는 전문학사 과정에서 '학사 학위'를 수여한 적이 없다. 그렇기에 그들의 졸업 사실을 '학사'라 표기하는 것은 엄연한 오류이다(당연히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학사 과정을 졸업한 자에게는 학사라 표기해도 무방하다). 전문학사 또는 졸업 이라고 기재하는 것이 옳다.
  • 전공이 "과"와 "전공"이 혼용되어 표기 되어 있지만, 서울예술대학교는 2024년 기준 "전공"으로 학위가 부여된다. 예시로는 과거 "방송연예과"는 현재의 "방송영상전공"이다. 이것은 입학 연도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이지만, 본 문서에서는 편의상 "과" 표기로 통일되어 있으니, 혼동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기업인

3. 정치인

  • 김비오 - 연극과 졸업. 이후 경성대학교에 편입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나, 예술인이 아닌 정치인의 길을 걸었다. 이후 취득한 석박사 학위는 모두 정치와 연관되어 있다. 그 외에도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하는 등 예술계와는 거리가 먼 인사다.

4. 영화감독

5. 패션 디자이너

6. 방송

7. 성우

8. 음악

9. 문학

  • 강성은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강영숙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고주희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김려령 - 소설가, 아동청소년문학가. 문예창작과 졸업.
  • 김미월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39]
  • 김은숙 - 드라마작가. 문예창작과 졸업.
  • 노희경 - 드라마작가. 문예창작과 졸업.
  • 박지연 -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작가. 문예창작과 졸업.
  • 박형준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백민석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백은선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서이제 - 소설가. 영화과 졸업.
  • 신경숙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성다영 - 시인. 문예창작과 중퇴
  • 유보라 - 시나리오 작가. 문예창작과 졸업.
  • 윤성희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이신화 - 드라마작가. 극작과 졸업.
  • 이병률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이원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장석남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정소현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40]
  • 정이현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41]
  • 조경란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조용미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천운영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42]
  • 최제훈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43]
  • 편혜영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하성란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 황병승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황선미 - 아동청소년문학가. 문예창작과 졸업.
  • 황인숙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김성진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군무원.
  • 성향숙 - 시인. 문예창작과 졸업.
  • 손용우 - 출판인. 광고창작학과 졸업.
  • 김진환 - 광고인. 광고창작학과 졸업.
  • 오유석 - 광고인. 광고창작학과 졸업.
  • 백온유 - 소설가. 문예창작과 졸업.

10. 무용

11. 연극 및 뮤지컬

12. 외부 링크


[1] 2015년 학부제 시행으로 영상학부 방송영상전공으로 존속.[2] 97학번이며 현재의 디자인학부 공간디자인전공이다.[3] 김우석의 친형 김민석 또한 서울예술대학교 출신으로 형의 경우 실용음악과 보컬 전공이다.[4] 본명 김진희로 활동하다가 예명 김이은으로 변경[A] 91학번으로 유재석과 같은 과 동기.[6] 1991년에 입학하였으나 연예계 데뷔와 아버지의 병환 등으로 중퇴 후 재입학해 2014년에 23년 만에 졸업을 하였다. 참고로 91학번 동기는 송은이, 이휘재 등.[7] 아들 독고준도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를 졸업하였다.[8] 여담으로, 신구는 1962년에 입학한 1기생이었으며 그 당시의 '서울예대'는 '한국연극아카데미'였다. 그래서,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했을 때 유재석이 신구에게 '1기생 선배님' 으로 부르기도 했다. 더불어 "서울연극아카데미"라고 해당 영상에서 발언하나 정식 명칭은 '한국연극아카데미'이다.영상 출처. 당시 한국연극아카데미에는 연기과와 연구과가 있었다. 배우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연기과에, 학술적이고 비평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연구과에 진학했다.[9] 서울예술대학교의 전신인 서울연극학교 출신.[A] [11]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12] 1962년 창립된 한국연극아카데미 연기과 출신이다. 당시 한국연극아카데미에는 연기과와 연구과가 있었는데, 이호재는 연기과 졸업생이다. 총 졸업생 23명 중에 22등으로 졸업했다고 한다.[13] 한국연극아카데미 연기과 졸업생으로, 현 서울예술대학교의 1기 졸업생이다.[A] [15] 62학번 1기생으로, 동기기로는 배우 신구, 전무송, 이호재, 민지환, 반효정 등이 있다. 다만, 반효정은 중퇴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에 진학했다.[16] 모든 멤버가 서울예술대학교 동문이다.[17] 91학번.[18] 사실은제적 당했다고 한다. 적지 않은 인원이 재학 기간 중 활동을 병행하게 됨에 따라 학업을 지속하지 못했기 때문에 서울예대는 중퇴자에 대해서도 동문 예우를 하고 있다.[A] 유재석과 방송연예과 91학번 동기.[20] 90학번으로 유재석, 전태열, 사성웅의 1년 선배. 사실 앞서 언급된 3인과 동일한 72년생인데 조기입학을 해서 90학번이 된 것이다. 참고로 유재석은 선배라는 점을 감안해 동갑임에도 사석에서도 이선을 선배 혹은 누나라고 부르기로 호칭 정리를 했다고 한다.[21] 유재석의 언급에 따르면 성우 공채 시험에 집중하느라 바빠서 후배들에게 밥을 쏘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A] [23] 개그맨 시험을 준비하던 유재석이 전태열의 집에서 자주 개그 연습을 하였고, 친구들이 모여서 노는 게 다반사였다고 한다.[B] 91학번.[B] [26] TOP밴드 시즌 1의 우승팀 톡식의 멤버.[27] 멤버 박가람 제외.[28] 멤버 안태규 제외[29] 실용음악과 10학번. 보컬 전공 김민석, 재즈피아노 전공 정동환[30] 모든 멤버.[31] 본명 윤요셉, 하은과 하은요셉이라는 유닛으로 활동하였다.[32] 슈퍼스타K3에 출연하였던 예리밴드의 멤버.[33] 모노트리작곡가키보디스트[34] 밴드 소란의 멤버.[35] '사랑이란 멜로는 없어', '꿈속에 너'를 가창한 가수.[36] 멤버 전원.[37] 멤버 전원.[38] 작곡 전공으로 입학 후 싱어송라이터 전공으로 졸업.[39]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졸업 후 입학.[4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후 입학.[41]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후 입학.[42]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후 입학.[43]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