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국제개발
, 공적개발원조
국제학 International Studie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국제경제학 |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
<colbgcolor=#4b92db> 국제정치학 | 국제정치이론 · 국제안보학 · 국제관계 · 외교정책 · 국제정치이론 · 지역연구 | |
국제경영학 | 기업의 국제화 · 국제경영이론 · 국제경영환경 · 현지경영 관리/전략 | |
국제법 | 국제법의 형성과 이론 · 국제법의 법전 · 국제법의 연원 | |
국제개발협력 | 국제개발(공적개발원조)· 개발경제학· 프로젝트 관리 및 평가 | }}}}}}}}} |
1. 개요
국제개발협력학(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DC)은 혹은 개발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다. 다학제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으로 국제개발, 국제개발협력, 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 등과 혼동되어 쓰인다. 1990년에 영국에서부터 학문으로서 인기를 끌기시작한 신생 학문으로써, 주로 개발도상국과 개발프로젝트에 대해서 연구한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제개발협력학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해외에서는 개발학으로 부른다. (여기서는 편의상 국제개발협력학으로 통칭한다.)2. 정의
국제개발협력의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정부 무상원조기관 한국국제협력단에서는 개발학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사회 현상을 '개발'과 '개발도상국'의 렌즈를 통해 들여다본 학문"으로 정의한다.3. 역사
국제개발협력학은 서구 열강들이 개발을 식민지 개척과 문명화를 목적으로 만든 식민지학(Colonial Studies)에서 비롯되었다. 윌리엄 이스터리는 자신의 저서 『세계의 절반 구하기』(The White Man's Burden)에서 현재의 원조행위가 우월감과 제국주의 의식에서 만들어졌음을 언급했다. 이런 식민지학은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영국에서 개발학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4. 학문 분야
크게 개발정책학, 개발경제학, 프로젝트 관리 및 평가에 대한 학문을 포괄하고있으며, 국제개발협력학을 가르치는 학과마다 특성화된 학문(국제보건개발, 국제농업개발, 국제교육개발 등)을 추가로 가르치기도한다.4.1. 국제개발
해당 분야는 국제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위한 학문분야이다. 국제개발의 역사와 개발에 대한 정의,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개념을 포괄하며, 일반적으로 국제개발협력학의 이해 등의 수업명으로 열린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 참조.4.2. 개발경제학
경제성장론 및 영향평가 등에 대한 내용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 참조.4.3. 프로젝트 관리 및 평가
국제개발협력의 대부분은 개발사업(프로젝트)로 이루어져있다. 이에따라 국제개발협력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변화이론(Theory of Change, ToC), 프로젝트 기획 메트릭스(Project Design Matrix, PDM)과 같은 논리모형(logical framework), 해당지역의 문제를 분석하는 문제나무(Problem Tree) 그리고, 프로젝트 제안서(Project Concept Paper,PCP) 등의 작성법과 해당 개발사업을 실행한 이후 프로젝트 이행정도 및 효과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방법론을 배우게된다.5. 국내 설치 대학
학부과정에서는 대부분 국제학과의 세부전공으로 신설된 경우가 많아 국제학사가 수여가 되는 경우가 많다. 대학원과정에서부터 비로소 개발학을 받을 수 있으며, 전공명은 개발협력이 들어간 경우라도 국제학사가 대부분 수여된다. 개발협력분야에서는 요구하는 학위가 업무별로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해당분야에서 일하고 싶다면 어떤 학위가 주어지는지 확인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5.1. 학부과정
- 강원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과
- 경희대학교 국제학과 국제개발협력트랙
-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개발협력전공
-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국제개발협력전공
- 성결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과
- 수원대학교 경제학부 국제개발협력전공
-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서비스학부 글로벌협력전공
- 신한대학교 경영대학 국제개발협력학과
- 아신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부 국제개발협력전공
- 연세대학교 융합인문사회과학부 지속개발협력전공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국제개발트랙
-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개발협력전공
- 전남대학교 AI융합대학 국제개발협력학융합전공
-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제학부 국제개발협력전공
-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국제개발협력과 거버넌스 융합전공
-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해외농업개발∙협력 융합전공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역경제개발협력전공
5.2. 대학원과정
5.2.1. 일반대학원
-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국제교육개발협력전공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글로벌교육개발협력전공
-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 경상국립대학교 행정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국제개발협력전공
5.2.2. 전문대학원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개발협력전공
-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국제통상협력학과
-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국제지역협력학과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협력전공, 국제개발전공
-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협력전공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개발협력전공
-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개발협력전공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국제학과 국제개발전공, 유엔평화학과
-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글로벌사회적경제학과 국제개발협력전공
- KDI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개발정책학과
5.2.3. 특수대학원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글로벌거버넌스학과
-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유엔평화학과, 국제평화-거버넌스학과
-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첨단녹색도시개발학과
-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공공정책리더십학과, 지속가능발전학과
-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 한경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국제개발협력전공, 스마트농업공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