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과학교육과는 과학교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하위학문의[1] 교육과로 구성되어있다.2. 상세 설명
의외로 과학교육과가 있는 대학 자체가 많지 않다. 물화생지가 모두 있는 대학[2]은 강원대학교, 경북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대구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조선대학교, 충북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처럼 전통 있는 사범대학들 정도뿐이다.[3]가뜩이나 이과생들 숫자도 적어지는데
과학교육과로 또는 과학교육학부로 합쳐져 있는 경우에는 1학년 때 물화생지 공통과목을 이수하고 2학년 때 물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생물교육전공, 지구과학교육전공 중 세부 전공을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통합과학교사 2급과 세부전공 교사 2급 자격증이 동시에 나온다. 현재의 통합과학은 예전의 공통과학 자격으로도 가르칠 수 있다.
물화생지 교육과로 분리된 대학에서 통합과학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대학에 설치된 연계전공을 통해서 취득해야 한다. 여담으로 공통과학에서 통합과학으로 바뀌면서, 교원자격증의 취득이 더욱 어려워졌다. 연계전공 신청 전에 신중히 고려해야할 듯하다.
3. 유형
3.1. 과학교육과
2학년 때 세부전공을 진입해야 하는 형태의 대학이다.3.2. 물리교육과
항목 참조.
3.3. 화학교육과
항목 참조.
3.4. 생물교육과
항목 참조.
3.5. 지구과학교육과
항목 참조.
4. 출신 인물(과목 무관)
- 강은희 - 경북대학교 물리교육과
- 계란계란 -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과학쿠키 - 공주대학교 물리교육과
- 김주하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나나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승현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이원조 - 경북대학교 화학교육과
- 이주연 -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손은정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최경희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최은정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유연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1]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2] 대학에 물화생지 교육과가 있더라도 주기적으로 과가 합병되거나 분리되거나 한다. 혹은 학부는 따로, 대학원은 통합 이런식으로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3] 보다시피 서울에선 과학교육과가 서울대, 이화여대 정도가 전부다. 초등교육과 심화전공으로 과학교육과가 있는 서울교대까지 합쳐서 세 학교 연합인 '서울권 과학교육과 연합동아리 Hz'가 있다.[4] 물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생물교육전공, 지구과학교육전공 존재.[5] 물리교육전공, 생물교육전공 존재.[6] 물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생물교육전공, 지구과학교육전공 존재.[7] 물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생물교육전공, 지구과학교육전공 존재.[8] 물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