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12:28:12

𣑯에서 넘어옴
복숭아 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고등학교
준3급
-
일본어 음독
トウ
일본어 훈독
もも
-
표준 중국어
tá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桃는 '복숭아 도'라는 한자로, '복숭아'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복숭아
중국어 표준어 táo
광동어 tou4
객가어 thò
민동어 tò̤
민남어 thô[文] / tô[白]
오어 dau (T3)
일본어 음독 トウ
훈독 もも
베트남어 đào

유니코드에는 U+684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LMO(木中一人)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억조 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桃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도원역(桃源驛)
파일:충청광역전철-logo.svg 충청권 광역철도 (예정) 도마역(桃馬驛)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영동선 도경리역(桃京里驛)
역명에 桃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파일:JRW-D.svg 나라선 모모야마역(桃山駅)
파일:JRW-O.svg 오사카 순환선 모모다니역(桃谷駅)
파일:JRK_Wlogo.svg 치쿠히선 모모노카와역(桃川駅)
파일:Keihan-KH.svg 케이한 본선 후시미모모야마역(伏見桃山駅)
파일:Keihan-KH.svg 케이한 우지선 모모야마미나미구치역(桃山南口駅)
파일:KT-B.svg 킨테츠 교토선 모모야마고료마에역(桃山御陵前駅)
파일:KT-E.svg 킨테츠 나고야선 모모조노역(桃園駅)
파일:kitakyu_namboku.svg 키타큐 난보쿠선 모모야마다이역(桃山台)
역명에 桃이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 백무선 소도역(小桃驛)
역명에 桃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국)
파일:상하이 지하철 11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1호선 타오푸신춘역(桃浦新村站)
파일:선전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선전 지하철 1호선 타오위안역(桃园站)
파일:선전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선전 지하철 12호선 타오위안역(桃园站)
역명에 桃이 들어가는 철도역 (대만)
파일:타오위안 공항 첩운 로고.svg 타오위안 공항 첩운 고속철도 타오위안역(高鐵桃園站)
타오위안체육공원역(桃園體育園區站)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종관선 타오위안역(桃園車站)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타이완 고속철도 타오위안역(桃園站)

3.6. 창작물

3.7. 기타

4. 이체자

  • 𣑯(U+2346F)

5. 유의자

  • (복숭아 모)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거친밭 교, 돌이름 조)
  • 𨱵[⿰镸兆](자라는모양 노)
  • (돋울 도)
  • (뛸 도)
  • (배 도/요)
  • (소고 도)
  • (울 도)
  • (피 도)
  • (강요주 요)
  • (떡 요)
  • (벌레이름 요)
  • (빛날 요)
  • (예쁠 요)
  • (가래 조, 냄비 요)
  • //𨋫[⿰車兆](경박할 조)
  • (귀울릴 조)
  • (그믐달 조)
  • (꾈 조)
  • (묏자리 조)
  • (밝을 조)
  • 𤱩[⿰田兆](밭두둑 조)
  • (볼 조)
  • (새끼양 조/도)
  • (세살된말 조/도)
  • (실의수효 조)
  • (씻을 조)
  • 𣁶[⿰斗兆](열말들이말 조)
  • (제사고기 조, 아름다울 요)
  • (조어 조)
  • (천묘 조)
  • (평상 조)
  • 𢓝[⿰彳兆](홀로걸을 조)
  • 𥎺[⿰矢兆](화살 조)
  • (훤칠한모습 조)
  • (희게구운병 조)
  • (힘센개 조/도)
  • 𪘈[⿰齒兆](이갈 초)[4]
  • 𪌪[⿰麥兆](도)
  • 𱐃[⿰冫兆]
  • 𤙔[⿰牛兆]
  • 𤕷[⿰爿兆]
  • 𰕨[⿰方兆]
  • 𥩼[⿰立兆]
  • 𱲄[⿰皮兆]
  • 𫋺[⿰衤兆]
  • 𬢖[⿰角兆]
  • 𩡂[⿰香兆]
  • 𫖁[⿰面兆]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𥰜[⿱𥫗桃](댓가지 도)

[文] 문독[白] 백독[3] 한자로 '호도(胡桃)'로 쓰지만 표준어로 '호두'로 표기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4] (이갈 초)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