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대한민국 | 독일 | 러시아 | |
| | | | |
멕시코 | 미국 | 브라질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아르헨티나 | 영국 | 이탈리아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캐나다 | |
| | | | |
튀르키예 | 프랑스 | 호주 | 유럽연합 | |
| ||||
아프리카 연합 | }}}}}}}}} |
역대 G20 정상회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미국| 2008 워싱턴 D.C. | [[영국| 2009 런던 | [[미국| 2009 피츠버그 | [[캐나다| 2010 토론토 | [[대한민국| 2010 서울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프랑스| 2011 칸 | [[멕시코| 2012 로스 카보스 | [[러시아| 2013 상트페테르부르크 | [[호주| 2014 브리즈번 | [[튀르키예| 2015 안탈리아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중국| 2016 항저우 | [[독일| 2017 함부르크 | [[아르헨티나| 2018 부에노스아이레스 | [[일본| 2019 오사카 | [[사우디아라비아| 2020 리야드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이탈리아| 2021 로마 | [[인도네시아| 2022 발리 | [[인도| 2023 뉴델리 | [[브라질| 2024 리우데자네이루 |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5 요하네스버그 |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미국| 2026 마이애미 |
1. 개요
2024년 11월 18일 ~ 11월 19일까지 실시된 G20 정상회의. 개최 장소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현대미술박물관이다.2. 개최 전
3. 참석 정상
3.1. 회원국
국가 | 정상 | 비고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 ||
대한민국 | 윤석열 대통령 | ||
독일 | 올라프 숄츠 연방총리 | ||
러시아 |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 [대리참석] | |
멕시코 |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대통령 | |
미국 | 조 바이든 대통령 | ||
브라질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 | [주최국] | |
사우디아라비아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총리 | [3] | |
아르헨티나 |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 ||
영국 | 키어 스타머 총리 | ||
이탈리아 | 조르자 멜로니 총리 | ||
인도 | 나렌드라 모디 총리 | ||
인도네시아 |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 ||
일본 | 이시바 시게루 총리 | ||
중국 | 시진핑 국가주석 | ||
캐나다 | 쥐스탱 트뤼도 총리 | ||
튀르키예 | 레제프 에르도안 대통령 | ||
프랑스 |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 ||
호주 |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 | ||
유럽연합 | 샤를 미셸 상임의장 |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 |||
아프리카 연합 |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의장 | [4] | |
스페인 (영구초청) | 페드로 산체스 총리 |
3.2. 초청국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압델 파타 엘 시시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로렌스 웡 | 총리 | ||
루이스 아르세 | 대통령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 총리 | ||
루이스 몬테네그루 | 총리 | ||
볼라 티누부 | 대통령 | ||
주앙 로렌수 | 대통령 | ||
칼레드 빈 모하메드 알 나히얀 | 왕세자 | ||
가브리엘 보리치 | 대통령 | ||
팜민찐 | 총리 | ||
오마르 파가니니 | 외무장관 | ||
사미아 술루후 하산 | 대통령 | ||
산티아고 페냐 | 대통령 | ||
구스타보 페트로 | 대통령 | ||
필리프 뉴시 | 대통령 | ||
안와르 이브라힘 | 총리 | ASEAN 의장국 |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국왕 | ||
피에트로 파롤린 | 국무원장 |
4. 초청 국제기구 수장
국제기구 | 수장 | 국적 | |
국제노동기구 | 질베르 웅보 사무총장 | 토고 | |
국제통화기금 |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 불가리아 |
금융안정위원회 | Klaas Knot 의장 | 네덜란드 | |
라틴아메리카-카리브 개발은행 | 세르히오 디아스 그라나도스 귀다 총재 | 콜롬비아 | |
미주개발은행 | 일란 골드파인 총재 | 브라질 | |
세계무역기구 | |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 | 나이지리아 |
세계보건기구 | |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이여수스 사무총장 | 에티오피아 |
세계은행 | | 아자이 방가 총재 | 미국 |
신개발은행 | | 지우마 호세프 총재 | 브라질 |
아랍연맹 | 아흐마드 아불 가이트 사무총장 | 이집트 | |
아프리카개발은행 | 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 | 나이지리아 | |
유네스코 |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 | 프랑스 | |
유엔 | |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 포르투갈 |
유엔식량농업기구 | 추둥위 사무총장 | 중국 | |
유엔무역개발회의 | 레베카 그린스판 사무총장 | 코스타리카 |
5. 정상회의
6. 여담
- 해당 회의 이후 3주도 안 돼서 윤석열이 친위 쿠데타의 여파로 출국 금지 조치되고 끝내 탄핵되면서, 이 회의는 이보다 앞서 열렸던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윤석열의 마지막 해외 순방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