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5 21:37:50

2024 G20 리우데자네이루 정상회의


G2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독일 러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멕시코 미국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아르헨티나 영국 이탈리아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캐나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튀르키예 프랑스 호주 유럽연합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연합 }}}}}}}}}

역대 G20 정상회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08 워싱턴 D.C.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09 런던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09 피츠버그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10 토론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0 서울
6회 7회 8회 9회 10회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11 칸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2012 로스 카보스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2013 상트페테르부르크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2014 브리즈번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5 안탈리아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16 항저우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17 함부르크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2018 부에노스아이레스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19 오사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2020 리야드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21 로마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2022 발리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2023 뉴델리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2024 리우데자네이루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2025 요하네스버그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26 마이애미
}}}}}}}}} ||

1. 개요2. 개최 전3. 참석 정상
3.1. 회원국3.2. 초청국
4. 초청 국제기구 수장5. 정상회의6. 여담

1. 개요

2024년 11월 18일 ~ 11월 19일까지 실시된 G20 정상회의. 개최 장소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현대미술박물관이다.

2. 개최 전

3. 참석 정상

3.1. 회원국

국가 정상 비고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Cyril_Ramaphosa.jpg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South_Korea_President_Yoon_Suk_Yeol_portrait.jpg
윤석열
대통령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Olaf_Scholz.jpg
올라프 숄츠
연방총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Серге́й_Ви́кторович_Лавро́в.jpg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대리참석]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셰인바움 멕시코.jpg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대통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President Joe Biden.jpg
조 바이든
대통령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룰라 제39대 대통령 공식 사진.jpg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
[주최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Mohammed_bin_Salman_Al_Saud.jpg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총리
[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Javier_Milei.jpg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Keir_Starmer.jpg
키어 스타머
총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르자 멜로니 프로필.png
조르자 멜로니
총리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नरेन्द्र_दामोदरदास_मोदी.jpg
나렌드라 모디
총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공식사진 2024.jpg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Ishiba Shigeru 20241001.jpg
이시바 시게루
총리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시진핑.png
시진핑
국가주석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PM Justin Trudeau Official Portrait.jpg
쥐스탱 트뤼도
총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Recep Tayyip Erdoğan.jpg
레제프 에르도안
대통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마크롱 대통령 공식사진 크롭.jpg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Anthony_Albanese.jpg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파일:Charles_Michel.jpg
샤를 미셸
상임의장
파일:Ursula_von_der_Leyen.jpg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연합
파일:울드 가주아니 공식.jpg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의장
[4]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영구초청)
파일:페드로 산체스 - 스페인.png
페드로 산체스
총리

3.2. 초청국

국가 정상 직위 비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압델 파타 엘 시시 대통령 NEPAD 의장국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로렌스 웡 총리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루이스 아르세 대통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요나스 가르 스퇴레 총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루이스 몬테네그루 총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볼라 티누부 대통령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주앙 로렌수 대통령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칼레드 빈 모하메드 알 나히얀 왕세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가브리엘 보리치 대통령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팜민찐 총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오마르 파가니니 외무장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사미아 술루후 하산 대통령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산티아고 페냐 대통령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구스타보 페트로 대통령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필리프 뉴시 대통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 ASEAN 의장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시국 피에트로 파롤린 국무원장

4. 초청 국제기구 수장

국제기구 수장 국적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국제노동기구
질베르 웅보
사무총장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국제통화기금 로고.svg
국제통화기금
파일:50587867_303.jpg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금융안정위원회
Klaas Knot
의장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라틴아메리카-카리브 개발은행
세르히오 디아스 그라나도스 귀다
총재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미주개발은행
일란 골드파인
총재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세계무역기구 로고.svg
세계무역기구
파일:응고지사무총장후보자.jpg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파일:WHO-DG-Tedros-for-ra.jpg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이여수스
사무총장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세계은행 로고.svg
세계은행
파일:Ajay_Banga2.jpg 아자이 방가
총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신개발은행
파일:Dilma Rousseff presidential portrait.jpg 지우마 호세프
총재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랍 연맹 휘장.svg
아랍연맹
아흐마드 아불 가이트
사무총장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아프리카개발은행
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유네스코기.svg
유네스코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UN기.svg
유엔
파일:안토니우 구테흐스 공식사진 (2016, 원본).jpg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유엔식량농업기구 로고.svg
유엔식량농업기구
추둥위
사무총장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유엔무역개발회의
레베카 그린스판
사무총장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5. 정상회의

6. 여담

  • 해당 회의 이후 3주도 안 돼서 윤석열이 친위 쿠데타의 여파로 출국 금지 조치되고 끝내 탄핵되면서, 이 회의는 이보다 앞서 열렸던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윤석열의 마지막 해외 순방이 되었다.

[대리참석] [주최국] [3] 국왕이 워낙 고령이라, 2018년부터는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총리가 대신 참석하고 있다.[4] 당해 아프리카 연합 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