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a5200>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탄구 | 병점구 | 효행구 | }}}}}}}}} | |
| 화성시의 읍면동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a5200>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 봉담읍 | 매송면 | 비봉면 | 정남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법정동 | ||||||
| <colbgcolor=#004696> 기배동 | 기안동 | 배양동 | }}}}}}}}} | ||||||||
| 화성시의 설치 예정인 일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효행구 孝行區 Hyohaeng-gu | }}} | |||
| <colbgcolor=#fa5200><colcolor=#ffffff> 구청 소재지 | 봉담읍 최루백로 165 (분천리) |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 기초자치단체 | 화성시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3면 1동 | ||||
| 면적 | 153.48㎢ | ||||
| 인구 | 158,453명[기준] | ||||
| 인구밀도 | 1,024.77명/㎢[기준] | ||||
| 구청장 | | 미정 | |||
| 시의회 | | 석 | |||
| | 석 | ||||
| 도의원 | | ||||
| | |||||
| 국회 의원 | <colbgcolor=#fa5200><colcolor=#ffffff> 병[3] | | 권칠승 (3선) | ||
| 갑[4] | | 송옥주 (3선) | |||
| 지역번호 | 031 | ||||
| <nopad> |
| 효행구의 위치 |
1. 개요
| 효행구의 경관, 상징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봉담중심상가 | 비봉 택지지구 전경 | |
| | | |
| 어천역 | 홍익디자인고등학교 |
경기도 화성시 중부에 설치 예정인 일반구. 동으로는 오산시와 병점구, 서쪽으로는 만세구, 북으로는 수원시 권선구, 안산시 상록구에 접한다.
2.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행정/분구 추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행정/분구 추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관내에 위치한 효행로, 효행초등학교처럼 정조의 효심을 나타내는 의미로 효행구가 되었다.[5] 또 다른 명칭 후보로는 이 지역에 있던 역참의 명칭인 동화에서 따온 동화구가 있었다. 실제로 봉담읍에는 동화리와 동화초등학교, 동화중학교 등 관련 지명이 이미 사용되어 오고 있다. 2025년 8월 22일에 설치가 승인되었다. 2026년 2월에 설치될 예정이며 임시청사는 봉담읍 분천리 51-1에 위치한 건물을 임차할 예정이다.
2.1. 인구
| (2008년~현재) |
2008년 86,505명 |
2010년 104,852명 |
2015년 110,420명 |
2020년 133,580명 |
2025년 10월 158,453명 |
| 2026년 2월 효행구 설치 |
| 2025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2008-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3. 지역 특징
병점, 동탄보다는 작은 규모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각 읍면마다 택지지구가 개발되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구청이 위치한 봉담읍은 봉담지구 개발로 2008년 이후 약 두배가량 증가하고 이후 2지구 개발로 계속 증가하고있다. 이런 점에 더해 다른 화성지 지역들 방향으로 확장하기 어려운 지형[6]때문에 만세구, 병점구 지역과는 크게 연결되지 않고 오히려 수원시와 더 연결된 모습을 보인다. 현재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개통으로 만세구, 동탄구와의 왕래가 쉬워져 조금 나아진 상황이다.이곳에 화성시의 대학교가 거의 다 모여있는 지역이다. 수원 명칭이 들어간 대학교만 4개로 수원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해란캠퍼스)가 있고 그 외에도 장안대학교, 협성대학교,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에 경계 지역에 있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경기지역대학)까지 합하면 총 8개가 이곳에 위치해있다. 심지어 그 대학교 대다수가 봉담읍 주변에 위치해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근 병점구의 상권이 효행구의 대학생들로 수혜를 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효행구의 재개발 및 철도역 설치 등의 대규모 상권 개발 떡밥이 항상 돌아다닌다.
정조의 효심에서 따온 효행구라는 명칭에 따라 관련 문화재인 융건릉과 용주사가 이 지역에 있을것 같지만 정작 두 문화재가 위치한 지역은 병점구 화산동이다. 그나마 융건릉은 경계 바로 옆에 있다.
4. 교통
화성시 서부에서 수원, 병점, 동탄을 가기 위해 무조건 지나야하기 때문에 화성시 교통의 중심지다. 도로의 경우 향남읍(발안)과 수원시를 잇는 삼천병마로가 이 지역을 관통하고 서해안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등의 큰 규모의 고속도로와 봉담과천로, 비봉매송로같은 고속화도로가 있어 화성시 내에서는 거의 최상위급이다.4.1. 철도 교통
| 효행구의 철도역 | |
| 철도명 | 역명 |
| | |
| 수인·분당선 | 어천역, 야목역 |
현재 인천 송도역에서 출발해 안산 초지역, 화성 어천역을 지나 경부고속선으로 합류하여 부산, 목포 방면으로 향하는 인천발 KTX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6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어천역에서 KTX를 타고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목포 등으로 바로 향할 수 있게 되어, 효행구의 철도 교통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역시 2026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인 수원발 KTX가 개통되면 수원역이 어천역과 함께 KTX를 이용하는 데 있어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될 전망이다.[8]
4.2. 버스 교통
수원으로 가는 버스가 대부분이고 일부 타 지역 버스들도 이 지역을 지나간다. 특히 수원 버스가 많은편이고 배차간격도 짧은 노선이 많아 수원 버스를 자주 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직행좌석버스
- 시내버스
- 경기광주 버스 700-2
- 수원 버스 30
- 수원 버스 30-1
- 수원 버스 32-4
- 수원 버스 34
- 수원 버스 34-1
- 수원 버스 35
- 수원 버스 42
- 화성 버스 39
- 화성 버스 50-2
- 화성 버스 50-3
- 화성 버스 50-4
- 화성 버스 50-5
- 화성 버스 50-6
- 화성 버스 65
- 화성 버스 67
- 화성 버스 210
- 화성 버스 211
- 화성 버스 220
- 화성 버스 220
- 화성 버스 330
- 화성 버스 400
- 화성 버스 400A
- 화성 버스 999
- 화성 버스 1000
- 화성 버스 1004
- 화성 버스 1004-1
- 화성 버스 H10-4
- 화성 버스 H10-6
- 화성 버스 H10-7
- 화성 버스 H100
- 화성 버스 H103
- 화성 버스 H104
- 화성 버스 H105
- 화성 버스 H120A
- 화성 버스 H340
- 화성 버스 H404
5. 생활문화
5.1. 상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봉담읍/상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봉담읍/상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효행구의 상권은 봉담읍을 제외하고는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봉담읍에 몰려있다.
5.2. 교육
꾸준히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보니 학교 과밀현상이 일어난다. 특히나 봉담읍에 경우 한 학급당 30명이 훨씬 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고등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 대부분이 봉담읍에 있고 비봉면에 있는 비봉고등학교는 일반계와 특성화계열 모두 있다. 2022년까지 고등학교는 특성화고등학교 포함 세개뿐이였어서 많은 학생들이 수원이나 향남으로 갔었다. 2023년에 와우고등학교(10학급)가 개교하고 2025년에 화담고등학교(12학급)가 개교하면서 나아진 상황이다. 이 지역 대부분 학생들은 농어촌특별전형의 혜택을 받는다.[9]
- 초등학교
6. 행정구역
6.1. 봉담읍 - 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봉담읍#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봉담읍#|]]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읍소재지는 상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10] 수원도호부 삼봉면, 갈담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봉담면으로 통합되고, 1998년 읍으로 승격됐다. 인구는 110,181명[기준]으로 효행구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가장 많다.
봉담지구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2021년 8월 30일에 정부에서 봉담3지구를 발표하면서 인구 증가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수원역이 멀지 않은 곳에 있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봉담~동탄 구간도 지나다니기에 교통 또한 괜찮으며 화성시에서 기업이 가장 많은 곳이다. 또 수원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등 여러 대학교들이 몰려 있어서 학생 유동인구도 많다.[12]
주요 시설로 화성세무서, 화성시민캠퍼스, 해병대사령부, 이마트 화성봉담점, CGV 화성봉담, 봉담호수공원이 있고 SK매직 등의 기업 사업장들도 많다. 각급 학교는 갈담초, 내리숲초, 동화초, 봉담초, 상봉초, 수기초, 수영초, 수현초, 와우초, 효행초, 봉담중, 수현중, 와우중, 화성동화중, 봉담고, 와우고가 있다.
화성시에서 동탄 무봉산 다음으로 높은 건달산이 있다. 정상에서는 화성시 동쪽 끝부터 서해까지 전부 보이므로 기회가 된다면 올라가볼 것을 추천한다.
효행구의 구청소재지로 효행구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만큼 효행구의 중심지이다. 자체적으로 인구 10만을 넘었기 때문에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인구가 많은 舊 삼봉면 지역[13]은 분동하고 舊 갈담면 지역[14]은 따로 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6.2. 매송면 - 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매송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매송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소재지는 어천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15] 수원도호부 매곡면, 송동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매송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6,227명.[기준]
지역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묶여있다. 효행구에서 가장 적은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두 철도역 수인분당선 어천역과 야목역 모두 이 지역에 위치해있고, 특히 어천역에는 2025년 인천발 KTX가 정차할 예정이다. 서해안고속도로(매송휴게소, 매송IC)와 경부고속선, 39번 국도가 지나간다. 화성함백산추모공원, 51사단 신병교육대가 있다. 학교는 송라초, 화성매송초가 있다. 어천택지지구 조성으로 인구가 늘어날 전망이 있다.
6.3. 비봉면 - 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봉면(화성)#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봉면(화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소재지는 양노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17] 남양도호부 며지곶면, 저팔리면과 인천도호부 이포면[18]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비봉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16,079명.[기준]
매송면과 마찬가지로 지역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묶여있으며 화성예비군훈련장과 수원예비군훈련장이 있는데, 두 예비군훈련장의 위치가 가까워서 헷갈리는 사람들이 좀 있다. 구포리와 삼화리에 비봉공공주택지구가 조성되고 있으며, 택지지구가 다 개발되면 인구가 2만명을 넘게 되고 효행구의 농어촌 지역에서 두번째로 인구가 많다. 비봉면 끄트머리 유포리쪽 습지에 비봉습지와 체육시설을 조성 중이며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가 있다. 학교는 비봉초, 청룡초, 청연초, 비봉중, 청연중, 비봉고가 있다.
그린벨트라서 태행산 주위는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었지만 태행산 북쪽으로 비봉-매송간 도시고속도로, 남쪽으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건설되어 현재 운영 중이다. 서해안고속도로 비봉IC가 있다.
6.4. 정남면 - 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남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남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면소재지는 신리, 관할 법정리는 19개이다.[20] 수원도호부 정림면, 남곡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정남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10,292명.[기준]
효행구 남동쪽 끝에 위치해있어 봉담, 향남, 병점, 발안과 오산시 사이에 끼어 있다. 북쪽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보통리에 수원과학대학교와 정남IC, 보통저수지가 있다. 시골마을 구석구석까지 공장이 침투해있다. 교통체증이 심각한데 새로운 도로들이 개설되고 있으니 2-3년 안에 교통문제가 많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정남초, 정남중이 있다.
6.5. 기배동 - 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배동#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배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관할 법정동은 기안동·배양동이다. 인구는 15,674명.[기준]
효행구에서 유일하게 동인 지역으로 원래는 현재 대부분의 지역이 병점구에 속하는 태안읍 지역이였다.
태안읍의 다른 행정동과는 융건릉과 성황산에 막혀있다 보니 봉담읍 및 수원 평동 방면으로의 교통이 편리하다. 최근 주민센터가 기배마루라는 이름으로 화려하게 신축 이전하였다. 학교는 기안초, 배양초, 기안중, 홍익디자인고가 있다. 참고로 이 동네가 낳은 유명인으로 기안84가 있다.
[기준] 2025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기준] [3] 봉담읍, 기배동[4] 매송면, 비봉면, 정남면[5] 정작 관련 유적인 융건릉 및 용주사는 이곳이 아닌 옆 동네 병점구에 위치한다. 당연히 병점구의 다른 구 명칭 후보로 '효행구'가 있었지만, 주민 투표로 탈락하였다. 같은 명칭이 두 권역의 구 명칭 후보로 있던 셈이다. 시의 정체성과 맞닿은 '효'를 구 명칭에 어떻게든 넣어 강조하고자 하는 화성시의 의지가 돋보이는 부분. 지리적으로 가깝기는 하나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6] 서쪽으로는 삼봉산이 있고, 동쪽으로는 문화재인 융건릉이 있다. 평지는 수원시쪽이 더 많은 모습이다.[7] 2026년 12월 개통 예정[8] 수원역의 접근성이 상당히 좋은 만큼, 효행구에서 수원역으로 가서 KTX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꽤 많을 것으로 보인다.[9] 유일하게 기배동에 있는 기안중학교 출신 학생들은 학교가 도시지역에 있는것으로 적용되어 농어촌특별전형 혜택을 받지 못한다.[10] 내리·당하리·덕리·덕우리·동화리·마하리·상리·상기리·세곡리·수기리·수영리·와우리·유리·하가등리[기준] [12] 물론 이 학생들이 노는 건 수원역에서 놀기 때문에 대학가가 형성되지는 않았다.[13] 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14] 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23][15] 송라리·숙곡리·야목리·어천리·원리·원평리·천천리[기준] [17] 구포리·남전리·삼화리·쌍학리·양노리·유포리·자안리·청요리[18] 남양읍 장전리, 신외리, 비봉면 유포리, 삼화리. 인천도호부의 월경지였다.[기준] [20] 계향리·고지리·관항리·괘랑리·귀래리·금복리·내리·덕절리·망월리·문화리·발산리·백리·보통리·수면리·신리·오일리·용수리·음양리·제기리[기준]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