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00:31:57

화성함백산추모공원

문서가 있는 화장 시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광역시 단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서울추모공원
서울시립승화원
부산영락공원 대구명복공원 인천가족공원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영락공원 대전시정수원 울산하늘공원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성남시 화성시, 부천시, 군포시, 안양시, 광명시, 시흥시, 안산시
수원시연화장 용인평온의숲 성남시장례문화사업소 화성함백산추모공원
경상북도
김천시 영주시
김천시립추모공원 영주시화장장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
군산승화원
제주특별자치도
양지공원
전국 사찰
다비장
* 초록색으로 굵은 글씨대한민국 역대 전직 대통령의 화장 의식을 거행한 화장시설이다.

* 빨간색으로 굵은 글씨는 일부 타지 시민도 관내 또는 준관내 자격으로 이용 가능한 화장시설이다.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화성함백산추모공원
함백산追慕公園
Mt. Hambeak Memorial Park
<nopad>
개원 2021년
운영시간 09:00 ~ 18:00
유형 화장시설
관리 기업 화성도시공사[화장시설]
(주)함백산[상업시설]
시공 업체 한화 건설부문
주소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서해로 2448-32 (숙곡리 산 16-11)
화장로 수 13기
(52회)
링크 화성함백산추모공원 홈페이지

1. 개요2. 명칭 관련3. 영상4. 연혁
4.1. 이곳에서 장례 의식을 거행했거나, 안장된 유명 인사4.2. 기타
5. 교통편6. 여담

1. 개요

파일:화성시 CI.svg 파일:부천시 CI.svg 파일:안산시 CI.svg 파일:안양시 CI.svg 파일:시흥시 CI.svg 파일:광명시 CI.svg 파일:군포시 CI.svg 파일:화성도시공사 로고.svg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서해로 2448-32 (숙곡리 산 16-11)에 위치한 종합장사시설이다. 건설사는 한화 건설부문[3]에 시공을 맡았으며, 2021년에 개장했다.

화성시, 안양시, 광명시, 부천시[4], 시흥시, 안산시의 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공동 설립하여 화성도시공사에서 운영하는 광역 화장 시설이다. 2023년 9월 1일부터는 군포시가 추가되었다. 그래서 바깥 담장에 화성시 뿐만 아니라 이들 지자체의 로고가 전부 붙어있다. 이들 7개 지자체의 거주민은 관내 시민 자격으로 할인된 비용으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화성도시공사에서 수탁 운영하고 있으며, 수익 시설(장례식장, 식당, 매점, 카페)은 유치 지역 주민 지원 협의체에서 설립한 '(주)함백산'에서 운영한다.

장례식장, 화장장, 봉안당, 자연 장지(수목장, 잔디장)까지 한꺼번에 갖춘 종합장사시설이다.

부지 면적 30만㎡, 화장 시설 13기, 봉안 시설 2만 6천기, 자연 장지 2만 5천기, 장례식장 8실을 갖췄다.

2026년 화장로가 18기까지 늘어날 예정인데, 70회 이상까지 화장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2. 명칭 관련

건립이 추진되던 시기에, 바로 옆에 있는 함백산에서 따왔다. 그런데 건립이 추진되던 중인 2016년, 국토지리정보원은 과거 자료(밀양 박씨들이 모여 살던 집성촌이 있었다고 함) 등을 근거로 산의 공식 명칭을 함백산에서 함박산으로 바꿨다. 공식 명칭 변경에 따라 카카오맵 등에도 함박산으로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건립이 완료된 2021년, 화성 함백산추모공원은 명칭 변경을 하지 않고 개장했다.

3. 영상

화성함백산추모공원

4. 연혁

4.1. 이곳에서 장례 의식을 거행했거나, 안장된 유명 인사

4.2. 기타

5. 교통편

6. 여담

화장로 제작사인 일본 미야모토 공업소가 화성함백산추모공원에 최신식 화장로 13기를 설치하였다. 최근에는 성남시영생관리사업소, 서울추모공원에 납품이 되었다.

경부고속선이 바로 옆으로 지나간다. 그래서 KTX를 타고 가다 볼 수 있다.

화장장 건립 과정에서 인근의 수원 호매실지구 주민들과의 마찰이 있기도 했다.

[화장시설] 화장시설 수탁운영[상업시설] 장례식장, 매점, 식당, 카페 등 추모공원 내 상업시설 운영[3] 이 회사는 서울추모공원도 시공한 바 있다. 단 그 쪽은 금호건설과 공동 시공.[4] 부천시.안산시.시흥시.김포시민은 인천가족공원을 준관내 자격으로도 이용 가능하고, 인천 가족공원 화장로 중 3기는 부천.안산.시흥.김포시민에 배정이 되어 있다. 특히 부천시의 경우에는 인천가족공원을 이용하는 경우 부천시에서 화장 비용을 지원한다.[5] 화장한 고인의 유해는 배우 전미선의 유해가 안치된 이천 에덴낙원 납골당에 안치되었다.[6] 화장후 김포 문수산 수목장에 안장[7] 화장후 모란공원에 안장[8] 혹은 허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