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8:17:47

추상대수학

현대대수학에서 넘어옴

[[수학#분야|'''수학의 분과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display: inlin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수학기초론() 집합론 · 순서론 · 형식증명이론(논리학) · 범주론 · 타입 이론
대수학() 추상대수학 · 선형대수학() · 가환대수학 · 정수론(대수적 정수론 · 해석적 정수론) · 대수기하학(호몰로지 이론) · 범주론 · 표현론
해석학() 미적분학 · 실해석학 · 복소해석학 · 측도론 · 해석 기하학 · 범함수 미적분학 · 미분기하학 · 수치해석학 · 분수계 미적분학 · 해석적 정수론 · 카오스 이론
기하학 · 위상수학() 유클리드 기하학 · 논증 기하학 · 해석 기하학 · 대수기하학(호몰로지 이론) · 미분기하학 · 위상수학(점-집합 위상수학 · 매듭이론 · 대수위상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통계학( · 확률론) · 이론 컴퓨터 과학() · 이산수학( · 조합론 · 형식언어론) · 공업수학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
틀:과학의 범위 · 틀:형식과학 · 수학 관련 정보 }}}}}}}}}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가비의 이 · 곱셈 공식(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절대부등식) · 방정식(/풀이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 · 소수 · 정수 · 음수 · 유리수 · 실수(무리수(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 클라인 사원군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크로네커 델타)
마그마·반군·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스칼라 · 벡터 · 행렬 · 텐서(텐서곱) · 벡터 공간(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 호프대수
대수기하학 대수 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과일 분수방정식 문제 }}}}}}}}}


1. 개요2. 특징3. 핵심 대수 구조

1. 개요

Abstract Algebra /

대수학의 한 분류로, 수나 구체적인 계산보다는 대수 구조(Algebraic Structures) 자체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다. 흔히 현대대수학(modern algebra)이라고도 부르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5차 이상의 방정식 풀이 문제 등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2. 특징

기존의 대수학이 x,y,z와 같은 변수를 사용하여 실수나 복소수의 덧셈, 곱셈 등 구체적인 연산을 다루는 것과 달리, 추상대수학은 , , 와 같은 추상적인 구조를 핵심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들 구조는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는 집합과 그 위에서 정의된 연산으로 구성된다. 즉, 구체적인 원소의 성질에 얽매이지 않고, 연산이 가지는 본질적인 속성과 그 관계를 체계화하고 일반화하는 데 주력한다. 이런 추상대수의 맥락에서 '일반화'란, 개개의 구체적인 원소나 집합이 아니라 준동형 사상동형 사상을 통해 연관된 모든 동일한(닮은) 대수적 구조에서 만족하는 본질적인 성질을 드러내는 것이 핵심이다.

추상대수학은 수학 전반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정수론, 대수기하학, 대수위상수학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또한, 암호학, 대수적 부호 이론, 이론물리학 등 응용 분야에서도 핵심적인 도구로 활용된다.

대수학을 '사칙연산 놀음'으로 여기는 일반인들의 인식과는 달리, 추상대수학은 미적분학따위로 만들 정도로 난해한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다. 일반화가 극에 달하다 보니 고차원적인 상상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3. 핵심 대수 구조

  • 군론: 가장 기본적인 대수 구조 중 하나인 군을 연구한다. 군은 집합 G와 이항연산 ∘이 주어졌을 때, 닫힘성, 결합법칙, 항등원, 역원의 네 가지 공리를 만족하는 구조이다. 주로 대칭성이나 순환성 등을 다루며, 갈루아가 방정식의 대칭성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루빅스 큐브의 움직임이나 결정 구조의 대칭 등은 군 이론으로 설명된다.
  • 환론: 두 개의 이항연산을 가지는 대수 구조이다. 덧셈에 대해서는 아벨 군의 성질을 가지며, 곱셈은 결합법칙과 덧셈에 대한 분배법칙을 만족한다. 정수 집합(Z)이나 다항식 집합이 대표적인 환의 예이다. 환론은 가환대수학을 포함하며, 정수론대수기하학에 깊이 응용된다.
  • 체론: 환 구조에서 나눗셈까지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곱셈에 대해서도 교환법칙, 항등원, 역원이 모두 성립하는 대수 구조이다. 사칙연산이 모두 가능한 수의 집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유리수체(Q), 실수체(R), 복소수체(C)가 대표적인 예이며, 체론은 갈루아 이론을 통해 대수학의 근본적인 문제였던 5차 이상 방정식의 풀이 가능성 여부를 완전히 규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