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02:08:14

허정무호/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아르헨티나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허정무호/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틀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조별리그]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조별리그]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조별리그]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조별리그]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조별리그]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조별리그]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6강]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조별리그]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조별리그]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강]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fbcc00, #e50003, #009b33, #034182, #1c1b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조별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대한민국 경기 (B조)
그리스전 (1차전) · 아르헨티나전 (2차전) · 나이지리아전 (3차전)
주요 경기
슬로바키아 vs 이탈리아 (F조)
결선 토너먼트 16강 8강 준결승, 3PO 결승
대한민국 경기
우루과이전 (16강)
주요 경기
우루과이 vs 가나 (8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250E7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성인
2008~2010
전체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그리스전 · 아르헨티나전 · 나이지리아전 · 우루과이전)
}}}}}}}}}}}}}}}

1. 개요2. 경기 전 예측3. 경기 실황
3.1. 전반전3.2. 후반전
4. 경기 평가5. 중계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B조 3경기
2010년 6월 17일 목요일 13:30 (UTC+2)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경기장|{{{#ffffff 사커 시티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ffffff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ffffff 요하네스버그}}}]])
주심: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관중: 82,174명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2성)엠블럼.svg
4 : 1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16′ [[자책골|{{{#000000,#dddddd (OG)}}}]] [[박주영|{{{#000000,#dddddd 박주영}}}]]
32′, 75', 79' [[곤살로 이과인|{{{#000000,#dddddd 곤살로 이과인}}}]]
파일:득점 아이콘.svg 45′ [[이청용|{{{#000000,#dddddd 이청용}}}]]
[[https://m.youtube.com/watch?v=PwTJGfuofhY|{{{#ffffff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worldcup/2010south-africa/match-center/300061458|{{{#ffffff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파일:UEFA ARG.png [[곤살로 이과인|{{{#1c1b21 곤살로 이과인}}}]]

2. 경기 전 예측

파일:2010월드컵-대한민국축구국가대표팀-주유니폼-vs아르헨티나.jpg
그리스전 승리의 영향과 디에고 마라도나 전 감독과 허정무 전 감독의 악연 등 때문에 경기 시작 며칠 전부터 양 측은 신경전이 심했다. 분위기로 보자면 대한민국 언론은 아니나다를까 그리스전의 내용이 너무 좋아서 아르헨티나를 이기는 게 꿈은 아니라며 부풀렸고, 아르헨티나 언론은 대한민국 축구를 비방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비난을 했다. 다만, 대한민국 축구 팬들은 펠레의 저주를 염려하기도 하고[1] 아르헨티나가 워낙 축구 강국인지라 대다수가 아주 잘 하면 비기거나 1점~2점 차로 질 거라고 예상했다. 아르헨티나 역시 지역 예선이 워낙 시원치 않았고 디에고 마라도나 전 감독의 지도력도 신통치 않아 3점차 대승까지는 예상하지 못했다. 이전 경기 역시 그렇게 우수하진 않았고.[2]

유니폼

대한민국 : 빨간색 하얀색 빨간색

아르헨티나 : 하늘색 줄무늬 검정색 하얀색

3. 경기 실황

파일:UEFA ARG.png 아르헨티나 선발 명단 4-3-1-2
감독: [[디에고 마라도나|{{{#000000 디에고 마라도나}}}]]
GK
22. 세르히오 로메로
RB
17. 호나스 구티에레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3'
CB
2. 마르틴 데미첼리스
CB
13. 왈테르 사무엘 22'
4. 니콜라스 부르디소 22'
LB
6. 가브리엘 에인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3'
{{{#!wiki style="margin: -16px -11px;" RW
20. 막시 로드리게스
CDM
14.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4'
LW
7. 앙헬 디 마리아
}}}
CAM
10. 리오넬 메시
CF
9. 곤살로 이과인 파일:득점 아이콘.svg 32', 파일:득점 아이콘.svg 75', 파일:득점 아이콘.svg 79' 81'
5. 마리오 볼라티 81'
CF
11. 카를로스 테베스 74'
16. 세르히오 아구에로 74'
CF
10. 박주영 파일:자책골 아이콘.svg 16' 80'
20. 이동국 80'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19. 염기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
CAM
7. 박지성 파일:주장 아이콘.svg
RW
17. 이청용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3' 파일:득점 아이콘.svg 45'
}}}
CM
8. 김정우
CM
16. 기성용 45'
5. 김남일 45'
LB
12. 이영표
CB
14. 이정수
CB
4. 조용형
RB
2. 오범석
GK
18. 정성룡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선발 명단 4-2-3-1
감독: [[허정무|{{{#ffffff 허정무}}}]]
SBS 하이라이트 영상

3.1. 전반전

리오넬 메시 한 명만 막으면 혹시 기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비웃기라도 하듯, 아르헨티나는 경기 초반부터 맹공을 퍼부었다. 전반 1분에는 앙헬 디 마리아가 단독으로 기회를 만들었고, 2분 뒤에는 카를로스 테베스가 2대1 패스로 한국 수비진을 공략했다. 아르헨티나의 중원이 두터운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측면으로 경기를 풀어보려 했지만 아르헨티나의 풀백 호나스 구티에레스와 가브리엘 에인세는 견고했다. 그리고 전반 16분, 오른쪽 측면에서 리오넬 메시가 왼발로 감아올린 프리킥이 수비에 가담했던 박주영의 오른발에 맞고 골문 안으로 들어가서 기록상으로 박주영의 자책골이 되었다.

분명 아르헨티나는 지역 예선에서 그저 그런 파라과이에게도 덜미를 잡힐 정도로 아르헨티나 치고는 실력이 시원찮은 팀이었다. 대한민국은 이게 아르헨티나를 이길 유일한 기회였고, 정신만 잘 차렸으면 아르헨티나와 이길 수도 있었고 못해도 비길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대한민국 선수들은 리오넬 메시라는 엄청난 전력에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말았다.

아르헨티나는 이후로도 대한민국의 좌우 측면, 특히 이청용과 오범석이 포진한 오른쪽을 문자 그대로 도륙내며 공격을 퍼부었고, 대한민국은 정성룡의 선방으로 간신히 버텨갔다. 여기서 선수들이 마치 2002년 한일 월드컵 마냥 각자 위치를 잡고 그 위치에 맞는 행동을 했더라면 좋았지만, 이 경기에서의 대한민국 선수들은 메시에 대한 충격에 벗어나지 못하고 갈팡질팡했다. 결국 전반 32분, 아르헨티나의 추가골이 터졌다. 메시의 패스를 받은 막시 로드리게스가 오른발 크로스를 날렸고, 니콜라스 부르디소가 백헤딩으로 연결한 것을 곤살로 이과인이 헤딩으로 마무리 지은 것이다.
이청용 득점
좀처럼 공격을 시도하지 못하던 대한민국은 전반 종료 직전 행운의 득점에 성공했다. 전반 45분, 이청용이 중앙 수비수 마르틴 데미첼리스의 트래핑 실수를 놓치지 않고 공을 가로챈 다음 오른발 아웃프런트 슈팅을 성공시킨 것이다. 이를 골키퍼 세르히오 로메로가 막지 못해서 골인이 되었다.[3] 사실 로메로의 선방 능력은 도마에 자주 오를 정도로 논란이 되고 있었다.

3.2. 후반전

사실 여기서 대한민국은 후반 운영에 대해서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 이전에 나이지리아가 0:1로 진 반면, 대한민국은 1:2로 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대로 경기가 끝난다면 다득점 우선 방식인 조별리그에서 대한민국이 나이지리아보다 유리해질 수 있었다. 그래서 그리스를 2:0으로 이겨놓은 대한민국은 사실 여기서 지고 있음에도 텐백으로 잠글 수도 있었다. 사실 16강 계산으로는 그게 더 합리적이었다. 즉, 템포를 올려서 1점을 따라잡으러 가느냐 현재 점수차를 지키기 위해 잠그느냐를 선택할 수 있었다. 여기서 대한민국은 1점을 찾으러 가는 방향을 택했다. 사실 잠그기로 결심했어도 2:1로 끝났을 거라는 보장은 없다. 오히려 공격은 못하고 라인만 내리고 박혀 있다가 망했을 확률이 꽤 있다. 거기다 대한민국은 이란이나 북한처럼 텐백 수비에 능한 팀도 아니었다.[4]

이 선택은 신의 한 수가 될 수도 있었다. 후반 초반 몇 차례 위기를 넘긴 대한민국은 후반 25분까지 주도권을 쥐고 상당히 공격적으로 움직이며 아르헨티나를 몰아붙였다. 하지만 아르헨티나의 수비진은 견고했다. 후반 12분 역습 상황에서 이청용의 절묘한 패스를 잡은 염기훈이 박스 안 오른쪽 지점에서 1대1 슈팅 기회를 잡으며 동점 기회를 맞았지만, 옆 그물을 때리는데 그쳤다.[5] 동점을 잡기 위해 템포를 극한으로 끌어올렸던 대한민국은 결정적인 찬스를 놓치며 체력 한계가 오기 시작했고 무너져 내렸다.

위기를 넘긴 아르헨티나는 세르히오 아구에로를 투입하며 지공에서 속공으로 전환한 뒤 공격을 위해 위로 올라와 있던 대한민국의 수비라인을 작정하고 갈아 엎기 시작했고, 그 효과는 바로 드러났다. 후반 30분 아궤로와 리오넬 메시의 절묘한 콤비 플레이에 대한민국 수비진은 그대로 뒷공간을 허용하며 무너져 내렸다. 정성룡은 메시의 첫 번째 슈팅을 막아냈지만 두 번째 슈팅에 이은 이과인의 쇄도는 막을 수 없었다. 그리고 후반 34분에는 메시의 절묘한 로빙패스를 받은 아구에로가 오른발로 띄운 것을 이과인이 헤딩으로 마무리 지으며 월드컵 첫 해트트릭과 함께 팀의 4번째 골을 기록했다.

멋모르는 한국인들에게 막장 감독이라는 조롱을 받았던 디에고 마라도나 전 감독은 경기 내내 여유로운 모습을 보이며 원숙한 경기 운영으로 손쉽게 승리를 거머쥐었고 자신이 충분히 우승을 노릴 수 있는 지도자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게 아니었고, 아르헨티나가 잘해서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못해서 패한 거다. 실제로 이후 대한민국과 나이지리아가 2:2로 비겼음을 생각해본다면 같은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메시같은 거 신경도 안 쓴 나이지리아가 고작 0:1로 패한 것과 비교해[6] 대한민국은 메시 하나만 마크한다고 수비가 엉성했던 탓에 1:4라는 스코어로 패했다.

아르헨티나가 넣은 3번째 골은 오프사이드인데 인정된, 즉 오심이었단 의견이 있었으나 현역 심판 등 관계자들 상당수는 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고, 오심 논란이 대한민국 네티즌에게 알려졌을 땐 4번째 골이 들어간 이후였기에 대한민국에서 이 경기를 보고 있던 대한민국 축구 팬들은 이미 경기를 포기해 있던 시점이라 그게 그거라는 반응이었다.
그런데 2010년 6월 25일, 아르헨티나전 부심은 뒤늦게 자신의 오심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걸 빼도 어차피 1:3으로 아르헨티나가 완승을 거둔 상황이었으니 의미도 없고, 또한 축구에서 오심은 이미 집행이 됐으면 그냥 유효한 걸로 처리되고 해당 오심을 한 심판만 징계한다.

4. 경기 평가

대부분의 국민들은 자책골 넣은 박주영을 콜롬비아의 안드레스 에스코바르 마냥 역적 취급하였으나, 축구를 조금이라도 본 사람들은 이 날 경기의 패배의 주역이 박주영이 아니라는 것은 다 알고 있는 사실였다. 원톱 세워놓고 미드필더에서 패스라고는 안 올라오는 상황에서... 박주영 본인도 제 페이스가 아니긴 했지만, 자책골을 넣었단 이유만으로 박주영에게만 책임을 묻는 것은 옳지 않다. 박지성도 "자신이 그 자리에 있었어도 어떻게 해 볼 수 없었다" 라고 주장하면서 박주영을 변호해줬다.

사실, 축구에서 골이 들어가려면 별 희한한 기상천외한 방법으로도 들어가기 때문에 그냥 운이 없었다고 밖에 할 수 없다.[7] 부진한 염기훈이야 대체할 공격 자원이 없었으니 어쩔 수 없었다지만, 차두리 대신 오범석을 끝까지 밀어붙이고 후반부에 기성용을 뺀 허정무 전 감독의 용병술은 꽤나 많은 논란을 낳았다. 또한, 김남일의 미숙한 볼 키핑과 수많은 패스 미스는 결국 아르헨티나에게 완벽한 찬스를 내주고 말았다. 김남일은 결국 다음 경기에서도 대형 사고를 치고 만다.

물론, 제대로 붙었어도 대한민국이 아르헨티나보다 전력도 한참 열세나 다름없었고 어차피 패배할 수밖에 없는 경기이기는 했다. 리오넬 메시를 견제하기도 힘든 판에 박지성을 능가하는 선수가 여러 명이나 더 존재하는 팀을 상대로 대한민국이 할 수 있는 일은 사실상 없었기 때문이다. 저 때 당시 아르헨티나의 화려한 스쿼드의 이름값을 보면 세계 최고의 풀백들이 와도 아르헨티나의 공격력을 막아내는 것이 쉽지 않기는 했다. 그저 오염라인이 못 막았다고 너무 폄하할수는 없는 문제다.

다만 오범석의 투입이라는 실수 및 전술적 미스로 인해 주지 않아도 될 골을 몇 골 더 내준 것은 상대인 아르헨티나도 인정하는 사실이다. 상기했듯 동점을 만들러 템포를 끌어올린 허정무의 선택은 세계적인 팀을 상대로 정면 승부를 걸어본 것이었으나 결과는 무참한 패배였다. 만일 염기훈의 그 슛이 들어가 동점이 됐더라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올지도 모르나 결과적으로는 대실패가 되고 말았다.

다만 결과는 실패이긴 했지만 2002년을 제외하고 강팀을 만날 시 잠그고 역습이 패턴이었던 대한민국이 강팀을 상대로 20분여 주도권을 쥐고 맹공을 퍼부었던 것은 의미있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사실 강팀 상대로 비정상적인, 수비 위주의 경기 운영을 하는 것은 딱히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팀이 그런 운영을 택한다.

그런데 그런 운영을 안하고 정면 승부를 걸고 승부수가 25분까지는 맞아떨어졌다는 건 대한민국 축구의 수준이 그 정도까지 올라갔다는 걸 증명하는 장면이었고, 이후 우루과이와의 선전이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5. 중계

중계 방송
파일:SBS 로고.svg 배성재 차범근
파일:1035.png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중계 방송
파일:NHK_logo.svg 시청률 23.4%

6. 여담

  • 이 경기로 인해 오범석과 염기훈은 오염 라인이란 불명예스런 별명을 갖게 되었다.
  • 곤살로 이과인해트트릭을 하자 이과인(理科+人)을 응징해야 한다는 이유로 디씨인사이드 수학 갤러리가 털리는 일이 있었다(...).
  • 당시 막내 라인이었던 김보경이 트레이닝을 할 때 옆에서 박주영이 보강 운동을 했다고 한다. 아르헨티나전 당일 훈련하고 있을 때 허정무 전 감독이 박주영에게 오늘 좋을 것 같으니 슈팅을 자주 하라는 주문을 했다고 한다. 열정 넘치던 김보경은 옆에서 박주영에게 형님, 한골 넣으실 것 같아요라며 박주영을 격려했는데 경기 시작하고 얼마 안 되어 박주영이 자책골을 넣었다고 한다. 김보경은 그 이후로 아무리 촉이 와도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혼자 마음으로만 생각한다고...
  •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가장 큰 점수차로 패한 경기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훗날 이 경기는 가장 크게 재평가되는 경기중 하나가 되었다. 그 이유인 즉슨 이때 아르헨티나의 선수단을 보면 하나같이 레전드 출신인데다가, 당시 신예에 가까웠던 아르헨티나 선수들도 당시에도 대단했는데, 몇년 이후 아예 세계 축구사를 쥐고 흔드는 전설적인 선수들이 되자 솔직히 쟤들을 못 막은게 그렇게까지 욕먹을 일은 아니였던 것 같다라는 여론이 형성되었기 때문. 특히 리오넬 메시는 이 시점에서 이미 세계 축구의 최정점에 올라 있었던 데다 한창 젊은 나이였기에 전성기 리오넬 메시를 못 막았다고 욕 먹는게 말이 되느냐며 후대의 팬들에 의해 오범석과 염기훈에 대한 재평가와 동정론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그럼 그 아르헨티나를 4:0으로 박살낸 독일은 뭐가 되는겨.
  • 시간이 꽤 흐른 2020년대 축구 선수들의 유튜브 진출이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이 경기에 대한 소회를 다루는 컨텐츠가 다수 올라왔는데, 다들 하나같이 하는 말이 메시는 정말로 막을 수가 없다.였다. 아무리 빨리 뛰어도 도저히 잡을 수가 없었다고 하며, 볼을 뺏을 기회주차 안줬다고 한다. 그렇게 열심히 뛰는 거 같지도 않은데 막으려고 보면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고. 메시를 못막은게 욕 먹을일은 아닌게 확실한 듯하다.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요 경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A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vs 아랍에미리트 1:1 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6)
vs 인도네시아 4:2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6)
vs 쿠웨이트 0:2 패
파일:이란 국기.svg (199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6 패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1:2 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07)
vs 인도네시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07)
vs 이란 0:0 무
(PSO 4:2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07)
vs 이라크 0:0 무
(PSO 3:4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vs 일본 0:0 무
(PSO 6:5 승)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1 무
파일:인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인도 4:1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1:0 (연장)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2 무
(PSO 0:3 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3:2 승
2015 AFC 아시안컵 호주
파일:오만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0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1: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0 (연장)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라크 2: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2 (연장) 패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연장) 승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카타르 0:1 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1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2:2 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3 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PSO 4:2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2:1 (연장)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0:2 패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1954)
vs 헝가리 0:9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54)
vs 터키 0:7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6)
vs 아르헨티나 1:3 패
파일:불가리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6)
vs 불가리아 1:1 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6)
vs 이탈리아 2:3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0)
vs 벨기에 0:2 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vs 스페인 1:3 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0)
vs 우루과이 0:1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2:2 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볼리비아 0:0 무
파일:독일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3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네덜란드 0:5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1:1 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폴란드 2:0 승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국 1:1 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1:0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2:1 (연장)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0:0 무
(PSO 5:3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0:1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터키 2: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토고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토고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1:1 무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위스 0: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그리스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그리스 2: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아르헨티나 1: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2:2 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1: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러시아 1:1 무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알제리 2:4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0:1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웨덴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2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0 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0:0 무
파일:가나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가나 2:3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2:1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1:4 패
기타 경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1:2 (연장)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99)
vs 브라질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2:3 패
파일:오만 국기.svg (200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3 패
파일:몰디브 국기.svg (200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몰디브 0:0 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4)
vs 튀르키예 2:1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4)
vs 독일 3: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0: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0:3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7)
vs 중국 0:1 패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vs 카타르 2: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4:1 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청소년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423f3f>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0 승
파일:라오스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라오스 2:0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3: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2: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0 (연장)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1:2 패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4:3 (연장) 승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베트남 3: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연장)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9: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4: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5: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2017)
vs 기니 3: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7)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vs 잉글랜드 0:1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
vs 포르투갈 1:3 패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9)
vs 포르투갈 0:1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9)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9)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세네갈 3:3 무
(PSO 3:2 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1:0 승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크라이나 1:3 패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2:1 승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온두라스 2:2 무
파일:감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감비아 0:0 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3:2 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1:0 (연장)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1:2 패
파일:이스라엘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스라엘 1:3 패
U-17 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3)
vs 네덜란드 1: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3 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1)
vs 뉴질랜드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1)
vs 멕시코 3:6 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여자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0:2 패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2015)
vs 코스타리카 2:2 무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vs 스페인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vs 프랑스 0:3 패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vs 프랑스 0: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9)
vs 나이지리아 0:2 패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2019)
vs 노르웨이 1:2 패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콜롬비아 0:2 패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모로코 0:1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1:1 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파일:미얀마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얀마 3:0 승
파일:필리핀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5 승
파일:홍콩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5: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4 패
U-17 대표팀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0)
vs 일본 3:3 무
(PSO 5:4 승)
기타 경기
파일:북한 국기.svg (2017)
vs 북한 1:1 무
파일:중국 국기.svg (2022)
vs 중국 2:3 패
}}}}}}}}}}}}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FIFA 월드컵 결승전
파일:독일 국기.svg (2014)
vs 독일 0:1 (연장) 패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2)
vs 프랑스 3:3 무
(PSO 4:2 승)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파일:칠레 국기.svg (2016)
vs 칠레 0:0 무
(PSO 2:4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1)
vs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vs 대한민국 4:1 승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18)
vs 크로아티아 0:3 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2)
vs 이탈리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2)
vs 사우디아라비아 1:2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22)
vs 네덜란드 2:2 무
(PSO 4:3 승)
}}}}}}}}}}}}}}} ||


[1]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의 경기가 끝난 후, 펠레는 마라도나를 맹비난했다.[2] 사실 축구라는 종목이 원래 이렇다.[3] 이 골은 아르헨티나가 조별리그에서 기록한 유일한 실점이다. 이젠 지난 일이긴 하지만, 만일 이 이청용의 골조차도 없었더라면 대한민국은 골득실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여 16강행이 말 그대로 절망적이었다.[4] 기본적으로 월드컵 같은 대회가 아니면 텐백 전술을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없다. 아시아권에서는 상대가 대한민국이 대개 가둬놓고 팰 수 밖에 없는 전력이거나 강해봐야 호각세이기 때문이다.[5] 오른발로 차야하는 각도에서 억지로 본인의 주발인 왼발로 찼다. 덕분에 염기훈은 왼발의 맙소사라는 별명을 얻었다.[6] 심지어 이 한 골도 아르헨티나 공격수의 반칙을 주심이 무시해서 나온 골이었다.[7]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는 이거보다 훨씬 희한하게 골이 들어간 적이 있었다. 조별리그 잉글랜드 vs 파라과이 경기에서 잉글랜드의 데이비드 베컴이 프리킥을 했는데 이게 파라과이의 카를로스 가마라의 얼굴을 맞고 굴절되어 골이 되었다. 그리고 잉글랜드는 이 골로 파라과이를 이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