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AFC 아시안컵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대회 | 대표팀 | AFC 아시안컵 본선 경기 | ||
| 김성간호[1] | 홍콩 · 이스라엘 · 베트남[우승] | ||||
| 김용식호 | 베트남 · 이스라엘 · 대만[우승] | ||||
| 박일갑호 | 인도 · 홍콩 · 이스라엘[3위] | ||||
| 본선 진출 실패[5개국] | |||||
| 박병석호[3] | 크메르 · 쿠웨이트 · 태국 · 이란[준우승] | ||||
| 본선 진출 실패[6개국] | |||||
| 김정남호[5] | 말레이시아 · 카타르 · 쿠웨이트 · 아랍에미리트 · 북한 · 쿠웨이트[준우승] | ||||
| 문정식호 | 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시리아 · 카타르[9위] | ||||
| 이회택호 | 아랍에미리트 · 일본 · 카타르 · 이란 ·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준우승] | ||||
| 본선 진출 실패[8개국] | |||||
| 박종환호[7] | 아랍에미리트 · 인도네시아 · 쿠웨이트 · 이란[7위] | ||||
| 허정무호 | 중국 · 쿠웨이트 · 인도네시아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중국[3위] | ||||
| 본프레레호[8] | 요르단 · 아랍에미리트 · 쿠웨이트 · 이란[6위] | ||||
| 베어벡호 | 사우디아라비아 · 바레인 · 인도네시아 · 이란 · 이라크 · 일본[3위] | ||||
| 조광래호 | 바레인 · 호주 · 인도 · 이란 · 일본 · 우즈베키스탄[3위] | ||||
| 슈틸리케호 | 오만 · 쿠웨이트 · 호주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호주[준우승] | ||||
| 벤투호[9][10] | 필리핀 · 키르기스스탄 · 중국 · 바레인 · 카타르[5위] | ||||
| 클린스만호 | 바레인 · 요르단 · 말레이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호주 · 요르단[4위] | ||||
| {{{-2 {{{#!folding [1] 1956년~1964년 아시안컵은 4개국이 진출하는 본선 아시안컵이었다. (4강 결승리그)[5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3] 1972년~1976년 아시안컵은 6개국이 진출하는 본선 아시안컵이었다. (6강 조별리그)[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5] 1980년~1988년 아시안컵은 10개국이 진출하는 본선 아시안컵이었다. (10강 조별리그)[8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7] 1996년~2000년 아시안컵은 12개국이 진출하는 본선 아시안컵이었다. (12강 조별리그)[8] 2004년~2015년 아시안컵은 16개국이 진출하는 본선 아시안컵이었다. (16강 조별리그)[9]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대회부터 24개국 본선으로 확대되었다. (24강 조별리그)[10] 이 대회부터 3·4위전이 폐지되었으므로 4강전까지 최종 획득 승점을 기준으로 3·4위를 구분한다. | }}}}}}}}} | ||||
| | ||
| <colbgcolor=#79003c> 조별리그 | A조, B조 | C조, D조 |
| 결선 토너먼트 | 8강 | 4강, 결승 |
1. 개요
|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C조 3경기 2011년 1월 14일 금요일 22:15 (UTC+9) | ||
| 알 가라파 경기장 (카타르, 도하) | ||
| 주심: 압둘라흐만 압도우 (카타르) | ||
| 관중: 15,526명 | ||
| | 1 : 1 | |
| 호주 | 대한민국 | |
| 62' 밀레 예디낙 | | 24' 구자철 |
|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
| Man of the Match: 박지성 | ||
2. 경기 전 예측
미리보는 아시안컵 결승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기대를 모은 경기 답게 관중 수도 굉장히 많았으며[1], 경기 자체도 재밌는 경기로 예상된다.3. 경기 실황
| 호주 선발 명단 4-4-2 감독: 홀거 오지크 | |||||||
| GK 1. 마크 슈워처 | |||||||
| RB 8. 루크 윌크셔 13. 제이드 노스 ▲ 67' | CB 2. 루카스 닐 | CB 6. 사샤 오그네노브스키 | LB 3. 데이비드 카니 | ||||
| RW 7. 브렛 에머튼 | CM 5. 제이슨 컬리나 ▼ 45' 16. 칼 발레리 ▲ 45' | CM 15. 밀레 예디낙 | LW 14. 브렛 홀먼 ▼ 88' 17. 매트 맥케이 ▲ 88' | ||||
| CF 4. 팀 케이힐 | CF 10. 해리 큐얼 | ||||||
| CF 10. 지동원 ▼ 65' 9. 유병수 ▲ 65' ▼ 89' 8. 윤빛가람 ▲ 89'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W 7. 박지성 | CAM 13. 구자철 19. 염기훈 ▲ 65' | RW 17. 이청용 | }}} | |||
| CM 16. 기성용 | CM 6. 이용래 | ||||||
| LB 12. 이영표 | CB 14. 이정수 | CB 3. 황재원 | RB 22. 차두리 | ||||
| GK 1. 정성룡 | |||||||
| 대한민국 선발 명단 4-2-3-1 감독: 조광래 | |||||||
3.1. 전반전
호주는 인도 경기에서 보여준 선 굵은 축구를 선보이며 체력적 우위를 앞세워 압박해 나갔고, 대한민국은 짧은 패스를 통해 공격을 전개해나갔다. 대한민국은 전체적으로 호주 팀의 강한 압박에 고전하는 모습을 종종 보였다. 그런 와중에도 빠른 역습 및 세밀한 패스 전개로 골 찬스를 만들어내며 호주의 골문을 위협했다.헌데 골은 정성룡 골키퍼의 골킥에 의해 터졌다. 정성룡의 골 킥을 받은 지동원이 골문 앞으로 쇄도해 오던 구자철에게 공을 넘겼고, 침착하게 터치한 구자철이 멋지게 골을 성공시켰다. 벌써 이번 대회 세 번째 골.
대한민국은 선제골로 기선을 제압하며 경기를 잘 이끌어나갔으나 호주 팀의 압박은 상당히 강력했다. 번번히 수비 뒷공간이 뚫리는 크로스를
3.2. 후반전
후반 초반에는 대한민국이 다시 한 번 주도권을 잡고 공격을 펼쳤지만 후반 17분, 코너킥 찬스에서 케이힐이 받고 띄운 공을 무리하게 잡아내려고 정성룡 골키퍼가 나오다가 공이 연결된 밀레 예디낙이 재빨리 헤딩 슛을 때려 동점골을 만들었다. 이후부터 호주는 체력과 피지컬로 대한민국을 압박해가면서 오히려 대한민국이 수세에 몰렸다.이후 대한민국은 지동원과 구자철을 빼고 유병수와 염기훈을 투입했지만, 유병수의 움직임은 지동원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했고, 염기훈도 구자철처럼 매끄럽게 공격전개할 능력이 없었기에 경기는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된다. 여기에 서서히 체력이 떨어지면서 미드필더에서 짧은 패스보다는 길게 전방으로 공을 투입하면서 서로 공방을 반복하다, 골문 앞 경합 과정에서 기성용이 날린 논스톱 슈팅이 호주 키퍼의 선방에 막히면서 결정적인 찬스가 무산되었다. 이후 득점 없이 1:1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4. 경기 평가
5. 중계
| 국내 중계 | |||
| | 이재후 | 이용수 | |
6. 여담
| |
| 한벌 밖에 없는데요. 뒤져서 나오면 한벌에 한대. 네? |
- 경기 후 호주 선수들이 박지성과 유니폼 교환을 하고 싶어서 무한 경쟁을 했다.
7. 둘러보기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경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003e42,#bdfb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AFC 아시안컵 | ||||
| vs 대한민국 1:1 무 | vs 대한민국 0:1 패 | vs 대한민국 2:1 (연장) 승 | vs 대한민국 1:2 (연장) 패 | ||
| 기타 경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250E7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 성인 2010~2011 | 전체 (2010|2011) |
|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바레인전 · 호주전 · 인도전 · 이란전 · 일본전 · 우즈베키스탄전) | ||
| }}}}}}}}}}}}}}} | ||
[1] 절대적 관중 숫자는 15,526명으로 아주 많다고 할 정도는 아니지만 현재 카타르를 제외한 타국 경기의 관중수가 대부분 10,000명 이하, 특히 중동팀간 경기가 아닌 경우 관중들이 더 적다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많이 온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