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0-15 19:22:54

해론

관등 대나마(大奈麻)
직위 금산(金山) 당주(幢主)
이름 해론(奚論)
아버지 찬덕
사망지 가잠성(椵岑城)
생몰연도 ? ~ 618
1. 개요2. 생애3. 가잠성 전투와 죽음4. 둘러보기

1. 개요

삼국시대 신라의 장수.

신라 상대 사회의 계율 세속오계 중 임전무퇴를 실천한 인물이다.

2. 생애

서라벌의 모량부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찬덕백제와의 국경지대 근처인 가잠성[1]에서 백제 무왕의 대군을 맞아 시체를 뜯고 오줌을 받아 마시는 지옥 같은 공성전 끝에 장렬히 전사했고 임전무퇴의 본보기가 되어 아들 해론은 그 공으로 20여 세에 대나마라는 높은 관등[2]에 오르게 된다.[3]

3. 가잠성 전투와 죽음

아버지가 죽은 지 6년이 지난 618년, 진평왕은 해론과 한산주 도독 변품(邊品) 두 사람에게 군대를 맡겨 가잠성을 쳐서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해론에게는 아버지의 복수를 한 것이기도 했지만. 그러나 백제는 다시 신라군을 능가하는 군세로 가잠성을 공격했고, 교전이 시작되자 해론은 주변의 여러 장수들에게 말했다.
예전에 내 아버지께서 여기서 숨을 거두셨는데, 나도 지금 여기서 백제인과 싸우게 되었으니 오늘이 내가 죽을 날이다.
삼국사기 해론 열전

해론은 칼을 쥐고 적진으로 달려가 여럿을 죽이고 자신도 죽었다. 진평왕은 이 소식을 듣고 매우 슬퍼하며, 아버지 찬덕 때도 그랬듯 남은 가족들을 매우 두텁게 돌보아 주었다. 당시 사람들이 애도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해론을 위한 노래를 지어 조문했다. 기록에는 없으나, 아마도 그 위의 관등이자 6두품 이상만 받을 수 있는 급찬(현대 계급 소령)이 추증되었을 것이다.

4. 둘러보기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 학계에서 논란이 있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의 죽주산성설, 충청북도 괴산군설 등이 있다.[2] 지금 계급으로는 대위.[3] 당시 신라는 장수들이 용맹하게 전쟁에서 싸울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해, 공을 세운 인물은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남은 가족은 큰 보상과 명예를 받을 수 있었는데 비슷하게 큰 보상을 받은 인물로 소나, 야이차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