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2:58:59

2023년 평택 시내버스 개편

평택 버스 개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9da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평택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광역급행 M5438
<colcolor=#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좌석 8000
일반


시내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1. 개요2. 개편 내용3. 역사
3.1. 경과3.2. 개편 이전 변경 목록
3.2.1. 노선 신설
3.2.1.1. 광역 및 급행버스3.2.1.2. 일반 및 순환버스
3.2.2. 노선 조정3.2.3. 노선 폐지
4. 노선
4.1. 신설 노선4.2. 유지 노선4.3. 통합 노선4.4. 조정 노선4.5. 폐선 노선4.6. 존치 노선
5. 비판 및 문제점

1. 개요

평택시 남부, 북부, 팽성, 고덕국제신도시 지역에 운행 중인 노선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3일부터 시행 중인 평택 시내버스 개편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1][2]
파일:노선개편추진개요.jpg
개편 목록
  • 필요성
    • 대규모 택지 및 도시개발로 인한 인구 및 대중교통 이용수요 지속 증가
    • 신도심, 원도심, 철도역사, 학교 등 대중교통 이용 통행패턴 변화
    • 시내버스의 도심 집중과 노선의 중복화, 장거리화, 굴곡도 심화 등 노선개편 필요성 대두
  • 개편방향
    • 신도심, 원도심, 철도역사, 학교 등 접근성 강화
    • 남·북측 철도역사를 중심으로 노선개편 및 환승체계 마련
    • 차량 순수증차 및 코로나19로 인한 감축 운행대수 정상화를 통한 주요노선 배차간격 단축

2. 개편 내용

파일:노선개편총괄및개편효과.svg
  • 대상지역: 남부, 북부, 팽성, 고덕국제신도시 등
  • 대상노선: 68개 → 37개 노선으로 조정, 238대 → 322대 증차
    • 노선 수가 줄어든 반면 차량 증차를 통해 혼합시간과 운행횟수 조정
  • 버스노선체계 전면 개편[3]
    • 버스노선을 기능에 따라 광역, 급행, 일반, 순환버스로 개편
  • 노선번호체계 전면 개편
파일:신규노선번호부여체계_권역번호.svg
파일:신규노선번호부여체계_부여방법.jpg
  • 권역별로 권역번호를 부여
    • 1권역: 비전1동, 비전2동, 세교동, 통복동, 원평동, 용이동, 신평동, 동삭동, 안성시
    • 2권역: 팽성읍
    • 3권역: 송북동, 지산동, 서정동, 중앙동, 송탄동, 신장1동, 신장2동
    • 4권역: 고덕동, 고덕면
    • 5권역: 진위면, 서탄면, 오산시
    • 6권역: 안중읍, 오성면
    • 7권역: 청북읍
    • 8권역: 포승읍
    • 9권역: 현덕면
  • 노선기능별 번호체계[4]
    • 일반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기존/일련번호(00~99)
    • 순환버스: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1~9)
  • 불합리한 중복, 굴곡, 도심집중 노선 등 전면 개편
  • 평택지제역 등 여러 곳의 환승권역 설정으로 노선간 효율적인 환승․연계 체계 구축
  • 평택역 ~ 택지지구 ~ 학교 등 주요거점을 연결하는 순환노선 정립 등
  • 남부 ~ 북부 ~ 서부권역 및 고덕국제신도시 등 택지지구를 연결하는 노선 신설 및 확충
  • 권역별(남부, 북부, 서부지역) 순환노선 신설 및 확충
  •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구도심~신도심간 연계노선 구축 및 확충
  • 신도시 개발에 따른 남부~북부~서부지역 연계 노선 신설 및 개편
  • 노선별, 운행대수별 적정 운수종사자수 산정(1일 2교대 기준)

3. 역사

3.1. 경과

  • 2018년 12월: 평택시 노선체계개편 용역 발주
  • 2019년 2월~2020년 11월: 노선체계 개편 용역 시행
  • 2019년 3월~4월: 순환 및 직행 신설 노선도(안) 작성
  • 2019년 5월~7월: 운수업체 협의 및 버스 출고요청
  • 2019년 하반기: 운수종사자 수급 등 제반사항 마련
  • 2020년 11월: 버스노선체계 개편 초안 발표
  • 2020년 11월 11일: 버스노선체계 개편방안 주민설명회 영상 자료 공개[5][6]
  • 2021년 상반기: 간선, 순환 및 지선 체계 정립(주민설명회 등 시민의견 수렴결과 반영)
  • 2021년 하반기: 운수업체 협의 등 준비(업체별 운행노선 확정, 차량 증차 등)
  • 2021년~2022년: 서부권역 ~ 수도권간 광역버스 신설(노선입찰제 참여 등)
  • 2021년~2022년: 평택 ~ 서울(강남)간 광역버스 추가 신설
  • 2022년 8월~2026년 6월말: 단기(2023년), 중기(2024년), 장기(2025년)적으로 시민 홍보를 통한 혼란 최소화(언론, 노선도 작성 등 홍보) 및 순차적 노선 개편
  • 2023년 7월 3일: 버스노선 개편 시행[7]
  • 2023년 8월 1일: 일부 노선 신설 및 변경[8]

3.2. 개편 이전 변경 목록

3.2.1. 노선 신설

3.2.1.1. 광역 및 급행버스
3.2.1.2. 일반 및 순환버스

3.2.2. 노선 조정

  • 2022년 9월 1일: 3151번이 센트럴자이, 서재자이, 법원검찰청을 미경유함과 동시에 순환311번으로 번호 변경
  • 2022년 12월 1일: 6800번 수원 시내 구간 노선 일부 조정
  • 2022년 12월 12일: 8-3번 평택 시내 구간을 조정함과 동시에 1183번으로 번호 변경
  • 2023년 4월 3일: 8, 8-2번 노선 일부 조정
  • 2024년 11월 2일: 안중터미널이 기점/종점인 버스 노선을 안중역까지 연장

3.2.3. 노선 폐지

4. 노선

파일:평택시 CI_White.svg 2023년 평택시 시내버스 개편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신설 일반
유지 일반 [[평택 버스 순환111|
순환111A
순환111B
]]
조정 일반
좌석
통합 일반
마을
폐선 일반 [[평택 버스 7-5, 7-6|
7-5
7-6
]][[평택 버스 100, 100-1|
100
100-1
]]
}}}}}}}}} ||

4.1. 신설 노선

개편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5401 평택지제역 대광로제비앙.리슈빌레이크파크ㆍ파라곤에듀포레.제일풍경채2차 ㆍ 서정리역(중) ㆍ 고덕파라곤.제일풍경채 ㆍ 고덕자연앤자이 ㆍ (평택제천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 강남역 10~15 대원고속
개편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1154 평택역 군문초교 · 평택장례문화원 · 유천3동 · 유천1동 원중복 10회 협진여객
1155 기남방송 현촌초교 · 용죽푸르지오 · 소사벌중심상가 · 센트럴해링턴플레이스 · 비전중학교 · 평택여고 · 더샵지제역센트럴파크 · 힐스테이트 평택지제역 15~20 평택운수
1353 용이동차고지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용죽지구 · 소사벌더샵 · 비전1동행정복지센터 · 비전고등학교 · 성동초교 · 평택역 · 힐스테이트평택 · 평택여고 · 영신지구 · 평택지제역 칠괴우림A 20 협진여객
1451 평택터미널 평택역 · 통복시장 · 평택공단 · 평택지제역 · 송탄공단 · 삼성전자 · 행정복지타운 · 고덕파라곤 서정리역 20 평택여객
1456[9] 평택지제역 · 태평A · 영화A · 고덕하늘채A · 삼성전자 서문 · 고덕우체국 · 율포초교 · 고덕수변공원 · 고덕파라곤 서정리역 1일 6회 평택여객
개편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31 고덕아너스 풍경채3차 · 금호어울림 · 삼성전자 · 고덕동사무소 · 민세중 · 서정리역 · 센트레빌 · 이충고교 · 이충중 · 송탄출장소 · 서정더샵 현대상가 20~30 율포여객
32 고덕아너스 풍경채3차 · 금호어울림 · 함박산공원 · 삼성전자 · 장당초교 · 고용센터 서정리역 20~30 율포여객

4.2. 유지 노선

개편노선 기존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순환111A 888A 평택역 통복시장 → 힐스테이트평택 → 법원검찰청 → 중흥S클래스 → 소사벌중심상가 → 용죽푸르지오 → 굿모닝병원 → 시청 → 성동초교 평택터미널 10~20 평택운수
순환111B 888B 평택터미널 성동초교 → 시청 → 굿모닝병원 → 용죽푸르지오 → 소사벌중심상가 → 중흥S클래스 → 법원검찰청 → 힐스테이트평택 → 통복시장 평택터미널 10~20 협진여객
1000 1000 기남방송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비전푸르지오 · 배다리생태공원서문 · 우미린센트럴파크 · 비전중학교 · 법원검찰청 · 평택여고 · 삼익사이버A · 칠괴교차로 평택지제역 15~20 평택운수
1177 777 죽백동차고지 용이e편한세상 ·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현촌초교 · 용죽푸르지오 · 뉴코아 · 평택여자중학교 · 비전고등학교 · 소사벌중심상가 · 중흥S클래스 · 서재자이A · 센트럴자이A · 삼익사이버A · 칠괴교차로 평택지제역 15~20 평택여객
1199 999 죽백동차고지 현촌초교 · 평택세무서 · 중흥S클래스 · 비전중학교 · 이곡마을3단지 · 비전고등학교 · 평택중학교 · 평택역 · 통복시장 · 평택성모병원 평택지제역 10~15 평택여객
1452 1452 평택지제역 삼성전자 · 제일풍경채3차에듀 · 고덕아너스 · 함박산 · 행정복지타운 · 고덕파라곤 서정리역 15 협진여객
1502 2 용이동차고지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시청 · 성동초교 · 평택역 · 평택성모병원 · 평택지제역 · 송탄공단 · 서정리역 · 점촌 · 송탄역 · 송탄시장 · 진위역 · 원동초교 · 오산역 오산대학교 10 협진여객
1731 310 죽백동차고지 현촌초교 · 용죽푸르지오 · 뉴코아 · 성동초교 · 평택역 · 평택성모병원 · 평택지제역 · 태평A · 양교리 · 토진리 · 현곡공단 · 풍림아이원 부영1차정문 30~60 평택여객

4.3. 통합 노선

개편노선 기존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요약
순환121A 16, 21 서민금융지원센터 평택역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신궁리 → 두리 → 근내리 → 원정리 → 내리회관 → 동청리 → K6정문 → 팽성읍행정복지센터 → 공군A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평택역 내리회관 120~150 협진여객 순환노선 전환
순환121B 평택역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공군A → 팽성읍행정복지센터 → K6정문 → 동청리 → 내리회관 → 원정리 → 근내리 → 두리 → 신궁리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평택역
순환122A 3, 3-1, 3-2, 3-3, 3-5 서민금융지원센터 평택역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성두A → 평궁리 → 추팔리 → 공군A → 추팔공단 → 노와리 → 대추리평화마을 → 평궁리 → 성두A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평택역 대추리행복마을 40~90 평택운수 순환노선 전환
순환122B 평택역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성두A → 평궁리 → 대추리평화마을 → 노와리 → 추팔공단 → 공군A → 추팔리 → 평궁리 → 성두A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평택역 120~150
순환123A 22, 57-1, 57-2 서민금융지원센터 평택역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두리 → K6정문 → 송화리 → 대사리 → 남산리 → 청담중고교 → 공군A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평택역 대사리 120~150 평택운수 순환노선 전환
순환123B 평택역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공군A → 청담중고교 → 남산리 → 대사리 → 송화리 → K6정문 → 두리 → 신평동행정복지센터 → 평택역 120~140
302 302, 302-1 평택항 포승공단 · 모아A · 해군기지 · 내기삼거리 · 안중홈플러스 · 이안A · 풍림아이원 · 후사리 · 신포 · 어연공단 · 문곡리 · 제일풍경채3차에듀 · 행정복지타운 · 고덕파라곤 서정리역 60 평택여객 노선통합 및 고덕신도시 경유
1108 8, 8-2 기남방송 스타필드 · 대동초교 · 비전엘크루 · 뉴코아 · 성동초교 · 평택역 · 평택중학교 · 비전고교 · 비전1동행정복지센터 · 원곡면사무소 칠곡리물류단지 15~20 평택운수 노선통합 및 단축[10]
1150 50, 50-9 평택지제역 평택성모병원 · 세교근린공원 · 평택역 · 성동초교 · 시청 · 평택대학교 · 스타필드 ·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대림동산 · 중앙대학교 · 한경대학교 봉산로터리 10 협진여객 노선 통합[11]
1215 15, 15-1, 15-2, 15-3, 15-4 기남방송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뉴코아 · 성동초교 · 평택역 · 원평동행정복지센터 · 공군A · 청담중고 · 팽성초교 · 계양입구 · 두정리 · 본정리 · 함정리 노양리낚시터 15~20 평택운수 노선 통합[12]
1409 9, 9-1, 9-2, 91-2, 94, 94-1, 940 평택역 통복시장 · 세교농협 · 울성리 · 평택지제역 · 태평A · 해창리 · 오썸플렉스 · 고덕면행정복지센터 · 제일풍경채3차에듀 · 행정복지타운 · 고덕파라곤 서정리역 30~40 협진여객 노선 통합 및 단축

4.4. 조정 노선

개편노선 기존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요약
순환311 3151 동문굿모닝힐맘시티2단지 삼익사이버A · 모산근린공원 · 평택여고 · 모산초교 · 힐스테이트지제역 · 지제역더샵센트럴시티 평택지제역 20 평택운수 법원구간 단축(시행완료)
1183 8-3 죽백초교 월곡동 · 청룡동 · 이곡마을6단지 · 평택중학교 평택역 10회 평택운수 평택역/통복시장 경유(시행완료)
1220 20 용이동차고지 현촌근린공원 · 용죽지구 · 시청 · 성동초교 · 평택역 · 통복시장 · 원평동행정복지센터 · 공군A · 팽성읍행정복지센터 K6정문 8~15 협진여객
평택운수
현촌/용죽지구 경유
1311 1-1 용이동차고지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뉴코아 · 성동초교 · 평택역 · 힐스테이트평택 · 평택여고 · 더샵지제역센트럴파크 · 평택지제역 · 송탄공단 · 서정리역 · 송탄출장소 · 송탄역 · K55정문 미도A 15~20 협진여객 K55 ~ 미도A 연장
1361 6-1 기남방송 소사벌더샵 · 중흥S클래스 · 지엔산부인과 · 뉴코아 · 성동초교 · 평택역 · 세교동행정복지센터 · 힐스테이트평택 · 평택여고 · 삼익사이버A · 동광A · 평택종합물류단지 · 국립한경대 상리 20~40 평택운수 국립한경대/상리 경유
1371 7-1 기남방송 현촌초교 · 대동초교 · 비전푸르지오 · 뉴코아 · 덕동초교 · 평택중학교 · 평택역 · 평택교육지원청 · 휴먼시아1단지 · 법원검찰청 · 평택여고 · 삼익사이버A · 동광A · 가재우림A 송탄동행정복지센터 15~20 평택운수 현촌지구 연장(시행완료)
1372 7-2 기남방송 소사벌더샵 · 중흥S클래스 · 소사벌중심상가 · 뉴코아 · 성동초교 · 평택역 · 평택교육지원청 · 휴먼시아1단지 · 서재자이A · 센트럴자이A · 삼익사이버A · 동문굿모닝힐 신촌 20~25 평택운수 소사벌지구/중앙로 경유
1522 2-2 용이동차고지 스타필드 · 평택대학교 · 시청 · 성동초교 · 평택역 · 세교근린공원 · 평택지제역 · 송탄공단 · 평택고용센터 · 송탄고교 · 송탄출장소 · 동부A · 진위역 · 원동초교 오산역 10 협진여객 오산대학 ~ 오산역 단축
6396 96, 96-1 안중터미널 안중오거리 · 오성면행정복지센터 · 해창리 · 오썸플렉스 · 고덕면행정복지센터 · 제일풍경채3차 · 행정복지타운 · 고덕파라곤 · 서정리역 · 송탄출장소 · 송탄터미널 K55정문 40 평택여객 고덕신도시 경유
개편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요약
8000 안중출장소 안중터미널 · 오성면행정복지센터 · 태평A · 평택지제역[안중방면만경유] 평택역 20 평택여객 안중출장소 ~ 안중터미널 연장 / 평택시내구간 편도운행
개편노선 기존노선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운수업체 요약
마을7 7, 7-3, 7-4, 7-7 서민금융지원센터 평택역 · 평택교육지원청 · 휴먼시아1단지 · 법원검찰청 · 평 · 삼익사이버A · 동광A · 평택종합물류센터 · 송탄동행정복지센터 · 송탄초교 · 코오롱하늘채A · 송탄고교 서정리역 25~30 평택이화운수 노선 유지를 위한 통합 및 업종변경 및 노선단축(상리)

4.5. 폐선 노선

노선 운수업체 대체노선 · 경로 폐선일
3[14]] 협진여객 1502번 ㆍ 복창육교 정류장 하차 ㆍ 건너편 정류장 승차 ㆍ 마을 5번 환승 2022. 9. 1.
5 평택운수 비전중~소사벌중심상가: 1155번 2023. 7. 3.
세교지구~시청: 1311번, 1361번
소사벌휴먼시아~평택역: 1199번, 1371번, 1372번, 마을 7번
5-1 협진여객 1502번 ㆍ 복창육교 또는 서탄입구(서탄면입구) 정류장 승·하차 ㆍ 마을 88번 환승 2022. 9. 1.
6 평택운수 현촌지구~법원: 1155번 2023. 7. 3.
세교지구~시청: 1311번, 1361번
7-5 평택운수 평택역~서정리역: 마을 7번[15] 2023. 7. 3.
동삭동~시청: 1361번, 1371번, 1372번
7-6 평택운수 시청~경기도립노인전문평택병원: 1361번 2023. 7. 3.
7-8 평택운수 서정리역~동삭동: 마을 7번 2023. 7. 3.
소사벌지구~서정리역: 평택역 이동 후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 or 1502번 환승
17 협진여객 칠괴우림~평택여중사거리: 1353번 2023. 7. 3.
평택여중사거리~안성 공도: 1150번
불당리, 웅교리, 난촌리: 안성 7-11번
27 협진여객 1502번 ㆍ 영동빌라 또는 서탄입구(서탄면입구) 정류장 승·하차 ㆍ 마을 8번 환승 2022. 9. 1.
29 협진여객 용이동~은산리: 1502번 ㆍ 영동빌라 또는 서탄입구(서탄면입구) 정류장 승·하차 ㆍ 마을 8번 환승 2022. 9. 1.
용이동~남사면: 1502번 ㆍ 영동빌라 또는 서탄입구(서탄면입구) 정류장 승·하차 ㆍ 마을 11번 환승
35 협진여객 용이동~고잔7리: 1502번 ㆍ 중앙동우체국 승·하차(용이동 방면 동양빌딩 앞 승차) ㆍ 마을 66A번, 마을 663번 환승 2022. 9. 1.
용이동~고잔8리: 1502번 ㆍ 중앙동우체국 승·하차 ㆍ 마을 66A번 환승 ㆍ 삼계1리,성골 승·하차 ㆍ 315번 환승
36 협진여객 용이동~삼계리: 1502번 ㆍ 중앙동우체국 승·하차(용이동 방면 동양빌딩 앞 승차) ㆍ 마을 66번, 마을 663번 환승 2022. 9. 1.
용이동~율북4리: 1502번 ㆍ 중앙동우체국 승·하차(용이동 방면 동양빌딩 앞 승차) ㆍ 마을 66-2번 환승
49-4 평택운수 통학노선으로 대체 노선이 많으므로 대체 노선 미표기[16] 2022. 11. 7.
57 평택운수 아산 버스(510번, 511번, 512번) 2023. 7. 3.
100 협진여객 장례문화원~평택역: 1154번
평택역~뉴코아: 1215번, 1311번, 1361번, 1371번, 1372번
2023. 7. 3.
100-1 협진여객 2023. 7. 3.
100-2 평택운수 장례문화원~평택역: 1154번 2023. 7. 3.
평택역~공도시외버스터미널: 1150번[17]
만정초등학교~공도시외버스터미널: 안성 7-8번[18]

4.6. 존치 노선

서부 지역 노선에 한해 서해선 안중역 개통, 화양지구 입주, 안중역세권 개발 등 도시여건 변화에 따라 2024년 이후 중/장기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평택 버스 80|
80
]], [[평택 버스 80|
80-1
]], [[평택 버스 81-1|
81-1
]], [[평택 버스 82|
82
]], [[평택 버스 82|
82-1
]], [[평택 버스 82|
82-2
]], [[평택 버스 82|
82-3
]] , [[평택 버스 83|
83
]], [[평택 버스 83|
83-1
]], [[평택 버스 83|
83-2
]], [[평택 버스 83|
83-3
]], [[평택 버스 84|
84
]], [[평택 버스 84|
84-1
]], [[평택 버스 84|
84-2
]], [[평택 버스 84|
84-3
]], [[평택 버스 84|
84-4
]], [[평택 버스 84|
84-5
]], [[평택 버스 85|
85
]], [[평택 버스 85|
85-1
]], [[평택 버스 86|
86
]], [[평택 버스 87|
87
]], [[평택 버스 87|
87-3
]], [[평택 버스 89|
89
]], [[평택 버스 91|
91
]], [[평택 버스 92-1|
92-1
]], [[평택 버스 93|
93
]], [[평택 버스 98|
98
]], [[평택 버스 98|
98-1
]], [[평택 버스 99|
99
]], [[평택 버스 300|
300
]], [[평택 버스 300|
300-1
]], [[평택 버스 310-1|
310-1
]], [[평택 버스 310-2|
310-2
]], [[평택 버스 313|
313
]], [[평택 버스 315|
315
]], [[평택 버스 320|
320
]], [[평택 버스 320-1|
320-1
]], [[평택 버스 810|
810
]], [[평택 버스 870|
870
]]

5. 비판 및 문제점

  • 비현실적인 번호 개편
    평택시는 인지 개선을 위해 권역제와 네 자리 번호제를 도입하기로 했으나 이는 오히려 이용시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평택시가 4자리 번호대를 쓰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처럼 노선이 많은 것도 아니고 서울 시내버스조차도 세 자리와 네 자리 혼용이지 모든 노선을 네 자리로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같은 출-도착권역 번호를 사용하는 노선의 수도 5개를 넘지 않아서, 일련번호를 두 자리에서 한자리로 줄여도 전혀 문제가 없다. 결국 네 자리 번호가 되면 아무리 규칙이 있다고 해도 숫자가 워낙 크기 때문에 기존 번호제에 비해 외우는데 어려움을 크게 겪을 확률이 높다. 순환 노선의 경우에도 문제가 있는데, 출발권역/도착권역-일련번호 식의 세 자리로 개편한 결과 모두 22-1, 2, 3번이나 67-1, 2번 같은 식으로 번호가 개편되어, 노선이 완전히 다름에도 비슷한 번호로 인해 혼란을 줄 여지가 생겼다. 더불어 인지 개선이라는 명목도 노년층에게는 익숙한 번호의 변경으로 인한 혼란만 가중되고, 젊은층은 이미 스마트폰으로 버스를 찾아서 타는 시대라 아무도 버스번호의 권역으로 노선을 유추해서 타지 않는다.[19] 서울이나 대구가 번호체계 개편을 하던 시절에는 정보화가 덜 되던 시대라 그랬다 쳐도 이미 엄청난 정보화가 이루어진 현재는 그 당위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시 당국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인지를 어느 정도 하는 것인지, 권역별 번호체계 부여방안을 일부 조정했다.
    {{{#!folding [ 번호 개편 과정 펼치기 · 접기 ]
    • 2020년 최초 공개된 주민설명회 영상에서 공개됐던 권역별 번호체계 부여방안[20]: 노선번호를 각출도착권역을 구분하여 일련번호를 차례대로 부여하는 방안으로 계획했다. 예를 들어 용이동에서 출발하여 팽성읍에 도착하는 일련번호 3번인 간선버스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용이동은 1권역, 팽성읍은 2권역이므로 이를 조합 시 1권역을 뜻하는 1, 2권역을 뜻하는 2, 일련번호 03이 더해져 1203번 버스가 되는 것이다.
      • 간선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01~50)
      • 지선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51~99)
      • 순환버스: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 + 일련번호(1~9)
    • 제 1차 권역별 번호체계 부여방안 조정: 2021년부터 권역별 번호체계 부여방안을 일부 조정하여 간선/지선버스의 일련번호를 각 출도착권역 구분없이 일괄, 순서대로 부여하도록 조정했다. 실제로 2021년 8월 권역별로 노선번호를 부여받은 3151번[21]이 개통된지 한 달 후 1452번이 개통됐는데, 기존대로 일련번호를 각 출도착권역을 구분하여 1451번(1권역에서 출발하여 4권역에 도착하는 1번째 지선버스)으로 부여받았어야 하지만, 1차 조정을 통해서 일련번호를 각 출도착권역 구분없이 1452번(평택 전체 2번째 지선버스)으로 부여받았다.
      • 간선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01~50)
      • 지선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51~99)
      • 순환버스: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 + 일련번호(1~9)
    • 제 2차 권역별 번호체계 부여방안 조정: 순환버스의 경우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를 기본으로 하고 동일권역을 순환하는 노선이 2개 이상일 경우에만 추가로 '-' + '일련번호(1~9)'가 붙는 방식이었으나 노선번호에 '-'를 붙이는 것은 지선노선으로 혼동이 발생한다는 운수업체, 시민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로 변경됐다. 또한 고리형으로 운행하는 노선과 짧은 운행거리로 주요거점과 택지지구를 운행하는 노선을 대상으로 순환버스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2022년 9월 1일 3151번이 경로 조정과 함께 순환311번(3권역에서 출발하여 1권역에 도착하는 1번째 순환버스)으로 부여받았다.
      • 간선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01~50)
      • 지선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51~99)
      • 순환버스: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1~9)
    • 제 3차 권역별 번호체계 부여방안 조정(최종 확정): 시내버스 개편 시 노선번호가 상이하게 변경되어 혼동 발생이 우려된다는 의견이 다수 있어 권역번호에 기존번호를 혼합하여 부여하도록 변경됐다.[22] 2022년 12월 12일 8-3번이 경로 조정과 함께 1183번(1권역에서 출발하여 1권역에 도착하는 기존번호 8-3번과 유사한 83번 버스)으로 부여받았다.[23] 결국 기존번호와 유사한 두 자리 앞에 출도착권역 두 자리가 추가되는 셈인데 규칙성 없이 무의미하고 무분별하도록 변경되어 억지로 네 자리 번호로 바꾸려는 의도가 훤히 보인다.[24][25]
      • 일반버스: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기존번호와 유사한 2자리(00~99)
      • 순환버스: 순환 + 출발권역번호 + 도착권역번호 + 일련번호(1~9)}}}
  • 무리한 시계외 노선 단축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계외 노선(오산행 제외)을 다 없애거나 경계지역만 운행하게 된다. 그런데 시계외 지역이지만 평택 생활권인 지역인 공도, 신가리 등을 운행하는 노선들까지 다 없애고 대체노선을 마련하지도 않았다. 각 지자체에서 알아서 해결하거나 환승하라는 이야기인데 그렇다고 대체노선이 원래 운행하던 노선과 유사하게 허가를 내주겠다는 보장도 없다. 결국 이는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크나큰 피해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현재는 무산됐으나, 최초 개편안에서 가장 크게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됐던 노선은 50번으로, 안성 사람들은 평택 시내로 들어가기 위해선 시 경계에서 환승이 필연적이게 됐으며 안성을 잇는 버스의 배차도 절반이 없어지는 피해를 입게 될 뻔했는데, 벽지 노선도 아니고 경기도 내에서 수요가 상위권에 달하는 노선이라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최종안에서도 확정된 8번(개편 후 1108번) 단축 역시 고성산 등산객들, 평택에서 용인 시내 방향으로 가는 승객[26]과 양성터미널~평택 시내 구간을 이용하는 양성면 주민이나 승객에게도 많은 피해가 갈 것으로 보여진다.#
    일단 2022년 9월에는 대체 마을 버스가 다니며 평택 내 벽지로 가는 지원 운행을 했던 협진여객 소속 1일 1회 노선만 폐지됐고, 폐지 대상이였던 17번 노선은 신설 노선인 1353번으로 편입되는것으로 최종안에서 확정됐으며, 가장 논란이 많았던 50번의 경우 최종 개편안에서는 공도까지만 단축하는 방안은 무산됐고 50-9번과 통합하여 번호만 1150번으로 변경하고 노선은 50번의 현 노선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다만 앞서 말했던 8번 노선 단축의 경우 최종안에서도 확정된 만큼 향후 안성시에서 똑버스 운행 등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27]
  • 해결되지 않은 굴곡, 중복 노선
    이번 개편에 주요 논점 중 하나가 굴곡노선 완화였음에도 불구하고, 개편안 노선들을 보면 기존에 굴곡도가 있던 노선들이 개선되기는커녕 그대로 존치되거나 더 심각해지는 형태를 보이고 있는 노선도 적지 않다.
    또한 차고지 부근이나 전철역 등 기존에도 중복이 많았던 곳에는 아직도 일부 노선들의 중복(예: 평택역.AK프라자 - 용이동 부분)이 여전히 존재한다. 물론 이 구간이 관공서를 비롯하여 학교등이 많이 있어서 수요가 많은 구간이므로 중복 노선 정리에 어려움이 크지만, 소사벌, 고덕신도시를 비롯한 버스 공급이 부족한 지역이 많은 만큼 개편을 통해 굴곡, 중복 노선을 정리하여 차량과 기사 등 과하게 투입된 재원들을 다른 곳으로 분산을 해야하지만 현재 공개된 개편안에서 제대로 실행이 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크며 개편안을 토대로 다시 한번 노선들을 정리한다면 다른 곳으로 재원을 더 분산해야한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이로인해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해 피해를 보는 곳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나친 환승유도
    현재 장거리노선, 중복노선 등 이용효율성이 떨어지는 노선들이 환승없이 여러 목적지를 경유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간/지선제 버스 체계로 개편하여 환승을 전제로 배차간격을 단축시켜 버스이용효율을 높이는 것이 주 목적이지만,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 입장에서는 그만큼 버스 노선이 줄어들게 되어 환승을 여러 번 하게 되므로 이용객들의 불편이 예상될 수 있다. 특히 크게 개편되는 평택 시내 및 서부지역, 안성, 충남 노선은 마을버스 위주로 되어있어 개편할 노선이 적고, 시내버스도 사실상 노선번호만 변경되는 진위, 송탄, 오산 등 평택 북부 생활권 쪽 노선보다 개편의 여파가 크다.


[1] 2020년 개편안 주민설명자료와 상이한 개편 진행으로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함[2] 서부 지역(안중읍, 오성면, 청북읍, 포승읍, 현덕면) 노선에 한해 서해선 안중역 개통, 화양지구 입주, 안중역세권 개발 등 도시여건 변화에 따라 2024년 이후 중/장기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3] 단, 송탄, 진위 및 오산시 대원동 일부를 비롯한 평택시 북부지역 및 그 생활권은 마을버스 위주의 교통체계로 구성되어있어서 영향 받는 노선이 제한적이며 고덕국제신도시의 경우 노선 신설위주로 이루어진다.[4] 기능에 따라 3~4자리 번호를 부여받는다.[5] 각 행정구역별로 영상이 담긴 글로 나뉘어졌으며, 11월 30일까지 개편에 관해 궁금한 점이나 건의사항을 각 글에 댓글을 남겨 답글을 다는 식이었다.[6] 해당 설명자료는 용역업체에서 작성한 개편안을 토대로 만든 것으로, 현재 개편안과 내용이 상이함[7] 평택시 남부, 북부, 팽성, 고덕국제신도시 일부지역 시행[8] 순환121번 노선조정 및 통합, 순환122번, 순환123번 노선조정, 302번 노선연장, 1177번 노선조정, 1353번 노선조정, 1456번 신설 등의 내용[9] 원래는 개편안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궁리 주민들의 요구로 23년 8월 1일 개통하였다.[10] 양성면/성은리 ~ 칠곡리 구간 단축[11] 기존 50번 경로와 동일[12] 노양리, 도두리, 신대리 일괄 경유 운행[안중방면만경유] [14] 협진여[15] 이 루트를 한번에 쭉 가는 경우는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도 대체 가능.[16] 평택역~뉴코아백화점 구간은 1371번, 뉴코아백화점~기남방송 구간은 1311번.[17] 단, 안성 70번, 370번, 380번으로도 대체는 할 수 있으나 평택 용이동~평택시외버스터미널 구간 중 1150번 구간은 경유하지 않으므로 주의.[18] 100-2번과 달리 황도빌라 정류장 경유.[19] 당장 서울과 대구 등 권역번호를 하고 있는 지역들을 보면 같은 권역임에도 아예 만나지조차 않는 노선이 수두룩하다. 만약 지자체의 말대로 노선번호로 목적지를 인지해서 탔다가는 전혀 모르는 동네로 갈 수도 있다.[20] 파일:노선 번호 부여 규칙.png[21] 현재는 순환311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됐다.[22] 예) 50번 → 1150번 / 7-1번 → 1371번 / 999번 → 1199번[23] 2020년 최초 공개된 주민설명회 영상자료에 따르면 8-3번은 1154번으로 변경 예정이었고, 2021년 1차 번호체계 부여방안 조정에 따르면 1153번으로 변경돼야 했지만 결국엔 전혀 다른 1183번으로 변경됐다.[24] 기존부터 무작위로 노선 번호를 부여받은데다 번호가 체계적이지 않아서 불합리적이고 인지도가 낮다는 이유로 인지 개선을 위해 새로운 노선번호를 부여받을 예정이었는데, 오히려 기존 번호를 혼용하여 출도착권역 두 자리를 추가하는 방안으로 바뀌게 되면서 굳이 노선 번호를 변경할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25] 결과적으로 간선, 지선 구분 및 일련번호 체계가 폐지된 셈.[26] 단, 1호선-수인분당선-용인 에버라인 전철을 이용하는 대체경로가 있다. 아니면 오산이나 안성까지 가서 환승하는 방법도 있다.[27] 결국, 양성면~원곡면 구간을 안성 7-9번과 안성 7-10번이 대체하고, 불당리, 웅교리, 난촌리 구간은 안성 7-11번이 대체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천안시 성환읍 와룡리, 신가리 등은 천안 118번이 노와2리까지 연장되며 대체되었고, 성환~와룡리~신가리~평택 구간을 운행하는 천안 132번 노선도 신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