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00:52:50

파트리크 시크

패트릭 쉬크에서 넘어옴

1 플레컨ㆍ4 콴사ㆍ5 바데6 에세키엘7 호프만 · 8 [[로베르트 안드리히|안드리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0021b; font-size: .8em"]]ㆍ9 에체베리10 틸만
11 테리에ㆍ12 탑소바 · 13 아르투르ㆍ14 시크16 타페17 벤 세기르ㆍ18 사르코ㆍ19 포쿠
20 그리말도ㆍ21 루카스 V.23 텔러ㆍ24 가르시아ㆍ25 팔라시오스 · 28 블라스비히 · 30 마자
31 모나마이35 코파네36 롬프44 벨로시앙
파일:UEFA EURO DEN.png 카스페르 히울만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트리크 시크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VDV로고.png
파일:Kicker 로고.svg

2021 FIFA 푸스카스상
수상
에릭 라멜라
2위
메흐디 타레미
3위
파트리크 시크
}}} ||
파트리크 시크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역대 득점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3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위 선수명 국적 득점 수
1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4
2 미셸 플라티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9
3 앨런 시어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
앙투안 그리즈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알바로 모라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해리 케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 파트리크 시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6
뤼트 판니스텔로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웨인 루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티에리 앙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누누 고메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로멜루 루카쿠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6 사보 밀로셰비치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5
마르코 반 바스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밀란 바로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제르단 샤키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마리오 고메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위르겐 클린스만
페르난도 토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지네딘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출처
}}}}}}}}} ||
파일:Patrik Schick(25-26).png
<colbgcolor=#d0021b> 바이어 04 레버쿠젠 No. 14
파트리크 시크[1]
Patrik Schick
출생 1996년 1월 24일 ([age(1996-01-24)]세)
체코 프라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1cm / 체중 87kg[2]
포지션 스트라이커
주발 왼발
등번호 체코 대표팀 10
바이어 04 레버쿠젠 14
소속 <colbgcolor=#d0021b> 유스 TJ 빅토리아 베스텍 (2002~2003)
FŠ Optimum Sport (2003~2007)
AC 스파르타 프라하 (2007~2014)
선수 AC 스파르타 프라하 (2014~2016)
보헤미안스 프라하 (2015~2016 / 임대)
UC 삼프도리아 (2016~2018)
AS 로마 (2017~2018 / 임대)
AS 로마 (2018~2020)
RB 라이프치히 (2019~2020 / 임대)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0~ )
국가대표 48경기 24골[3] (체코 / 2016~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0021b> 역대 등번호 <colbgcolor=#fff,#191919>체코 대표팀 - 10번, 19번, 20번, 22번
AC 스파르타 프라하 - 49번
보헤미안스 프라하 1905 - 17번
UC 삼프도리아 - 14번
AS 로마 - 14번
RB 라이프치히 - 21번
바이어 04 레버쿠젠 - 14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체코 국적의 바이어 04 레버쿠젠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트리크 시크/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트리크 시크/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트리크 시크/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U-16부터 U-19, U-21 대표팀에서 뛰었고, 2016년 5월 27일에 열린 몰타와의 친선경기에 성인 국가대표팀으로 첫 데뷔를 가졌다. 줄곧 등번호 19번을 달고 뛰는 중.

UEFA 유로 2020 예선 불가리아와의 3차전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2-1 승리에 기여했다.

2021년 6월 14일, 햄던 파크에서 열린 UEFA 유로 2020 조별리그 1차전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 전반 42분 헤딩으로 선제골을 기록했으며, 후반 7분에는 무려 45.4m 거리에서 그림 같은 논스톱 장거리슛으로 두 번째 골을 성공시키며 체코에게 조별예선 첫 승을 안겨줬다.[4]

2차전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는 페널티 박스에서 엘보우에 맞아 출혈이 있었고 PK을 얻어냈다. 이를 본인이 해결하면서 팀의 무승부에 기여했다.

16강 네덜란드전에서 쐐기골을 기록하며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고 대회 4골 째를 기록했다.

8강 덴마크전에서는 후반 4분 골을 넣었으나 2-1로 체코가 대회에서 탈락했다. 5골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득점 공동 선두를 차지했는데, 팀이 8강에서 멈춰버린 것은 아쉬우나 순도를 따졌을 때는 이번 대회 최고의 스타라 불리워도 손색이 없었다.[5]

2024년 5월 28일, UEFA 유로 2024 26인 최종 명단에 들며 두 번째 유로 무대에 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별리그 2차전 조지아와의 경기에서 0-1로 끌려가던 후반 14분에 동점골을 터트리며 유로 통산 6호골[6]을 기록했으나 10분 후 부상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추가 득점없이 경기가 끝나면서 무승부를 기록하며 16강 진출을 위해 승리가 절실했던 체코는 발등에 불이 떨어지고 말았다. 결국 그가 나오지 않은 3차전 터키와의 경기에서 체코는 2대 1로 패해 탈락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쉬크는 최전방에서 득점을 노리는 포쳐(Poacher) 유형의 공격수로, 전방에서의 공간 활용과 포스트플레이, 순도 높은 득점력을 주 무기로 삼는다.

세리에 A에서 활약했던 유망주 시절에는 현재의 주 포지션인 최전방 공격수뿐만 아니라, 우측 윙어도 두루 소화할 만큼 다재다능했다. 윙어로 뛰었을 만큼 기술적인 역량이 좋은 선수로, 피지컬이 좋은데 속도 역시 빨라서 공을 지켜내면서 빠르게 운반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해, 공을 다루는 볼 컨트롤이 부드럽고 개인 기술로 상대를 간결하게 벗겨내는 능력도 좋은 편으로, 특히, 퍼스트 터치에서의 순간적인 센스를 바탕으로 번뜩이는 공격 장면을 연출해내는 모습은 같은 왼발잡이 공격수인 로빈 반 페르시를 연상시킨다는 평가를 들었다.

단, 세리에 A에서 활약했을 때에는 뛰어난 신체 조건을 갖추고 있는데 반해, 경합에 소극적이었다. 이는, 쉬크가 어린 나이였음에도 잔부상이 많은 유리몸이었기에 매 시즌을 부상을 당하면서 플레이 스타일 자체가 소극적으로 변했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원 톱, 세컨 톱, 라이트윙을 오가다 보니, 성장세는 더더욱 애매해졌다.

RB 라이프치히로 임대되었을 때에는 티모 베르너와 투 톱을 이루는 경우가 잦았다. 베르너도 쉬크처럼 측면을 활용하려는 성향이 강한 공격수였으며, 투박하지만 빨라서 공간 침투와 마무리의 역할을 베르너가 가져가는 경우가 많았다. 대신, 쉬크는 베르너가 침투로 벌려놓은 상대 중원과 수비라인 사이에 위치하면서 보다 자유롭게 2~3선들과 공을 주고받거나, 한 박자 늦게 침투해 세컨 볼을 노리는 경우가 많았다. 압박이 거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면서부터 경합을 통해 중앙에서 공을 지켜내는 빈도가 늘어났으며, 이를 통해 다른 동료들이 전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베르너처럼 빠른 속도까지 갖추고 있다 보니, 측면으로 달려나가면서 상대 수비를 벌려놓는 역할도 잘 수행했다. 주로 우측면으로 빠르게 빠진 후, 중앙으로 접고 들어오거나 중앙에서 적은 기회임에도 득점을 만들어내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유로 2020에서의 상승세에 힘입어 레버쿠젠으로 와서는 원톱 자리에 정착했다. 적은 기회 속에서도 공을 확실하게 마무리짓는 포처 유형으로 각성했다. 특히 간결하게 마무리하는 능력이 상당히 오르면서 최전방에서 자신에게 오는 득점 기회를 좋은 움직임과 결정력으로 확실히 마무리짓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더해, 유망주 시절 약점으로 평가받는 경합 능력도 발전했으며, 최전방에서 버텨주는 플레이가 상당히 좋아졌다. 원래 보유하던 피지컬이 좋다 보니, 상대 수비수나 미들과 몸을 비비면서 후방에서 오는 롱볼을 자신의 소유로 만든 다음 침투하는 2선의 디아비비르츠에게 넘겨주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다만, 활동량에 있어서는 의문부호가 따른다. 물론 라이프치히에서 뛸 만큼 체력적인 부분이 나쁘지는 않지만, 완전히 포쳐처럼 골을 넣는데에만 집중하다 보니 득점력이 올라간 대신 활동 범위는 많이 줄어들었다.[7] 또한 볼을 넘겨주는 플레이는 잘 하지만, 패싱력에 있어서는 아쉬운 편이고, 드리블 능력도 세밀한 드리블보다는 자신의 빠른 스피드와 순간적인 센스를 발휘한 볼터치를 바탕으로 템포가 빠른 치달을 하는 스타일이라 지공 상황에서의 돌파력이 아쉬운 편.

요약하자면, 빠른 속도와 센스 있는 퍼스트 터치를 통한 간결한 돌파와 마무리를 갖춘 공격수로, 레버쿠젠 이적 후에는 약점이었던 포스트플레이까지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지속되는 잔부상 이력과 부족한 활동 범위가 발목을 잡고 지공 상황에서의 개인 전술에 있어서는 아쉬움을 드러낸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 UEFA 유로 실버부트: 2020
  • UEFA 유로 토너먼트의 골: 2020
  • VDV 11: 2021-22
  • 분데스리가 이달의 선수: 2021년 12월
  • 키커 올해의 팀: 2021-22
  • 레버쿠젠 올해의 선수: 2021-22
  • 체코 올해의 축구 선수: 2021, 2022
  • 체코 골든볼: 2022
  • 체코 올해의 재능: 2016

6. 여담

  • 누나 크리스티나 시코바는 모델이다. 같이 찍은 사진에서 보면 역시 모델 아니랄까봐 남동생과 키 차이도 별로 안 난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d0021b>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Lukáš Hrádecký(24-25).png
파일:Piero Hincapie(24-25).pn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Mario Hermoso(24-25).png
파일:Jonas Hofmann(24-25).png
<rowcolor=#fff> 1 (C) 3 4 5 7
루카시 흐라데츠키
Lukáš Hrádecký

파일:핀란드 국기.svg|GK
1989.11.24 ([age(1989-11-24)])
2018~2026
피에로 잉카피에
Piero Hincapié

파일:에콰도르 국기.svg|DF
2002.01.09 ([age(2002-01-09)])
2021~2029
자렐 콴사
Jarell Quansa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DF
2003.01.29 ([age(2003-01-29)])
2025~2030
마리오 에르모소
Mario Hermoso

파일:스페인 국기.svg|DF
1995.06.18 ([age(1995-06-18)])
2025[1]
요나스 호프만
Jonas Hofmann

파일:독일 국기.svg|MF
1992.07.14 ([age(1992-07-14)])
2023~2027
파일:Robert Andrich(24-25).png
파일:Martin Terrier(24-25).png
파일:Edmond Tapsoba(24-25).png
파일:Arthur(24-25).png
파일:Patrik Schick(24-25).png
<rowcolor=#fff> 8 (3C) 11 12 13 14
로베르트 안드리히
Robert Andrich

파일:독일 국기.svg|MF
1994.09.22 ([age(1994-09-22)])
2021~2028
마르탱 테리에
Martin Terrier

파일:프랑스 국기.svg|FW
1997.03.04 ([age(1997-03-04)])
2024~2029
에드몽 탑소바
Edmond Tapsoba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DF
1999.02.02 ([age(1999-02-02)])
2020~2028
아르투르
Arthur

파일:브라질 국기.svg|DF
2003.03.17 ([age(2003-03-17)])
2023~2028
파트리크 시크
Patrik Schick

파일:체코 국기.svg|FW
1996.01.24 ([age(1996-01-24)])
2020~2027
파일:Matěj Kovář(24-25).png
파일:Alejo Sarco(24-25).png
파일:Nathan Tella(24-25).png
파일:Alejandro Grimaldo(24-25).png
파일:Amine Adli(24-25).png
<rowcolor=#fff> 15 16 17 18 19
마체이 코바르시
Matěj Kovář

파일:체코 국기.svg|GK
2000.05.17 ([age(2000-05-17)])
2023~2027
알레호 사르코
Alejo Sarc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FW
2006.01.06 ([age(2006-01-06)])
2025~2029
네이선 텔러
Nathan Tella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
1999.07.05 ([age(1999-07-05)])
2023~2028
알레한드로 그리말도
Alejandro Grimaldo

파일:스페인 국기.svg|DF
1995.09.20 ([age(1995-09-20)])
2023~2027
아민 아들리
Amine Adli

파일:모로코 국기.svg|FW
2000.05.10 ([age(2000-05-10)])
2021~2028
파일:Victor Boniface(24-25).png
파일:Aleix García(24-25).png
파일:Exequiel Palacios(24-25).png
파일:Granit Xhaka(24-25).png
파일:Niklas Lomb(24-25).png
<rowcolor=#fff> 20 21 22 23 24
빅터 보니페이스
Victor Boniface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
2000.12.23 ([age(2000-12-23)])
2023~2028
알레시 가르시아
Aleix García

파일:스페인 국기.svg|MF
1997.06.28 ([age(1997-06-28)])
2024~2029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Exequiel Palacio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
1998.10.05 ([age(1998-10-05)])
2020~2028
그라니트 자카
Granit Xhaka

파일:스위스 국기.svg|MF
1992.09.27 ([age(1992-09-27)])
2023~2028
니클라스 롬프
Niklas Lomb

파일:독일 국기.svg|GK
1993.07.28 ([age(1993-07-28)])
2012~2027
파일:Jeanuël Belocian(24-25).pn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rowcolor=#fff> 25 # # # #
주누엘 벨로시앙
Jeanuël Belocian

파일:프랑스 국기.svg|DF
2005.02.17 ([age(2005-02-17)])
2024~2029
마르크 플레컨
Mark Flekk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GK
1993.06.13 [age(1993-06-13)]
2025~2030
악셀 타페
Axel Tape

파일:프랑스 국기.svg|DF
2007.08.10 [age(2007-08-10)]
2025~2030
이브라힘 마자
Ibrahim Maza

파일:알제리 국기.svg|MF
2005.11.24 [age(2005-11-24)]
2025~2030
압둘라예 파예
Abdoulaye Faye

파일:세네갈 국기.svg|DF
2004.09.22 [age(2004-09-22)]
2025~2030
구단 정보
의장: 페르난도 카로 / 감독: 카스페르 히울만 / 구장: 바이아레나
출처: 바이어 04 레버쿠젠 공식 웹사이트 /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AS 로마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알레시 만도우스
Aleš Mandous
1992년 4월 21일 ([age(1992-04-21)]세) 4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6 인드르지흐 스타네크
Jindřich Staněk
1996년 4월 27일 ([age(1994-04-27)]세) 8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23 마테이 코바르시
Matěj Kovář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DF 2 파트리치오 스트로나티
(Patrizio Stronati)
1994년 11월 17일 ([age(1994-11-17)]세) 4 1 파일:헝가리 국기.svg 푸슈카시 아카데미아 FC
3 토마시 홀레시
Tomáš Holeš
1993년 3월 31일 ([age(1993-03-31)]세) 26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4 다비트 지마
David Zima
2000년 11월 8일 ([age(2000-11-08)]세) 19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5 토마시 페트라셰크
Tomáš Petrášek
1992년 3월 2일 ([age(1992-03-02)]세) 5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6 마르틴 비티크
Martin Vitík
2003년 1월 21일 ([age(2003-01-21)]세) 1 0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15 다비드 유라세크
David Jurásek
2000년 8월 7일 ([age(2000-08-07)]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8 다비트 두체라
David Douděra
1998년 5월 31일 ([age(1998-05-31)]세) 6 1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 야쿠프 브라베츠
Jakub Brabec
1992년 8월 6일 ([age(1992-08-06)]세) 41 2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 알레시 마체유
Ales Mateju
1996년 6월 3일 ([age(1996-06-03)]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치아 칼초
- 블라디미르 초우팔
Vladimír Coufal
1992년 8월 22일 ([age(1992-08-22)]세) 40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MF 8 미할 사딜레크
Michal Sadílek
1999년 5월 31일 ([age(1999-05-31)]세) 21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12 루카시 마소푸스트
Lukáš Masopust
1993년 2월 12일 ([age(1993-02-12)]세) 34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4 루카시 프로보드
Lukáš Provod
1996년 10월 23일 ([age(1996-10-23)]세) 16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20 온드르제이 린그르
Ondřej Lingr
1998년 10월 7일 ([age(1998-10-07)]세) 11 0 파일:미국 국기.svg 휴스턴 다이너모 FC
21 알렉스 크랄
Alex Král
1998년 5월 19일 ([age(1998-05-19)]세) 39 2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22 토마시 소우체크 파일:주장 아이콘.svg
Tomáš Souček
1995년 2월 27일 ([age(1995-02-27)]세) 66 1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5 파벨 슐츠
Pavel Šulc
2000년 12월 29일 ([age(2000-12-29)]세) 14 4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 야쿠프 얀크토
Jakub Jankto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45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FW 7 라디슬라프 크레이치
Ladislav Krejčí
1999년 4월 20일 ([age(1999-04-20)]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9 아담 흘로제크
Adam Hložek
2002년 7월 25일 ([age(2002-07-25)]세) 34 2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0 모이미르 히틸
Mojmír Chytil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11 4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3 토마시 츠반차라
Tomáš Čvančara
2000년 8월 13일 ([age(2000-08-13)]세) 6 1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7 바츨라프 체르니
Václav Černý
1997년 10월 17일 ([age(1997-10-17)]세) 15 5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19 토마시 호리
Tomáš Chorý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1 1 파일:체코 국기.svg FC 빅토리아 플젠
- 파트리크 쉬크
Patrik Schick
1996년 1월 24일 ([age(1996-01-24)]세) 35 18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 얀 쿠흐타
Jan Kuchta
1997년 1월 8일 ([age(1997-01-08)]세) 20 2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24일 }}}}}}}}}

1 스타네크 · 2 지마 · 3 홀레시 · 4 흐라냐치 · 5 초우팔 · 6 비티크 · 7 바라크 · 8 셰프치크 · 9 흘로제크
10 시크 · 11 쿠흐타 · 12 두체라 · 13 히틸 · 14 프로보드 · 15 유라세크 · 16 코바르시 · 17 체르니 · 18 크레이치
19 호리 · 20 린그르 · 21 체르브 · 22 소우체크 · 23 야로스 · 24 블체크 · 25 슐츠 · 26 유라세크
파일:UEFA EURO CZE.png 이반 하셰크

[1] Schick는 독일어 성씨로 발음은 /ʃɪk/이다. /ʃ/ 발음은 절대 '쉬'로 적어서는 안 된다.[2] 바이어 04 레버쿠젠 공식 프로필[3] 2025년 9월 9일 기준[4] 전반전 내내 스코틀랜드가 공격적으로 나오며 밀리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 골이 터지면서 사기를 완전히 꺾어놓았다. 또한 골키퍼 데이비드 마셜이 너무 멀리 나와 있었던 것도 결정적인 패인이었다. 사족으로 이 골은 유로 역사상 최장거리 골로 기록되었다.[5] 득점왕을 차지할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어시가 하나 많았던 호날두에게 골든부트가 가고 본인은 실버부트를 차지했다. 다만 조별리그에 골을 몰아넣고 정작 무기력하게 16강에서 탈락한 호날두에 비해 오히려 순도로만 따지면 본인이 훨씬 뛰어난 모습을 선보였다.[6] 기존의 밀란 바로시를 밀어내고 체코 대표팀 역사상 유로 통산 득점 단독 1위로 올라섰다.[7] 20-21 시즌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돌풍을 일으켰던 안드레 실바와 비슷한 케이스. 실바도 원래는 포스트플레이를 자주 시도하고 자주 내려오는 스타일의 공격수였지만, 휘터 체제에서 포처로써 적게 움직이는 대신 마무리 능력과 득점력이 올라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