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리정보과학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3366><colcolor=#fff> 기본개념 | 지리학 제1법칙, 위도, 경도, 지구타원체, 지리 좌표계, 지리학의 계량혁명, MAUP 문제 |
| 하위분야 | 지도학(지도, 둘러보기틀), 지리정보시스템, 원격탐사(LIDAR), 공간통계, 시간지리학, 측지학, 주소정보 | |
| 관련문서 | 지리학, 지리학과, 공간정보공학과, GPS, 국토지리정보원, 틀:인문지리학, 틀:자연지리학 | }}}}}}}}} |
1. 개요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지리정보과학은 지리정보를 표현, 저장, 분석 및 시각화하는 것을 연구하는 지리학의 하위분야이다. 공간정보공학이라고도 한다. 영문명을 줄여서 GIS라고 하기도 하는데 지리정보시스템도 줄이면 GIS라서 약자가 겹친다. 지리정보시스템[1]은 수집, 관리, 저장을 위한 컴퓨터기반의 기술이자 도구를 가르키는 말이다. 지리정보과학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원격탐사, 데이터를 저장 관리 분석하는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지도학을 포괄하는 용어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본 문서에서는 이러한 지리학의 하위분야로써의 다양한 지리정보를 연구하는 것을 포괄하는 학문으로써의 지리정보과학을 다루고 소프트웨어나 기술, 정보시스템으로써의 지리정보시스템은 GIS 문서에서 다룬다.
2. 역사
2.1. 한국에서
GIS는 지리학자가 고안하고 실현한 분야지만 지리정보과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이 아닌 연구를 위한 도구다라는 관점이 있었고 지리학과에서 지리정보과학은 연구방법론이기 때문에 학위논문이나 전공분야의 대상으로 보지 않기도하였다. 국내학계는 GIS가 기술적인 측면이 있다고 지리학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으며 지리학과 내에 GIS의 기초가 되는 지도학연구자도 드물었다.[2]이 영향으로 한국에서 초창기 지리정보분야 및 GIS는 주로 토목공학과 등의 공대에서 연구가 많이되어왔다.지금은 지리학과문서에 가보면 GIS를 전공으로 하는 교수들이 지리학과에 있고 지리교육과에도 지도와 함께 연구하는 교수들이 있다.
3. 분야
3.1. 지도학
| 지도학 Cartography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e064a> 기본 개념 | 지도, 축척, 위도, 경도, 자오선, 방위, 등치선, 등고선, 카토그램 | ||
| 투영 방식 | 원통방식 | 정적도법 · 정형도법 · 정방위도법 · 정거도법 · 절충 도법 | ||
| 원추 방식 | 정거 원추 도법 · 정형 원추 도법 · 정적 원추 도법 · 정방위 원추 도법 | |||
| 방위 방식 | 정사 도법 · 평사 도법 · 심사 도법 · 정거 방위 도법 | |||
| 도법 | 람베르트 정적 도법 · 메르카토르 도법 · 횡축 메르카토르 도법 · 시누소이드 도법 · 몰바이데 도법 · 구드 도법 · 로빈슨 도법 · 람베르트 정형 원추 도법 · 앨비스 정적 원추 도법 · 판데그린텐 도법 · 빈켈-트리펠 도법 · 밀러 원통 도법 · 버크민스터-풀러 다이막시온 도법 · 카일 나비 지도 · 카브라이스키 7 도법 · 바그너 6 도법 · 체임벌린 삼각 도법 · 갈-페터스 도법 · 등장방형 도법 · 밀러 원통 도법 | |||
| 왜곡률 | 티소 인디카트릭스 | |||
| 관련 분야 | 지리학 · 미분기하학 · 지리정보과학 | }}}}}}}}} | ||
지도학(Cartography)은 지도를 만들고 연구하며 활용하는 모든 과정과 관련된 학문 분야로 공간정보를 시각화하고 표현한다. 자세한 것은 지도학 참조
3.2. 원격탐사
원격탐사(Remote Sensing)는 인공위성, 항공기, 드론, 센서 등을 이용해 지표면이나 대기·해양의 정보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관측·분석하는 기술 및 학문 분야이다. 위성, 항공기, 드론, LIDAR 등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RS로 줄여부르기도 한다.3.3. 지리정보시스템
지리정보를 저장, 관리, 분석한다. 자세한 것은 GIS 참고3.4. 공간통계, 공간빅데이터
공간통계는 지리적인 데이터를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일반적인 통계와는 달리 위치의 개념이 들어가 있는 점에서 다르다. 공간적 자기상관성, 공간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통해 공간현상이 군집(클러스터)되어 있는지 분산되어 있는지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해낸다.3.5. 공간시뮬레이션
공간시뮬레이션은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공간적분석을 하는 분야이다. 지리적 현상을 정적이 아닌 동적으로 간주하여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다. Agent-Based Model을 활용하여 개별행위자의 행동과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하여 전체의 패턴을 분석한다.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미래에 대한 예측과 정책적 분석이 가능해진다.
3.6. 측지학
자세한 것은 측지학 참고3.7. 지리 참조, 주소 정보
Georeferencing 지리참조3.8. 시간지리학
4. 공간데이터
위치데이터와 속성데이터, 벡터데이터와 래스터5. 타학과에서의 응용
6. 교육과정
6.1. 초중등교육
중등교육의 지리교과에서 지도학, 지리보과학 등을 다루지만 대부분 짧게 넘어간다.2015개정 교육과정 기준 한국지리 1단원, 세계지리 1단원, 중학교 사회 지리파트 1단원 등 주로 앞파트에서 짧게 넘어가는 편이고 그마저도 GIS보다도 지도학 위주로만 나온다.
6.2. 대학
지리학과, 공간정보공학과 등에서 배운다. 지리교육과에도 관련과목들이 있지만 지리학과에 비해 과목 수, 교수 수 등이 부족하다. 토목공학과, 도시공학과 등에서도 GIS 수업이 열리고 있다. GIS문서에 관련학과들이 있으니 참고6.2.1. 지리학과
지리학과의 주된 연구방법론이자 연구분야이다. 지도학, GIS, 원격탐사, 공간통계, 계량지리학, 공간빅데이터등의 과목이 열린다. 경희대학교 지리학과처럼 지리정보에 특화하여 지리정보실습실 등을 갖추고 관련과목을 많이 개설하기도 한다. 개설 대학 등 자세한 것은 지리학과 참고6.2.2. 지리교육과
지도학 및 GIS가 교직임용과목이기에 학교마다 최소 한과목정도는 두고 있으나 지리학과에 비하면 개설 과목 수가 적고 전공교수가 없는경우도 있다. 자세한 것은 지리교육과 참고6.2.3. 공간정보공학과
지리정보과학, GIS를 특화시켜 배운다. 따라서 지리학과와 달리 인문지리, 자연지리, 지역지리 과목은 거의 열리지 않는다. 대부분 공과대학에 속한다. 국내 지리학에서 GIS 도입이 지지부진하던 시절, 토목공학 등의 이공계에서 국내 초창기 지리정보학을 연구해고 이들이 독자적으로 과를 만든 것이기에 지리학보다 공학적인 성격이 강하다.[3]
6.2.3.1. 개설대학
-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항공위성시스템전공
- 경일대학교 공과대학 공간정보공학과
-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드론공간정보공학과
- 국립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위성정보융합공학전공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공간정보공학과[4]
-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 안양대학교 창의융합대학 도시정보공학과
- 유원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공간정보공학과[5]
6.3. 자격증
공간정보융합기능사,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7. 관련문서
GIS기술지리학https://en.wikipedia.org/wiki/Technical_geography
[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2] 타국가에는 있던 국가지도집 조차도 2000년대 이전에는 없었다.[3] 공간정보공학과와 지리학과의 커리큘럼 차이는 지리학과/학교별 교육과정참고[4] 지적정보학과에서 출발한 곳으로, 측량이나 지적 관련 수업이 많다.[5] 공간정보공학 중 최초로 개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