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툰 헬퍼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지룽(헬퍼) 문서 참고하십시오.
대만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직할시 | ||||||
타이베이시 | 신베이시 | 가오슝시 | |||||
타이중시 | 타이난시 | 타오위안시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타이완성 및 하위행정구역 | |||
타이완성 | |||||||
신주시 | 자이시 | 지룽시 | 난터우현 | ||||
먀오리현 | 신주현 | 윈린현 | 이란현 | ||||
자이현 | 장화현 | 타이둥현 | 펑후현 | ||||
핑둥현 | 화롄현 | ||||||
푸젠성 및 하위행정구역 | |||||||
푸젠성 | |||||||
롄장현 | 진먼현 | ||||||
현재 대만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행정구역만 기재 기타 명목상 영토에 대해서는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 참조 | }}}}}}}}} |
대만의 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지룽시 基隆市 Keelung City | }}} | |||
시정부 소재지 | 중정구 | |||||
면적 | 132.7589㎢ | |||||
하위 행정구역 | 7구 | |||||
시간대 | UTC+8 | |||||
인구 | 362,496명 [1] | |||||
인구 밀도 | 2,786.91명/㎢ | |||||
시장 | 셰궈량(謝國樑) | | ||||
시의회 | 13석 | | ||||
12석 | | |||||
2석 | | |||||
4석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입법위원 | 린페이샹 (林沛祥) | | ||||
상징 | 시조 | 독수리 | ||||
시목 | 풍향수 | |||||
ISO 3166-2 | TW-KEE |
사진에 있는 도로는 중산고속공로의 지룽 시종점 구간.
저녁의 지룽항의 모습.
1. 개요
대만에 있는 도시. 남부의 가오슝과 비견되는 대만 북부의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인 무역 항구도시이다. 수도(서울/타이베이)를 경기도/신베이가 에워싸고 있고 그 옆에 있다는 점이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에 해당하는 급의 위치이다. 하지만 가오슝이나 인천에 비하면 훨씬 작은 중소도시로, 면적은 132.8km²이며 인구는 2010년 기준 387,207명.
대만일치시기에는 대만 내에 설치된 9개 주할시 중 하나였으며 2차 대전 후 지룽군 치두장(七堵庄)[2]을 병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타이베이의 외항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원래는 신베이의 단수이 지역이 타이베이의 외항이였으나 토사가 쌓여 선박 진입이 불가능해져서 항구의 기능을 지룽으로 옮기게 되었다. 현재는 신베이 해안 지역에 타이베이항이 지어져서 지룽항의 기능을 분담하고 있다.
2. 지명
이 지역은 본래 대만 원주민 중 한 일족인 케타갈란(Ketagalan, 한자 음차로는 凱達格蘭) 족의 땅이었고, 계롱(雞籠[3], 대만어로는 Ke-lâng)으로 불리는데 '케타갈란'이 와전된 것으로 보이며 한자에는 별 뜻이 없는 음차 표기이다.그 뒤로 1861년 개항이 되어 외국과 교류할 때 이름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1885년에 Ke-lâng과 발음이 비슷한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한자가 基隆이 된 건 기지승륭(基地昇隆)에서 따왔기 때문. 그러나 대만어로는 변함없이 이전 지명인 Ke-lâng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고, 현재의 한자 표기대로 읽은 Ki-liông은 드물게 쓰이는 듯하다.
서양 문화권에서는 Keelung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우정식 병음에서 유래했다. 19세기 말 관화(표준중국어의 모태가 되는 방언)에서는 오늘날 한어병음으로 'ji'라고 쓰이는 것들이 '기' 비슷하게 발음되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기룽' 비슷하게 칭했고, 서양인들이 이를 Keelung이라고 옮겼다. 대만일치시기 당시 일본인들도 이 도시는 자신들 한자 독음대로 읽지 않고 Keelung에서 따와 きいるん(키-룽)이라고 읽었다.
3. 군사
대만일치시기 시절에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항으로 사용되었다. 일본과 가까운 이유로 일본인이 대규모로 이주해서 살았다. 1925년 지룽시의 인구는 약 7만명이었으나, 이 중 일본인이 1/4이 넘었다고 한다. 하지만 1945년 패전 이후 다수가 일본으로 쫓겨났다. 현재는 중화민국 해군 131전대가 주둔하며 해군 도시로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대만 해군의 주력함 가운데 하나인 키드급 구축함[4]의 대만 제식명인 '지룽'이 바로 이 지룽시를 의미한다.
4. 지형
평지가 없다시피한 지형 때문에 더 이상 발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스펀이나 진과스쪽의 지형에서 보다시피 대만 북부는 해안 바로 옆에 산세가 험해 많은 인구가 거주하기 힘들다. 지룽 또한 항구 근처 땅을 빼면 거주지로 쓸만한 땅이 없다. 산 틈새로 난 자투리 땅에 부도심이 형성되고 각 부도심 사이 구간은 산지로 단절된 형태가 되다보니 인구가 증가하지 못했다. 실제로 외부에서 지룽 도심을 들어오기 위해서는 무조건 터널을 통과해야 한다. 지룽역을 출발한 열차는 얼마 안 되어 터널을 통과해야 하고 지룽항 부근에서 시작하는 중산고속공로는 아예 출발과 동시에 터널을 통과하는 수준이다. 이 문서 상단의 중산고속공로 시종점 사진이 모든 것을 다 설명해준다. 저 사진에 보이는 평지가 인구 37만이 사는 도시 내 평지의 전부.사진에 보이는 탑이 고속도로 기점비다. 즉 고속도로 시작과 동시에 터널 진입. 역으로 말하면 산을 뚫고 들어와야 지룽 시내 한복판이라는 뜻이다.
5. 인구
타이베이의 위성도시이며, 국공내전에서 패전한 뒤 대만으로 들어온 외성인의 비율이 높다. 1940년대 중국은 여객기가 보편화되지 않아서 외성인들은 소수의 정부 인사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배를 타고 대만에 왔기 때문에, 이들이 처음 도착한 곳은 대부분 지룽 아니면 가오슝인 점에서 유래한다. 좀 옛날 통계지만 1990년 기준으로 외성인 인구가 19.8%로 타이완 섬에서는 타이베이(25.5%)에 이어서 2위. 외성인과 본성인의 구분은 호적지인데 대만 정부가 1990년 이후로는 호적지 통계를 내지 않아 알 수 없다.도심확장이 불가능한 지형 때문에 이미 1970년에 인구가 30만이 넘어 전국에서 5번째로 큰 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인구가 40만을 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타이베이와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혜택을 전혀 못 받고 있다. 역시 타이베이 대도시권에 속하는 타오위안시와 중리시가 당시 인구 10만명에서 40만으로 급격하게 불어난 것과 꽤 대조된다. 타이베이에서 제법 떨어진 신주도 그 기간 동안 20만에서 40만 이상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인구에 큰 변동이 없었던 탓인지 1945년 이래로 계속 성할시였던 유일한 도시이다.[5]
6. 교통
대만 도로교통의 핵심 간선망인 중산고속공로와 포모사고속공로의 기점지이다.종관선 철도의 기점인 지룽역이 있다. 간선 철도의 기점역이지만 대만 철도 첩운화 계획에 따라 장거리 노선은 많이 사라졌고, 대부분 구간차 위주로 운행하고 있다. 타이베이역까지 기차로 45분 가량이 소요되며, 요금은 구간차가 41NTD, 쯔창하오는 71NTD이다. 종관선 대부분의 열차는 지룽시 치두구에 위치한 치두역에서 출발하고 있다.
기차가 난강역, 쑹산역, 타이베이역으로만 운행되고 있어 타이베이 곳곳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편이 매우 발달해 있다. 1550(싱톈궁역), 1573(네이후), 1800(타이베이 시청역), 1813(타이베이역), 9006(위안산역)번 등의 시외버스는 15~3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10여개 노선이 지룽-타이베이 간을 운행하고 있다.
지룽에서 타이베이 난강을 잇는 지룽 첩운도 계획중이다.
지룽시 시내버스는 지룽시에서 직영하고 있다. 또한 신베이의 일부 시계외 시내버스가 지룽까지 들어온다. 지룽객운이라는 민간 버스회사가 있으나 지룽시내와 신베이의 지룽생활권 지역을 오가는 노선을 운영하는 신베이 관할 사업자다.
마쭈 열도로 가는 배편이 이 곳에서 운항한다.
7. 야경
야경이 매우 유명하다. 대만에서 야경이 아름다운 도시를 꼽을 때 지룽은 꼭 꼽힌다.
8. 기후
이 도시는 우항(雨港)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비가 많이 오기로 유명하다. 연 강수량이 무려 3,755mm에 달하는데 1년 365일 중 비가 오는 날만 208.8일이다. 서울의 비오는 날이 365일 중 109일, 홍콩이 비오는 날이 134일, 도쿄 118일, 하노이 152일, 호찌민 155.6일, 런던 110일인 것에 비하면 지룽은 말 그대로 비만 오는 도시이다. 바로 아래 타이베이가 1년에 비가 오는 날이 165.5일, 가오슝은 아예 88.6일인 것에 비해서도 지룽의 강우는 특이한 경우이다. 지룽의 비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데, 지룽 일대는 기묘하게 북태평양 고기압과 중국 양쯔강 기단의 경계선이며 남쪽에 위치한 중양산맥 때문에 북풍이 우세한 겨울에 강제상승 효과로 인해 많은 비가 쏟아진다. 이로 인해 지룽에는 겨울이 여름보다 비가 많이 온다. 최한월인 1월에는 31일 중 21.2일이 비라는 초월적인 기록이 있다. 그러니까 1월에는 거의 한 달 내내 비가 온다는 소리다. 반면 최난월인 8월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대만 전역을 덮어버리고, 남서풍이 우세한 시기이기 때문에 겨울과 반대로 푄 현상까지 가세하여 31일 중 9.4일만 비가 온다. 강우량도 12월, 1월, 2월 등 겨울에 집중되어 있고, 반대로 여름에는 태풍이 들이닥칠 때에만 비가 온다. [6]따라서 한국과 날씨가 정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우항지룽(雨港基隆)이라는 미연시 게임도 있다.(...) 위키피디아
이런 미쳐버린 기후 때문에 날씨의 아이가 대만에서 개봉했을 때, 도쿄에 1년 365일 비가 오는 장면을 두고 지룽시민들은 저거 우리 동네에서는 늘 있는 일인데, 도쿄가 아니라 지룽을 출연시켰어야 한다(...)며 공감을 표시했다. 이 정보는 날씨의 아이 마이너 갤러리로 퍼져서 날갤러들은 내만일체, 누군가에겐 일상같은 드립을 치고 있다.
9. 모에화 캐릭터: 지룽소녀
지룽소녀 페이스북2015년 가오슝 첩운 소녀에 자극을 받았는지 지룽소녀라는 공식 모에화 캐릭터를 만들었다.
2017년부터는 그림체가 동글동글해졌다.
10. 산하 행정구역
- 지룽시는 산하에 7개의 시할구가 있다.
중정구(中正區)[7] | |
중산구(中山區) | |
런아이구(仁愛區) | |
신이구(信義區)[8] | |
안러구(安樂區) | |
놘놘구(暖暖區) | |
치두구(七堵區) |
[1] 2023년 8월 기준[2] 군(郡)은 대만일치시기에 대만의 1급 행정구역인 주, 청 아래에 설치된 2급 행정구역이며, 지룽군은 현재 신베이의 북부 해안 지역인 루이팡구, 완리구, 진산구, 궁랴오구, 솽시구, 핑시구에 해당한다. 1924년에 지룽가(街)가 지룽군에서 분리되어 지룽시가 되었다. 가(街)와 장(庄)은 현재의 진(鎮), 향(鄉)에 대응하는 대만일치시기의 3급 행정구역으로, 치두장은 현재의 지룽시 놘놘구, 치두구에 해당한다.[3] 현재 대만에서는 '닭 계' 자를 雞로 쓰는 게 표준이라 여기서는 雞籠으로 적었다. 하지만 한국의 한자나, 중국 대륙에서 필요 시 사용하도록 정해져 있는 번체자, 일본의 구자체로는 鷄가 표준이다. 그래서 鷄籠 식의 표기도 볼 수 있긴 하다.[4] 다른 하나는 라파예트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만든 캉딩급.[5] 초창기 성할시였던 도시들은 다 직할시가 됐고, 현존하는 나머지 성할시는 일반 현할시에서 승격됐다.[6] 여름 강수량만 적으면 지중해성 기후가 된다.[7] 시청 소재지.[8] 타이베이시의 신이구와는 동명이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