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6:33:53

윤(성씨)

윤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윤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윤씨(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colbgcolor=#dddddd,#222>로마자 표기
RR식 표기 Yun
MR식 표기
통용 표기 Yoon, Yun

1. 개요2. 한국의 윤씨3. 기타 국가의 윤씨4.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본관5. 인물

1. 개요



중국의 성(姓)인 공손, 사마처럼 관직명에서 유래된 성으로 추정된다. 윤(尹)이라는 한자 자체가 고관대작이라는 뜻이기 때문.[예]

한국의 성씨 윤씨는 중국에서 건너온 성일 가능성이 존재하지만,[2] 당장 국내 본관들 간의 혈연관계도 불명확한 상황이니 의미 없는 추측이다. 어쨌거나 사람이 진짜로 알에서 태어났다거나 연못에서 솟았다거나 용의 자식이라거나 하는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믿을 수는 없으니 중국에서 건너왔거나 누군가가 관직명 '尹'을 그대로 성으로 하사받아 가문을 이룬 것이라고 추측할 수밖에 없다.

2. 한국의 윤씨

대한민국에서 인구수로 8위에 해당하며 20여 본(本)이 현존하는데, 그 중 약 3/4은 파평 윤씨 및 그 분파(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이며, 이들만 따져도 전국에서 9번째로 흔한 본관이다. 사실상 윤씨의 대성(大姓). 이 외에도 칠원 윤씨, 해남 윤씨[3], 해평 윤씨[4], 무송 윤씨 등이 있다. 역사에 가장 많이 등장한 것도 파평 윤씨이며 해당 문서 참고.

윤(尹)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 당시 남한 내의 총 인구수는 1,020,547명으로 조사되었으며, 한국 내 전체 성 중 인구 순위 8위에 랭크되었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2015년 당시 51,069,375명)로 보면 약 2%를 차지한다. 윤씨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전라북도, 제주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내에서 10위 안에는 꼭 드는 성이다. 본관은 문헌에 182본이 전하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파평(坡平), 해남(海南), 칠원(漆原), 남원(南原), 해평(海平), 무송(茂松), 함안(咸安), 경주, 예천(醴泉) 등 44본이다. 인구는 파평 윤씨가 75.5%를 차지하며 파평 윤씨의 파들 중 소정공파와 판도공파가 전체 파평 윤씨의 80%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전체 윤씨의 2.7%(2000년 기준 26,341명. 인구의 0.6%)밖에 안 되는 해평 윤씨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으나[5], 이들 중 윤취동계가 구한말-일제강점기-대한민국 제1공화국-대한민국 제2공화국을 아우르는 19세기 중반 ~ 20세기 중반의 유력 가문에 해당한다. 아래의 윤보선, 윤치성, 윤치영, 윤치호 모두 이 윤씨로 이들은 서로간에 촌수가 매우 가까운 친척이다.[6] 자세한 내용은 해평 윤씨 문서를 참조할 것.

서브컬처 및 창작물에서도 주인공 내지 조연으로 많이 쓰인다. 많은 윤씨 캐릭터가 있겠지만 굳이 예를 들자면 아즈망가 대왕윤나라슬램덩크윤대협, 스피드왕 번개의 윤미라, 샤이닝 스타윤시아가 있다.

또한 조선 시대때는 왕비를 많이 배출한 성으로도 유명하다. 민씨, 한씨와 더불어 윤씨 왕비는 6명인데 그 중 5명이 전부 사극에 단골로 나올 정도로 임팩트가 크다. 세조의 왕비로는 정희왕후(파평 윤씨 윤번의 딸)가 있으며, 성종(조선)에게는 두 명의 왕비가 윤씨이기도 했다. 그 중 하나는 윤호의 딸인 정현왕후(파평 윤씨)가 있고, 연산군의 어머니였던 폐비 윤씨(함안 윤씨 윤기견의 딸)도 있다. 그리고 중종의 비였던 장경왕후문정왕후도 모두 파평 윤씨였다. 해평 윤씨에서는 순종의 계후인 순정효황후를 배출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Yoon이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Yoon이 약 49%, Yun이 약 37%, Youn이 약 14%, Yune 등 기타 표기는 1% 미만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모두 Yun이다.

3. 기타 국가의 윤씨

베트남중국에도 존재한다. 중국어로는 Yin(인), 베트남어로는 조안(Doãn).

중국에서는 백가성 딱 100위, 현대 통계 기준 75위로 한국에서와는 달리 흔한 성은 아니다.

4.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본관

5.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성씨)/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예] 판윤(判尹), 부윤(府尹) 등.[2] 항간의 예로 삼국지에서 조조에게 쓴소리를 한 문관 예형을 들수 있는데 백제시대 말기 의자왕을 배신한 예식진의 묘비에서 5대조(?)라고 전해지는 것 보면 예씨 또한 삼국의 변란을 피해 백제 땅으로 왔고, 윤씨 또한 촉나라의 윤묵이나 먼친척들이 당시 삼국시대 이후, 사마사의 진나라 시기~5호 16국 시대 때 난리법석이 난 상황에서 건너왔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제갈씨 또한 이 시기를 전후로 한반도에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3] 조선 중기 학자인 윤선도, 그리고 그의 증손자이자 자화상으로 유명한 윤두서가 이 가문 출신이다. 크라운제과의 오너 집안 역시 이 가문이다.[4] 윤보선 대통령이 이 가문 출신이다.[5] 영의정을 지낸 오음공 윤두수김만중의 어머니 윤씨가 이 윤씨이다.[6] 이들의 공동 조상이 윤보선의 증조부인 윤취동이다. 즉, 전원이 6촌 이내의 가까운 친척.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