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병대사령관 | |||||||||||||||||||||||
주일석 | ||||||||||||||||||||||||
국군방첩사령관 | ||||||||||||||||||||||||
여인형 | ||||||||||||||||||||||||
합동참모차장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고현석 | 최성혁 | 박기완 | ||||||||||||||||||||||
합동참모본부 | ||||||||||||||||||||||||
작전본부장 | 군사지원본부장 | 전략기획본부장 | 정보본부장 | |||||||||||||||||||||
이승오 | 강동길 | 손정환 | 원천희 | |||||||||||||||||||||
해군작전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
황선우 | 김형수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전략사령관 | 국방대학교 총장 | ||||||||||||||||||||
진영승 | 임기훈 | |||||||||||||||||||||||
육군사관학교장 | 해군사관학교장 | 공군사관학교장 | ||||||||||||||||||||||
정형균소장 | 김경률 | 차준선 | ||||||||||||||||||||||
육군교육사령관 | 해군교육사령관 | 공군교육사령관 | ||||||||||||||||||||||
김봉수 | 강정호 | 손석락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수도방위사령관 | 육군군수사령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육군특수전사령관 | |||||||||||||||||
이진우 | 손대권 | 김규하 | 곽종근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김호복 | 권대원 | 김권소장 | ||||||||||||||||||||||
수도군단장 | 제1군단장 | 제2군단장 | ||||||||||||||||||||||
박정택 | 주성운 | 박후성 | ||||||||||||||||||||||
제3군단장 | 제5군단장 | 제7기동군단장 | ||||||||||||||||||||||
서진하 | 김성민 | 박재열 | ||||||||||||||||||||||
※ 둘러보기: 현직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10000><tablebgcolor=#01000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10000><tablebgcolor=#010000>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조문환 | 2대 조천성 | 3대 정병주 | 4대 정호용 | 5대 박희도 | |
6대 최웅 | 7대 육완식 | 8대 민병돈 | 9대 이문석 | 10대 서완수 | |
11대 김형선 | 12대 장창규 | 13대 정영무 | 14대 오남영 | 15대 김희중 | |
16대 류해근 | 17대 김윤석 | 18대 백군기 | 19대 김진훈 | 20대 김상기 | |
21대 최용림 | 22대 신현돈 | 23대 최익봉 | 24대 장준규 | 25대 전인범 | |
26대 장경석 | 27대 조종설 | 28대 남영신 | 29대 김정수 | 30대 소영민 | |
31대 손식 | 32대 곽종근 | ||||
※ 초대~4대 : 소장 / 5대~현재 : 중장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육군특수전사령관 陸軍特殊戰司令官 Army Special Warfare Commander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 육군 중장 곽종근 (제32대) |
취임일 | 2023년 11월 8일 |
임관 | 육사 47기 |
[clearfix]
1. 개요
육군특수전사령부령 제2조(사령관등의 임명) ① 사령부에 사령관 및 참모장을 둔다. ② 사령관 및 참모장은 육군의 장성급(將星級)장교로 보한다. ③ 전시에는 사령부에 부사령관을 두되, 육군의 장성급장교로 보한다. |
2. 상세
수도권에 위치한 사령부급 특수부대라는 특징으로 인해 국군방첩사령관(舊 국군기무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과 함께 상당한 요직으로 꼽히는 보직이다.[1] 과거에는 특수전사령관을 역임한 후 대장으로 진급하여 3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하는게 군 내 최고의 엘리트 코스로 꼽혀왔을 정도. 군 내 최고 실세로 꼽혀왔던 기무사령관이 민간인 사찰, 정치공작 등의 문제로 종종 갈려나간 인원들이 여럿인것과 대비되어 특전사령관 자리는 임기 중에 사고만 치지 않으면 대장진급은 거의 확정이나 다름없었고 대장 진급 후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 사람만 해도 5명이나 된다.[2] 허나 최근에는 철책선과의 거리가 중시되어 제1군단장과 제3군단장, 제5군단장 등 전방 군단장에 비해 진급률이 한참 밀린다. 이는 수방사령관도 마찬가지이며 국군방첩사령관은 원래 대장 진급자가 거의 안 나온다.[3] 그래도 수방사령관과는 달리 특수전사령관은 현재까지 거의 매 정권마다[4] 대장을 1명 이상씩은 내는 보직이다. 어떻게든 1정권 1대장 이상은 찍어내기 때문에 진급률 자체는 매우 좋은 편이다. 심지어 최근 들어서는 대통령이 육군특수전사령관을 황태자로 만들었는데 문재인 정부에서는 남영신을, 윤석열 정부에서는 손식을 각각 자신들의 정부의 황태자로 만들어 여기다 보직시킨 후 최대한 빨리 대장에 진급시켰다. 특히 손식의 경우가 극단적인데 중장으로서 보직이 육군특수전사령관 단 1개에, 그나마도 1년 정도만 역임하고 대장에 올라, 소장에서 대장까지 거짓말 수준으로 엄청나게 빨리 진급했다.[5] 특수전사령관에서 대장이 나오지 않은 정권은 박정희 정부, 최규하 정부 등 특전사 초창기와 김영삼 정부의 하나회 숙청 시기가 전부이다.이 보직은 원래 소장 계급 N차 보직이었으나, 전두환이 대통령이 되면서 같은 소장 계급 N차 보직이던 수도방위사령관과 같이 중장 1차 보직으로 승격되었다.[6]
군부정권 시절의 병폐가 아직도 많이 남아 육사 우대가 심한 대한민국 육군에서 육군참모총장, 육군사관학교 교장과 더불어 오직 육군사관학교 출신만 임명해왔던 보직이었으나 학군 23기인 남영신 3사단장이 임명되면서 옛말이 되었다.[7] 남영신 이후에도 학사장교 11기 출신인 소영민 31사단장이 임명되며 관행은 완전히 깨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다른 중장 지휘관 최고 요직인 1군단장이나 5군단장은 여전히 육사 출신의 성역이다.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관역할을 겸임으로 수행하는 보직이다.
다만 약간의 논란도 있는 부분은 특수전사령부 예하 모든 여단 및 단을 지휘하는 사령관이 특전장교가 아닌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특수전사령부를 지휘하려면 적어도 특수전 초급 교육을 수료한 인원이 사령관이 되어야 하지 않냐는 논란도 있긴 하지만 현재는 특수전 교육을 수료하지 않은 알보병 중장들이 보직을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나마 비육사 출신 사령관들인 남영신과 소영민이 특전맨에 가깝고[8], 그에 비해 손식은 완벽한 알보병이다. 2024년 현재 특전사령관인 곽종근도 소령부터 소장때까지 지역대장이나 특전대대장, 특전여단장 보직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사실 이 문제는 특전여단장에서도 마찬가지인데, 특전맨보단 알보병이 은근 많이 보인다. 애초에 장교가 특전사에 오래 근무하는 게 진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특전맨 출신 고위직이 적다. 반면 보병의 경우, 대장 진급에 특전사 복무기간이 어느 정도 감안되기 때문에 특전사에서 복무하지 않았던 장성들이 특전사령관으로 오는 경우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3. 역대 육군특수전사령관
역대 | 성명 | 사 진 | 임 관 | 최종 계급 | 임 기 |
비 고 | |||||
1 | 조문환 | 육사 7기 | 중장 | 1969년 8월 18일 ~ 1972년 6월 12일 | |
주월 비둘기부대(건설 지원단) 단장, 19대 국방부 차관, 대한광업진흥공사 이사장 역임 1987년 11월 별세 | |||||
2 | 조천성 | 육사 8기 | 중장[9] | 1972년 6월 12일 ~ 1974년 12월 10일 | |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역임 [10] | |||||
3 | 정병주 | 육사 9기 | 소장 | 1974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3일 | |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의해 총상을 입고 강제 예편 1989년 의문사(타살 의혹) | |||||
4 | 정호용 | 육사 11기 | 대장 | 1979년 12월 13일 ~ 1981년 3월 4일 | |
하나회,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가담, 제50사단장, 25대 육군참모총장, 25대 국방부 장관, 13·14대 국회의원 역임 | |||||
5 | 박희도 | 육사 12기 | 대장 | 1981년 3월 4일 ~ 1982년 11월 10일 | |
하나회,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가담, 제1공수특전여단장, 26대 육군참모총장 역임 [11] | |||||
6 | 최웅 | 육사 12기 | 중장 | 1982년 11월 10일 ~ 1984년 7월 4일 | |
하나회, 12.12 군사반란 가담 의혹,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투입된 11공수특전여단장. 주 파키스탄 대사, 주 폴란드 대사 역임 "우리는 마치 반란군인 것처럼 매도당했다. 우리 군인들은 명령을 받고 행동했으며, 계엄령을 준수하지 않은 위반자들이 흐트러뜨린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간 것이다" | |||||
7 | 육완식 | 육사 13기 | 중장 | 1984년 7월 4일 ~ 1987년 1월 15일 | |
국가안전기획부 본부장 역임 | |||||
8 | 민병돈 | 육사 15기 | 중장 | 1987년 1월 15일 ~ 1988년 6월 30일 | |
하나회,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특전사령관 시절에 유혈사태가 하마터면 날뻔 했는데 강제예편을 각오하고 군무력진압을 반대하면서 629선언에 가장 큰 공을 세웠다. | |||||
9 | 이문석 | 육사 17기 | 대장 | 1988년 6월 30일 ~ 1989년 12월 28일 | |
하나회, 제1야전군사령관, 26대 총무처 장관 역임 | |||||
10 | 서완수 | 육사 19기 | 중장 | 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2월 31일 | |
하나회, 29대 기무사령관 역임 | |||||
11 | 김형선 | 육사 19기 | 중장 | 1991년 12월 31일 ~ 1993년 4월 2일 | |
하나회 | |||||
12 | 장창규 | 육사 21기 | 중장 | 1993년 4월 2일 ~ 1995년 4월 17일 |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13 | 정영무 | 육사 22기 | 대장 | 1995년 4월 17일 ~ 1997년 4월 24일 | |
제13대 한미연합부사령관, 국방개혁위원장 역임 | |||||
14 | 오남영 | 육사 24기 | 중장 | 1997년 4월 24일 ~ 1998년 11월 2일 |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15 | 김희중 | 육사 25기 | 중장 | 1998년 11월 2일 ~ 2000년 4월 27일 | |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 |||||
16 | 류해근 | 육사 26기 | 중장 | 2000년 4월 27일 ~ 2002년 4월 8일 | |
교육사령관 역임. 2018년 1월 25일 별세. | |||||
17 | 김윤석 | 육사 27기 | 중장 | 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 29일 | |
국군체육부대장, 52사단장 역임. 전역식에서 고공낙하 시범으로 화제가 되었다. | |||||
18 | 백군기 | 육사 29기 | 대장 | 2004년 5월 29일 ~ 2005년 11월 3일 | |
제31보병사단장, 21대 제3야전군사령관, 19대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국방자문위원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하여 용인시 시장에 당선되었다. 前 용인시장. | |||||
19 | 김진훈 | 육사 30기 | 중장 | 2005년 11월 3일 ~ 2007년 10월 30일 | |
건군 60주년 기념사업단 단장, 2대 군인공제회 이사장 | |||||
20 | 김상기 | 육사 32기 | 대장 | 2007년 10월 30일 ~ 2009년 4월 22일 | |
제50보병사단장, 23대 3야전군사령관, 42대 육군참모총장 역임 | |||||
21 | 최용림 | 육사 33기 | 중장 | 2009년 4월 22일 ~ 2010년 12월 27일 | |
국방부 특별검열단 단장, 육군사관학교 초빙교수, 2018년5월16일 별세 | |||||
22 | 신현돈 | 육사 35기 | 대장 | 2010년 12월 27일 ~ 2011년 11월 16일 | |
제1보병사단장, 38대 제1야전군사령관 역임. 청주대학교 군사학과 객원교수, 1군사령관 재직 당시 군사대비태세 기간 작전지역 이탈, 음주로 인한 품위손상을 일으켜 책임지고 전역식없이 자진전역했다. | |||||
23 | 최익봉 | 육사 36기 | 중장 | 2011년 11월 16일 ~ 2012년 3월 10일 | |
제23보병사단장으로 있었던 2009년, 사단 소속 여군 부사관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던 것이 특전사령관이 된 후인 2012년 3월에 뒤늦게 들통나서 보직 해임됨. 이 때문에 윤광섭 특전부사령관이 직무대리 수행. 첫 보도때는 동료 여 부사관의 증언을 참고해 강요된 성관계에 가까웠다는 기사가 나왔었고 후에 이를 토대로 국방부와 육군본부의 취재가 수행됐으나 양측에서 최익봉 중장에 관한 것은 개인사생활이므로 징계위원회의 징계 사유와 징계 결과를 알려 줄 수 없다고 말하였다. | |||||
대리 | 윤광섭 | 육사 34기 | 소장 | 2012년 3월 10일 ~ 2012년 4월 30일 | |
최익봉 사령관 보직해임으로 인한 사령관 직무대리, 전역 후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 본부장' 역임 | |||||
24 | 장준규 | 육사 36기 | 대장 | 2012년 4월 30일 ~ 2013년 10월 31일 | |
제21보병사단장, 39대 제1야전군사령관. 신현돈 사령관 전역으로 제1야전군부사령관 시절 사령관 직무대리. 제46대 육군참모총장 역임. 제21보병사단장 시절에는 그야말로 레전드였는데 고딩들이 휘하병사들을 폭행하자 이순진 당시 2사단장과 함께 외박통제, 휴가시 춘천, 인제 픽업으로 친히 응징하면서 수많은 군필 네티즌들의 환호를 받았다. 관운은 김관진도 울고갈 정도로 타고났다고(...) | |||||
25 | 전인범 | 육사 37기 | 중장 |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4일 | |
제27보병사단장,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차장·부참모장 역임. 2013년 10월 중장 진급과 함께 특수전사령관 임명. 현역 장성 최다 훈장 수훈자. 그러나 제13공수특전여단 훈련사망사고로 인해 커리어에 심각한 손상을 입어 대장 진급이 막힘. 제1야전군 부사령관을 거쳐 2016년 7월 전역. | |||||
26 | 장경석 | 육사 39기 | 중장 | 2015년 4월 14일 ~ 2016년 10월 | |
알자회 출신, 육사 수석 졸업. 제12보병사단장, 국방부 정책기획관 역임. 사제장비 금지령으로 인해 논란을 낳고 많은 비판, 비난을 받았다. 육군항공작전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였다. | |||||
27 | 조종설 | 육사 41기 | 중장 | 2016년 10월 ~ 2017년 9월 | |
알자회 출신,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였다. | |||||
28 | 남영신 | 학군 23기 | 대장 | 2017년 9월 ~ 2018년 8월 | |
최초의 비육사 출신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81학번) 사령관. 계엄령 문건 파동에 더해 항명사태까진 일어나 기강이 해이해진 기무사의 이석구 사령관을 대신해 새 기무사령관으로 임명됨. 2019년 4월 대장진급하고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재직중 2020년 9월 비육사 출신 최초로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 |||||
대리 | 조영진 | 육사 40기 | 소장 | 2018년 8월 ~ 2018년 11월 | |
1군단 화력참모, 수도포병여단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장,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1군사령부 부사령관 등을 역임. 남영신 중장이 기무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사령관 직무대리. 임시지만 특전사에서는 29대 사령관으로 대우했었다. 특전사 경험이 없는 포병출신. | |||||
29 | 김정수 | 육사 43기 | 중장 | 2018년 11월 ~ 2020년 12월 | |
육군사관학교장을 끝으로 전역 | |||||
30 | 소영민 | 학사 11기 | 중장 | 2020년 12월 ~ 2022년 12월 | |
前 사령관 | |||||
31 | 손식 | 육사 47기 | 대장 | 2022년 12월 ~ 2023년 10월 | |
前 사령관,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제3보병사단장, 육군본부 계획편제차장 육군지상작전사령관역임 | |||||
대리 | 박원호 | 육사 46기 | 소장 | 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1월 8일 | |
제13특수임무여단장, 제7보병사단장, 육군훈련소장, 육군보병학교장 등을 역임. 손식 사령관 대장 진급으로 인한 사령관 직무대리 | |||||
31 | 곽종근 | 육사 47기 | 중장 | 2023년 11월 8일 ~ | |
現 사령관 |
4. 관련 문서
[1] 다만 군의 정치적 중립성이 강조되고 야전부대에 대한 우대가 지속되는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오히려 육군의 각 군단장 보직이 대장 진급률이 높으며 군사정권 당시 친위대 노릇을 했던 저 세 중장보직 중에서 육군특수전사령관만이 대장을 배출하는 중이다. 특히 수도방위사령관 보직은 서울 근무 + 휘하 병력 수가 적어서 후방 군단장 수준으로 평가받으며 정치적 위치까지 겹쳐 대장 진급을 거의 찾아보기 어려울 수준이 되었다.[2] 정호용, 박희도, 김상기, 장준규, 남영신 특히 정호용의 경우 전역 후 국방장관과 내무장관(현 행정안전부 장관)까지 역임했다.[3] 방첩사령관의 너무 권한이 강한 터라 문민정부 시기부터 아예 임기제 중장 보직으로 활용하여 2년 임기 후 전역하는 경우가 많다.[4] 전두환 정부 = 정호용, 박희도, 노태우 정부 = 이문석, 김대중 정부 = 정영무, 노무현 정부 = 백군기, 이명박 정부 = 김상기, 박근혜 정부 = 신현돈, 장준규, 문재인 정부 = 남영신, 윤석열 정부 = 손식.[5] 2023년 하반기 육군 중장 → 대장 진급 인사는 강신철과 박안수, 그리고 손식과 고창준, 이렇게 4명이었는데 강신철과 박안수 둘이 동일한 육사 46기인 반면 손식 혼자 육사 47기였으며 나머지 고창준은 3사 26기다. 그러니까 손식은 원래 진급연차가 아닌데, 선배들 틈바구니에 혼자 껴서 선배들과 같이 진급한 것이다. 고창준의 경우는 3사이므로 비육사 TO를 가져간 것이라서 논외에 해당된다. 물론 고창준 역시 손식 못지 않게 말도 안되게 빠른 진급을 한 건데 원래 진급 대상에서는 고창준의 3사 1년 선배인 장광선(3사 25기)이 하마평에 올랐었지만 장광선을 깨버리고 고창준을 올린 것이다.[6] 똑같은 취급이던 국군보안사령관은 아예 중장 2차 보직으로 바뀌었다.[7] 남영신은 이후 육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하면서 최초의 학군 출신 육군참모총장이 되었다.[8] 남영신은 소령 때 처음 전입해 지역대장을 맡았고 나중에 준장 때 특전여단장을 해본 경험이 있는 인물이었다. 소영민 역시 소령 때 지역대장으로 부임했는데 이때 동티모르 파병을 갔다왔다. 둘 다 군 생활을 전부 특전사에서 보낸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특전사에서 나름 작전을 뛰어본 축에 속한다.[9] #.[10] 전두환이 베트남 전쟁에 9사단 29연대장으로 파병되었을 당시 직속상관이던 제9보병사단장을 역임했다.
그게 특수전사령관 바로 직전의 보직이었다. 심지어 전두환은 또다시 1공수여단장으로 부임하면서 직속부하로 악연이 계속 되었는데 아구창을 많이 털렸다고 한다. 뒤끝이 워낙에 심했는지 1212직후 수출공단이사장에서 쫓겨나서 보안사에 강도높은 취조를 받았으나 부정부패가 없어서인지 별탈없이 있다가 전두환이 대통령에 오르더니 다시 한국가스공사 이사장으로 앉혔다.[11] 1공수특전여단장 시절에, 북한 간첩이 1여단 위수지역을 돌아다니다가 임진강을 건너서 월북했는데도 부대측에선 이를 알아채지 못해서 이에 대한 책임으로 당시 육군참모총장인 이세호 대장에게 격렬하게 혼나고 문책까지 당할 위기에서 구해준 은인이 다름아닌 정병주 사령관이었음에도 12.12 군사반란에 참여함으로써 그런 은인을 배신했다.
그게 특수전사령관 바로 직전의 보직이었다. 심지어 전두환은 또다시 1공수여단장으로 부임하면서 직속부하로 악연이 계속 되었는데 아구창을 많이 털렸다고 한다. 뒤끝이 워낙에 심했는지 1212직후 수출공단이사장에서 쫓겨나서 보안사에 강도높은 취조를 받았으나 부정부패가 없어서인지 별탈없이 있다가 전두환이 대통령에 오르더니 다시 한국가스공사 이사장으로 앉혔다.[11] 1공수특전여단장 시절에, 북한 간첩이 1여단 위수지역을 돌아다니다가 임진강을 건너서 월북했는데도 부대측에선 이를 알아채지 못해서 이에 대한 책임으로 당시 육군참모총장인 이세호 대장에게 격렬하게 혼나고 문책까지 당할 위기에서 구해준 은인이 다름아닌 정병주 사령관이었음에도 12.12 군사반란에 참여함으로써 그런 은인을 배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