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5:19:09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제2작전사령부
#!if 문서명2 != null
, [[제2작전사령관]]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tablebgcolor=#1d2088>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d2088><tablebgcolor=#1d2088>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대수미상)
김형일
박정희 한신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최갑석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손길남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복진
안병호 조영길 정두근 오정석
권태오 임국선 안병태 박삼득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재형
이석구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정형희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희성
여운태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권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第二作戰司令部 副司令官
deputy commander of Second Operations Command
<nopad>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 공석
취임일
임관

1. 개요2. 상세3. 역대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4. 관련 문서

1. 개요

작전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 지상작전부대의 지휘 및 작전 수행을 위하여 육군에 지상작전사령부 및 육군제2작전사령부(이하 “각 사령부”라 한다)를 두며, 각 사령부는 그 관할구역의 작전ㆍ훈련 및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제2조(사령관 등의 임명) ① 각 사령부사령관·부사령관참모장을 둔다.
② 각 사령부의 사령관·부사령관 및 참모장은 육군의 장성급(將星級)장교로 보한다.
제2작전사령부부지휘관으로 소장이 보임된다.

2. 상세

제2작전사령부부사령관이다. 제1야전군 및 제3야전군과 다르게 후방지역에 위치한 관계로 중장이 아닌 소장이 부사령관으로 보임되는 일이 잦다.[1] 공식적으로 이 보직은 중장 보직이었지만 국방비서관이던 임기훈 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키고자 국방대학교 총장의 계급을 소장에서 중장으로 격상 시키면서 소장 계급으로 격하되었다.#

심지어 제1,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지작사는 참모장도 중장으로 보임되는데 이쪽은 부사령관, 참모장 모두 소장으로 보임된다. 다만 지작사 부사령관에 소장이 보임되는 일이 역으로 발생하는데[2], 이 역시도 직무대리 형식으로 보임된다.

한 편 사령관 유고시 부사령관이 소장 계급인 경우에는 제2작전사령부의 예하 사단장이 전부 소장이기 때문에 부대를 지휘하는데 무리가 있어 부사령관을 사령관 직무대리로 쓸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중장 보직에서 빼와서 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한다.[3]

3. 역대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파일:중장 계급장.svg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해병대사령관
주일석
국군방첩사령관
공석
합동참모차장 육군참모차장 해군참모차장 공군참모차장
권대원 최장식 곽광섭 박기완
합동참모본부
<rowcolor=#801a24,#e37882> 정보본부장 작전본부장 전략기획본부장 군사지원본부장
김준호 강현우 강동구 구상모
해군작전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김경률 차준선 }}}
{{{#!wiki style="margin: -30px -1px -11px"
전략사령관 국방대학교 총장
박재열 공석
육군사관학교장 해군사관학교장 공군사관학교장
박후성 박규백 공석
육군교육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공군교육사령관
강관범 강정호 권영민 }}}
{{{#!wiki style="margin: -30px -1px -11px"
육군군수사령관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박춘식 권혁동 박성제 어창준 }}}
{{{#!wiki style="margin: -30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서진하 김종묵 공석
제1군단장 제2군단장
이임수 한기성 정유수
제5군단장 제7군단장
이상렬 이일용 최성진
비상계엄 관련 보직해임자
곽종근
(前 육군특수전사령관)
여인형
(前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前 수도방위사령관)
※ 둘러보기: 대장 | 중장 | 사단장 | 해군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준장 | 해군전단장 | 공군비행단장 | 주임원사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tablebgcolor=#1d2088>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d2088><tablebgcolor=#1d2088>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대수미상)
김형일
박정희 한신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최갑석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손길남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복진
안병호 조영길 정두근 오정석
권태오 임국선 안병태 박삼득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재형
이석구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정형희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희성
여운태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권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부사령관.
역대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중장 육사 00기 부사령관
00대 최용주 예) 중장 3사 4기 육군항공작전사령관
00대 정두근 예) 중장 3사 7기 부사령관 [4]
00대 박삼득 예) 중장 육사 36기 부사령관 [5]
직무대리 이재형 예) 소장 학군 21기 부사령관
00대 이석구 예) 중장 육사 41기 국방대학교 총장 [6]
직무대리 정형희 예) 소장 육사 43기 부사령관 [7]
직무대리 김태일 예) 소장 3사 23기 부사령관 [8]
직무대리 함희성 예) 소장 육사 46기 육군교육사령부 전투발전부장 [9]
00대 여운태 예) 중장 육사 45기 부사령관 [10]
직무대리 김권 예) 소장 육사 47기 부사령관 [11]
  • 김형일: 군사영어 1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 박정희: 육사 2기, 예)대장. 부사령관 역임.[12]
  • 한신: 육사 2기, 예)대장. 부사령관 역임.
  • 최갑석: 현지임관, 예)소장. 부사령관 역임.
  • 임복진: 육사 17기, 예)소장. 부사령관 역임.
  • 안병호: 육사 20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 조영길: 갑종 172기, 예)대장. 부사령관 역임.
  • 정두근: 3사 7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 오정석: 3사 10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 권태오: 3사 13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 임국선: 학군 17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 안병태: 학군 19기, 예)중장. 부사령관 역임.

4. 관련 문서


[1] 사실 제1야전군은 강원권 방어를 맡아 수도권을 위수지역으로 하는 제3야전군 대비 중요도가 떨어지는 관계로 부사령관으로 소장이 보임되는 일이 있었다. 일례로 마지막 부사령관은 기무사 항명 파동으로 인해 기무사에서 축출된 3사 21기의 소강원 예)소장이 보임되었으며, 그 전임자인 조영진 부사령관(육사 40기)도 소장 계급이었다.[2] 명목상 서열은 부사령관이 참모장보다 더 높은 것이 정상이나, 부사령관 자체가 한직이며 사령관 유고시 직무대행도 참모장이 맡도록 규정된 탓에 이런 기이한 인사가 가능하다.[3] 가장 최근의 예가 김봉수 중장으로 계엄 여파로 인하여 고창준 2작전사령관이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로 발령나자 교육사령관에서 2작전사령관 직무대리로 발령났다.[4] 2008.10. ~ 2010.10.[5] 2014.10. ~ 2015.06.[6] 2018.08. ~ 2019.05.[7] 2019.05. ~ 2020.12.[8] 2020.12. ~ 2022.12.[9] 2022.12. ~ 2023.05.[10] 2023.06. ~ 2023.07.[11] 2023.07. ~ 2025.11.[12] 부사령관 재임기에 5.16 군사정변을 일으켰으며, 알다시피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과 전무후무한 5선 대통령을 거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