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20:45:10

수도고 배틀(2025)/차량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도고 배틀(2025)
파일:수도고배틀(2025)_일어로고.png 수도고 배틀(2025) 관련 문서 파일:수도고배틀(2025)_영어로고.webp
게임플레이(B.A.D 네임) · 차량 · 코스 · 스토리
라이벌(1장 · 2장 · 3장 · 4장 · 5장 · 보스 · 원더러) · 사운드트랙

1. 개요

수도고 배틀(2025)에서 등장하는 차량 목록을 정리한 문서.

2. 설명

정식 출시 버전 1.0.0 기준 일반 차량은 총 76대가 등장한다.(커스텀 카 제외) 현재 스타팅 차량으로는 AE86 트레노, 스위프트 스포트, ND 로드스터가 제공된다.

전체적인 차량 라인업은 JDM으로 대표되는 일제 스포츠카가 시대를 풍미했던 1990년대 ~ 2000년대에 출시된 차량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2025년이라는 출시 시기에 걸맞게 2010년도 이후에 생산된 최신형 차량들 역시 추가된 라인업을 보여준다. 대부분은 실제 수도고 공도 레이싱 씬에서 활약했던 고출력 고배기량 스포츠카들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지만, 체이서, 아텐자, 크라운같은 얼핏 보면 어울리지 않을 듯한 중대형 패밀리 세단이나 코펜, 로드스터 같은 조그만 경차 & 소형차들도 간간히 보인다는 점이 특징.[1]

게임 진행에 따라 자동으로 해금되거나 특정 라이벌을 찾아서 격파하면 차량이 해금되었던 전작과는 다르게, 이번 작에서는 라이벌을 격파하면 얻는 일종의 스킬 포인트인 'BP'를 소모해서 퍼크 메뉴에서 차량을 스킬처럼 하나씩 해금해야 한다. 0.14.0 패치 이후로 시간만 들인다면 모든 퍼크를 해금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BP 걱정은 할 필요가 없지만, 대신 해금에 필요한 BP의 양도 늘어났기 때문에 무턱대고 아무거나 찍기 보다는 자신이 어떤 차량을 선호하는 지 신중하게 판단하고 해금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작들에서는 최종 보스를 상대할 수 있는 종결급 차들을 얻을 때까지 많아야 1~2대의 차만 거치면 충분했으나, 본작은 퍼크 트리로 해금하는 과정에서 일부 트리를 특정 보스 라이벌에게 승리하지 않으면 해금할 수 없도록 강제로 막아두어서 고성능의 차를 입수하는 시기를 최대한 뒤로 늦추고 있다.

얼리 액세스 시점에서 팬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였던 혼다의 참전 여부에 대해서는 기대조차 할 수 없었던 전작들[2]과는 다르게 레딧에서 진행한 제작진들의 AMA에서 비용 때문에 어렵다고 밝힌 해외 브랜드와 달리 제작진이 직접 라이센스 협상 중이라고 밝혔고, 무엇보다 최근 들어 혼다의 그 악명 높은 레이싱 게임 라이센스 문제도 상당히 완화된 모습을 보여주었기에[3] 이번에는 진짜로 수록될 가능성이 높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그리고 결국 2025년 8월 28일 신차 공개 트레일러를 통해 혼다 NSX 1세대의 정식 수록이 확정되며 수도고 배틀 0 이후 24년 만에 정규 시리즈에서 혼다의 복귀가 확정되었다.

또한 렉서스 역시 2025년 7월 31일 공개된 정식 출시 PV에서 RC F의 참전이 확정됨에 따라 수도고 배틀 01 북미판[4] 이후 약 22년 만에 수도고 배틀 시리즈에서 렉서스 브랜드 차량을 몰아볼 수 있게 되어, 일본 내수 판매를 진행중인 일본의 승용차 제조업체들의 전원 참전이 확정되었다.[5]

3. 정식 공개 차량

3.1. 일반

차량 순서는 PERK - 머신 트리의 해금 순서에 따라 정렬했으며, 정식 라이센스를 획득한 수도고 배틀 01 이후 시리즈 최초 등장은 볼드체로 표기, 게임 시작 시 주어지는 세 차량은 ★표, 원더러 대결 조건에 필요한 차는 ◎표를 추가한다.

3.1.1. 다이하츠

  • 코펜 Cero (LA400K) '15
  • 무브 커스텀 RS Limited (L152S) '02

3.1.2. 혼다

  • 경차 계열
  • 시빅 계열
    • 시빅 Type R (EK9) '99[정식출시수록]
      6세대 혼다 시빅을 베이스로 한 시빅 타입 R의 첫 번째 모델. 전륜구동이라는 태생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훌륭한 코너링 성능과 VTEC 엔진의 고회전성으로 실제 공도 레이싱 씬에서도 고갯길과 고속도로를 가리지 않고 상당히 애용받았던 차량이다.[10] 마찬가지로 트레일러에 이어 PAX 2025 시연 빌드에서 플레이어블이 확정되었는데, 스크린샷에서 가격이 270만엔이라는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되어[11] 정식 출시 후 혼다의 스타팅 차량으로 배정되었다.
    • 시빅 Type R (FK2) '15[정식출시수록]
    • 시빅 Type R (FL5) '22[정식출시수록]
      시빅 타입 R 시리즈의 최신형 모델. 시빅 타입 R 시리즈 최초로 순정 터보 엔진을 장착한 차량이기도 하다.
  • 인테그라 계열
    • 인테그라 Type R (DC2) '99[정식출시수록]
      인테그라 2세대의 고성능 모델. 벌레눈이라는 별명까지 붙었던 전기형이 아닌 평범하게 헤드라이트 디자인을 바룬 후기형이 출시되었다. 지금까지도 고성능 FF 차량을 언급하면 무조건 튀어나오는 명차로, 특히 미국을 비롯한 북미 지역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수출된 타입 R 혼다 차량이었다는[15] 전설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게임 내에서는 초반 기준 상당한 고성능을 자랑하는데, 무려 바로 전 단계인 EK9보다 싼 데도 불구하고[16] 핸들링 가속 모두 상위호환이라는 말도 안 되는 성능을 자랑한다. 전륜구동임에도 불구하고 코너를 상당히 잘 도는 데다가 VTEC 특유의 고회전 RPM 덕분에 출력도 괜찮게 뿜어내는 등 중량이 EK9보다 살짝 무겁다는 걸 빼면 그야말로 만능 차량. 퍼크 해금 제한이 없는 엔조이 모드로 시작한다면 차라리 BP를 좀 더 투자해서 인테그라를 해금하면 초반을 굉장히 쾌적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미있게도 의도하진 않았지만 본 게임에서는 파워 유닛 튜닝을 일정 레벨 이상 올리면 자연흡기 차량이라도 소형 터보 차저가 장착되는데, 덕분에 이니셜D에 나오는 스마일리 사카이의 사도 튜닝 버전을 간접적으로나마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 인테그라 Type R (DC5) '04[정식출시수록]
  • S2000 2.0 Type-V (AP1) '03[정식출시수록]
    혼다에서 제작한 고성능 로드스터이자 현재로서는 혼다의 마지막 FR 스포츠카. F20C 엔진을 탑재한 전기형 AP1 형식이며[19], 그 덕분에 레드라인이 무려 9000RPM이다. 자연흡기 엔진답게 반응성이 매우 좋지만, 최고 출력이 레드라인 바로 근처기 때문에 변속을 살짝만 잘못해도 손실이 크다. 출력 자체는 많이 뒤쳐지는 편은 아니지만 토크는 터보 엔진에 비해 쳐지기 때문에 기어비로 토크를 잡아줘야된다. 게임 내에서의 성능은 2장에 해금되는 차량중 최상위권으로, 엔진빨을 잘 받는다.
    다만, 현실에서는 과부제조기 타이틀을 받을 정도로 극단적인 오버스티어를 자량했던 것과 다르게, 앞뒤 차축 사이의 하중이동에 관해 전혀 민감하지 않은 정직한 언더스티어 성향을 가져, 현실처럼 풀스로틀 코너에서 엑셀을 살짝 떼어서 라인을 작게 그리거나 슬립을 유도할수는 없다. 물론 그 만큼 실차에 비해 몰기 쉬워진 대신, 기본 세팅으로는 고속 코너에서 상당히 손실이 크고, 비슷한 성향을 가진 경량 로드스터 차량들에 비해 극단적인 오버스티어 세팅을 해야만 비로소 몰만하다.
  • NSX 계열
    • NSX Type S Zero (NA2) '97[정식출시수록]
      수도고 배틀 정규 시리즈 최초의 혼다 정식 수록의 첫 타자로 등장한 NSX 1세대의 후기형 모델. 2025년 8월 28일 공개된 닛산 GT-R의 트레일러의 쿠키 영상에 특유의 리트랙터블 라이트로 등장을 예고했고 바로 다음 날 트레일러가 올라오며 수록이 확정되었다. 이후 PAX WEST 2025에 등장한 시연 빌드에서 게임플레이 장면까지 공개되었다.
      타 레이싱 게임에서 흔히 수록되곤 하는 Type R 모델이나 이니셜D에서 호죠 고가 타고 나온 것으로 인지도가 높아진 초기형 무등급 모델과 다르게 인지도도, 등장빈도도 떨어지는 Type S Zero 모델이 수록된 점이 특징이다.
    • NSX-R (NA2) '02[정식출시수록]
    • NSX (NC1) '17[정식출시수록]
    • NSX Type S (NC1) '22[정식출시수록]
      상술한 트레일러 유출 사고를 통해 참전이 확정된 NSX의 2세대 모델. NSX의 후기형이자 고성능 모델인 Type S이며 수도고 배틀 시리즈 역사상 최초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탑재 차량이다. 1.0.0 버전 기준 브레이크와 휠을 제외한 나머지 에어로 파츠를 교체할 수 없다. 혼다가 라이선스를 허가해준게 너무 신났는지 3장부터 지겨울 정도로 라이벌들이 다수 등장한다. 상당히 강력한 차고 보스들도 다수 타고 나오는 차량이지만, 본작의 GT-R (R35) 와 LFA를 상대하기에는 약간 파워가 부족하다는 인상이다.

3.1.3. 렉서스

렉서스의 모든 차량은 커스텀 도색을 비롯한 드레스업 튜닝이 불가능한 점을 참고할 것. 렉서스 전 차종이 라이벌로는 등장하지 않고, 라이벌은 CYBER LFA 컴플릿카 원더러로만 만날 수 있다.
  • LC LC500 S 패키지 (URZ100) '16[정식출시수록]
    렉서스 5리터 V8 엔진 형제.
  • RC F 퍼포먼스 패키지 (USC10) '23[정식출시수록]
    렉서스 5리터 V8 엔진 형제. 둘중에서는 이쪽이 성능이 높다. 출력도 높고 무게도 가볍기 때문. 그래도 깡배기량에서 나오는 출력이 있기 때문에 NSX 신제 이전까지는 그럭저럭 이길 수 있다. 가격이 굉장히 높으므로 이걸 탔다간 신제를 상대할 때 LFA나 R35로 갈아타기가 끝내주기 어려워지는게 함정.
  • LFA (LFA10) '10[정식출시수록]
    2010년 렉서스가 500대 한정으로 판매한 V10 자연흡기 슈퍼카. 렉서스가 야마하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F1 기술의 집합으로 구성된,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개발한 차인 만큼 순정 기준 최고 출력 560마력에 최대 토크 48.9kg·m이라는 막강한 성능을 자랑하기에, 풀 튜닝 시 1,110마력이라는 경이로운 성능을 보인다. 최고속도 낮은 차체 때문인지 GT-R (R35) 보다 약간 높게 나온다. 사실상 본 작품의 종결급 스펙 차량중 하나. GT-R을 타다가 지겹거나, FR로 승부를 보고 싶다면 이쪽을 타자.

3.1.4. 마쓰다

  • MX-5 계열
    • 로드스터 RS (ND5RC) '15
      로드스터 라인업의 첫 번째 차. 현실에서는 최신형 모델이지만 특이하게도 이번 작에서는 로드스터 계열 차량 중에서는 이게 가장 먼저 풀리고 구형 모델들이 나중에 풀린다. 게임 시작 시 주는 돈 300만 CP를 전부 써버릴 정도의 비싼 가격을 자랑하지만 스타팅 3인방 중에서 종합적인 성능은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직진 성능과 코너링 성능 모두 괜찮을 정도로 밸런스가 잡혀 있고 깡성능도 높은 편이라, 실력만 받쳐 준다면 튜닝을 전혀 하지 않은 순정 상태로 프롤로그를 깰 수도 있으며, 튜닝과 실력이 적절하게 받쳐 준다면 중반 쯤 가면 새 차를 사야 하는 다른 두 대와는 다르게 아예 새 차를 사지 않고도 보스 5인방을 격파하고 2장으로 넘어갈 수 있다.
    • 유노스 로드스터 S-스페셜 타입 II (NA6C) '95
    • 로드스터 RS (NB8C) '03[해금1]
  • 세단/해치백 계열
    • 3 패스트백 20s 레트로 스포츠 에디션 (BPFJ3R) '23
      악셀라의 최신 세대 모델. 2023년 출시된 4세대 모델로 얼리 엑세스 출시 당시엔 게임 내 수록 차량 중 출시 년도가 가장 빠른 차량이었으나, 정식 출시 후 2024년에 출시된 RZ34가 추가되면서 자연스럽게 두 번째로 밀려났다. 본격적인 핫해치 모델인 만큼 전륜구동인 원본과 다르게 4륜구동을 장착해서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0.14.0 패치 이후로 악셀라와 순서를 바꾸면서 프롤로그만 격파하면 바로 해금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RX-8 뽑는다고 아무도 안 샀던 이전과는 다르게 1장 시작 시점에서는 유일하다 싶은 4륜 구동+터보 엔진 장착 차량이라 경쟁력이 크게 상승했다.
    • 악셀라 스포트 23S (BK3P) '03[K][해금1]
    • 아텐자 스포트 23S (GG3P) '02[K][해금1]
  • 로터리 엔진 계열
    • RX-8 타입 S (SE3P) '03 ◎[쇼난어페어][해금1]
      페이스리프트 이전의 전기형 모델. 2장에서 해금되는 차량들 중에서는 가장 성능이 좋은 차 중 하나로, 로터리 엔진의 특성상 동급 차량들에 비해 가속이 상당히 빠르고 코너링 성능도 괜찮은 지라 다방면에서 활약할 수 있는 밸런스형 차량이다. 얼리 액세스 최종 보스인 12시가 지난 신데렐라를 격파하기 위해선 필수로 취급하던 차량이였으나, 현재는 밸런스 조절, 퍼크 트리가 재조정되면서 S14, 레보그, A70 수프라와 같은 타 제조사의 차량이나 바로 뒤에 해금되는 FC 역시 선택지로 고려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여전히 강력한 차량은 맞기 때문에 해당 차량에 애정이 있다면 구매해도 무방하다.
    • RX-7 ∞ III (FC3S) '90 ◎[쇼난어페어][해금1]
      고갯길을 달리던 어느 잘 생긴 의대생의 차로 유명한 차. 순정 마력이 215마력으로 바로 전 단계인 RX-8보다 낮지만 무게가 가벼워지고 코너링이 민첩해져서 마쓰다 로터리 머신 특유의 코너링 손맛을 느낄 수 있는 첫 번째 차량이다. 물론 나중에 나오는 FD3S가 이 차량의 상위호환 수준이라는 문제점도 있지만 후반부 차량인 만큼 성능은 어느 정도 보장해주니 로터리 엔진 차량을 좋아한다면 구입해도 딱히 손해볼 건 없는 차.
      0.14.0 패치 이후로 1장 클리어 직후 해금 가능하도록 바뀌면서 RX-8의 대체제 자리에 등극했다.
    • RX-7 타입 RZ (FD3S) '00 ◎[쇼난어페어][해금2]
      두부가게 아들내미의 영원한 라이벌이 타고 다니던 차.[38] 같은 JDM 고산케였던 A80 수프라, R34 GT-R과 비교해보면 코너링 특화 머신으로, 특히 로터리 엔진의 상당한 가속력+가벼운 공차중량의 조합으로 어떤 코스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특히 중저속 코너가 많은 C1에서는 그야말로 사신과도 같은 성능을 발휘한다. 그렇다고 직빨이 약한 건 아니라서 엔진 튜닝만 작정하고 해주면 두 차량 못지 않게 직선에서도 승부를 노려볼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얼리 엑세스 시점 종결급 3대장 차량 중 가격이 가장 저렴하다는 점 역시 큰 메리트이다.

3.1.5. 미쓰비시

  • 랜서 에볼루션 계열
    • 랜서 에볼루션 V GSR (CP9A) '98[해금2]
      토미 마키넨과 함께 랠리에서 활약했던 미쓰비시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차이자 미쓰비시 트리의 첫 번째 자동차. 미쓰비시 트리 자체가 2장 넘어가야 해금되는 만큼 미쓰비시 트리의 첫 차임에도 상당한 고성능을 자랑한다. 서스펜션을 딱히 만져줄 필요 없이 타이어만 업그레이드해 줘도 급격한 코너가 많은 C1을 무리 없이 주파할 수 있을 정도.
    • 랜서 에볼루션 파이널 에디션 (CZ4A) '15[해금2]
      랜서 에볼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모델이자 유일하게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을 탑재하지 않은 모델.[41] 랜서 세디아 기반의 CT9A 라인업들이 현재 통째로 불참한 상황이라 5세대 이후 바로 10세대로 넘어온다. 성능 자체는 란에보V보다는 월등히 발전했고 란에보 특유의 코너링 안정성도 높아서 어디에서나 잘 써먹을 수 있는 차. 상술했듯이 란에보 VII ~ IX 같은 CT9A 라인업들이 1.0.0 시점에서는 아직 추가되지 않아서 그런지 WRX와 마찬가지로 전작에서 CT9A 모델들을 타던 라이벌들을 보면 대부분 이 차로 기변한 것을 볼 수 있다.
  • GTO 트윈 터보 (Z16A) '95[해금2]
  • 이클립스 GT (DK4A) '06[해금2][44]
    미쓰비시 이클립스 시리즈의 마지막 모델. 전륜구동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륜구동 차량들에 비해 코너링 패널티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전륜구동 차량들 중에서는 코너링 성능이 좋은 편이다. 엔진도 V6 3800cc에 278마력이라 터보가 없다는 것만 제외하면 출력도 높은 편. 얼리 엑세스 시기에는 2006년 출시된 수도고 배틀 X에 등장한 이클립스의 모델링을 재활용했기 때문에 모델링이 전반적으로 넙데데하여 수정 요청이 많은 편이었기에 정식 출시 이후 모델링 교체가 이루어졌다. 변경된 이클립스 모델링

3.1.6. 닛산

  • 실비아 계열
    • 180SX 타입 X w/SUPER HICAS (KRPS13) '96 ◎[시모키타자와2000cc]
      닛산의 후륜 조향 시스템인 SUPER HICAS가 탑재된 180SX의 최후기형 모델. 성능 자체는 바로 직후에 해금되는 S13 실비아와 비슷하고 리트랙터블 라이트 탑재로 인해서 중량이 약간 더 무거운 편에 속한다.
      게임 시작 후 처음으로 차를 바꿔야 할 때 1순위 추천 차량으로 꼽힌다. 0.14.0 패치 이후로 닛산 트리의 첫 차로 옮겨지면서 10 BP만 투자하면 해금이 가능해졌고 순정 204마력 터보 엔진이라는 준수한 성능, 실비아 계열 특유의 코너링 성능도 괜찮은 차량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2장에 돌입하면 이 차를 타야만 상대할 수 있는 원더러가 나오는데, 그 때가서 새 차를 구매해서 원더러를 상대할 수 있을 만큼 튜닝할려면 돈을 꽤 빡세게 모아야 하기 때문에 차라리 1장 쯤에 미리 이 차로 바꿔두는 것이 낫다. 닛산 240SX의 영향 때문인지 서양권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은 차이기도 하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실에이티 구현 옵션이 없다는 것 정도.
    • 실비아 K's (PS13) '91
      이니셜D의 등장인물 이케타니 코이치로가 타고 다니던 그 차 맞다.[46] 연식이 오래된 탓인지 드리프트로 유명한 실비아 라인업 답지 않게 순정 상태에서 코너링이 살짝 둔하니 서스펜션 세팅을 좀 만져주는 건 필수. 80년대 후반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직선 위주의 단순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0.14.0 패치 이후로 180SX가 닛산 트리의 첫 차로 변경되면서 두 번째로 밀려났다. 상술한 것처럼 180SX와 성능이 비슷한지라 이니셜D 팬덤이 아니라면 구매의 필요성이 낮아졌다.
    • 실비아 K's Aero SE (S14) '97[해금1]
      S14 실비아의 후기형 모델. 현실에서도 5넘버에서 3넘버로 올라간 최초의 실비아 모델인 만큼 체급이 커져서 코너링은 좀 둔해졌지만 반대로 직진 안정성은 좀 올라갔다. 부족한 직진 성능을 코너링으로 때우는 실비아 라인업에서도 약간 이단아에 가까운 모델. 얼리 엑세스 시점에서는 신데렐라 격파 이전에 닛산 트리에서 해금 가능한 가장 고성능의 차량인데, 출시 당시에는 후술할 RX-8 아니면 신데렐라는 커녕 우울한 천사조차 격파할 수 없어서 사실상 버려졌지만 난이도 너프 후에는 나름 경쟁력이 갖추어졌다.
    • 실비아 Spec-R Aero (S15) '99[해금2]
      실비아 최후의 모델인 S15의 최고 트림 모델. 현실에서나 게임에서나 드리프트 머신의 최강자로 칭송받는 물건인 만큼 게임 내에서도 유독 코너링이 좋은 실비아 라인업에서도 가장 좋은 코너링 성능을 보여준다. 서스펜션하고 휠 얼라인먼트 좀 조절해주면 그립주행을 반강제하는 이 게임에서 비교적 자연스러운 드리프트 주행을 구사할 수 있을 정도. 물론 그립 주행으로 맞춰도 웬만한 코너는 브레이크 없이 액셀 워크만으로도 돌파 가능할 정도로 우수한 코너링 성능을 자랑한다.
  • 페어레이디 Z 계열
    • 페어레이디 240Z (HS30S) '71
    • 페어레이디 Z 버전 R 트윈 터보 2by2 (GCZ32) '98[해금2]
      페어레이디 Z 시리즈의 4번째 자동차. 현실에서도 마력규제의 원흉으로 지목받은 놈인 만큼 후배들이 둘이나 있음에도 꿇리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특히 이 게임에서 등장한 페어레이디 Z 모델 중 유이하게 터보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라[50] 후속 모델들에 비해서 배기량이 부족함에도 대등하게 붙어볼 수 있다. 다만 2인승이 아니라 2+2인승 모델이라 무게가 살짝 무거운 편이기 때문에 경량화 튜닝은 필수이다.
    • 페어레이디 Z 버전 ST (Z33) '05 ◎[비극의마터호른][해금2]
      분노의 질주 시리즈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의 올드 팬이라면 익숙할 차. 이전 세대인 Z32에 비하면 터보 대신 자연흡기로 바뀌었지만 3500cc 대배기량 엔진으로 교체되면서 종합 성능은 절대 꿇리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고배기량이 유리한 수도고 시리즈 특성상 후반에서도 상당히 쓸만한 차.
    • 페어레이디 Z 버전 ST (Z34) '14[해금2]
    • 페어레이디 Z (RZ34) '24[정식출시수록]
  • 스카이라인 GT-R 계열
    전작에서는 엔딩까지 보는데 문제 없는 차량들이었으나, 본작에서는 R35가 나오는 만큼 3장 이후에는 상당히 버거운 인상이다. 4장 라이벌쯤 되면 도저히 상대가 힘들다.
    • 스카이라인 HT 2000GT-R (KPGC10) '70[정식출시수록]
      수도고 배틀 XTREME에서 최초로 출전했던 초대 스카이라인 GT-R이다.
    • 스카이라인 GT-R V-Spec II (BNR32) '94[해금2]
      나카자토 타케시의 애마이자 재패니즈 고질라라는 별명을 붙여준 차. 불패 신화의 R[57]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80년대 말에 나온 차임에도 순정 스펙부터가 상당한 수준이다. 엔진하고 변속기만 좀만 튜닝해 줘도 웬만한 라이벌들은 하품나올 정도로 쉽게 잡을 수 있을 정도. 굳이 단점을 꼽자면 이니셜D에서도 지적된 코너링 시의 언더스티어 문제지만 어차피 이 게임의 배경은 수도고라 C1 같은 코스가 아니라면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서스펜션이나 타이어를 좀 개조해 주는 걸 추천.
    • 스카이라인 GT-R V-Spec (BCNR33) '97[해금2]
      R32의 후속 모델로 완간 미드나이트에서는 아주 단골로 등장하는 차.[59] 이니셜D에서의 혹평 때문에 성능이 안 좋다고 기피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건 고갯길 한정이고, 완간 미드나이트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높은 직진 안정성으로 수도고에서는 절대강자로 군림했던 차인 만큼 이 작품에서도 코너링 성능만 빼면 상당히 좋은 차량의 포지션을 담당한다. 물론 코너링은 실차의 성능대로 R32 급으로 둔한 모습을 보이게 되어 아쉬운 점이 남아 있다. 작정하고 직빨 위주로 튜닝해서 완간선 전용 머신으로 굴리는 것도 좋은 방법.
    • 스카이라인 GT-R V-Spec II (BNR34) '00[해금2]
      수도고 팬들에게는 신제가 애용하던 바로 그 차로, 다른 작품 팬들에게는 신의 발이라 불리던 아저씨어딘가의 잘 생긴 경찰 청년이 타고 나온 차로 유명한 차. 닛산 트리의 종결 차량인 만큼 성능은 보증된 것이나 다름 없다. 특히 GT-R 시리즈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핸들링 문제가 다소 나아졌기 때문에 C1과 완간선을 가리지 않는, 소위 올라운더로 잘 써먹을 수 있게 되었다. 직빨에 특화된 수프라, 코너링의 괴수인 RX-7하고 다르게 이쪽은 그야말로 모든 코너에서도 기본 이상을 해주는 밸런스형 차량 포지션.
  • GT-R 계열

    • 정식 출시 후 수록이 확인된 닛산 GT-R의 최후의 모델. 공교롭게도 트레일러 공개 하루 전에 GT-R이 공식적으로 단종되었다는 소식이 발표되어 트레일러 영상의 일부 댓글에서 GT-R의 단종을 추모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 GT-R 프리미엄 에디션 (R35) '14
    • GT-R 프리미엄 에디션 (R35) '17
      본작에서 LFA와 함께 종결급 스펙을 자랑하는 차중 하나. 아래의 T-Spec이 튜닝 금지인 상태라서, 사실상 종결급 4WD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 GT-R 프리미엄 에디션 T-Spec (R35) '24[정식출시수록]

    스카이라인 계열 GT-R과 다르게 본격적인 슈퍼카이자 GT-R 중에서도 최후기형 모델인 만큼 순정 마력 570마력, 최고 토크 65.0kg·m로 게임 내 순수 내연기관 차량으로는 최강의 성능을 자랑할...줄 알았으나 라이센스 계약상 문제[62] 때문인지 세팅 불가능이라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풀 튜닝+스페셜 튜닝을 받아도 400km를 넘나들며 질주해대는 다른 최종 티어 차량들과 달리 혼자서만 300km 대에서 레브 리미터가 걸리는 지라 졸지에 GT-R R35 3형제 중 최약체의 위치를 차지해 버렸다. 덕분에 사실상 바로 직전에 나오는 이전 모델인 17년형 GT-R이 사실상 현재 닛산 트리의 종결 차량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

3.1.7. 스바루

  • BRZ 계열
    • BRZ GT (ZC6) '16
      토요타 트리의 ZN6의 형제차. 페이스리프트 이전 모델인 ZN6와 반대로 이 쪽은 페이스리프트 이후 모델이라 나름 차별성을 갖추었다. 구분하는 방법은 라이트의 형태. 성능 개선이 이루어진 모델인 만큼 ZN6에 비해서 출력이 살짝 높으며 그만큼 가격도 더 비싸졌다. 코너링 성능도 드리프트보단 그립 주행에 맞춘 실차에 맞게 차이가 나는 편. 다만 도중에 레빈을 해금해야 얻을 수 있는 ZN6와 다르게 이 쪽은 스바루 트리의 첫 차인 만큼 3 BP만 투자하면 바로 살 수 있기 때문에 튜닝 부품 해금하기도 바쁜 초반에는 이 쪽이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선택은 본인의 몫.
    • BRZ S (ZD8) '21[해금1]
      BRZ의 2세대 모델. 성능이나 외형 차이라도 있었던 ZC6 시절에 비해서 이쪽은 정말 핸들링의 미미한 차이 말곤 똑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에어로 파츠는 GR86과 별개로 독자적인 파츠를 사용한다.
  • 레보그 계열
    • 레보그 STI 스포트 R EX (VNH) '21[해금1]
      레보그의 최신형 모델. 근데 성능만 보자면 배기량은 2400cc로 늘어났는데 정작 엔진 마력은 275마력으로, 토크도 41kgm으로 떨어진 데다가 무게는 100kg 가까이 늘어나는 등 성능이 구형 모델보다 더 너프됐다. 그나마 배기량은 늘어난 만큼 출력 뻥튀기는 다소 유리해졌지만 튜닝 자금이 부족하다면 부족한 출력+육중한 무게가 합쳐진 순정 상태의 고된 시기를 이겨내야 할 것이다. 장점이라면 다단 변속기가 유리한 해당 작품에 특화된 8단 변속기[65] 장착 차량이라는 점.
      0.14.0 패치 이후로 1세대 레보그와 자리를 바꾸고 1장 클리어 직후 해금되도록 해금 시기가 앞당겨졌다.
    •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해금2]
      원래는 12시가 지난 신데렐라를 격파해야 해금되었으나 패치로 해금 시기가 앞당겨졌다. 뜬금 없이 날고 기는 스포츠카들 다 제치고 왜건이 왜 나오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현실에서도 튜닝카로 상당히 유명했던 차라 딱히 이상할 건 없다. 스테이션 왜건이라는 차량 특성상 상당히 무겁다는 게 문제지만 엔딩 이전에 해금되는 차들 중에선 둘 뿐인 4WD+300마력 터보 엔진의 조합으로 상당히 강한 직빨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완간선에서 자주 배틀을 하게 될 거라면 고려해 볼 만한 선택지.
  • 임프레자, WRX 계열
    • 임프레자 WRX TypeR STi Version VI (GC8) '99[해금2]
      아키나의 두부가게 사장님께서 새로 마련하신 자가용으로 나온 그 차 맞다.[68] 현실에서는 랠리에서 상당히 활약한 차인 만큼 코너링에 유리하고 직선에서는 약할 것 같지만 이 작품에서는 오히려 가벼운 무게+높은 엔진 출력으로 직빨의 최강자 중 하나로 등극했다. 오히려 다음에 해금되는 후기형 모델이나 바로 직전에 해금되는 최신형 모델보다 더 성능이 좋을 정도로, 작정하고 직빨 위주 튜닝을 할 경우엔 차들 중에서는 가장 빠르게 최고 속도 300km/h의 벽을 넘어볼 수도 있다.
      0.14.0 패치 이후로는 출시 시기에 걸맞게 임프레자 라인업 중 가장 먼저 해금되도록 바뀌었다. 물론 성능은 딱히 너프된 건 없어서 여전히 흉악한 성능을 자랑한다.
    • 임프레자 WRX STi (GDB-A) '00[69][해금2]
    • WRX STi Type S (VAB) '15[해금2]
      임프레자 WRX STi가 WRX 라인업으로 분리된 후 출시된 최초의 모델. 임프레자 특유의 4륜구동 덕택에 상당히 쫀쫀하게 타이어가 노면에 달라붙지만 전 세대들에 비해서 체급이 비교적 커진지라 핸들링은 살짝 둔한 편. 성능하고는 상관 없는 얘기지만 전작까지만 해도 GDB를 타던 NPC들이 이번 작에서는 이 차로 갈아탄 경우가 많다.
    • 임프레자 WRX STi 2003 V-Limited (GDB-C) '03[72][해금2]
    • 임프레자 WRX STi spec C (GDB-F) '05[74][해금2]
    • WRX S4 STi Sport R EX (VBH) '21[정식출시수록][77]

3.1.8. 스즈키

  • 소형차 계열
    • 스위프트 스포트 (ZC33S) '22
      스타팅 3인방 중 하나. 나름 스포츠카스러운 모습의 나머지 둘과 다르게 동글동글한 외형+경차 같아 보이는 모습 때문에 볼품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본격적인 핫해치인 만큼 140마력+터보 엔진 조합으로 스타팅 3인방 중에서는 가장 엔진 출력이 높다.[78] 덕분에 초반 차량 중에서도 직빨이 좋은 편에 속하지만, 전륜구동 차량 특성상 수도고 스타일의 고속 코너에서는 엄청나게 둔해진다는 게 문제. 소프트 타이어를 낀다면 어느 정도 커버는 가능하지만 한계는 있으니 오래 굴리고 싶다면 타이어+서스펜션 튜닝과 세팅은 필수로 해 줘야 한다. 어찌 되었건 높은 엔진 출력 덕분에 얼액 기준으로 어떻게든 보스 차량들을 직빨로 따라잡을 수 있어서인지, 스타팅 차량 중 유일하게 차량 1대만으로 얼액 스토리 클리어 인증 영상이 나와 있는 차량이기도 하다.
  • 경차 계열
    • 왜건 R RR-DI (MH21S) '03
    • 알토 웍스 (HA36S) '15 ◎[나폴리의바람]
    • 카푸치노 (EA21R) '95
      헤이세이ABC의 C를 담당하고 있는 스즈키의 경스포츠카. 전통적으로 고갯길을 배경으로 하던 카이도 배틀에서는 경량급의 최강자 포지션이었지만 수도고에서는 뭔가 좀 많이 부족한 차였는데 이번 작에서도 그 특성은 동일하다. 그래도 경차 라인업들 중에선 터보 엔진에 FR인 만큼 C1 한정으로 굴려먹겠다면 그럭저럭 쓸만한 차.
      다만 얼리 엑세스 시점에서는 현재 가능한 모든 튜닝을 해도 최고 속도가 시속 250km/h를 넘지 못했던 지라 그 외의 모든 코스, 특히 후반부 가면 300km/h까지 찍으면서 달려야 하는 완간선에서는 사실상 사용이 봉인되었다. 정식 출시 이후엔 보다 상위 단계의 튜닝 파츠가 해금되어 300km/h 돌파도 가능해졌지만 그건 다른 차들도 마찬가지라서(...). 더군다나 라이벌들 역시 후반부에 가면 완간선에서 400km/h까지 찍어가며 달리는 놈들이라 여전히 C1 전용 머신인 건 달라지지가 않았다. 그나마 다행인 건 엔진 스왑이 추가된 덕분에 엔진 스왑을 실시하면 가벼운 무게 + 무지막지한 출력이 합쳐진 그야말로 공포의 직빨 머신으로 탈바꿈한다.

3.1.9. 토요타

  • 트레노-레빈 계열
    • 스프린터-트레노 GT-Apex (AE86) '87 ★
      군마의 어느 두부가게를 운영하던 전설의 레이서아들내미가 타고 다니던 차. 다만 후기형 모델이다보니 순정 휠과 후면부, 특히 리어라이트가 많이 다르다.[80] 고갯길에서는 나름 쓸만하지만 고출력 고배기량이 모든 것을 지배하는 수도고에서는 그냥 최하급 티어 신세인 만큼 이번 작에서도 기본 차량으로 등장.
      스타팅으로 주는 차 세 대 중에서는 순정 성능이 가장 낮지만 가장 가격이 싸서 차를 사고 남은 잔금만으로도 1단계 튜닝이 전부 가능하며, 이럴 경우 프롤로그는 무난하게 깰 수 있다. 물론 1장 중반 넘어가는 순간 튜닝을 해도 상대가 안 되기 시작하니 이 시기에는 슬슬 다른 차로 갈아탈 준비를 해야한다.
      정식출시에서는 엔진 스왑이 구현됨에 따라 렉서스 LFA의 v10 5.0 자흡 엔진으로 스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코롤라-레빈 GT-Apex (AE86) '87
      트레노의 자매 모델. 스피드 메트릭이 살짝 높다는 것만 빼면 그냥 트레노와 모든 면에서 똑같다. 굳이 차이가 있다면 디자인과 외장 튜닝 파츠가 살짝 다르다는 것이나 가격이 트레노보다 살짝 싸다는 것 정도. 그냥 트레노가 싫거나 아키야마 와타루의 레빈을 재현하고 싶다는 게 아니라면 패스하는 것을 권장한다.
      0.14.0 패치로 아예 별개 트리로 분리되어 본인이 레빈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더더욱 찍을 이유가 없어졌다.
  • 86 계열
    • 86 GT (ZN6) '12
      1세대 페이스리프트 이전 모델. 스바루와 공동 개발한 차인 만큼 스바루 트리의 ZC6와 완전히 똑같은 차라고 봐도 되지만, 실제 차량도 미묘하게 차이가 있는 특성상 이 작품에서도 서로 간의 차이가 미세하게 존재한다. 86의 경우 기본적으로 실차처럼 핸들링이 약간 오버스티어 성향이 있으며, 출력이 살짝 낮고, 가격이 더 싼 편. 또한 외장 튜닝 부품도 ZC6와는 완전히 다른 것들을 사용한다. 1장 시작 시기에 적당한 성능과 합리적인 가격을 가지고 있어 차에 애정이 있다면 뽑아서 굴리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 GR86 RZ (ZN8) '21[해금1]
      ZN6의 2세대 모델. 전체적으로 ZN6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보면 되며, 스바루 트리의 ZD8과 약간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동일한 차라는 것 역시 똑같이 공유한다. 2000cc에서 2400cc로 배기량이 늘어난 만큼 직빨에서도 상당히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0.14.0 패치 이후로 해금 시기가 1장 클리어 이후로 앞당겨졌다.
  • 소형차 계열
    • bB Z X (NCP31) '03 ◎[불사신의어릿광대]
      토요타에서 생산한 왜건 타입의 소형차. 레이싱하고는 전혀 상관 없어보이는 모습의 차량이라 뭔가 있어보일 법 하지만 성능은 딱 보는 만큼이다. 상술한 원더러 격파가 완료된 상태라면 사실상 쓸 일이 없다.
      0.14.0 패치로 분할 트리의 첫 차로 옮겨지면서 A80 수프라 해금을 위해 찍을 필요가 없어졌지만 체이서나 마크 X 같은 세단을 해금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찍어야 한다.
    • GR 야리스 RZ (GXPA16) '20[정식출시수록]
      토요타의 WRC 복귀 기념으로 출시한 야리스의 고성능 모델. 전륜구동 차량에 4륜구동을 박아넣은 것도 그렇고 WRC 출전 차량이라는 것도 그렇고 토요타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셀리카 GT-Four의 정신적 후속작 취급 받는 차이기도 하다. 소형차 베이스 답게 휠베이스가 짧으면서도 4륜구동의 높은 그립력과 순정 차량 기준으로 304마력을 찍는 성능으로 사실상 공도에 풀어놓은 랠리카에 가까운 상당히 무식한 컨셉의 차량인지라 출시 전부터 C1의 최강자로 일찌감찌 주목받고 있다.
  • SUV, MPV 계열
  • 세단 계열
    • 체이서 투어러 V (JZX100) '98[해금2]
      JZX100 3의 첫째. 현실에서도 미드 사이즈 세단인 주제에 공도 레이싱은 물론이고 모터스포츠에서도 상당히 유명했던 차인 만큼[85] 당연히 등장한다. 스타팅 차량인 주제에 엔딩까지 써먹을 수 있었던 수도고 배틀 01 시절 만큼은 아니지만 수도고에서 유리한 고배기량 터보 엔진을 탑재한 특성상 무게 문제만 해결해주면 상당히 잘 써먹을 수 있는 차. 옆 동네 게임을 하면서 탄 체이서에 실망했다가 이 작품에서 타보면 생각 외로 강력한 전투력에 놀랄 수도 있다.
    • 마크 X 350RDS (GRX133) '16[사일런트바바리안][해금2]
      체이서-알테자에 이은 토요타 스포츠 세단 라인업의 계보를 잇는 차. 체이서와 다르게 21세기 최신형 차량인데다가 3500cc V6 고배기량 엔진을 장착한 만큼 기본적으로 차량 성능은 보장되어 있는 수준이다. 다만 무게도 좀 늘어난 편이고 핸들링이 체이서에 비해선 좀 둔해진 편이라 타이어와 서스펜션 개조는 필수로 해줘야 하는데, 해당 두 가지만 해결해 주면 체이서의 상위호환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크라운 애슬리트 G 패키지 (GRS184) '05[해금2]
      토요타의 플래그쉽 세단인 크라운의 12세대 모델. 덩치 큰 준대형 세단이라 레이싱에 안 어울릴 것 같지만 현실의 크라운 애슬리트도 츠쿠바 서킷에서 혼다 S2000과 맞짱을 뜰 정도의 성능[89]을 보여준 만큼 게임 내에서도 토요타 트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이름값을 하듯이 상당한 고성능 차량으로 등장한다. 풀 튜닝하고 기어비 좀 만져주면 준대형 세단이 최대 시속 320km/h를 찍는 걸 볼 수 있다. 물론 마크 X보다 체급이 큰 놈인 만큼 코너링은 더욱 둔하기 때문에 타이어와 서스펜션 개조는 마찬가지로 필수. 게임 내에서 트래픽 카로 나오는 힘숨찐 택시가 이 모델이다.
    • 셀시오 F 패키지 인테리어 셀렉션 (UCF31) '04[정식출시수록]
  • 수프라 계열
    • 수프라 2.5GT 트윈 터보 R (JZA70) '93[해금1]
      수프라의 3세대 모델이자 본격적으로 수프라 이름을 달고 나온 첫 번째 모델.[92] 수도고 배틀 X에서는 위의 체이서와 마찬가지로 스타팅 차량인 주제에 성능이 상당히 준수해서 엔딩까지 써먹을 수 있었지만 본작에서는 체이서와 함께 나란히 너프되어 그 만큼의 전투력을 발휘하지는 못한다.
      0.14.0 패치 이후로 GR86과 함께 해금 시기가 1장 클리어 이후로 바뀌었다. 1장 클리어 직후 해금할 수 있는 토요타 차량들 중에선 가장 성능이 높기 때문에, 그 동안 보스 상대용 고성능 차량들이 부족했던 토요타 트리의 히든 카드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수프라 RZ (JZA80) '97[해금2]
      이제는 영원한 전설이 된 배우의 차로 유명해진, 일제 스포츠카의 3대장으로 유명한 바로 그 차. 3000cc라는 스포츠카 중에서도 독보적인 배기량과 터보의 조합으로 최강의 직빨을 보여주는 차 중 하나이다. 거기다 후륜구동이라서 세팅만 잘 해주면 웬만한 코너도 잘 소화할 수 있는 등 팔방미인 그 자체. 토요타 트리를 타는 유저라면 거의 99%는 이 차를 목적으로 뚫을 것이다.
    • GR 수프라 RZ (DB06) '22[정식출시수록]
      수프라의 최신형 모델. 그 유명한 BMW 엔진 들어간 수프라 맞다. 덕분에 농담조로 본작 최초의 외제차라는 드립까지 나오긴 했지만, 마력규제 폐지 이후 출시된 수프라인 만큼 기껏해야 280마력이었던 이전 세대와는 격이 다른 387마력부터 시작하여 당당히 토요타 트리의 종결 차량으로 등극했다. 정식 출시 때 엔진 스왑 튜닝이 구현된 덕분에 HKS에서 만든 2JZ 엔진 탑재 수프라를 부분적으로나마 구현할 수 있다는 건 덤.

3.2. 커스텀 카

특정 라이벌을 격파할 시에 얻을 수 있는 특수 차량들. DEALER 메뉴 맨 아래의 CUSTOM 항목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격파한 라이벌들이 타고 나온 차량을 구입하여 타고 다닐 수 있다.
  • ROLLING GUY NO. 1 (토요타 스프린터-트레노 GT-Apex (AE86) '87) - 팀 리더 '롤링 가이 1호' 격파 시 해금
  • ROLLING MASTER (토요타 코롤라-레빈 GT-Apex (AE86) '87) - 보스 '롤링 마스터' 격파 시 해금
  • ROULETTE GUY NO. 2 (토요타 86 GT (ZN6) '12) - 라이벌 '룰렛 가이 2호' 격파 시 해금
  • TRANCE DRIVE (다이하츠 코펜 Cero (LA400K) '15) - 보스 '트랜스 드라이브' 격파 시 해금[95]
  • PLAYFUL GENTLEMAN (마쓰다 악셀라 스포트 23S (BK3P) '03) - 보스 '플레이풀 젠틀맨' 격파 시 해금
  • ROULETTE GUY NO. 1 (토요타 86 GT (ZN6) '12) - 팀 리더 '룰렛 가이 1호' 격파 시 해금
  • DEVIL ROAD RUN! (스즈키 카푸치노 (EA21R) '95) - 원더러 '데빌 로드 런' 격파 시 해금
  • BLOODHOUND (토요타 86 GT (ZN6) '12) - 보스 '블러드하운드' 격파 시 해금[96]
  • KURENAI DOZ (스바루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 - 보스 '붉은 아이' 격파 시 해금
  • JACKNIFE (스바루 BRZ GT (ZC6) '16) - 보스 '배신의 잭나이프' 격파 시 해금
  • KONJIKI HANNYA (스바루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 - 보스 '금색 한냐' 격파 시 해금
  • WHITE FAIRY (미쓰비시 이클립스 GT (DK4A) '06) - 팀 리더 '매혹의 하얀 요정' 격파 시 해금
  • ROLLING GAL NO. 1 (토요타 코롤라-레빈 GT-Apex (AE86) '87) - 팀 리더 '롤링 걸 1호' 격파 시 해금[터보]
  • MIDNIGHT ROSE (닛산 페어레이디 Z 버전 ST (Z34) '08) - 보스 '미드나이트 로즈' 격파 시 해금
  • CHIRITSUMO (스바루 BRZ S (ZD8) '21) - 보스 '티끌 모아 전사' 격파 시 해금[터보]
  • KUROGANE OKINA (스바루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 - 보스 '철의 노인' 격파 시 해금
  • YAMI TENGU (스바루 WRX STi Type S (VAB) '15) - 보스 '어둠의 텐구' 격파 시 해금
  • POLARIS (닛산 스카이라인 GT-R V-Spec (BCNR33) '97) - 보스 '영원의 폴라리스' 2차전 격파 시 해금
  • GLOOMY ANGEL (마쓰다 RX-8 타입 S (SE3P) '03) - 보스 '우울한 천사' 2차전 격파 시 해금[터보]
  • SHUWA SHUWA (마쓰다 3 패스트백 20s 레트로 스포츠 에디션 (BPFJ3R) '23) - 보스 '슈와슈와 스트롱' 격파 시 해금
  • MIDNIGHT CINDERELLA (마쓰다 RX-8 타입 S (SE3P) '03) - 보스 '12시가 지난 신데렐라' 격파 시 해금[터보]

4. 미공개(데이터 마이닝) 차량

발매 후 게이머들이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공개된 미수록 차량. UI나 핸들링, BAD 네임 등 일부 데이터만 남아있지만 몇몇 차량은 썸네일부터 부분적으로 완성된 모델링까지 수록되어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기에 추후 업데이트로 추가될 가능성이 높았고 정식 출시판에 추가될 신규 차량 역시 해당 항목에서 공개되었다.

4.1. 일반

4.1.1. 혼다

4.1.2. 마쓰다

4.1.3. 미쓰비시

4.1.4. 닛산

4.1.5. 토요타

4.2. 커스텀 카

  • SWIFT EMPEROR (닛산 스카이라인 GT-R V-Spec II (BNR34) '00)[신제]
  • MIDNIGHT ROSE (닛산 페어레이디 Z (RZ34) '24)[미드나이트로즈]
  • UNKNOWN (닛산 페어레이디 Z (HS30S) '71)[UNKNOWN]

5. 트래픽 카

여타 레이싱 게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시민차. 대부분은 플레이어도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일반차들이지만, 몇몇 차량들은 트래픽 카 전용으로만 나와있는 경우도 있다. 트래픽 카 전용 차량은 ★ 표기. 희한하게도 레이싱과는 일절 관련이 없고 플레이어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운전해 볼 일이 없는 차들임에도 라이센스를 따온 걸 볼 수 있다.

수도고 배틀 X까지만 해도 말 그대로 공도 레이싱 분위기를 내기 위한 장식 or 배틀 도중의 난이도를 높이기 위한 장애물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지만, 본작에서는 트래픽 카를 상대로도 배틀을 걸 수 있게 되었다. 단순한 승용차들이나 스포츠카들은 물론이고 트럭이나 미니밴까지 문자 그대로 모든 차를 상대로 걸 수 있으니 심심하다면 한 번쯤 시도해보자. 모든 트래픽 카들은 배틀을 걸 경우 공통적으로 화면 우측 상단에 이름이 '이름 없는 자(名前のない者/The Nameless One)'로 통일되서 등장한다.
  • 닛산
    • 180SX 타입 X w/SUPER HICAS (KRPS13) '96
    • 실비아 K's Aero SE (S14) '97
  • 스바루
  • 다이하츠
    • 코펜 Cero (LA400K) '15
    • 무브 커스텀 RS Limited (L152S) '02

[1] 현실적인 관점에서는 실제 수도고 레이싱 씬을 고증한 것이다. 실제 8~90년대 공도 레이싱에서 스카이라인 GT-R이나 수프라, RX-7 같은 유명한 차들은 하시리야들 입장에선 상당히 가격이 비쌌기 때문에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괜찮고 튜닝빨이 잘 먹힌 실비아시빅, 셀리카 같은 엔트리급 스포츠카들도 수도고에서 자주 볼 수 있었다. 특히 아리스토세드릭 같은 고급 세단들은 고급차 특성상 감가상각이 높아서 싼 값에 중고를 구할 수 있었던 데다가 고급차일수록 대형 고배기량 엔진을 달던 당시 세단 시장의 특성상 튜닝을 좀만 해줘도 출력 뻥튀기가 쉬웠기 때문에 소위 VIP 스타일로 대표되는 튜닝을 해서 수도고를 질주하거나 엔진만 따로 떼서 다른 차에 스왑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2] 수도고 배틀 포터블에서 꿈을 보는 생령이 커스텀 카라는 꼼수를 이용해서 혼다 NSX를 타고 나온 사례가 있었지만 당연히 실제 혼다 엠블럼이나 차명은 사용할 수 없었고, 수도고 배틀 XTREME에서 혼다 차량이 정식으로 수록되긴 했지만 게임의 흥행이 실패했다.[3] 같은 제작사와 배경을 공유하는 바람에 아예 혼다 차량은 꿈도 못 꾸는 신세였던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시리즈도 5DX+ 버전에서 결국 제한적이지만 혼다의 라이센스를 따내는 데 성공했던 전적도 있고, 원작에서 나오는 차만 등장시킨다는 조건으로 간신히 라이센스를 받아온 바람에 10년 넘게 혼다 신차가 없었던 이니셜D/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도 최신 버전인 이니셜D THE ARCADE에서 오랜만에 최신형 시빅 Type-R 모델이 업데이트 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예전과 달리 혼다의 라이센스 정책이 상당히 너그러워졌다는 건 기정사실이 된 상황이다.[4] 토요타 아리스토, 토요타 셀시오가 각각 렉서스 GS, 렉서스 LS로 대체되었다.[5] 2025년 기준으로 이스즈는 이미 승용차 사업에서 철수한 지 오래이며, 아큐라인피니티는 일본 내 판매를 하지 않고 있다.[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10] 특히 본작의 배경이 되는 수도고속도로 뿐만 아니라 01에서도 나온 적 있는 나고야고속도로한신고속도로 등 순환선 구조가 있는 고속도로를 뺑뺑이를 돌면서 달리는 일명 '룰렛족'들이 굉장히 애용했던 차로 유명하다. 특히 오사카에선 칸조조쿠라는 이런 시빅 계열 룰렛족들이 여러 의미로 유명하다.[11] 현재 스타팅 차량 3인방 중에서는 MX-5 ND보다는 싸고, 스위스포보다는 비싸다.[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15] 2018년 혼다 시빅 타입 R의 FK8 모델이 정식으로 수입되면서 해당 타이틀은 깨졌다.[16] EK9은 270만, DC2는 258만.[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19] 헤드라이트 부분은 AP2의 헤드라이트인데, 실제로 AP2를 출시하기 전 AP1 모델에도 AP2의 외장 파츠를 달아 판매한 적이 있었다.[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해금1] [K] 외전작인 카이도 배틀 시리즈에 참전한 적은 있으나, 수도고 배틀 시리즈에선 최초.[해금1] [K] [해금1] [쇼난어페어] [해금1] [쇼난어페어] [해금1] [쇼난어페어] [해금2] [38] 다만 그 차는 앙피니 브랜드로 출시한 전기형이고, 본작에서 나오는 차는 마쓰다 브랜드로 나오는 후기형이다. 차이점은 앙피니 엠블럼의 유무와 리어 라이트 형태.[해금2] [해금2] [41] 10세대는 현대 세타 엔진을 기반으로 한 4B11T 엔진을 탑재했다.[해금2] [해금2] [44] 참전 자체는 X가 최초이나, 이 때는 개조가 불가능한 커스텀 카였다.[시모키타자와2000cc] [46] 다만 이케타니가 타고 다니던 차는 CA18DET 엔진을 장착한 전기형이고, 본작에서 등장하는 모델은 SR20DET 엔진을 장착한 후기형이다.[해금1] [해금2] [해금2] [50] 얼리 엑세스 시점까진 유일했으나 정식 출시 이후 RZ34의 수록이 확정되면서 유일까진 아니게 되었다.[비극의마터호른] [해금2] [해금2] [정식출시수록] [정식출시수록] [해금2] [57] 슈퍼 GT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그룹 A 레이싱에서 무려 29전 29승이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쌓은 건 유명하고, 슈퍼카즈 챔피언십의 전신인 호주 투어링카 시리즈, 스파 24시 등 걸출한 대회에서 우승컵을 쓸어담으며 일제 스포츠카의 전설을 널리 퍼뜨렸다.[해금2] [59] 쿠로키 타카유키, 모토키 야스로, 데즈카 료이치, 소노다 준 등 전현 R200 클럽 멤버들의 애마로 등장했으며, 기타 단역 및 엑스트라들의 차량으로도 R32와 함께 아주 지겹도록 나오는 걸 볼 수 있다.[해금2] [정식출시수록] [62] 실제로 일부 자동차 제조사들은 비디오 게임에 자사 차량의 수록을 허용해주는 대신 튜닝 등을 금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페라리. 다만 이 경우에도 본작의 렉서스처럼 대부분은 외장 튜닝 금지 정도가 고작이지 성능 세팅까지 금지시키는 경우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되기 때문에 왜 24년형 GT-R만 이렇게 됐는지 이유는 불명이다.[해금1] [해금1] [65] 현실에서의 차량은 CVT를 장착했다.[해금2] [해금2] [68] 엄밀히 말하자면 다른 차다. 분프레자는 Version V.[69] 일본에서는 '둥근눈(丸目), 영미권에서는 'Bugeye'라 불리는 초기형.[해금2] [해금2] [72] 일본에서는 '눈물눈(涙目)', 영미권에서는 'Blobeye'라 불리는 중기형.[해금2] [74] 일본에서는 '매눈(鷹目)', 영미권에서는 'Hawkeye'라 불리는 후기형.[해금2] [정식출시수록] [77] 5세대 WRX는 WRX STi 트림이 출시되지 않기에 WRX STi 모델로는 나오지 않는다.[78] 실제로 일본 법률상으로도 소형차라서 일본 경차들의 최대 출력 64마력 마력규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나폴리의바람] [80] 사실 후기형 트레노 역시 이니셜D에 출연한 적이 있는데, 바로 가짜 프로젝트 D의 가짜 타쿠미가 타고 나온 86이 바로 이 후기형이다. 특히 아케이드 스테이지에서는 버전 5 이후로 가짜 타쿠미의 후기형 리어 라이트가 외형 튜닝 파츠로 제공되는데, 이걸 장착하면 본작의 트레노와 상당히 비슷해진다.[해금1] 블러드하운드, 골든 한냐, 트랜스 드라이브, 플레이풀 젠틀맨을 이겨야 해금[불사신의어릿광대] [정식출시수록] 정식 출시 업데이트 후 참전하는 차량이다.[해금2] 12시가 지난 신데렐라를 이겨야 해금[85] 일본의 드리프트 대회인 D1GP의 유명 선수 사이토 다이고 선수가 이 차를 상당히 애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에비스 서킷에서 보여준 점프 드리프트 장면은 지금까지도 이 차의 전설을 얘기할 때 필수로 등장한다.[사일런트바바리안] [해금2] [해금2] [89] 실제로 일본에서는 하리시야 단속용 암행순찰차로 사용될 정도로 동급 대비 고성능을 보여주는 본격적인 스포츠 세단이다.[정식출시수록] [해금1] [92] 2세대까지는 토요타 셀리카의 파생 브랜드 취급이었다. 독자적으로 수프라 브랜드로 분리해서 나온 것은 3세대부터.[해금2] [정식출시수록] [95] 직렬 4기통 터보 엔진 스왑.[96] 직렬 6기통 터보 엔진 스왑 사양. 토요타의 2JZ-GTE 엔진으로, 시리즈 내내 토요타 아리스토를 타고 나온 걸 오마주한 것이다.[터보] 볼트 온 터보 장착 사양.[터보] [터보] [터보] [101] 출시 전 티저 트레일러 및 인트로 영상에서 트래픽 카로 등장한 적이 있다.[신제] 신제의 전용 차량으로 추정.[미드나이트로즈] 미드나이트 로즈의 2차전 전용 차량으로 추정.[UNKNOWN] UNKNOWN의 전용 차량으로 추정.[105] 택시 모델로 등장한다. 택시라고 얕잡아봤다가는 제대로 큰코다치는 어마어마한 스피드를 자랑하는 것으로 유명.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수도고 배틀(2025)|수도고 배틀(2025)]]}}}{{{#!if external != "o"
[[수도고 배틀(2025)]]}}}}}}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수도고 배틀(2025)?uuid=b38a2696-989e-447c-9df2-faf6d4c29a48|r49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수도고 배틀(2025)?uuid=b38a2696-989e-447c-9df2-faf6d4c29a48#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수도고 배틀(2025)?from=49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수도고 배틀(2025)|수도고 배틀(2025)]]}}}{{{#!if external != "o"
[[수도고 배틀(2025)]]}}}}}}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수도고 배틀(2025)?uuid=b38a2696-989e-447c-9df2-faf6d4c29a48|r49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수도고 배틀(2025)?uuid=b38a2696-989e-447c-9df2-faf6d4c29a4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수도고 배틀(2025)?from=49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