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0:36:56

수도고 배틀(2025)/라이벌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도고 배틀(2025)
1. 개요2. 팀
2.1. 롤링 가이즈2.2. 디파쳐스2.3. 챌린저스2.4. 프레쉬 마켓2.5. 페이즈 X2.6. 리듬 박스2.7. 레드 폴루션2.8. FAR AWAY2.9. INFINITY2.10. 룰렛 가이즈2.11. 클랜 마키타2.12. Roadnaut2.13. K-uicks2.14. M_O_E2.15. DESIRE2.16. TRI EDGE2.17. 더 플레이아데스2.18. 어나더 스타2.19. CAT×CAT2.20. 쥬시 헤븐2.21. 큐피드 애로우즈2.22. 롤링 걸즈2.23. 트위스터2.24. 레이싱 스톰2.25. 커맨더2.26. 머신 레인저스2.27. M 커넥트2.28. 토네이도 902.29. 스트롱 포메이션2.30. 단지
3. 보스
3.1. 롤링 마스터3.2. 붉은 아이3.3. 영원의 폴라리스3.4. 배신의 잭나이프3.5. 블러드하운드3.6. 금색 한냐3.7. 트랜스 드라이브3.8. 플레이풀 젠틀맨3.9. 철의 노인3.10. 어둠의 텐구3.11. 슈와 슈와 스트롱3.12. 티끌 모아 전사3.13. 미드나이트 로즈3.14. 우울한 천사3.15. 12시가 지난 신데렐라
4. 원더러
4.1. 불사신의 어릿광대4.2. 마스터 포지션4.3. 사일런트 바바리안4.4. 초록의 야생아4.5. 폭풍의 스트리머4.6. 개러지 하루오4.7. 시모키타자와 2000cc4.8. 세토이치의 면 장인4.9. 데빌 로드 런4.10. 외로운 니힐리스트4.11. 요코하마의 백표4.12. 나폴리의 바람4.13. 퍼펙트 레볼루션4.14. 딴죽 브레이커4.15. 쇼난 어페어4.16. 제트 스케이터4.17. 테크니션 오노4.18. 언밸런스 이시이4.19. 라스트 플라이트4.20. 비극의 마터호른4.21. 초조한 아가씨4.22. 묻지마 갬블러
5. 미등장 라이벌

1. 개요

주식회사 겐키의 레이싱 게임 수도고 배틀(2025)에 등장하는 라이벌들에 대한 문서.

1월 28일 현재 얼리 엑세스 빌드 기준으로 총 216명의 라이벌들이 등장한다. 현재 게임의 분량이 정식 출시 빌드의 약 50% 분량이라는 제작진들의 발언과 현재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미수록된 라이벌들의 데이터나 엠블럼이 발견된 걸 보면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더 많은 라이벌들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스포일러]

이 게임에 등장하는 라이벌들은 크게 '팀'과 '보스', '원더러'로 나뉜다. '팀'은 말 그대로 비슷한 성향의 레이서들이 팀을 맺고 활동하는 형태로, 수도고를 돌아다니는 팀원들을 찾아서 전부 격파할 경우 출현하는 리더에 승리하면 팀을 격파하는 방식이다. '보스'는 일반 레이서들과는 격이 다른 실력과 성능을 자랑하는 수도고의 강자들로, 이들을 이기면 챕터가 완료되며 스토리가 진행된다. '원더러'는 어느 팀에도 소속되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수도고의 은둔고수들이며 특정 조건을 맞춰야 출현하거나 배틀을 승낙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가지고 있다. 원더러와 승부하기 위한 조건은 PA에서 주황색 느낌표를 가진 NPC들과 대화하면 출현 정보나 배틀 조건을 수집할 수 있으며, 한 번 수집한 정보는 차고의 REFERENCE 메뉴에서 각 원더러들의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작에서 라이벌들의 위치는 지도를 켜면 왼쪽에 나오는 RIVAL 리스트에서 각 라이벌의 항목을 선택할 경우 실시간으로 해당 라이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아직 조우하지 않은 라이벌은 ???으로 표시되나 여전히 위치 파악은 가능하며, 항목이 어두운 색깔로 되어 선택할 수 없는 라이벌은 아직 맵에 스폰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차고로 한 번 돌아간 후 나오거나 등장 조건을 만족하면[2] 나오니 참고.

본작의 시간대는 시리즈 최신작이었던 수도고 배틀 X로부터 4년 뒤의 시점이며[3], 그래서 그런지 X에서 등장했던 팀이나 라이벌들이 등장하거나 이벤트씬이나 PA에서의 NPC들 대화에서도 X 시절의 이야기가 간간히 언급되는 걸 볼 수 있다.

스토리의 비중이 미약했던 데다가 대사 한 마디 없이 그냥 길거리에서 만나서 배틀 한 번 한 뒤 헤어지는 바람에 일일이 라이벌 DB를 뒤져보지 않는 이상 그냥 지나가는 라이벌 A 취급이었던 01 시절과는 달리, 구체적인 스토리라인이 생기고 NPC들에게 본격적으로 대사와 이벤트씬이 추가되면서 라이벌 개개인의 캐릭터성이 크게 강조되기 시작한 X 시절의 스타일을 계승했다보니 게임을 진행하면서 상당히 다양한 개성을 가진 라이벌들을 만나볼 수 있다. 게임의 배경인 수도고속도로는 공도가 아니라 현실의 수도고를 재공사해서 서킷으로 개장한 곳이라는 설정이라[4] 단순히 차를 좋아하는 동호인들 부터 학교 동아리, 직장인 동호회, 전현직 프로레이서들까지 등 별의별 배경설정과 개성을 가진 라이벌들이 등장한다. 몇몇 라이벌들은 배틀 상대로만 등장하는 게 아니라 PA에서 NPC로도 등장하는데, 이때 말을 걸어보면 나오는 대사 역시 DB에서 볼 수 있는 캐릭터성이나 배경 등을 꽤나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나 일본어가 되는 유저들은 PA에서 라이벌들을 만나면 말을 걸어 보는 것도 재밌게 즐길 수 있는 방법.

2.

같은 팀 소속이면 무조건 정해진 노선에서만 달리던 전작들과는 달리 이번 작에서는 같은 팀 소속이라도 어떤 팀원은 같은 코스의 반대 방향에서 나오고 어떤 팀원은 아예 다른 코스에서 나오고 어떤 팀원은 PA에서만 나오는 등 등장 위치가 달라진 경우가 생겼다. 스토리를 진행할 경우 맵 왼쪽에 뜨는 미션 리스트에서 각 팀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

2.1. 롤링 가이즈

엠블럼 파일:RollingGuys.jpg
이름 롤링 가이즈 / ローリング野郎 / ROLLING GUY
출연작 1, 2, 0, 01, 포터블, X
리더 코바야카와 아키라 (롤링 가이즈 1호)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롤링 가이즈 1호 C1 내선
롤링 가이즈 2호 C1 내선
롤링 가이즈 3호 C1 내선
롤링 가이즈 4호 C1 내선
롤링 가이즈 5호 C1 내선
무려 전 시리즈 개근 출석이라는 기록을 달성한 시리즈 전통의 AE86 원 메이크 팀이자 마찬가지로 시리즈 내내 1라운드 잡몹 포지션을 담당하던(...) 팀. 시리즈 내내 개조 하나 하지 않은 차를 탄 뉴비 플레이어들에게도 썰려나가며 돈도 없고 차량 성능도 부족하던 극초반 유저들의 따뜻한 자금원이 되어준 팀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고 레이서들에게 AE86의 힘을 보여주겠다는 일념 하에[5] 수도고를 꾸준히 달리고 있는 근성 가이들이기도 하다.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나온 수많은 극초반 팀들 중에서도 AE86 원 메이크라는 독보적인 개성 때문에 시리즈 대대로 굉장한 인기를 자랑하는 팀이기도 하고 제작진들도 유독 특별 대우를 해주는 느낌도 있는데, 라이센스 + 제작비 문제로 플레이어블 차량이 10대 안팎 수준으로 폭락했던 X 시절에도 일반 차량으로의 86은 짤렸는데 얘네들 86 만큼은 커스텀 카로 추가해줬을 정도였다(...). 86 성애자들 아니랄까봐 고갯길을 배경으로 하는 외전인 카이도 배틀 시리즈에서도 등장한 적이 있었던 건 덤.
이번 작에서도 시리즈 전통대로 C1 내선에서 등장하며, 업그레이드를 하나도 하지 않은 스타팅 차량으로도 손쉽게 이길 수 있는 잡몹 포지션이다. 특히 01 시절 처럼 강제 더블 배틀 같은 조건도 없어진 지라 난이도는 더 쉬워졌다.
  • 롤링 가이즈 1호
    본명은 코바야카와 아키라. 롤링 가이즈의 2대 리더이자 前 2호로, 01 시점부터 1대 롤링 가이즈 1호였던 형 코바야카와 사토루(現 롤링 마스터)로부터 자리를 물려받았다. 직업은 X 시점까지는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이었지만 2025에서는 편의점 점장으로 승진한 상태. 이번 작에서도 여전히 롤링 가이즈의 리더로 등장하며, 팀 리더 답게 다른 멤버들보다는 다소 위협적인 성능을 보여주지만 극초반 라이벌 아니랄까봐 1레벨 튜닝만 전부 해주면 똑같은 86으로도 손쉽게 격파할 수 있는 난이도를 자랑한다.[6]

    2025 시점에서는 기존의 친목 위주였던 팀에서 실력 위주로 팀을 개편하면서 본격적으로 극초반 잡몹 포지션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한 듯 하지만 현실은 이번에도 늅늅이 신세였던 주인공에게 썰려나갔다(...) 격파하면 막내인 5호와 함께 PA에서 쉬고 있던 주인공에게 찾아오는데, 의외로 그 동안 뉴비들 디딤돌 역할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지만 아직 실력이 부족했던 거 같다고 순순히 주인공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주인공에게 지금 얻은 것에 만족하면 최고의 자리라도 추락하는 건 한 순간이라며 자만하지 말라는 조언을 해준다5호 : 우리 최고였던 적은 없잖아요? 1호 : 닥쳐. 이후 형인 롤링 마스터가 주인공을 찾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주며, 롤링 마스터도 격파할 경우 형과 함께 등장해 주인공을 칭찬해주며 우리는 새로운 전설의 등장을 보고 있는 걸지도 모른다는 평가를 남긴다.

2.2. 디파쳐스

엠블럼 파일:Departures.jpg
이름 디파쳐스 / DEPARTURES
출연작 2, 0, 01, 포터블, X
리더 토카시키 미치로 (해피 채피)
홈페이지를 통해 참전이 확정된 라이벌 팀. 원래 어느 잡지사의 자동차 기획 기사를 위해 결성된 팀으로, 멤버 구성부터 차 종류까지 제각각인 개성파 팀이지만 오히려 너무 따로 노는 성향이 강해서 멤버 간의 사이는 그닥 좋지 않다고 한다위의 TOKIO JUNGLE하고 정반대다. 하지만 그래도 팀의 결속력이 없는 건 아닌 건지 X 시점에서는 나름 팀워크가 생겼다는 언급이 있다. 리더인 토카시키 미치로(해피 채피)는 무려 전직 경찰 출신 정보원이라는 흠좀무한 배경을 가진 캐릭터.

본작에서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 4년 간 무슨 일이 있었는지 오로지 속도 만이 전부라는 것에 집착하기 시작해 '어른의 달리기'를 보여주었다는 과거의 명성이 상당히 깎인데다가, 조회수에 미쳐서 사이버 렉카로 전락해 버린 팀원까지 나올 정도로 내부 분위기는 개판인 모습에 질려 다른 팀으로 이적을 고민하는 팀원까지 있을 정도로 해체 직전에 몰린 상황이며, 그 영향인지는 몰라도 중후반부 팀으로 나와서 강력한 면모를 보여준 전작들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롤링 가이즈, 챌린저스와 함께 나오는 극초반부 팀으로 전락해버렸다. 여담으로 프로필 상의 설명과는 다르게 0부터 팀 차량이 전부 스바루 계열로 통일되었는데, 이는 본작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해피 채피 C1 외곽선
스위트 서렌더 C1 외곽선
쿨 사이트 C1 외곽선
그레이트 파이낸스 C1 외곽선
업비트 C1 외곽선

2.3. 챌린저스

엠블럼 파일:Challengers.jpg
이름 챌린저스 / CHALLENGERS
출연작 없음 (신규 참전)
리더 마츠모토 스구루 (고갯길의 챌린저)
홈페이지를 통해 참전이 확정된 라이벌 팀. 이번 작에서 새로 참전하는 신규 팀으로, 출시 후 밝혀진 정보에 따르면 원래 하코네 인근의 고갯길을 달리던 팀이 수도고로 체험 삼아 원정을 오게 된 것이라고 한다. 물론 그 결과는 이제 막 수도고에 올라왔던 주인공에게 순살당하며(...) 수도고 팀들과 본인의 격차를 뼈저리게 깨닫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본작에서의 포지션은 롤링 가이즈, Departures와 함께 극초반부 초보용 팀이다. 팀원 전원의 이름이 OO Challenger 식인 게 특징.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고갯길의 챌린저 C1 내선
파죽[7]의 챌린저 C1 외곽선
자랑하는 챌린저 C1 외곽선
평화로운 챌린저 C1 내선
무기력한 챌린저 C1 내선

2.4. 프레쉬 마켓

엠블럼
이름 프레쉬 마켓 / Fresh Market
출연작 X
리더 마부치 료타 (골든 스티어)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끼리 모여서 결성된 팀. 사적인 친분도 있고 선대의 정신을 이어받아 팀워크도 좋다. 유일한 결점이 생선 비린내라고... 대부분이 운송업에 종사하기 때문에 가감속을 줄이고 차량의 서스펜션을 단단하게 세팅하는 부드러운 주행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골든 스티어 완간선 동쪽선
사가미의 스모 레슬러 완간선 동쪽선
승리의 핸드 사인 완간선 동쪽선
빅 플래그 완간선 동쪽선

2.5. 페이즈 X

엠블럼
이름 페이즈 X / PHASE X
출연작 X
리더 하마이케 카츠히사 (와일드 버드)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와일드 버드 완간선 서쪽선
플라잉 옥토퍼스 완간선 서쪽선
슬픈 주피터 완간선 서쪽선
질주하는 들개 완간선 서쪽선
데인저린 레드 요코하네선 하행
구레나룻 스크류 완간선 서쪽선
고 나가미사 요코하네선 하행

2.6. 리듬 박스

엠블럼 파일:RhythmBox.png
이름 리듬 박스 / RHYTHM BOX
출연작 2, 0, 01
리더 이구치 카오루 (힙합 레드)
마지막 등장인 수도고 배틀 01 이후로 무려 22년 만에 복귀한 팀. 팀 이름 답게 자기가 좋아하는 노래를 들으며 달리는 것을 모토로 삼은 팀. 쿠페나 스포츠 세단 같은 본격적인 스포츠카들을 끌고 나오는 다른 팀들에 비해 스테이션 왜건이나 경차 위주의 차량을 타고 나온 걸로 유명했던 팀이다. 01의 프로필에 따르면 항상 차 내부에 고성능 고음질의 음향기기를 설치하는 걸 좋아해서 실내가 넓은 차량들을 선호하며, 다른 레이서들로 부터 저걸 치우면 더 빨리지지 않겠냐는 소리도 듣지만 그건 죽어도 포기 못 한다고(...).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힙합 레드 요코하네선 상행
재즈 그린 헤이와지마 PA (상행)
클래시컬 블루 요코하네선 상행
광란의 코리오그래퍼 요코하네선 상행
PinkGroove 헤이와지마 PA (상행)
미드나이트 블루 요코하네선 상행

2.7. 레드 폴루션

엠블럼
이름 레드 폴루션
출연작 X
리더 테리 소머 (매드 스트레인저)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매드 스트레인저 완간선 동쪽선
프라이드 킬러 완간선 동쪽선
밀림의 테킬라 완간선 동쪽선
스파이크 문 완간선 동쪽선
아미 죠 완간선 동쪽선
폭주 배럴 완간선 동쪽선

2.8. FAR AWAY

엠블럼
이름 FAR AWAY
출연작 X
리더 쿠니마치 렌지 (맥시멈 이글)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팀. 위의 Infinity와는 다르게 멤버 전원이 중장년층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량도 A70 수프라나 R32 GT-R, Z32 등 고색창연한 과거의 명차들을 타고 있었지만, 이번 작에서는 A80 수프라 같은 비교적 신차를 탄 멤버들도 보인다. 이것도 지금 기준으로 20년 지난 차긴 하다 젊은이들에게 진짜 드라이빙이 뭔지 가르쳐 주겠다는 열의로 가득차 있다고. 보통 이런 캐릭터들은 특성상 꼰대로 나오기 쉽지만 소개문을 보면 오히려 진지하게 젊은 레이서들에게 조언을 해주거나 차량 세팅을 도와주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실력도 상당히 높게 평가받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젊은 피가 넘쳐나는 수도고에서 유독 튀는 아저씨 팀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다른 수도고 레이서들한텐 묘하게 틀딱 취급을 받는다는 듯. 본작의 팀원 소개문을 보면 허리 통증 때문에(...) 그 동안 타던 스포츠카를 팔고 세단인 마크 X를 산 팀원도 있는 웃픈 모습도 보여준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맥시멈 이글 신순환 좌회선
미스테리어스 호크 타츠미 PA
리버사이드 크로우 신순환 좌회선
멜로디어스 콘도르 신순환 우회선
우드펙커 신드롬 신순환 좌회선
기적의 플라밍고 요코하네선 상행
펭귄 드라이브 요코하네선 상행
비웃는 비둘기 타츠미 PA
어두운 밤의 알바트로스 타츠미 PA

2.9. INFINITY

엠블럼
이름 INFINITY
출연작 01, 포터
리더 카자마 슌이치 (멋지게 무적)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팀. 전작들의 소개문에 의하면 의외로 멤버 전원이 10대 청소년들이고, 수도고에 올라온 지 반 년도 안 된 그야말로 신생 팀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수도고에서 주목받는 팀으로 성장했다는 그야말로 천재형 캐릭터들이 모인 팀. 멤버 전원이 젊은 미남이라 수많은 여성팬들이 따라다니지만 정작 팀 원칙상 조수석엔 절대로 여자를 안 앉힌다고 한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멋지게 무적 요코하네선 하행
사랑의 격추왕 헤이와지마 PA (하행)
매혹적인 눈빛 요코하네선 하행
사랑의 사냥꾼 요코하네선 하행
북두의 유성 하코자키 PA
붉은 달빛 요코하네선 하행
상냥한 암살자 요코하네선 하행

2.10. 룰렛 가이즈

엠블럼
이름 룰렛 가이즈 / ROULETTE GUYS
출연작 없음 (신규 참전)
리더 쿠죠 류지 (룰렛 가이즈 1호)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신규 팀. 위의 롤링 가이즈, 롤링 걸즈와 마찬가지로 AE86 원 메이크 팀 컨셉인지 등장한 팀 멤버 '룰렛 가이즈 4호'도 AE86을 타고 있다. 게임 내에서도 취급은 동일한지 리더인 룰렛 가이즈 No.1이 등장할 때 다른 NPC한테 너 혹시 롤링 가이즈와 연관 있냐는 소리를 듣는 장면이 나온다. 닥치고 AE86 원메이크 팀 컨셉인 나머지 둘 하고 다르게 4호하고 5호 빼면 전부 토요타 86을 타고 있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룰렛 가이즈 1호 완간선 서쪽선
룰렛 가이즈 2호 완간선 서쪽선
룰렛 가이즈 3호 완간선 서쪽선
룰렛 가이즈 4호 다이코쿠 PA
룰렛 가이즈 5호 다이코쿠 PA

2.11. 클랜 마키타

엠블럼
이름 클랜 마키타 / CLAN MAKITA
출연작 없음 (신규 참전)
리더 마키타 미츠루 (프리 버드)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프리 버드 신순환 좌회선
엄청 화려한[8] 네일의 Aki 신순환 좌회선
래피드 걸 시바우라 PA
무책임 대장 신순환 좌회선
무한 로터리 카시야마 시바우라 PA
상자에 넣은 딸[9] 신순환 좌회선

2.12. Roadnaut

엠블럼
이름 Roadnaut
출연작 없음 (신규 참전)
리더 히로카네 타이가 (캡틴 인더스트리얼)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캡틴 인더스트리얼[10] 신순환 좌회선
안 와도 되는 OB 신순환 좌회선
COME ON고문 요코하네선 상행
데스 게임의 생존자 신순환 좌회선
이국의 북 키퍼 신순환 우회선
쪽빛의 헬름 우먼 신순환 좌회선
잘 부탁해 메카닉 신순환 좌회선

2.13. K-uicks

엠블럼 파일:Kuicks.jpg
이름 K-uicks
출연작 없음 (신규 참전)
리더 미야시타 치히로 (전광석화의 스팅어)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전광석화의 스팅어 C1 외곽선
작은 비스트 C1 외곽선
비밀의 가디언 C1 외곽선
고양되는[11] 그루비 C1 내선
우메 댄디 C1 내선
과묵한 몽구스 C1 내선

2.14. M_O_E

엠블럼
이름 M_O_E[12]
출연작 X
리더 미사와 키이치 (고딕 더 마이 로드)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고딕 더 마이 로드 C1 내선
블랙 더 제로 파이터 C1 내선
로직 더 프로페서 C1 내선

2.15. DESIRE

엠블럼
이름 DESIRE
출연작 X
리더 토모카와 레이라 (어두운 밤의 베텔게우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어두운 밤의 베텔게우스 C1 외곽선
통곡의 아스테리온 C1 외곽선
이단의 카노푸스[13] C1 외곽선

2.16. TRI EDGE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팀. X 시점에서는 기존의 란에보 원메이크 팀인 TOP LEVEL과 연관이 있다는 설정 때문인지 멤버 전원이 란에보만 타고 나왔지만, 이번 작에서는 등장한 멤버가 Z33을 타고 나온 걸 보면 팀 특성이 다소 바뀐 것으로 보인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17. 더 플레이아데스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18. 어나더 스타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게임플레이 트레일러에서 멤버 '레드 샤우트(レッドシャウト, 본명 타카하시 미츠에)'와 함께 등장이 확정된 팀. 아래의 롤링 가이즈, 12시가 지난 신데렐라와 마찬가지로 전 시리즈 개근 팀이다. 이후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멤버 '예리한 미우라(カミソリの三浦, 본명 미우라 코우지)'가 추가로 등장하였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19. CAT×CAT

엠블럼 파일:CatxCat.jpg
이름 CAT×CAT
출연작 X
리더 타카야 마미코 (블랙 캣)
수도고 배틀 X에서 처음 등장한 여성 2인조 팀. 2부터 원더러로 개근한 베테랑 드라이버 타카야 마미코(블랙 캣, 前 글래머러스 마미)와 신인 드라이버 노지마 아리사(화이트 캣)의 두 명으로 이루어진 팀이었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블랙 캣[14] 신순환 좌회선
화이트 캣 하코자키 PA

2.20. 쥬시 헤븐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1. 큐피드 애로우즈

엠블럼 파일:CupidArrow.jpg
이름 큐피드 애로우즈 / CUPID ARROWS
출연작 1, 2, 0, 01, X
리더 코이즈미 쇼코 (매혹의 하얀 요정)
홈페이지를 통해 참전이 확정된 라이벌 팀. 수도고에서 보기 힘든 멤버 전원이 여성으로 이루어진 팀으로, 이미지와 다르게 수도고에서도 상당한 실력파 팀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처음에는 튜닝 지식이 있는 멤버가 전혀 없어서 차 성능을 제대로 끌어올리지 못했지만 이제는 웬만한 팀들보다 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던가, 예전에는 남성 레이서들을 경원시했지만 이제는 다소 태도가 누그러졌다는 등 시리즈가 진행될 수록 꽤나 변화하는 점이 많은 팀. 여담으로 리더가 꽤 많이 바뀐 편인데, 01 시점까지는 요시자와 마유미(소닉 런너)가 리더였지만 결혼하면서 은퇴, 외전인 C1에서는 아래에 나오는 카와고메 키요미(미드나이트 로즈)가 리더였고, X 시점에서는 코이즈미 쇼코(현혹의 하얀 요정)가 맡고 있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매혹의 하얀 요정 신순환 좌회선
문라이트 차일드 신순환 좌회선
실버 임팩트 타츠미 PA
246 하트브레이커 신순환 좌회선
블루 스타 신순환 좌회선
블루 문 신순환 좌회선

2.22. 롤링 걸즈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얼리 엑세스 출시일 발표와 동시에 참전이 확인된 팀. X에서 처음 출전한 팀 멤버 전원이 여성으로 이루어진 AE86 원 메이크 팀으로, 이름과 차량 구성에서 보면 알겠지만 대놓고 시리즈 전통의 AE86 원 메이크 팀인 롤링 가이즈의 패러디다. 원래는 지방 서킷 위주로 달리는 타임 어택 팀이었고 수도고에는 딱히 흥미가 없었지만, 어느 수도고 출신으로 추정되는 레이서로부터 "뭔 여자가 레이서 흉내를 내고 있냐?"라는 소리를 듣고 빡쳐서 수도고로 올라왔다는 설정. 멤버들 대부분이 고소득자라 자금이 풍부한 영향인지 차량 성능이 매우 높다고 하는데, 그래서 X에서도 여전히 초반에 나와 썰리던 롤링 가이즈와 다르게 이쪽은 중반부부터 등장하는 팀이었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3. 트위스터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팀. 시리즈 전통적으로 오로지 마쓰다 로터리 엔진 라인업만 타고 다녔던 로터리 원 메이크 팀이다. 설정상 수도고에서도 유독 역사가 오래 된 팀이라고 하며 실제로도 포터블을 빼고 전 시리즈 개근을 달성했다. 팀 이름인 트위스터(회오리)는 원래는 연속 코너를 로터리 라인업 특유의 가벼운 무게+경쾌한 핸들링으로 요리조리 차를 흔들면서 빠져나가는 걸 보고 다른 레이서들이 '마치 춤을 추는 것 같다'라고 부른 게 그대로 이름으로 정착된 거지만, 몇몇 경험이 미숙한 멤버들이 코너를 너무 과도하게 공략하다가 미끄러지는 걸 보고 '아주 회오리마냥 스핀을 한다'라고 비웃기도 한다는 듯. 0와 01에서의 소개문에 의하면 팀 멤버들이 드리프트파 vs 그립 주행파로 나누어져 분열이 터졌는데, 결국 이 여파인지 포터블에서는 팀이 해체되어 참전이 불발되어 리더 혼자만 원더러로 나왔지만 X와 2025에서 나오는 걸 보면 어찌어찌 재건에 성공한 듯하다.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4. 레이싱 스톰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5. 커맨더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팀. 설정상 수도고에서 깽판치는 불량 드라이버들을 응징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자경단 성향의 팀.[15] 다만 창설 이후 계속 활동을 함에도 불량 드라이버 근절이라는 목표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보니 팀 내부에서도 존재 의미에 회의를 느끼는 팀원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리더인 오오쿠마 긴지(세나 발 긴지)의 통솔력 덕분에 팀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0 시점까지만 해도 여성 멤버는 일체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원칙이 있었지만, 01 시점에서 해당 규칙은 폐지되었다고.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6. 머신 레인저스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공식 트위터 계정의 PA 소개 스크린샷에서 등장이 확정된 신규 팀. 신규 팀이라 제대로 정보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대놓고 그런 티를 내는 팀 이름이라던가 공개된 멤버 이름이 닌자 그린(ニンジャ・グリーン)인 걸 보면 대놓고 전대물 컨셉의 팀.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7. M 커넥트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PA 소개 트레일러에서 등장이 확정된 신규 팀. 팀의 특징으로는 공개된 멤버들의 차량이 모두 마쯔다 차량이다.[16] 트레일러에서 등장한 멤버들의 실루엣이 전부 정장 차림의 비즈니스맨인 걸 보면 직장인 동호회 컨셉으로 추정.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8. 토네이도 90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29. 스트롱 포메이션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2.30. 단지

엠블럼
이름
출연작
리더
멤버 목록
닉네임 본명 탑승 차량 등장 위치

3. 보스

3.1. 롤링 마스터

엠블럼
닉네임 롤링 마스터
ローリングマスター
Rolling Master
이름 코바야카와 사토루 (小早川 悟)
출연작 1, 2, 0[17], 01, 포터블, X[18]
탑승 차량 토요타 코롤라-레빈 GT-Apex (AE86) '87
등장 코스 C1 내선

3.2. 붉은 아이

엠블럼
닉네임 붉은 아이
紅童子
Crimson Boy
이름 쿠로사키 마사미치 (黒崎 雅路)
출연작 X
탑승 차량 스바루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
등장 코스 C1 외곽선

3.3. 영원의 폴라리스

엠블럼
닉네임 영원의 폴라리스
久遠のポラリス
Eternal Polaris
이름 쿠도 히카루 (久遠 ひかる)
출연작 없음(신규 참전)
탑승 차량 닛산 스카이라인 GT-R V-Spec (BCNR33) '97[19]
등장 코스 C1 내선
이번 작에서 새롭게 등장한 라이벌. 1장에서 챌린저스를 전부 격파할 경우 등장한다. 극초반 보스 답지 않게 후반부 차량인 스카이라인 GT-R R33을 타고 나타나서 놀랄 수도 있지만 성능도 극초반 답게 플레이어가 타고 다닐 수 있는 차에 비하면 매우 너프된 수준이라 걱정 없이 격파할 수 있다. 이후 2장에 돌입하면 바디 킷을 추가로 장착한 상태로 재등장하는데, 이때는 굉장히 위협적인 전투력을 보여주니 튜닝을 철저히 하고 승부해야 한다. 현재 얼리 엑세스 시점에서 유일하게 2차전이 구현되어 있는 보스이기도 하다.
설정에 따르면 이제 막 수도고에 올라온 초보 레이서로[20], 경력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수도고의 내노라하는 레이서들을 차례로 격파하며 기대의 신인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배틀에서 이기고 볼 수 있는 정체는 의외로 상당히 어린 소녀로, 상당히 낯을 가리는 성격인지 자신을 이긴 주인공을 상대로도 뭐라 말을 할려고 하면서도 우물쭈물하더니 결국 한 마디도 못 하고 가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레이서들과도 잘 만나지 않고 조용히 배틀만 하다가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자세한 사정을 모르는 수도고 레이서들 사이에서는 신비로운 쿨뷰티 천재 미소녀 취급을 받는 듯. PA에서 만나서 대화해볼 수도 있는데, 위의 설정이 뻥이 아니라는 것인지 이미 한 번 만나본 주인공을 상대로도 심하게 수줍어하는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현재 얼리 엑세스 시점에서 상당히 스토리에서의 비중과 떡밥이 많은 라이벌이기도 한데, 유일하게 2차전이 준비되어 있는 것도 그렇고 PA에서 만날 수 있는 관객들부터 보스로 나오는 수도고의 실력자들까지 유독 콕 집어서 상당히 재능 있는 드라이버로 언급하는 등 이번 작의 신규 라이벌임에도 상당히 대우가 좋은 편이다. 특히 마찬가지로 엄청난 실력을 보여주며 수도고에서 파란을 일으키고 있는 주인공하고 묶어서 언급하는 경우가 많은 등 추후 스토리의 주요 인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 정식 출시 이후 확장될 스토리에서의 행보를 기대하는 팬들이 많다.[21]

3.4. 배신의 잭나이프

엠블럼 파일:Jackknife.png
닉네임 배신의 잭나이프
裏切りのジャックナイフ
Treacherous Jacknife
이름 사카모토 키리지 (坂本 桐字)
출연작 2, 0, 01, 포터블, 카이도
탑승 차량 스바루 BRZ GT (ZC6) '16
등장 코스 C1 내선
카이도 배틀 고개의 전설 이후 20년 만에 복귀한 前 13귀장 멤버. 1장의 보스 중 하나로 등장하며 난이도 자체는 플레이풀 젠틀맨 다음으로 쉽다. 중저속 코너가 많은 C1 특성상 벽이나 트래픽에 부딪히는 것만 피한다면 무난하게 깰 수 있는 수준. 다만 게임 시작 시 주어지는 차량으로는 튜닝을 해도 좀 버거울 수 있기 때문에 슬슬 돈이 쌓이는 시점에서 좀 더 고티어의 차량으로 변경한 후[22] 승부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시리즈 내에서의 역할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문자 그대로 1라운드 보스. 모든 시리즈에서 등장한 건 아니지만 등장하는 모든 시리즈마다 첫 번째 보스로 등장해서 주인공에게 깨진다. 심지어 외전인 카이도 배틀 고개의 전설에서도 고갯길로 쳐들어온 13귀장의 첫 타자로 등장해서 플레이어에게 깨진다(...).지고 나서 BBS에서 다른 애들이 니들 털어줄 거라고 찌질대는 게 참 볼 만하다 다만 전작에서는 꼴에 보스는 보스라는 건지 극초반 유저 상대로는 꽤나 까다로운 난이도를 보여줘서 플레이어에게 첫 고배를 마시게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 작에서는 등장 시점이 좀 뒤로 밀려난 대신 난이도가 다소 낮아졌다.
설정에 따르면 수도고 레이서들 답지 않게 패션이나 헤어스타일 등 스타일에 상당히 집착한다고 하며, 차량도 성능만큼 외관을 상당히 중요시 하는 경향이 크다고 한다. 13귀장이 해체된 이후로는 조용히 수도고에서 활동했지만, 막 수도고에 올라와서 실력자들을 쓰러트리는 주인공의 모습에 예전 자신의 동료였던 신제의 모습이 겹쳐보이자 예전 13귀장 멤버들과 함께 주인공을 시험하기 위해 나타났다고 한다.

3.5. 블러드하운드

엠블럼 파일:Bloodhound.webp
닉네임 블러드하운드
ブラッドハウンド
Bloodhound
이름 사사키 시로 (佐々木 士郎)
출연작 2, 0, 01, X
탑승 차량 토요타 86 GT (ZN6) '12[23]
등장 코스 C1 외곽선
위의 배신의 잭나이프와 마찬가지로 前 13귀장 멤버. 잭나이프와 함께 1장의 보스 중 하나로 등장하며 잭나이프를 격파할 경우 C1 외곽선에서 출현한다. 차량 자체는 잭나이프의 BRZ와 사실상 동일한 차량 취급을 받지만 난이도는 블러드하운드 쪽이 더 높다[24]. 똑같은 C1에서 상대하는 만큼 중저속 코너에 여전히 신경써야 하지만 직선 성능을 무시하면 긴자나 아카사카 같이 속도 낼 수 있는 구간 나오자마자 쌩하고 달려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 주의.
설정에 따르면 과거 신제를 동경해서 13귀장에 입단한 최초의 드라이버 중 하나였으며, 현재 리더인 신제와의 관계는 동경을 넘은 우정에 가까운 사이라고 한다.[25] 13귀장이 해체된 현재 시점에서는 우울한 천사 같은 과거 동료들과의 인연을 유지하는 한편 신세대 드라이버들과 함께 새로운 수도고의 전설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격파 후엔 PA에서 만난 주인공에게 자신들의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며[26] 주인공에게 그때의 신제와 비슷한 느낌이 난다는 말을 남긴다.

3.6. 금색 한냐

엠블럼
닉네임 금색 한냐
金色般若
Golden Hannya
이름 쿠로사키 마사노리 (黒崎 政則)
출연작 X
탑승 차량 스바루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
등장 코스 신순환 좌회선

3.7. 트랜스 드라이브

엠블럼
닉네임 트랜스 드라이브
トランスドライブ
Trance Drive
이름 오야 마코
출연작 없음(신규 참전)
탑승 차량 다이하츠 코펜 Cero (LA400K) '15
등장 코스 완간선 동쪽선

3.8. 플레이풀 젠틀맨

엠블럼
닉네임 플레이풀 젠틀맨
ブレイフルジェントルマン
Playful Gentleman
이름 아초기 시게루
출연작 없음(신규 참전)
탑승 차량 마쓰다 악셀라 스포트 23S (BK) '03[데이터마이닝2]
등장 코스 요코하네선 하행
이번 작의 신규 라이벌. 1장의 보스 중 하나로 등장하며 무광 검정으로 칠해진 악셀라를 타고 나온다. 초반에 해금할 수 있는 전륜구동 해치백이라 방심하기 쉽지만 보스 아니랄까봐 상당히 빠르니 주의. 물론 그래도 트랜스 드라이브보다는 덜 빠른 편이라 주행 실력만 좋다면 오히려 더 쉽게 깰 수도 있다. 요코하네선의 특성상 벽이나 트래픽에 들이박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
프로필에 따르면 직업은 성우인데, 그냥 단순한 무명 성우가 아니라 다큐멘터리와 외화더빙 등에서 오랜 기간 활약한 베테랑 성우라고 하며, PA에서 한 번 말을 꺼내면 다들 돌아볼 정도로 유명한 목소리를 가졌다고 한다. 실제로 격파 후 이벤트씬에서도 목소리만 들어본 플레이어가 들어본 적이 있는 목소리다라고 할 정도. 직업 때문인지 묘하게 경박해보일 정도로 활발한 인상을 가지고 있지만 PA에서 우연히 만난 팬에게 사인에 기념촬영까지 해줄 정도로 인품도 훌륭한 인물.

3.9. 철의 노인

엠블럼
닉네임 철의 노인
鉄翁
Iron Old Man
이름 쿠로사키 마사카즈 (黒崎 雅和)
출연작 X
탑승 차량 스바루 레보그 2.0 GT-S EyeSight (VMG) '15
등장 코스 신순환 좌회선

3.10. 어둠의 텐구

엠블럼 파일:Yamitengu.jpg
닉네임 어둠의 텐구
闇天狗
Dark Tengu
이름 마야마 켄이치 (真山 健一)
출연작 X
탑승 차량 스바루 WRX STi Type S (VAB) ' 15
등장 코스 신순환 좌회선
X의 보스 팀이었던 '팬텀 9'의 멤버로 첫 출연한 라이벌. 항상 고개를 숙이면서 음침한 분위기를 자랑하며, 취미는 애니메이션 감상과 미소녀 피규어 수집이라고 한다. 설명만 보면 더티 드라이빙을 일삼는 양아치 드라이버 같지만 전작 최종 보스 팀이었던 팬텀 9 소속이었던 만큼 실력은 최상위급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차 옆에 팬텀 9의 데칼이 그대로 붙어있어 이번 작에서도 팬텀 9이 라이벌 팀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실제로 얼엑 시점에서 같은 팬텀 9 멤버들이 일부 출연하며 어느 정도는 사실로 밝혀졌다. 다만 팬텀 9 자체는 본작 시점에서 이미 해체된 상황이라 팀으로서 나오지는 않는다.

3.11. 슈와 슈와 스트롱

엠블럼 파일:ShuwaShuwa.jpg
닉네임 슈와 슈와 스트롱
シュワシュワストロング
Shuwa Shuwa Strong
이름 카이 타이세이
출연작 없음(신규 참전)
탑승 차량 마쓰다 3 패스트백 20s 레트로 스포츠 에디션 (BPFJ3R) '23
등장 코스 완간선 서쪽선
이번 작의 신규 라이벌. 탄산음료를 매우 좋아해서 항상 차 안에 2리터 탄산음료 페트병을 넣고 다닌다고 한다. 소개문이 거짓이 아니라는 듯이 차 옆쪽에 대문짝하게 붙어있는 No Soda No Life 문구가 압권(...). 다만 개그스러운 별명과 소개문과는 다르게 파워 유닛 위주로 강화했다는 것이 뻥이 아닌 것인지, 완간선에서 굉장한 전투력을 보여주는 까다로운 라이벌로 등극했다.

3.12. 티끌 모아 전사

엠블럼 파일:ChiriTsumo.jpg
닉네임 티끌 모아 전사[28]
チリツモ戦士
Every-Little-Bit Warrior
이름 야마구치 마사루
출연작 없음(신규 참전)
탑승 차량 스바루 BRZ S (ZD8) '21
등장 코스 C1 외곽선
이번 작의 신규 라이벌. 마치 그래피티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도색이 그려진 BRZ를 탄 것이 특징으로[29], 차 옆면 C 필러 윈도우와 뒷유리 위쪽에 'チリモツモレ ヤマトナル'[30]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슈와 슈와 스트롱과 함께 2부의 보스 중 하나로 완간선에서 미친듯한 직빨을 보여주는 슈와슈와와 다르게 이쪽은 중저속 코스인 C1의 보스에 걸맞은 상당히 날렵한 코너링을 보여준다. 이때쯤 오면 플레이어의 차량 성능도 높아졌지만 그만큼 연속 코너가 많은 C1을 주파하는 난이도도 높아졌기 때문에 중저속 코너링 위주의 셋팅을 해주면 크게 도움이 된다.
설정에 따르면 원래 모터스포츠 선수가 되는 것이 꿈이었으며, 현재는 라디오 DJ로 일하면서 서킷으로 재개장한 수도고에서 옛날의 꿈을 불태우고 있다고 한다. 레이서 활동과는 별개로 자신의 이름을 내건 '야마구치 마사루의 완간 데이브레이크'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진행자를 맡고 있는데, 작중 세계관에서는 나름 인기 있는 프로그램인지 티끌 모아 전사의 애청자라는 NPC들도 만나볼 수 있다. 주행 스타일이 전혀 다른 슈와 슈와 스트롱과는 호형호제 할 정도로 친한 친구 사이인데, 허구한 날 탄산음료를 끼고 다니는 슈와슈와의 건강을 염려하고 있다고 한다. 플레이어와 만났을 때에도 탄산을 까는 슈와슈와를 보고 차라리 제로 탄산을 마시라고 타박할 정도.

3.13. 미드나이트 로즈

엠블럼 파일:MidnightRose.jpg
닉네임 미드나이트 로즈
ミッドナイトローズ
Midnight Rose
이름 카와고에 키요미 (川越 清美)
출연작 2, 0, 01, 포터블
탑승 차량 닛산 페어레이디 Z 버전 ST (Z34) '08[31][데이터마이닝]
등장 코스 신순환 좌회선



前 12패성 멤버였던 털털한 성격의 여왕님 캐릭터. 외전인 레이싱 배틀 C1 그랑프리에서는 상술한 Cupid Arrows의 2대 리더를 맡기도 했다. 흔히 생각하는 고압적인 여왕님 캐릭터 답지 않게 털털하면서도 상냥하게 사람을 대하는 성격 때문에 여성 레이서들은 물론이고 남성 레이서들 사이에서도 레이서들의 동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여담으로 12패성이 0 이후로 사실상 공기나 다름 없는(...) 비중을 자랑하는 지라 이후로는 13귀장 소속으로 더 많이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3.14. 우울한 천사

엠블럼 파일:MelancholicAngel.jpg
닉네임 우울한 천사
ユウウツな天使
Melancholic Angel
이름 쿠로에 세츠코 (黒江 世津子)
출연작 2, 0, 01, 포터블, X
탑승 차량 마쯔다 RX-8 타입 S (SE3P) '03[33]
등장 코스 C1 내선
위의 배신의 잭나이프, 블러드하운드와 함께 前 13귀장 출신 레이서. 2장의 보스로 등장하며 얼리 엑세스 빌드의 최종보스인 12시가 지난 신데렐라를 상대하기 위한 마지막 수문장에 가까운 역할이다.

얼리 엑세스 출시 시점 기준으로 최대최흉의 보스이자 올드팬 뉴비팬 안 가리고 피를 토하게 만드는 통곡의 벽이'었는'데, 분명 차량은 중간 티어 수준인 RX-8임에도 엄청나게 빠른 가속과 그립력을 보여주며 유저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다. 오죽하면 진짜 최종 보스인 신데렐라보다 더 어렵다는 유저들이 속출할 정도[34]. 상대하는 시점에서 해금할 수 있는 가장 스펙이 높은 차량인 RX-8을 타고 소프트 타이어를 끼우고 나가도 승리를 보장하기가 힘들 정도라 난이도가 잘못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원래 시리즈 대대로 진행 대비 난이도가 높은 라이벌로 유명했지만 그래도 파훼법이 어느 정도는 있었던 데 반해[35], 본작에서는 파훼법이 거의 없고 그냥 트래픽이나 분기점에서 박기만 바라는 기도메타의 비중이 높아서 전작의 흉악한 난이도를 직접 겪어본 올드 팬들 사이에서도 성능을 깎거나 하다못해 일부 고성능 차량의 해금 시기를 앞당기는 식으로 너프가 시급하다는 요청이 많을 정도[36].
일단 발매 1주일이 지난 현재 유저들의 수많은 희생 끝에(...) 그나마 정공법으로 상대하기 쉬운 조건이 나왔는데 바로 급코너 진입 직전에 승부를 거는 것. 상대하는 코스인 C1 내선에서 만나자마자 배틀을 걸지 말고 하마자키바시 JCT[37]나 에도바시 JCT[38]까지 끌고 간 다음 코너로 들어가기 '직전'에 하이빔을 쏴서 배틀을 신청한다. 이후 배틀이 시작하자마자 바로 니트로를 써서 최대한 따라붙으면 얼마 안 가서 90도 코너로 진입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천사의 가장 큰 강점이었던 가속 보정이 크게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빈틈을 노려 추월하거나 최대한 따라붙을 수 있고, 만약 추월하지 못했다고 해도 코너 탈출 이후 나오는 연속 슬라럼에서 AI가 100% 확률로 속도를 줄이기 때문에 이전에 실수로 트래픽에 박거나 해서 떨어지지 않았다면 높은 확률로 추월할 수 있다. 당연히 최종보스 직전에 상대하는 보스인 만큼 해금할 수 있는 부품은 전부 언락하고 돈을 쏟아부어서 풀튜닝하는 준비는 필수. 애초에 그러지 않으면 신데렐라도 못 깬다.
결국 제작진들도 난이도가 지나치다는 걸 느꼈는지 1월 31일 0.10.2 패치로 난이도가 대폭 하향되었다. 이제 직선에서 니트로만 잘 써주면 트래픽에 박기를 기도할 필요 없이 정공법으로 승부해도 쉽게 격파할 수 있는 수준. 물론 후반부의 보스인 만큼 차를 넉넉하게 튜닝해두는 것은 필수이며, 재도전 시에는 신데렐라처럼 오오라를 두른 상태로 나타나는데 이때는 패치 이전의 그 흉악하기 짝이 없는 난이도를 직접 체감해 볼 수 있다. 2번째로 격파하면 우울한 천사의 커스텀 카를 구매할 수 있다.
설정에 따르면 평소에는 이름에 걸맞게 항상 무기력하고 우울한 분위기를 풍기는 여자지만 운전석에 앉아서 핸들만 잡으면 돌변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마음에 드는 사람이 있으면 옆자리에 앉아서 같이 드라이브하자고 권유하는 습관이 있지만 저 놈의 성격 때문인지 기껏 탔다가 그녀의 본 모습을 보고 기겁해서 도망친 남자들이 한 둘이 아니라는 듯. 격파 후 나오는 컷씬에서도 주인공에게 흥미를 느끼며 옆자리에 태우려고 하지만 이미 그녀에게 당한 수많은 희생자들을 봐왔던(...) 블러드하운드가 넌지시 말리는 바람에 무산된다. 별명이 괜히 붙여진 게 아니라는 듯 말하는 내내 뭔가 무기력하면서 뜬구름 잡는 듯한 말을 하는지라 그나마 옛 동료의 정이 남아있는 블러드하운드가 그냥 평소에도 저런 사람이라고 해명해주는 게 포인트. 의외로 블러드하운드와는 다르게 예전 13귀장 시절에 대해서는 그닥 큰 애착은 남아있지 않은 듯 한데, 프로필에서도 대놓고 신제를 전설적인 존재로 추앙하는 드라이버들을 보고 '과도한 숭배는 잘못된 전설을 만든다'며 경고한다는 듯한 암시를 주며, 블러드하운드와의 이벤트 씬에서도 13귀장을 '길거리 레이서들이 만들어낸 덧없고 허망했던 환상'이라며 옛 동료였던 신제를 '수도고의 광기가 만들어낸 전설'이라고 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3.15. 12시가 지난 신데렐라

엠블럼 파일:12oclockCinderella.jpg
닉네임 12시가 지난 신데렐라
12時過ぎのシンデレラ
Cinderella Past Midnight
이름 하야시바라 미츠에 (林原 美津江)
출연작 1, 2, 0, 01, 포터블, X
탑승 차량 마쓰다 RX-8 타입 S (SE3P) '03
등장 코스 C1 내선
발매 전 트위터를 통해 등장이 확정된 최초의 라이벌이자 얼리 엑세스 판의 최종 보스. 무려 드림캐스트판으로 출시된 수도고 배틀부터 단 한 번의 불참 없이 개근했을 정도로 근본 그 자체의 라이벌로, 1편에서는 최종 보스인 4천왕의 멤버로 등장했으며 2부터 포터블 까지는 원더러로, X에서는 1부 심야 시간대의 보스로 등장하는 등 시리즈 내내 단 한 번도 강자의 포지션에 내려온 적이 없는 실력파 드라이버다. 본작에서도 이러한 이미지를 반영한 것인지 얼리 엑세스 판의 최종 보스를 장식했으며, 보스전 OST 역시 다른 보스들이 쓰는 OST인 Volcano Remix가 아니라 01 시절의 최종보스 OST였던 Battle of the Empire가 나온다. 또한 현재 오오라 이펙트가 있는 단 셋 뿐인 라이벌이기도 하다[39].

포지션은 최종 보스고 실제로 난이도도 객관적으로 보면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문제는 바로 전에 나오는 우울한 천사가 악랄하기 그지 없는 난이도를 자랑하는 바람에 오히려 악깡버로 우울한 천사를 격파한 유저들 입장에선 오히려 더 쉽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게 문제. 일단 마력 자체는 우울한 천사보다 더 높긴 하지만 그 악명높은 초반 가속 보정이 천사보다는 덜한 데다가 무엇보다 천사를 격파했을 정도면 이미 최적 셋팅이나 전략을 다 맞춰놓았을 텐데 그게 신데렐라한테 그대로 먹힌다(...). 물론 삐끗해서 실수했다간 그대로 광속으로 튀어나가서 1패를 헌납해주는 건 여전하니 조심해야 하는 건 똑같다. 애초에 최종보스다.
설정에 따르면 미국 출신의 귀국자녀로, 미국의 레이싱 판에서 배운 와일드한 주행과 아름다운 외모 덕택에 수도고 레이서들 사이에서도 굉장한 인기를 자랑한다고 한다. 문제는 본인은 레이싱에 열중하느라 + 어린 시절에 심취했던 동화책 처럼 운명의 왕자님이 올 거라는 기대만 품고 있다가 혼기를 놓쳐버렸다는 안습한 배경이 있다고(...)X 시절에 아라사라는 언급이 있었는데 이번 작은 거기서부터 4년 지났으니 아마.... 더군다나 X에서의 프로필에 따르면 특유의 직설적인 성격 때문에 여자 드라이버들 사이에선 카리스마적인 존재로 추앙받으며 어마어마한 인기를 자랑하지만 정작 남자 드라이버들은 이성으로 보는 경우가 없다고 한다.
본작에서는 의외로 게임 시작부터 등장하는데, 라이벌로서는 아니고 튜토리얼에서 챌린저스 팀원을 이긴 후 막 PA에서 첫 승리의 감격을 맛보던 주인공을 찾아온다. 주인공의 첫 번째 배틀을 보고 무언가 '번뜩임'을 느끼고 찾아왔다고 밝히며, 레이서로서 중요한 것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달리는 이유'를 찾는 것는 나름 심오한 말과 함께 수도고에서 레이서들과의 교류를 통해 답을 찾으면 알려달라는 말을 하고 떠난다. 이후 우울한 천사를 격파한 주인공에게 다시 나타나 성장한 주인공의 모습을 보고 전설에 도전할 자격이 있다고 칭찬하며, 지금까지의 배틀을 통해 자기가 말한 '달리는 이유'를 찾았기를 빈다며 승부를 요청한다. 프로필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수도고 레이서들이 서로 원한 관계로 인해 복수혈전을 이어나가고 있는 것을 보고 괴로워했다고 하며[40], 주인공에게 레이서들과의 교류와 달리는 이유를 찾는 걸 강조한 것도 이러한 배경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원더러

모든 원더러들은 롤링 마스터, 영원의 폴라리스, 붉은 아이를 격파하고 나머지 코스들이 전부 해금되어야 출현한다.

특정 번호판을 장착해야 상대할 수 있는 라이벌들은 차고의 COLLECTION → NUMBER PLATE 메뉴에서 무료로 번호판을 바꿀 수 있다. 괜히 원더러 하나 상대하겠다고 차 하나 더 산다고 고생하지 말자(...).

4.1. 불사신의 어릿광대

엠블럼 파일:ImmortalClown.jpg
닉네임 불사신의 어릿광대
不死身の道化師
IMMORTAL CLOWN
이름 타카야나기 마사후미 (高柳 真史)
출연작 0, 01, 포터블, X
탑승 차량 토요타 bB Z X 버전 (NCP31) '03
등장 코스 C1 내선
필요 조건 'Roadnaut' 멤버를 전부 격파
토요타 bB Z X Version(NCP31)을 타고 배틀 신청

4.2. 마스터 포지션

엠블럼 파일:마스터포지션.png
닉네임 마스터 포지션
マスターポジション
MASTER POSITION
이름 오노다 유미 (小野田 裕巳)
출연작 2, 0, 01, 포터블, X
탑승 차량 닛산 페어레이디 Z 버전 ST (Z33) '05
등장 코스 C1 외곽선
필요 조건 'CAT x CAT' 멤버를 전부 격파

4.3. 사일런트 바바리안

엠블럼
닉네임 사일런트 바바리안
サイレントバーバリアン
SILENT BARBARIAN
이름 구시켄 료 (具志堅 亮)
출연작 2, 0, PSP, X
탑승 차량 토요타 마크 X 350RDS (GRX133) '16
등장 코스 하코자키 PA
필요 조건 차고에 2대 이상의 차량을 소지함
토요타 마크 X 350RDS(GRX133)를 타고 배틀 신청

4.4. 초록의 야생아

엠블럼
닉네임 초록의 야생아
緑の野生児
GREEN WILD CHILD
이름 테라니시 후사오 (寺西 房夫)
출연작 2, 0, 01, 포터블, X
탑승 차량 마쓰다 RX-8 타입 S (SE3P) '03
등장 코스 시바우라 PA
필요 조건 토요일, 일요일에만 등장
나니와(なにわ)[41] 지역 번호판을 단 차로 배틀 신청
2에서 첫 출연한 이후로 개근한 아오모리현 출신의 라이벌. 난이도 자체는 시리즈 대대로 크게 어렵지는 않은 라이벌이었던 만큼 이번 작에서도 원더러임에도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붙게 되는 코스도 AI들이 자주 실수를 저지르는 걸로 유명한 긴자 분기점 인근을 지나가기 때문에 같이 처박지만 않는다면 날로 먹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다소 특이한 점이라면 본작을 포함해서 시리즈 내내 나니와(なにわ) 지역 번호판을 단 차로만 배틀을 신청해야 받아준다는 조건이 있었는데, 사실 이건 좀 골때리는 설정이 있다.

4.5. 폭풍의 스트리머

엠블럼
닉네임
이름 아라시마 아카시
출연작
탑승 차량 180SX TYPEX SUPER HICAS (KRPS13) '96
등장 코스 하코자키 PA
필요 조건 토요일, 일요일에만 등장

토목업자였다가 영업부로 이직했고 그 덕택에 가족과 함께 있는 시간이 늘었다고. 극단적으로 차고를 낮게 세팅한 것이 특징으로, 예전에는 현장직이라서 비 오는 날에 쉬다보니 젖은 노면에서 좋은 실력을 보여줬지만 영업부로 이직한 이후에는 주말에 쉬기 때문에 마른 노면에서도 제 실력을 발휘하고 있다.

4.6. 개러지 하루오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드라이버 레벨 10 이상 달성
니트로 시스템을 장착하지 않은 차로 배틀 신청

4.7. 시모키타자와 2000cc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180SX TYPE X w/SUPER HICAS(KRPS13)를 타고 배틀 신청

4.8. 세토이치의 면 장인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카가와(香川)[42] 지역 번호판을 단 차로 배틀 신청

4.9. 데빌 로드 런

엠블럼 파일:devilRR.jpg
닉네임 데빌 로드 런
デビルロードラン
Devil Road Run
이름 미도리노 마오
출연작 없음 (신규 참전)
탑승 차량 스즈키 카푸치노
등장 코스 C1 내선
필요 조건 총 주행거리 666km(414마일) 이상 달성
이번 작의 신규 라이벌. 본작 공개 전 겐키가 스팀에 출시한 퍼즐 게임 Devil Road Run!의 마스코트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다. 일종의 콜라보도 겸하고 있는 건지 차와 엠블럼에도 대놓고 해당 작품의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데다가 라이벌 PA에서 만날 때에 나오는 실루엣에도 모티브가 된 게임의 제목이 박혀있는 티셔츠를 입고 있는 등 컨셉이 확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경스포츠카인 헤이세이ABC에 속하는 카푸치노라 별 거 아닌거 같아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빠르니 주의.
"데모닉 퀸"으로 스스로를 자칭한다는 점이나 무모한 운전으로 일부 정의의 팀[43]이 참교육을 해주겠다고 벼르고 있다는 내용 때문에 살벌한 여왕님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 게임의 대표 개그 캐릭터 중 하나. DB에 나오는 배경 설정을 보면 대책 없이 용돈을 외장 튜닝에 쏟아붓는 바람에 돈에 쪼들리는 게 일상이라고 하며, '데모닉 익스트림 레이서'[44]로서 수도고의 정점에 올라 '마계 배틀'의 영향력을 수도고 전역에 퍼뜨리겠다고 하지만 그 마계 배틀이 뭔지는 본인 빼고 아무도 모른다고 하는 등 그야말로 허당 그 자체. PA에서 만나서 대화할 때도 주인공이 자신의 차에 관심을 가지자 용돈을 전부 때려박았다고 자랑스럽게(...) 말하거나 배틀에서 지는 바람에 돈이 없다고 주인공에게 구걸하는 등 처절한 모습을 보여준다. 주변 NPC들의 반응도 마왕님은 커녕 그냥 특이한 여자애 취급을 받는 등 날고 기는 컨셉러들이 날뛰는 본작에서도 독보적인 개성을 자랑하는지라 인기가 많다.

4.10. 외로운 니힐리스트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만 등장

4.11. 요코하마의 백표

엠블럼 파일:ObessedWhitePanther.jpg
닉네임 요코하마의 백표[45]
ハマの白豹
White Leopard of Yokohama
이름 우츠미 타쿠야 (内海 卓也)
출연작 2, 0, 01
탑승 차량 마쓰다 3 패스트백 20s 레트로 스포츠 에디션 (BPFJ3R) '23
등장 코스 C1 외곽선
필요 조건 하루에 10연승 달성[46]
수도고 배틀 01 이후로 22년 만에 복귀한 라이벌. 위에 적힌 꼼수만 안다면 2장에 진입하자마자 바로 해금해서 만날 수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처음으로 승부하는 원더러가 될 수도 있다. 난이도 자체는 다른 원더러에 비하면 낮은 편이지만 엄연히 원더러인 만큼 차량 업그레이드가 잘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만 보고 방심했다간 큰 코 다치기 쉬우니 주의.
원래는 수도고에서도 굉장히 과격하고 호전적인 주행으로 악명 높은 레이서였지만, 결혼을 하고 가정이 생기면서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생겼는지 안전하게 달리는 주행을 선호하는 쪽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시리즈 내내 토요타 MR-2(SW20)를 타고 다니던 전작과는 다르게 이번 작에서는 핫해치인 마쓰다 3로 차량을 바꿨는데, 배경 설정에 따르면 사실 아내에게 야근한다고 뻥을 치면서 몰래 수도고를 달렸지만[47] 하필 차량 트러블 때문에 늦게 귀가한 날 아들이 잠결에 자기가 수도고에서 달리고 있다는 걸 폭로해버린 바람에(...) 가족들에게 사실을 밝혀야 했다고 한다. 다행히도 마음 넓게도 아내가 이해해주면서 정식으로 수도고에 가는 걸 허락받게 되자 새로운 마음가짐을 가지게 됐다는 의미에서 차를 바꾸게 된 것이라고 한다. 다만 허락을 받았음에도 가족들과의 시간을 더 소중하게 여기게 된 지라 수도고에 올라오는 비중은 예전과 비교해서 크게 늘지는 않았다는 듯.
얼리 엑세스 출시 후의 유저들 사이에서의 평가는 그야말로 아낌없이 주는 돼지님이자 수도고의 불릿 킹. 원더러 등장 조건도 10연승 달성 후 출현이라는 매우 쉬운 조건인 데다가 등장 코스도 비교적 쉬운 C1이고 난이도도 차를 조금만 업그레이드하면 쉽게 깰 수 있는데 보상은 격파 후 재도전 시 기껏해야 1만 CP부터 시작하는 다른 라이벌들에 비해 시작부터 6만, 연승 스택을 쌓을 경우 10만 CP를 줄 정도라 위의 화이트 레볼루션과 함께 유저들 사이에서 앵벌이 대상으로 등극했다. BP를 최대한 때려박아 지갑 한도를 늘리고 하드 타이어를 끼운 다음 가장 가까운 하코자키 PA[48]에서 타이어를 갈아끼우면서 재빠른 돼지를 연속으로 이기며 자금을 마련하는 일명 돼지런은 이미 유저들 사이에서 국룰로 자리잡았다. 심하면 아예 50승을 전부 돼지로 채워버린 인증샷까지 나올 정도(...)애까지 있는 유부남한테 무슨 짓이야.

4.12. 나폴리의 바람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총 주행거리 100km(63마일) 이상 달성
스즈키 알토 웍스(HA36S)를 타고 배틀 신청

4.13. 퍼펙트 레볼루션[49]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하코자키 PA[50]를 3번 이상 방문

4.14. 딴죽[51] 브레이커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에어로(AERO) 메뉴에서 네온을 장착한 차량으로 배틀 신청

4.15. 쇼난 어페어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로터리 엔진 차량[52]을 타고 배틀 신청

4.16. 제트 스케이터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토요일, 일요일에만 등장
'스트롱 포메이션' 멤버를 전부 격파

4.17. 테크니션 오노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총 주행거리 100km(63마일) 이상 달성
FR 구동계 차량을 타고 배틀 신청

4.18. 언밸런스 이시이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에어로 부품을 장착하지 않은 차로 배틀 신청

4.19. 라스트 플라이트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튜닝을 하지 않은 순정 차량으로 배틀 신청

4.20. 비극의 마터호른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페어레이디 Z Version ST(Z33)을 타고 배틀 신청

4.21. 초조한 아가씨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총 주행거리 2000km(1243마일) 이상 달성

4.22. 묻지마[53] 갬블러

엠블럼
닉네임
이름
출연작
탑승 차량
등장 코스
필요 조건 총 획득한 CP가 77,777,777CP 이상 달성[54]

5. 미등장 라이벌

얼리 엑세스 시점에서는 아직 라이벌로 등장하지 않았지만, NPC로 등장하거나 NPC들의 대사로 참전 떡밥이 있는 캐릭터들을 서술한다.
  • 불굴의 알렉산더#
    발매 전 트위터로 참전이 예고되었던 전작 출신 원더러. 별명의 유래는 위대한 알렉산더 대왕처럼 수도고를 제패하겠다는 일념으로 지은 것이라고 한다. 무려 주행거리 3000km[55]를 한 번의 휴식 없이 달렸다는 전설이 있는 드라이버.
  • TOKIO JUNGLE#
    발매 전 트위터로 참전이 예고되었던 전작 출신 팀. 포터블을 제외하고 개근한 라이벌 팀으로, 차를 좋아하는 동호인들끼리 모여서 만들어진 만큼 차종도 구동계도 전부 제각각이지만 전체적인 실력 수준은 높고 내부 분위기도 친목팀 성향이 강해서 팀원들과의 사이도 좋다고 한다보고있나 디파쳐스. 리더인 이오나 미츠루(이오)는 원래 튜닝 샵의 전속 테스트 드라이버로, 원래는 잠시만 운영하고 해체할 생각이었지만 정작 최신작인 X 시점에선 결혼해서 애아빠까지 된 상황임에도 후계자를 못 찾아서 은퇴를 못 하고 있다고(...). 팀 내부 규정은 드리프트 금지 딱 하나 밖에 없다고 하는데, 정작 리더인 이오는 드리프트 실력이 매우 좋다는 증언이 많아서 왜 이런 규정이 있는지는 미스테리라고 한다.
  • 변덕스러운 잔 다르크
    X에서 Be Legend의 멤버로 등장했던 라이벌. 그 정체는 前 12패성 멤버 중 하나이자 1편부터 등장했던 보스인 '익조스트 이브(エキゾースト イブ, 본명 모리야마 치나츠)'. 2장 시작 시 헤이와지마 PA(하행)에서 만날 수 있으며, 소속팀인 Be Legend와 함께 복귀 떡밥을 날린다.
  • 백은의 귀공자
    전작에서 팀 리더 & 보스로 등장했던 라이벌. 포터블 시점 까지는 로터리 엔진 원 메이크 팀이었던 R.R.의 리더였으며, X 시점에서는 R.R.이 팬텀 9에 공격당해 해체당한지라 C1의 보스로 등장한다. 금수저 도련님 출신이라는 설정이라던가 데이터를 쌓아 완성한 완벽한 주행 운운하는 걸 보면 이쪽은 어딘가의 하얀 유성의 패러디. 2장 시작 시 헤이와지마 PA(하행)에서 만날 수 있다.
  • 스네이크 아이즈
    X 스토리 1부의 최종 보스이자 팬텀 9의 리더. 스토리에서의 언급에 따르면 4년 전에 팬텀 9을 결성하여 수많은 팀들을 공격하고 다녔으나, 어느 한 레이서(= 수도고 배틀 X의 주인공)에게 패배한 이후 팬텀 9을 해체하고 잠적했다고 한다. 2장에서 하코자키 PA에서 만날 수 있는 NPC를 통해 팬텀 9이 재결성 되었으며 스네이크 아이즈가 복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는 소식을 들을 수 있다.
  • 신제[56]
    시리즈 전통의 최종보스. 작중에서는 수도고의 전설이나 다름 없는 인물인 만큼그런 거 치곤 주인공들에게 매번 깨진 것 같지만 블러드하운드, 우울한 천사 등 과거 13귀장 시절 동료들 뿐만 아니라 PA에서 만날 수 있는 NPC들도 전설적인 존재로 언급하는 등 그 영향력은 아직도 무지막지하다. 이후 2장에서 헤이와지마 PA(하행)에서 만날 수 있는 NPC가 신제로 보이는 레이서가 수도고 레이서들을 차례로 격파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다.

[스포일러] 유저들의 데이터마이닝 결과 붉은 악마, 스네이크 아이즈, 하얀 카리스마, 신제의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2] 대표적으로 팀 리더. 아직 격파하지 않은 멤버는 둘 남았는데 하나는 선택할 수 없고 나머지 하나는 선택할 수 있으면 100% 이 케이스다.[3] 극초반 챕터의 보스들인 롤링 마스터, 이터널 폴라리스, 붉은 아이를 격파하고 나오는 이벤트 씬에서 수도고 배틀 X의 최종 보스 팀이었던 팬텀 9이 4년 전에 해체되었다는 언급이 나온다.[4] 물론 말 그대로 면피용 설정이다. 아예 작정하고 공도 레이싱이라는 설정을 넣으면 자사 차량의 이미지 하락을 우려해서 아예 라이센스 허가를 내주지 않는 자동차 회사들이 꽤 있기 때문. 대표적인 회사가 혼다로, 같은 제작사의 형제작이라 할 수 있는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시리즈에서는 5DX+까지 혼다 차량이 아예 등장조차 하지 못했으며, 수도고 배틀 시리즈 역시 정식 라이센스를 획득한 01 이후로는 연속으로 혼다 차량의 출현이 불발되었다가 혼다의 방침이 많이 유해진 이번 작에서도 출시 며칠 전에야 뒤늦게 라이센스를 따냈을 정도다. 또한 토요타 역시 과거 비슷한 정책을 실행했다가 팬들의 반발로 철회한 적이 있다.[5] 이니셜D 같은 중저속 코너가 많은 고갯길에서는 무게도 가볍고 반응속도도 경쾌한 AE86이 나름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수도고속도로 같이 직선 & 중고속 코너가 많은 곳에서는 당연히 코너링보다는 압도적인 파워를 낼 수 있는 차량들에 밀려나갈 수 밖에 없었다. 실제 8~90년대 수도고속도로 폭주족들 사이에서도 선호 받던 차량은 부족한 파워를 경량화로 때우던 AE86이나 실비아 같은 차량이 아니라, 닛산 스카이라인 GT-R이나 토요타 수프라, 포르쉐 911 같은 마력 뻥튀기로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출력 대배기량 엔진을 장착한 차량들이었다. 작중에서도 등장하는 체이서나 크라운 같은 대형 세단들이 수도고 레이싱용으로 인기가 있었던 것도 대배기량 엔진을 장착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6] 특히 스타팅 차량으로 AE86을 선택했다면 남은 금액으로 전부 튜닝을 해도 돈이 남는다. 로드스터나 스위프트 스포츠는 돈을 모아야 하긴 하지만 이쪽은 반대로 차량 깡성능이 높은 편이라 마찬가지로 엔진 개조만 좀 해주면 무난하게 깰 수 있다.[7] 파죽지세 할 때의 그 파죽[8] 원문은 鬼盛れ[9] 집안에서 귀한 대접을 받으며 자란 여자아이를 뜻하는 일본 표현이다.[10] 타고 나오는 차의 도색이나 지붕의 장식을 보았을때 모티브는 당연히 이 분.[11] 원문은 부치아게(ブチアゲ).[12] 팀명의 유래는 멤버들의 성인 미사와(Misawa), 오타키(Otaki), 에모리(Emori)의 앞 글자를 따와서 만들었다는 겁나게 설득력 없는 주장을 한다.[13] 여담으로 이 캐릭터는 사실....[14] 팀 자체가 X부터 나와서 모르는 사람들이 있는데, 의외로 드림캐스트판 2편부터 참전한 고참 라이벌이다. 포터블까지는 글래머러스 마미(グラマラスマミ)라는 이름의 원더러로 출현.[15] 똑같이 공도 레이싱 하는 놈들이 뭔 소리냐...라고 반문할 수도 있지만, 의외로 시리즈 설정상 게임 속의 수도고는 현실의 그 수도고를 폐쇄하고 안전장치를 보강해서 만든 일종의 도심 서킷이라는 설정이다. 즉 커맨더를 비롯한 대다수의 레이서들은 의외로 불법 레이싱을 하고 있는 건 아닌 셈. 사실 현실의 공공도로에 보여주기식 설정을 붙이고 스폰서 광고판 같은 장식을 붙인 다음에 '공도가 아니라 서킷이다'라고 우기는(...) 건 일본산 공도 레이싱 게임에서 흔히 쓰는 꼼수이기도 하다.[16] 단 로터리 엔진 라인업만 있는 Twister와 다르게 이쪽은 일반 직렬 엔진 모델인 마쯔다 3도 있다.[17] 롤링 가이즈 1호로서[18] 롤링 마스터로서[19] 1차전 사양과 2차전 사양이 따로 있다. 라이벌 DB에서도 아예 별개의 코드로 지정되어 있다. 여담으로 발매 당시에 1차전에서 타고 나온 차량은 세타가야(世田谷) 지역 번호판을, 2차전에서 타고 나온 차량은 기후(岐阜) 지역 번호판을 달고 나와 서로 다른 인물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었지만, 1월 31일 자 패치로 둘 다 세타가야 번호판을 달고 나오도록 수정되면서 그냥 단순히 실수로 드러났다(...).[20] 처음 그녀를 언급하는 룰렛 가이즈 1호가 주인공을 보고 '너와 같은 재능을 가진 신인이 있다'라고 말하는 점이나, PA의 NPC들이 수도고의 신인들을 언급할 때 주인공과 같이 언급되는 걸 보면 주인공하고 비슷한 시기에 올라온 것으로 보인다.[21] 작중 등장하는 보스들이 배경설정이나 대사로나 꾸준히 주인공을 비롯한 신세대 드라이버들을 시험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걸 보면 주인공과 함께 수도고의 세대교체를 이룩할 신세대 드라이버들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보인다. 현재 얼리 엑세스 시점에서 NPC들의 대사를 통해 전작의 최종보스였던 팬텀 9의 리더 스네이크 아이즈와 13귀장의 리더 신제의 복귀가 예고되었기에 이후의 스토리는 13귀장과 팬텀 9을 필두로 한 구세대 드라이버들 vs 주인공과 폴라리스를 필두로 한 신세대 드라이버들의 구도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22] 180SX나 86 GT, BRZ를 추천하는 경우가 많다. 셋 다 100마력대 초중반을 찍는 스타트 3인방 차량들과는 달리 순정 상태에서도 200마력을 넘기 때문.[23] 차가 여러번 바뀌어서 BRZ를 타고 나와도 별 말이 없던 잭나이프와 달리 시리즈 내내 럭셔리 세단인 아리스토로 굉장한 전투력을 보여줬던 걸로 유명했던 라이벌이라 경량 쿠페로 바꿔버린 것에 아쉬워하는 팬들의 반응이 많다. 차라리 트래픽으로 등장하는 크라운이나 같은 체급의 스포츠 세단이었던 마크 X를 타고 나오는 게 낫지 않았을까 하는 반응도 있을 정도. 하필 이후 공개된 트레일러로 크라운과 마크 X, 심지어 체이서도 참전한 것이 확정되자 더욱 아쉬워하는 반응이 많다. 특히 마크 X는 사실상 아리스토의 후속 취급을 받는다는 걸 생각하면 더더욱.[24] 격파 후 구매할 수 있는 커스텀 카의 스펙을 보면 순정 BRZ에 달리는 수평대향 4기통 자연흡기 엔진을 달아놓은 잭나이프와 다르게 이쪽은 3000cc 직렬 6기통 터보 엔진이 달려있다. 230마력에 최대 RPM이 6000RPM이라는 점을 보았을 때 과거 자신이 타고 다니던 아리스토의 2JZ-GTE 엔진을 스왑한 것으로 보인다.[25] 실제로 전작인 X에서는 신제가 레이싱을 그만둘 정도의 극심한 슬럼프를 겪자 12시가 지난 신데렐라, 백은의 귀공자와 함께 신제의 복귀를 도와준 3명의 드라이버 중 하나였는데, 이때도 주인공에게 다른 레이서들도 몰랐던 신제의 개인 사정을 넌지시 알려주는 등 단순한 동료 관계가 아니라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26] 이때 들려주는 이야기는 0부터 X 까지의 스토리를 요약한 것이다. 신제와 함께 13귀장을 창설하고 12패성과 맞섰던 이야기(0), 나고야와 한신에서 몰려온 레이서들을 상대하고(01) 신제가 좌절하여 레이싱을 그만두기 직전 까지 갔던 시절(X)까지 전부 전작의 주요 스토리 내용이다. 재밌는 점은 본인들에게 부끄러운 기억이었을 0하고 01 시절에 전작 주인공들에게 같이 털렸다는 것도 언급해준다(...).[데이터마이닝2] 결과 시빅 EK9으로의 차량 변경이 예정되어 있다.[28] '대기만성 전사'로도 해석될 수 있다.[29] 프로필에 따르면 차를 튜닝하는 만큼 도색이나 스티커로 장식하는 것도 좋아한다고 한다.[30] 본인 닉네임의 유래이기도 한 속담 '티끌 모아 태산(塵積って山となる)'을 가타카나로 음차한 것이다.[31] 이 캐릭터가 공개되기 전까지만 해도 지금까지 트레일러에서 닛산 차량을 타고 다니는 라이벌들이 나오긴 커녕 우울한 천사나 배신의 잭나이프 같이 기존에 닛산 차를 타던 라이벌들도 다른 제조사로 갈아타는 모습을 보여줘서 팬들 사이에서 과거 X 시절 닛산 차량을 보스 차량으로 내놓지 말라던 닛산의 클레임이 아직도 유효한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었는데, 미드나이트 로즈가 Z34를 타고 나오면서 오해였을 뿐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블러드 하운드 급은 아니지만 게임 내에 GTO가 등장함에도 차를 바꾼 건 좀 아쉽다는 반응도 있는 편.[데이터마이닝] 결과 RZ34로의 차량 변경이 예정되어 있다.[33] 최신작에서 몰고 나오는 RX-8에 대해 후술할 블러드 하운드나 미드나이트 로즈 이상으로 구설수가 있었다. 차량 자체는 소개문에 맞게 FR이고 X서도 몰고 나온 적이 있는지라 아예 이해를 못 해주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전작(+콜라보 작)들의 행보와 활약을 통해 「우울한 천사=S15」란 이미지가 강하게 박혀 있는 지라, 트레일러가 공개되고서 아쉬워하는 반응이 반 이상을 차지했을 정도. 사실 일본 내에서 RX-8가 타 JDM에 비해 '여자들이나 타고 다니는 차', '돈 없는 로터리 매니아들 위한 차' 소리 들을 정도로 비교적 저렴한 이미지인 것도 한몫 했다.[34] 사실 둘의 커스텀 카의 스펙을 비교해보면 우울한 천사는 397마력, 신데렐라는 450마력이라 신데렐라의 차량 스펙이 더 높지만, 우울한 천사 특유의 초반 가속 보정이 너무나도 강해서 후반 최고속도로 승부해보기도 전에 저 앞으로 나가버리고 패배하는 일이 속출한다는 게 문제.[35] 0에서는 LPS 시스템을 이용해서 주행거리 노가다를 하면 고성능 부품이 언락되어 이걸 달고 가는 방법도 있었고, 01에서는 대표적인 AI 날먹 포인트(...)인 긴자 중앙분리대에 들이박기를 유도하거나 아예 나고야나 한신을 먼저 클리어해 고성능 차량들을 해금하고 오는 방법도 있었다. X에서는 아예 플레이어도 고성능 차량과 부품을 모두 장착했을 후반부에 등장하는 보스여서 정공법으로 상대해도 크게 어렵진 않았다.[36] 사실 출시 전 공개된 게임플레이 트레일러에서도 신데렐라를 깨야 나오는 RX-7 FD로 우울한 천사와 승부하는 장면이 나왔던 걸 보면 원래 제작진이 기획한 본작의 우울한 천사는 초중반부가 아니라 고성능 차량을 타고 상대하는 후반부 보스가 아니었냐는 추측도 있다. 물론 해당 추측을 하는 유저들도 현재 시점에서 우울한 천사의 난이도는 너무 심하다는 점은 동의하는 중.[37] C1 오른쪽 아래에 있는 신순환 우회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분기점[38] 맵 최북단에 있는 신순환 좌회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분기점[39] 나머지 둘은 원더러인 묻지마 갬블러와 우울한 천사 2차전이다.둘 다 난이도 하난 악랄한 것도 똑같다[40] X 시절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X의 스토리도 과거 신제에게 패배한 이후 복수심에 불타며 미국으로 떠난 스네이크 아이즈가 신제에게 복수하겠답시고 팬텀 9을 결성해 수도고에서 깽판을 쳐댔고, 그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팀이 해체된 수많은 수도고 레이서들이 스네이크 아이즈와 팬텀 9에게 복수를 외치며 싸우는 내용이었기 때문.[41] 번호판 지역 선택 메뉴에서 오사카부(大阪府) 지역 선택 시 나온다.[42] 번호판 지역 선택 메뉴에서 카가와현(香川県) 지역 선택 시 나온다.[43] 역대 등장 팀들 중에서 불량 드라이버 응징을 모토로 내세운 두 팀인 COMMANDER와 The Road of Justice 둘 중 하나로 추정. 현재는 전자만 등장한 상황이다.[44] 본작의 영문판 제목인 도쿄 익스트림 레이서(Toyko Xtreme Racer)의 패러디[45] 한글화되어 국내에 정발된 01에서는 '재빠른 돼지'로 번역되었다. 엄밀히 따지자면 오역이지만 유일하게 정발된 작품인 만큼 국내 팬들 사이에서는 이 이름으로 불리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46] 굳이 라이벌들 외에도 트래픽 AI만 10연속으로 잡아족쳐도 된다. 트럭이나 미니밴, 경차 같은 만만한 차들 위주로 10연승을 찍으면 2장 해금하자마자 바로 출현 조건을 만족 가능하다물론 택시 건드리는 실수는 저지르지 말고.[47] 그래서 그런지 전작에서 나올 때는 며칠에 한 번 씩만 나온다는 조건이 붙었다.[48] 맵 최북단인 에도바시 JCT에서 무코지마선 방향으로 빠져나갈 경우 바로 나온다. 이후 무코지마 상행선(Upbound) 방향으로 빠져나오면 바로 다시 C1으로 돌아올 수 있다.[49] 0.10.2 패치 전의 이름은 화이트 레볼루션(ホワイトレボリューション/White Revolution)이었다. 전작에서도 이 이름으로 나와서 갑자기 이름이 바뀐 이유는 불명.[50] 신순환선 왼쪽 위 에도바시 JCT 근처에 있다.[51] 원문은 츳코미(ツッコミ)[52] 마쯔다 RX-8(SE3P), 마쯔다 RX-7 INFINITI III(FC3S), 마쯔다 RX-7 Type RZ(FD3S)[53] 원문은 츠지기리(辻斬り)[54] 현재 소지금이 아니라 누계 획득량이라는 점에 주의. GARAGE 메뉴의 JOURNAL 항목에서 Total CP로 표시되는 그 금액이다. 얘 하나 상대하겠다고 튜닝도 거를 정도로 무조건 악착같이 모아야 할 필요는 없으니 마음껏 쓰자.[55] 일본의 대표적인 내구 레이스인 슈퍼 다이큐의 평균 주행거리가 3500km다. 보통 내구 레이스는 드라이버 2~3명이 서로 교체하면서 달린다는 걸 생각하면 엄청난 수준.[56] 본작에서는 영어명이 Swift Emperor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