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3:40:13

블라디미르 마카로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리부트}}}에 대한 내용은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리부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리부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리부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리부트: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리부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리부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리부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000><tablebgcolor=#fff,#000>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2023).svg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화이트 (2023).svg역대 보스
스포일러 주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모던 워페어 시리즈
1 2 3
}}}
{{{#!wiki style="margin: -16px -11px" I II III
}}}
블랙 옵스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1 콜드 워 6
판테온
【 스포일러 】
제인 해로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2 3
}}}
기타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고스트 어드밴스드 워페어 인피니트 워페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WII 뱅가드
}}}
※ 둘러보기: 서브빌런
}}}}}}}}} ||
파일:Vladimir_Makarov_MW2R.jpg
블라디미르 마카로프
Владимир Макаров | Vladimir Makarov
<colbgcolor=#660000><colcolor=#fff> 본명 미공개[1]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70 ~ 1991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91년 ~)
출생 1970년 4월 10일[2]
소련 러시아 SFSR 이바노보
소속 러시아 공수군 제98근위공수사단
국수주의파 묵시록의 4기사
이너 서클
계급 대위 (불명예 제대)
묵시록의 4기사 첫 번째 기수
이너 서클 조직 수장
등장 작품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이스터 에그 카메오)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오리지널 / 캠페인 리마스터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콜 오브 듀티: 고스트(멀티플레이 캐릭터)
콜 오브 듀티: 모바일(캐릭터)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로만 바샤브스키(Roman Varshavsky)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와라 케이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60000><colcolor=#fff> 생존 여부 사망 (K. I. A. / 모던 워페어 3)
사망 원인 프라이스 대위헬기화물 수송용 와이어목을 졸라매어 격투 끝에 떨어뜨려 경추 골절
날짜와 장소 2017년 1월 21일 (향년 47세)
두바이 오아시스 호텔 }}}}}}}}}

1. 개요2. 인물상3. 작중 행적
3.1. 모던 워페어 1
3.1.1.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
3.2. 모던 워페어 2
3.2.1. 모던 워페어 2의 상태이상
3.3. 모던 워페어 33.4. 최후3.5. 작중 밝혀지는 과거사
4. 평가5. 신상정보6. 여담

1. 개요

"С нами Бог."
"신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3]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시리즈의 최종 보스.

러시아의 국수주의자이자 테러리스트. 원래는 이므란 자카에프의 추종자였으며 자카에프 사후 국수주의파 군대가 내전에서 승리해 러시아의 정권을 장악했으나 훨씬 더 극단적인 반서방 사상을 가졌던 그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자신에 동조하는 극단주의자들을 모은 '이너서클'이라는 테러 조직을 창설하여 러시아의 국익에 방해되는 세력들을 모조리 무너뜨릴 계획을 세운다. 모던 워페어 3 오프닝에서는 이전의 사건들을 보여주는 연녹색 UI 그래픽과 함께 마카로프의 나레이션이 나오는데 독백의 내용을 통해 마카로프가 서방세계를 얼마나 증오하는지 알 수 있다.

그 계획의 일환으로 알아사드의 잔존 민병대들을 사주해서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고 있던 미군을 공격하고 미제 무기를 사용해서 모스크바에 위치한 자카예프 국제공항에서 무차별 테러를 감행하는 전대미문의 악행을 저지른다. 이 사건으로 수백 명에 이르는 민간인들이 사망했으며 테러 당시 마카로프의 부하로 잠입해 있었던 CIA공작원 조세프 앨런 일병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수하고 그를 공항에서 살해하고 시신을 유기하여 테러의 배후에 미국이 있는 것으로 위장했다. 이 계획은 제대로 성공하여 러시아는 전쟁까지 불사할 정도로 광기 어린 반미 여론이 조성됐고 결국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미국 인공위성의 ACS모듈 해킹에 성공해 초강대국 특유의 오만함에 빠져 있던 미 본토의 방공망, 해상음파탐지 등을 무력화시키고 대대적인 침공 작전을 감행하면서 미국 본토 대부분[4]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수많은 미국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유린한 마카로프의 거대한 복수는 그렇게 순탄하게 성공하는 듯 보였지만...[5] 그를 붙잡기 위해 창설된 다국적 특수부대인 태스크 포스 141의 활약과 미국의 반격에 러시아군이 점차 패퇴하기 시작하면서 마카로프의 야망이 점차 삐걱이기 시작한다.

2. 인물상

러시아의 영광과 반외세라는 국수주의 성향은 이므란 자카에프와 비슷하지만 그 이상으로 매우 극단적이고 과격한 사상을 가졌기 때문에 적은 물론 같은 국수주의자 진영에서도 미치광이 취급을 받는다. 본작에서 한참 이전부터 이미 테러 범죄를 상당수 저지른 악랄한 지명수배범이었으며 게임내에서도 자신의 비틀린 애국심을 위해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아군이건 적이건, 민간인이건 거리낌없이 희생시키는 악당으로 묘사된다.

소프No Russian 사태 이후 마카로프를 전형적인 사이코패스 라고 깐다. 실제로 마카로프는 자신의 극단적인 신념과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던 비현실적이고 위험한 야망을 품은 인물이고 이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치밀한 계획성, 이너 서클이라는 대규모 테러 무장 조직을 이끄는 강압적인 리더십을 가졌으며 무엇보다 자신의 방식이 과격하고 정신나간 방식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목적을 위해서 기꺼이 감수하겠다는 소시오패스적 성향마저 보인다. 자신의 사상에 대한 편집증적 집착, 죄책감 따위는 눈곱만큼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프의 평가는 나름대로 정확한 셈이다.

셰퍼드 장군이 앨런에게 마카로프를 소개하는 브리핑 영상이 있는데 마카로프는 조국도 모르는 그저 돈을 위해서라면 뭐든 할 수 있는 미친개라고 소개한다. 하지만 그것은 셰퍼드가 마카로프의 겉모습만 보고 자신의 시선에서 이야기한 것이다.

실제로 모던 워페어 3의 캠페인 Blood Brother에서 유리가 자카에프의 국수주의 세력 소속 하급 조직원이던 시절의 회상 장면을 보면 마카로프는 "돈은 많은 것을 살 수 있어, 심지어 권력도 말이지" 라고 말한다. 돈을 도구로 이용해 개인의 욕심보다는 조직의 권력을 키우고 자신만의 비전을 이루는 것에 혈안이 된 인물이기 때문에 돈에 집착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추측이다.

3. 작중 행적

3.1. 모던 워페어 1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000><tablebgcolor=#fff,#000>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2023).svg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화이트 (2023).svg중간 보스
스포일러 주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모던 워페어 시리즈
1 2 3
}}}
{{{#!wiki style="margin: -16px -11px" I II III
}}}
블랙 옵스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월드 앳 워 콜드 워 6
아라쉬
차르코프
【 스포일러 】
헬렌 파크
구셰프 박사
}}}
{{{#!wiki style="margin: -16px -11px" 2 3
드팔코
톈 자오
【 스포일러 】
하비에르 살라자
사라 홀
}}}
기타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고스트 어드밴스드 워페어 인피니트 워페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WII 뱅가드
}}}
※ 둘러보기: 역대 보스
}}}}}}}}} ||

작중에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는 국수주의 반군의 일개 조직원이었지만 사실은 묵시록의 4기사 중 첫 번째였다. 미션 오프닝에서 X자 표시가 된 사람이기 때문에 해당 게임에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으니 끼워 맞춘 설정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상 원래의 첫 번째 기사가 죽고 나서 그 위치를 대체했다고 보면 될 듯 했다.

3.1.1.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

맥밀란 대위와 함께하는 프라이스 대위의 과거회상 장면에서 등장한다. 모던 워페어 3의 유리의 회상 장면에서의 모델링과 똑같은 형태로 나오는데 당시 유리와 대화하는 순간의 모습도 똑같이 재현되어 프라이스의 시점으로 그 장면을 볼 수 있다.[6] 이 때 저격으로 마카로프를 사살하면 '미래가 바뀌었습니다.\' 라는 문구와 숨겨져 있던 목표가 완료된다. 숨겨진 도전 과제도 해금되는데 과제 이름은 시간의 모순(영문: 타임 패러독스).[7][8]

3.2. 모던 워페어 2

파일:makarov no russian.jpg
"Remember, No Russian."
"러시아어 사용 금지. 잊지 마."
The world has been your battlefield.
전세계가 너희의 전쟁터가 되어왔다.
Everywhere you go, The blood of brothers and sons screams out against you.
네놈들이 가는 곳마다 형제와 아들의 피가 너희에게 절규하지.[9]

Perhaps you cannot yet hear it.
어쩌면 아직 듣지 못했을 수도 있겠군.
Because the soil is not yours.
네놈들의 땅이 아니었으니까.
But you will.
하지만 듣게 될 거다.
You will.
반드시.
You will..!!
반드시...!!

모던 워페어 1에서 서방국가에 소속된 군인에 의해 이므란 자카예프가 사망한 후 러시아의 서방세계에 대한 극단적인 증오를 정치적으로 이용해 이므란 자카예프가 애국자이자 영웅으로 자리잡게 만들고[10] 이를 중심으로 러시아를 국수주의화시킴으로서 국수주의 세력에게 권력을 집중시키고 서방 세계를 쑥대밭으로 만들겠다는 정신나간 목적을 가지고 온갖 악행을 저지른다.

가장 충격적인 만행은 자카에프 국제공항에서 자신의 소수 부하들을 이끌고 마치 미국의 정보기관인 CIA의 사주를 받은 스파이들인 것처럼 위장해 다수의 러시아 자국민을 마구 학살하는 초대형 테러를 저지른 것이다.

이로 인해 미국과 러시아 간 화약고에 불 붙은 성냥을 던진 것 마냥 전쟁이 발발하고 만다. 마카로프가 터뜨린 초대형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서 태스크포스 141은 그를 추적하기 시작하며 긴 추격전 끝에 결국 마카로프 일당은 마지막 남은 은신처 2개를 남겨두고 궁지에 몰려버린다.

그러던 도중 마카로프 일당과 태스크포스 141이 박터지게 싸우는 사이에 뜻밖의 일이 벌어지는데 바로 태스크포스 141의 지휘관인 셰퍼드 장군이 의도적으로 미국과 러시아의 전쟁을 유도한 흑막이었으며 종국에는 141과 마카로프를 동시에 해치우려 했다는 진의를 드러낸 것. 마카로프는 스스로가 무언가 대단한 일을 벌였다고 생각했으나 사실 진짜 흑막의 각본대로 움직여 준 것뿐이었다.

적당히 마카로프를 이용해먹은 셰퍼드는 로치고스트를 비롯한 태스크 포스 141 대원들을 투입시켜서 마카로프의 이너서클 은둔기지를 급습함으로서 마카로프가 가진 모든 정보를 빼돌리는데 성공하고 이제 쓸모가 없어짐과 동시에 자신이 마카로프의 테러에 관여했다는 정보가 드러날까 두려웠던 셰퍼드는 TF 141 대원들과 마카로프를 한 번에 제거하기 위해 자신의 직속 특수부대 그림자 중대를 동원하여 마카로프의 무장세력을 공격한다.(모던 워페어 2 '내 적의 적' 켐페인)

한편, 아프가니스탄 이너서클의 영역에서 셰퍼드의 그림자 중대와 마카로프의 이너서클이 섞여서 교전 중인 아수라장 속에서 빠져나가던 TF 141의 프라이스 대위는 마카로프에게 통신을 걸어 궁지에 몰려 있는[11] 마카로프에게 셰퍼드를 TF 141에서 처리해 주는 대가로 현 위기상황으로 인해 공격하지 못하는 셰퍼드의 은신처 정보를 넘겨받는 거래에 성공하였다.

게다가 마카로프가 어찌어찌 2주 동안이나 그림자 중대의 공격을 방어하며 의도치 않게 그들의 주력을 묶어 준 덕분에 프라이스와 소프가 니콜라이의 지원과 함께 재정비하고 역습할 시간까지 벌 수 있었다.

실제 게임에서는 No Russian 미션에서 한 번 나오고 후반부에 목소리로 한 번 나온 게 전부지만 이 미션이 모던 워페어 2의 그 어느 미션보다 임팩트가 강렬했던지라 플레이어들은 다른 등장인물은 다 까먹어도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라는 악당은 잊지 못하게 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마카로프는 어디까지나 셰퍼드에게 이용당하는 입장, 속되게 말해 TF141 대원들과 함께 의도치 않은 반대의 시다바리 역할에 있었고 모던워페어2의 인물들도 그를 그 이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당장 셰퍼드는 마카로프를 자금에 집착하는 저질 전쟁광이자[12] 언제든지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기말로 취급했고 프라이스 대위 역시 마카로프를 어설프게 자카예프 흉내나 내는 미치광이 테러리스트 정도로 과소평가했다.

3.2.1. 모던 워페어 2의 상태이상

마카로프를 처음 보게 되는 공항 미션에서는 미션 특성상 전작의 방탄왼팔 자카에프가 떠오르는 스토리 진행이 있다.[13]
  • 죽지 않는다. 공항 테러 미션에서 마카로프와 부하들을 공격하거나, 알파 그룹 병력과 교전할 때 뒤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으면 마카로프의 "배신자다!"란 외침과 함께 일제 공격을 받게 된다. 이때 다른 테러리스트들은 죽일 수 있지만 마카로프는 피해를 입지 않는다. 진압 방패를 들고 총알을 막아 가면서 버텨 볼 수는 있겠지만 부질없고 더 이상 게임 진행도 안 된다.
  • 마카로프가 발사한 총알은 수많은 벽을 관통하고 보이지 않는 상대를 죽일 수 있다. 공항 미션 마지막에 마카로프가 플레이어의 손을 잡아주며 총을 쏘는 부분이 있다. 이때 플레이어는 멀리멀리 도망쳐서 아예 눈에 안 보이는 곳까지 나갈 수 있지만 "That was no message…."라는 대사가 끝나는 순간 텔레포트한 총알에 맞아 사망한다. 중간에 장애물이 있고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즉사한다. 하지만 이 게임 특성상 계속 플레이하다 보면 저런 정상적인 것마저도 곧 비정상적으로 느껴지게 된다.[14]

3.3. 모던 워페어 3

파일:Makarov_Kill_Captain_Price.jpg
"It doesn't take the most powerful nations on Earth...to create the next global conflict. Just the will...of a single man."
국제적 분쟁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건 지구상의 강대국들이 아니야... 단 한 사람의 의지지.[15]
"You think, I am mad. But soon, you shall see... The every move, every strike, was meant to bring us to this."
"너희들은 내가 미쳤다고 생각하겠지. 하지만 곧 알게 될 거야... 모든 수와, 모든 공격이, 이걸 위해서였단 걸 말이지.
"The symbols you have always looked to for strength, are smother in ruin. This is what your greed has brought you."
"너희들에게 힘을 준다고 생각하는 상징들은, 모조리 잿더미가 돼버릴 거야. 다 너희들의 욕심이 불러온 결과지."

2편에서 자신을 벼랑 끝까지 내몰았던 태스크 포스 141그림자 중대는 서로 싸우다가 붕괴되어버렸고 위협이 될 셰퍼드는 사망한데다 프라이스 일행도 도망자 신세가 되어버려 더 이상 거칠 것이 없어진 마카로프는 미-러의 전쟁을 넘어서 유럽으로 전쟁을 확대하기 위한 음모를 꾸민다. 시련을 이겨내고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

우선 러시아의 보르셰프스키 대통령이 국수주의파 정치인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미국과의 평화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함부르크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자 자신의 부하인 이너 서클 조직원들을 이용해 비행기를 하이재킹하고 비행기가 비상착륙하자 지상에 미리 대기시켜 놓은 조직원들로 연방경호국(FSO+안드레이) 요원들을 쓸어 버린 뒤 대통령 부녀를 납치해 미-러 전쟁의 평화적 해결 가능성을 차단한다.

뒤이어 프레게타 방위산업체를 이용해 서방의 편에 있는 유럽연합 각국의 주요 수도들에 생화학 무기 테러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유럽이 대혼란에 빠진 틈을 타 러시아군이 전 유럽을 침공하기 시작하면서 결국 마카로프의 의도대로 전쟁은 유럽까지 엮인 세계 대전으로 비화한다.[16] 게다가 자신을 뒷수색하기 시작했던 전 세계의 특수부대들까지 제대로 농락했다.[17] 이 중에서도 자신을 쫓아온 카마로프소프까지 함정에 빠뜨려 죽음에 이르게 했다.

그러나 한 사람의 의지가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자만하던 마카로프는 다른 사람들의 의지를 과소평가했다. 자신의 마수에서 벗어난 프라이스와 유리는 마카로프의 직접적인 사살은 실패하였지만, 그의 음모만큼을 분쇄하기 위해 연합군의 활약과 델타 포스의 희생으로 자신이 볼모로 잡았던 대통령 부녀까지 구출되어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갔다. 서방 세계와 러시아 간의 평화협정이 체결되면서 마카로프가 일으킨 전쟁은 막을 내린다.[18]

3.4. 최후

마카로프: 누구냐?(Who is this?)

프라이스: 627번 수감자다. 지금 널 찾으러 간다, 마카로프.(Prisoner 6-2-7. I'm coming for you, Makarov.)

마카로프: 아직도 못 들었나, 프라이스? 다들 전쟁이 끝났다고 말하고 있어.(Haven't you heard, Price? They say the war is over.)

프라이스: 나의 전쟁은 너와 함께 끝난다.(My war ends with you.)

마카로프: 맥태비시 대위가 그랬던 것처럼 말인가? 말해 봐, 프라이스. 그가 죽기까지 얼마나 걸렸나? 난 지금껏 네놈의 세계를 산산조각내왔다. 이제 널 찾는 건 시간문제일 뿐이야.(Like it ended for Captain MacTavish? Tell me, Price. How long did it take him to die? I've destroyed your world piece by piece. It's only a matter of time until I find you.)

프라이스: 멀리서 찾지 않아도 될 거다….(You won't have to look far…)
마카로프 VS 프라이스의 통화

제3차 세계대전은 서방 진영과 러시아와 그 동맹국들 간의 평화협정으로 끝나 버리고 마카로프는 자신을 추적하는 서방 진영의 정보부들과 자국 정부의 추적을 피해 아라비아 반도의 오아시스 고급호텔에 은거하며[19] 다음을 기약하고 있었지만 프라이스를 대장으로 한 유리/니콜라이로 재구성된 태스크 포스 141[20]이 독자적으로 마카로프를 무조건 사살하기 위해 전화로 선전포고를 선언한다.[21]

중무장한 두 남자에 의해 호텔이 아수라장으로 변하면서 마카로프 휘하의 호텔을 지키던 무장경비들과 이너서클 조직원들이 제압되고 마카로프는 옥상에서 헬리콥터로 탈출을 시도하지만 복수의 독기가 바짝 오른 프라이스가 헬리콥터에 어거지로 올라타서 조종사를 한 손으로 멱살을 잡아 끌어내리고 부조종사를 사살하는 바람에[22] 헬리콥터는 통제력을 잃고 호텔 옥상에 추락한다.


헬리콥터가 추락한 후 프라이스가 거동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의 중상을 입은 반면 불타는 헬리콥터에서 끈질기게 빠져나온 마카로프는 비교적 가벼운 부상만 입었다.[23]
잘 가라. 프라이스 대위.
Goodbye, Captain Price.

살아남은 둘은 부상당한 상태에서도 서로를 죽이려고 중앙에 떨어져있던 권총을 잡으려 필사적으로 움직이며 결국 간소한 차이로 프라이스가 먼저 권총을 집지만 마카로프는 프라이스의 손을 그대로 짓밟아 버리고 권총을 빼앗은 뒤 자신이 이겼다는듯이 프라이스를 조롱하며 쏘려고 한다.

하지만 부상당한 몸으로 옥상으로 뒤따라온 유리의 사격으로 어깨에 총상을 입으면서 프라이스를 죽이는 데 실패하고 분노한 마카로프는 유리의 추가 사격이 빗나간 틈을 타 결국 자신의 손으로 옛 친구를 쏴서 사살한다.[24] 하지만 유리의 희생으로 시간을 번 데다 자신의 동료들이 마카로프에 의해 사망하여 잔뜩 분노해 있던 프라이스는 초인적인 마지막 힘을 쥐어짜 달려들어 마카로프를 파운딩해 신나게 두들긴 다음 목에 와이어를 감아 묶어 버리고[25] 최후에는 프라이스에 의해 자신과 프라이스가 있는 유리로 된 바닥이 깨지면서 그대로 추락한[26] 마카로프는 목에 감긴 강철 와이어에 의해 산 채로 목뼈가 부러져 즉사한다. 마치 그동안 자신이 저지른 모든 죗값에 걸맞게 사형을 집행당한 듯이 최후를 맞이한 것이다.

파일:attachment/Justice.jpg

이때 뜨는 업적명은 WHO DARES WINS(대담한 자가 승리한다). 프라이스 대위가 마카로프가 죽은 모습을 쳐다보며 담뱃불을 당기는 것으로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 시리즈가 종료된다.

3.5. 작중 밝혀지는 과거사

모던 워페어3 TF 141 측 주인공이자 과거 국수주의 반군 출신이었던 유리의 회상에 의하면 원래 유리의 동기이자 전우였다.

과거 유리와 함께 프리피야트의 핵원료 거래 현장에 있었으며 당시에는 그저 평범한 말단 하급 병사에 불과했다. 이 거래를 통해 많은 자금이 들어오게 된다며 들떠서 유리에게 이야기하고 차량안에서 거래를 지켜보다가 당시 자카에프를 암살하기 위해 왔던 프라이스 대위의 저격으로 자카에프의 왼팔이 날아가 버리자 그가 탄 차를 운전해 자카예프의 목숨을 구함으로서 이를 계기로 유리와 함께 자카에프의 신임을 얻게 되어 조직 내에서도 어느 정도 지위를 얻게 된다.

1편 당시 칼레드 알아사드의 반군과 미 해병대가 한창 전투를 벌이던 장소에도 있었으며 그때 핵폭탄을 터뜨리도록 지시했다. 즉, 셰퍼드가 타락했던 원인인 미합중국 해병대 3만 명 몰살의 장본인이 바로 마카로프였다.

정작 마카로프를 자기 계획에 이용했던 셰퍼드는 여기까지는 모르는 모양이었다.[27] 현장에 항상 마카로프와 동행했던 유리는 자신의 절친 마카로프가 저지르는 광적인 테러 행적에 환멸을 느껴 자신들의 조직 내부 정보를 외부에 흘렸고[28] 이를 알아챈 마카로프는 자카에프 국제공항 테러 직전에 유리를 쏴서 중상을 입히고 그 다음에는 No russian 미션으로 이어진다.[29]

4. 평가

"It doesn't take the most powerful nations on Earth, to create the next global conflict. Just the will of a single man."
세계적인 분쟁을 만드는데 이 지구상 가장 강력한 강대국들의 힘이 들어간 것이 아니다. 그저 한 사람의 의지만이 필요했을 뿐. - 모던 워페어 3 인트로 마카로프 독백 마지막 말.
"Russia will take all of Europe, even if it must stand upon a pile of ashes. I want the launch codes, Mr. President"
러시아는 잿더미 위에 서는 한이 있더라도 전 유럽을 차지할 것이다. 발사 코드를 말하라, 대통령.
- 보르셰프스키 러시아 대통령을 납치한 뒤 하는 대사

다른 수많은 창작물의 그 어떤 악당들과 비교해도 전혀 뒤지지 않는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 상당한 캐릭터성과 인지도를 지닌 그야말로 독보적이고 상징적인 악당이다. 특유의 사납고 날카로운 미중년 외모와 성우의 열연 및 특유의 검은 정장+방탄복 차림의 패션에서 나오는 악당 간지가 주요 인기 포인트.

마카로프는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다른 빌런들인 셰퍼드나 로크, 메넨데즈처럼 과거에 있었던 모종의 사건으로 인해 서방세계를 매우 증오하게 된 비하인드 스토리가 없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걸작인 다크나이트에서 악당인 조커처럼 과거사가 흑막에 가려진 극단적인 악의 상징처럼 마카로프도 극단적인 국수주의 신념과 그에 따른 방식이 끔찍한 다방면 테러리즘이라는 극악의 범죄라는 것에 대한 공포와 절대악을 강조하는 방식을 나타내기 위해 절대악의 단면적 캐릭터로 만들어졌다.

자신의 롤모델이자 전임 조직 수장인 이므란 자카예프가 무기를 테러리스트 성향의 단체에 무기를 팔아서 자금을 마련하거나 러시아 정부군의 거점들을 그냥 전형적인 테러리스트 방식으로 쳐들어가는 옛날 방식을 사용했다면 마카로프는 국수주의 조직을 마피아 같은 범죄 조직으로 변모시키고 전 세계의 범죄 조직들과 협력관계를 가지며 자신의 적대 세력들을 처단하고 이를 조직의 테러에 이용하는데 대표적인 예시로 시에라리온의 민병대와 소말리아의 군벌을 이용해 영국을 포함한 친서방을 표방하는 유럽 국가들에 대한 화학무기 테러 자행으로 유럽 각 국가의 정부들과 사람들이 군경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는 사상자 발생으로 패닉 상태에 빠질 정도의 대규모 스케일의 테러 활동을 자행한다. 게다가 국수주의자들로 하여금 정치사회 분야를 활용해서 러시아 정부를 비밀리에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이게 만드는가 하면 '프레게타 산업'이라는 방위산업 기업을 장악해 자신의 테러 공작에 이용하기 좋은 도구로 만들었다.

작중에서 행한 마카로프의 행적만 해도 불법 무기 밀매, 아랍의 수도 도심 핵 테러, 민간인 학살, 유럽에 대규모 생화학 테러, 하이재킹, 세계 대전 유발, 국정 농단의 월권행위에 설정 상의 범죄 활동으로는 마약 밀매, 인신매매, 강도, 납치, 살인, 고문, 테러까지 그야말로 인간이 저지를 수 있는 범죄란 범죄는 최악의 형태로 다 저지른 악질이다.

이처럼 극단주의의 극을 달리는 막가파 행동력도 행동력이지만 눈치도 좋아서 야비할 정도로 치밀하며 적의 작전을 눈치채고 역이용하고 농락하는데에도 능하다. 셰퍼드가 자신의 심복으로 심어 놓았던 미국 첩자에 대해서도 미리 눈치채고 자카에프 공항에 테러를 일으킨 뒤 탈출 직전에 앨런을 죽여버림으로써 미국에 대한 러시아의 증오를 폭발시켜 전쟁을 일으킬 미끼로 썼고[30] 3편에서 드러나는 유리의 과거 회상에 따르면 공항에 테러를 일으키기 전에 유리가 밀고한 배신한 정황을 알아내고 그의 복부를 총으로 쏴 버렸으며 소프와 유리가 자신을 암살하려는 것도 눈치채고 사전에 카마로프를 납치해 저격 위치를 파악하여 폭탄을 세팅해 두고 카마로프의 무전기를 탈취해 태스크 포스 141에게 직접 무전을 하며 농락했다.[31] 지독하게 명줄이 길었던 악당이다.

사실 마카로프가 첫 등장한 모던워페어2에서 그가 직접 모습을 드러낸 건 No Russian 미션 단 하나였고 해당 작품의 최종 흑막조차도 아니었지만 해당 미션이 게임 스토리상으론 물론, 게임 외적으로도 크나큰 이슈를 몰고 왔을 정도로 충격적인 챕터였기 때문에 짧은 등장이었음에도 유저들에게 그야말로 미치광이 악당이라는 엄청난 임팩트를 심어줄 수 있었다.

3편에서는 숨어 다니는 범세계적 거물 범죄자 신분인 만큼 여전히 출연하는 횟수는 많지 않지만 거대 마피아 조직 보스와도 같은 포스를 제대로 보여주는데 특히나 난기류 미션에서는 정장과 코트, 목도리, 가죽장갑 차림의 패션 + 미중년에 험악한 범죄자 외모를 갖춘 외형 + 한 손에는 애용하는 권총으로의 무장까지 합쳐져 전작에 비해 악역 최종보스로서의 강렬한 멋과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본인은 온갖 만행들과 제3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지만 세계 대전 직후에 어쩌면 스토리 내내 두바이의 오아시스 고급 호텔에서 숨어서 자신의 테러조직을 운영하며 유유자적하고 있었다. 거기다 호텔 경비원들이 마카로프를 VVVIP 모시듯 하며 손님들의 안전보다 마카로프의 안전을 최우선시했다.[32]

결국 막가파 작전으로 마카로프의 집이나 다름없는 오아시스 호텔에 쳐들어온 프라이스 대위와 유리, 정보를 제공하는 중인 니콜라이에게 궁지에 몰리게 되고 자신이 자카예프 국제공항에서 그랬듯이 저거넛 슈트를 착용하고 경기관총으로 무장한 프라이스와 유리에 의해 자신의 부하들이 쓸려나가자 마카로프 본인 나름대로는 마지막 저항을 해 보지만 끝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한편으로는 은근히 포용적이고 관용적인 면모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멀티 플레이에서 이너 서클 진영을 플레이하여 패배했을 때 나오는 마카로프의 대사를 통해 드러난다. 만약 패배할 시에는 "너는 패배했다!"라고 질책하기도 하지만 "다음 전투는 우리 것이 될 것이다...!", "너는 패배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말도록."이라는 대사로 오퍼레이터(플레이어)를 독려한다. 모던 워페어 3의 스펙옵스의 대통령 납치 미션에선 베테랑 난이도로 클리어 시 일정 확률로 "훌륭하다. 너를 의심할 필요는 없었군."이라고 칭찬한다.[33]

5. 신상정보

게임 브리핑 화면에서 CIA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마카로프의 신상정보가 나온다.

파일:Makarov_profile.jpg

윗 사진은 모던 워페어 2 리마스터 이전 프로필이며 아래의 신상정보는 최신인 모던 워페어 3 프로필이다.


※ MAKAROV, V. A - CLASSIFIED (기밀사항) ※
  • CODE NAME 코드네임 : KING FISH
  • NAME 성명 : MAKAROV VLADIMIR
  • LOCATION 위치 : UNKNOWN 불명
  • AGE 나이 : 46 (* 생년월일 - 1970년 10월 4일)
  • PLACE OF BIRTH 출신지 : 러시아, 이바노보
  • SEX 성별 : 남성
  • 키 - 5'7" (5피트7) ~ 5'9" (5피트9)
    (170.18 cm ~ 175.26 cm)[34]
  • WEIGHT 몸무게 - 170 ~ 190파운드
    (77kg ~ 86kg)
  • BUILD 몸매 - 다부짐 ("Stocky")
  • SCARS & MARKS 흉터와 상처 : NUMEROUS FACE 매우 많은 외관
  • HAIR 머리카락 : 어두운 갈색
  • EYES 홍채 : BLUE/GREEN 푸른색/초록색[35]
  • COMPLEXION 피부색 : PALE 창백함[36]
  • RACE 인종 : WHITE 백인
  • NATIONALITY 국적 : 러시아
  • OCCUPATION 직업 : UNKNOWN 불명

¤ 인권 무시 문제로 EU가 발췌한 위험인물 조사 보고서에 포함.
¤ CIA MOST WANTED / 미국 중앙정보국 최고 우선순위 지명수배 중.
※ 군 경력 ※
  • VDV 제98근위공수사단 장교 근무
  • 보브(아제르바이잔의 도시) 및 베를린 파견 근무. (1991년 베를린 장벽 붕괴 당시에도 근무했었음.)[37]
  • 스페츠나츠 GRU 요원들을 양성하는 군사학교의 교관으로 근무.
  • 체첸 전쟁 - 마카로프의 공수부대 지휘부대가 가장 잔인한 진압부대로 선정됨.
  • 폭행 문제[38]에 대한 허위 진술로 VDV 러시아 공수군에서 불명예 제대(사실상 퇴출, 최종계급 대위)
마카로프의 범죄 (신문부분)
  • 2009년 바쿠(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미국 정유회사에 폭탄 테러 - 3명 사망.
  • 2009년 러시아 FSB에 침입해 요원 5명을 암살.
  • 2008년 SIBGAZ사 회장의 아내와 딸을 암살.
  • 2008년 스웨덴의 가구점 폭파테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쇼핑몰 이용자 100여 명 사상.
  • 2007년 시베리아 광산, 보석상 강탈 - 1500만 달러의 재산피해.
  • 2007년 이스라엘 모사드 요원들을 생포해 참수.
  • 2006년 러시아 연방 우체국 뱅킹 서비스 강탈(사이버 해킹) - 3200만 달러의 재산피해.
  • 2006년 밀링턴, 영국의 유명 디자이너 살해.
  • 2005년 러시아 모스크바, 금 운반 트럭 탈취 - 700만 달러의 재산피해, 경비원 3명 사망.
  • 2005년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공군기지에 침입해 파일럿 3명 살해.
  • 2005년 발트 해, 여객선 납치해 탑승자 인질들을 잔혹히 다룸. 500만 달러를 선불하지 않으면 4명의 선원과 1명의 여행객을 무차별 고문하겠다고 협박.
  • 2004년 터키 이스탄불, HBS 은행 강도 - 300만 달러의 재산피해.
  • 2002년 우크라이나 키예프, ZBV 은행 강도 - 150만 달러의 재산피해.
  • 2002년 터키 해협에서 에게 해-흑해로 이어진 그리스의 석유 보관소 점거. 그리스 해군이 특수부대[39]를 보냈으나 오히려 마카로프 병력에 의해 전멸.
  • 그 외에 대형 마약 사업, 인신매매, 암살과 학살, 테러공작 등[40]
※ 국가차원 테러 대응 ※
  • 마카로프 조직의 테러활동 때문에 서유럽, EU 국가들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함.
  • 서방진영, 무장 전함 러시아 국경으로 긴급 출동.[41]

6. 여담

  • 유리의 과거 회상에서 보이는 마카로프의 국수주의자 반군 시절의 모델링을 잘 보면 그냥 얼굴과 위장 무늬만 바꾸고 러시아군 모델링을 재탕했다. 엄밀히 말하면 유럽 침공(독일 미션) 러시아군 위장 무늬에 어깨 쪽 주머니만 미국과 독일 침공 부대처럼 벨크로가 붉게 칠해진 별로 의미가 없어 보이는 형태다. 그래서 그런지 잘 보면 반군 주제에 당당하게 러시아 정부군 소속을 의미하는 패치를 붙인 것을 목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2011-11-13_00001.jpg
  • 중반부 미션 브리핑에 마카로프의 인간관계를 분석해 놓은 듯한 사진들이 잠깐 드러난다. 정신 나간 러시아의 테러리즘 선구자그 미치광이 선구자의 아들, 한심한 쿠데타 수괴, 셰퍼드 장군처럼 익숙한 모습들이 보이며 레프 크라프첸코의 모습도 보인다. 해당 사진은 블랙 옵스의 레즈노프 미션에서 크라프첸코를 가까이서 본 장면을 쓴 것으로, 오른쪽 뒤에 보이는 건 소련군 설동차다. 하지만 블랙옵스는 모던 워페어 리부트랑 같은 세계관이지 기존 모던 워페어 세계관과는 평행세계로 밝혀지면서 어디까지나 이스터 에그에 불과했다. 사실 모던 워페어 2의 "No Russian" 미션에서 같이 활약했던 레프(Lev)란 캐릭터와 이름이 비슷한 것을 이용해서 넣은 것이다. 해당 로딩 부분을 자세히 보면 우측에 No Russian에서 구급차를 몰고 왔던 아나톨리(Anatoly)와 공항경비대와의 교전 중 사망한 키릴(Kiril)의 사진도 보인다.
  • 모던 워페어 3의 멀티플레이에서 이너 서클 국수주의 전투병력 측의 오퍼레이터로도 활동한다.
  • 콜 오브 듀티: 모바일에도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2020 9시즌 때 상자깡 캐릭터로 처음 등장하였으며 10시즌 때 배틀패스에 스플린터 스킨이 장착된 버전으로 나왔다.
  • 인피니트 워페어와 합본인 모던 워페어 1 리마스터의 미션 중 '원 샷, 원 킬'에서 마카로프를 볼 수 있는데 유리와 함께 등장한다. 이때 마카로프를 죽이면 PS4판 기준으로 Time Paradox[42] 트로피를 획득 가능하다.
  • 모던 워페어 2 캠페인 리마스터에서는 얼굴 모델링이 셰퍼드 중장과 마찬가지로 변경돼서 나왔는데 호불호가 상당히 갈렸다. 마카로프 특유의 샤프하고 거친 인상이 없어져서 오리지널에서의 '위험인물이다'라는 이미지가 없어졌으며 그저 평범한 러시아의 중년 남성, 마치 피곤과 짜증에 찌들어 보인다는 혹평이 나왔고 호평하는 쪽에서는 잘생긴 프롤레타리아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리부트의 트레일러에서 새로운 외모로 공개되자 오리지널의 악랄한 이미지는 죽어버리고 악인 같이 보이지 않는다며 핫산처럼 매력과 임팩트 없는 한심한 악역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43] 그러나 작품 내에서 위험한 포스를 제대로 살려서 그나마 호평을 받았다.
  • 원본판의 마카로프는 문신을 하고 있지만 게임상에선 문신이 없다.[44]
  • 오리진 모던워페어 트릴로지에서는 아무런 사연도 없이 악행을 저지르는 혼돈 악 속성의 캐릭터였지만, 리부트 시리즈에는 그나마 사연(?)이라는 게 생겼다. 왜냐하면 소련이 붕괴되면서 그에 대한 허탈함과 절망을 느낀 마카로프의 아버지가 어릴 때 목을 매달아 자살했기 때문. 무려 어린 시절 때 큰 자극을 받은 마카로프는 제대로 흑화하여 러시아를 다시 소련 시절 초강대국으로 만드려고 국수주의 조직에 들어가 테러리스트 활동을 시작한 계기가 된다.

[1] 미들네임은 밝혀지지 않았다.[2] 모던 워페어 1 기준 42세, 모던 워페어 2 기준 46세, 모던 워페어 3 기준 47세[3] 러시아 제국의 표어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어지는 말은 그 유명한 "명심해, 러시아어금지다.(Remember, No Russian)".[4] 작중에서 러시아군이 알래스카, 미 서부, 미 동부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는 상황을 볼 수 있다.[5] 사실은 이러한 전쟁이 가능케 만든 장본인은 다름이 아닌 셰퍼드 장군이었다. 현실성을 생각한다면 저런 방식으로 침투가 가능하다는 건 군사학 지식이 조금만 있어도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마카로프의 행동으로 인해 셰퍼드는 그 마카로프를 잡기 위해서는 무엇이든지 다 동원할 수 있는 강대한 권력을 잡게 된 다음 그림자 중대를 동원해 마카로프의 이너 서클을 단숨에 압살해 버렸다. 이때 만약 프라이스와 소프가 아니었다면 마카로프는 본인도 예상했다시피 그대로 저승길이었을 것이고, 미국 본토가 어느 정도 밀린 이유도 사실 미국의 진짜 저력인 그림자 중대를 일부로 대기만 시켜두었던 것 때문인지라 사실 마카로프는 처음부터 셰퍼드의 손 위에서만 놀아나다가 역으로 러시아 전체가 쑥대밭이 되고야 말았을 것이다.[6] 이 때 유리를 쏘면 아군 사살로 간주되어 '친구를 죽였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미션 실패가 된다.[7] 하지만 이 때 마카로프가 죽든지 살든지, 핵폭탄이 터져서 3만명의 병사가 죽는 건 똑같다. 왜냐하면 마카로프는 핵폭탄을 직접 터뜨렸을 뿐 이 작전을 계획하고 지시한 건 당시 국수파의 수장이었던 이므란 자카에프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이런 짓을 당시 일개 조직원이었던 마카로프가 수장인 자카에프도 모르게 독단으로 실행했을 리는 절대로 없다. 즉, 마카로프가 없었어도 핵폭탄은 결국 다른 조직원이 터뜨렸을 것이다.[8] 허나, 가끔 버그 때문인지 마카로프를 사살해도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명언과 함께 게임오버되는 경우도 있다고...[9] 'Infamy' 트레일러에서 성경에서 최초의 살인자가 된 카인에게 하느님이 '무슨 짓을 저지른 게냐'고 묻자 아벨을 죽인 그 땅에서 형제의 피가 울부짖는 소리 때문에 죄를 숨길 수 없었다는 나레이션과 이어지는 대사다.[10] 그 증거 중 하나로 붉은 광장에 자카예프를 기리는 동상을 세웠다.[11] 프라이스가 무선을 통해 불렀을 때는 처음엔 응답도 안 하다가 "너나 나나 너가 아무리 버텨봐야 1주일도 못 넘기는 걸 잘 알고 있지 않냐"고 하자 그제서야 "그건 니놈도 마찬가지잖나"라고 응수하며 무선에 모습을 드러낸다. 이때까지만 해도 마카로프는 진짜로 궁지에 몰려있었던 셈이다. 심지어 셰퍼드의 은신처 정보를 프라이스 대위에서 넘겨주면서 지옥에서 보자고 말하기까지 했다. 아예 자기가 죽을 걸 이미 각오하고 있었던 것이다. 시리즈 내내 늘 플레이어나 프라이스 대위 위에 있었던 마카로프가 정말로 궁지에 몰렸던 순간이며 만약 셰퍼드를 잡지 못했다면 마카로프와 이너써클도 이 날 전멸했을 것이다.[12] 심지어 돈만 주면 뭐든지 할 'Whore'(창녀)라고 표현한다.[13] 실제로 이 미션에서 마카로프는 자카예프님을 위하여라고 외친다.[14] 리마스터판에서는 말이 안된다는 걸 알았는지 차에 안 타고 뻗대고 있으면 탈출하지 못했다며 게임 오버가 뜨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5] 아돌프 히틀러와 매우 유사한 캐릭터라는 것을 알 수 있다.[16] 세계 대전이라고 할 만한게, 마카로프가 전작까지 합해서 중동, 남미, 아프리카, 인도 등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했기 때문이다.[17] 태스크 포스 141이 제명된 상태지만 엄연히 SAS와 스페츠나츠 출신의 특수부대급 위력을 가졌고, 실질적으로는 141을 지원한 세력인 현재의 SAS델타 포스까지 있었으니 이들까지 농락한 셈이다.[18] 이후 전사한 카마로프가 지휘하던 과거 보수주의파 정부 소속 러시아군 소속인 PMC는 국정을 정상화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원 군인 신분을 회복하고 훈장도 받았다고 한다.[19] 여러모로 모호하게 처리했지만 현실의 두바이를 모티브로 삼은 듯해 보인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실제로 전쟁에 연관된 러시아 올리가르히들도 도피처로 두바이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나름 현실이 반영된 듯하다.[20] 이 마지막 미션의 인트로에서는 드디어 태스크 포스 141의 마크에 'Disavowed(존재 부정됨)' 표시가 없어진다. 즉, 정식 부대로 다시 인정된 것이다.[21] 때문에 해당 미션의 목표는 "Kill Makarov.", "마카로프를 죽여라."이다. 비록 실패로 돌아갔어도 원문이 Neutralize(무력화)였던 모던 워페어 2의 '골칫거리' 미션과 달리 이번엔 다른 선택지는 생각할 것도 없이 반드시 죽인다는 의미다.[22] 이때 부조종사의 사격이 빗나가면서 헬리콥터의 조종계통이 손상된다.[23] 하지만 권총을 집으러 비틀거릴 때 중간에 주저앉으면서 피를 토하는 걸 보면 부상을 입긴 입었던 모양이다.[24] 이때 유리의 양 어깨를 쏘고 머리를 쏴서 마무리한다.[25] 이 때 마카로프는 총을 들고 있었음에도 프라이스 대위를 쏘지 않았다. 유리를 죽이고 나서 총을 내리고 있던 걸 보면 역시 방심이 원인이다.[26] 프라이스는 근처 난간에 불시착해 부상을 입었지만 추락하지 않았다.[27] 목적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생명안전까지 포함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는 셰퍼드 특성상 다 알면서도 그냥 죽이지 않고 큰 그림을 위해 이용해먹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 사실을 알았는지 몰랐는지 미러전쟁 중에도 TF141 못지 않은 미군의 최정예 전사들로 모아놓고 창설한 그림자 중대를 미본토나 러시아 영역의 러시아군을 타격하는 게 아니라 암약 중이던 마카로프에 집착한다.[28] 결국 이 흘린 정보를 입수한 게 하필이면 셰퍼드였다는 설이다.[29] 그리고 유리는 빈사 상태에서 마카로프의 테러를 막기 위해 그를 뒤쫒지만 결국 실패한다.[30] 셰퍼드가 전쟁을 의도했기 때문에 몰래 정보를 의도적으로 새게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31] 그도 그럴 것이 자신이 모시던 사람이 저격당해 죽을 뻔한 것을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기 때문에 이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철두철미하게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32] 민간인들이 죽거나 말거나 오직 유리와 프라이스를 향해 무기를 무차별 난사하는데 어찌 보면 오아시스 호텔이 마카로프가 이끄는 이너 서클의 사업장, 즉 자금원이라는 설이 유력할 것 같다. 호텔 경비원들이 러시아어를 쓰니 뭔가 일리 있다.[33] 사실 거대조직을 이끌려면 부하들의 충성이 필수인만큼 머리가 좋은 마카로프는 조직 내부적으로는 부하관리를 잘 하는 좋은 리더일 확률이 높다.[34] 참고로 MW2에서는 5피트 11.(180cm)로 되어 있지만 MW3에서는 지금의 기록대로 신상정보가 수정된다. 게임 플레이 중 마카로프의 키를 가늠하면 173cm 쯤으로 보인다.[35] 마카로프는 오드아이 보유자이다.[36] 원본형 마카로프의 모델은 얼굴이 타 있는(?) 어두운 피부톤을 가지고 있다. 물론 게임상에서도 그렇게 하얗게 보이진 않는다.[37] 여기서 오류가 있는데 베를린 장벽 붕괴는 1989년이다. 차라리 소련 붕괴가 설정에 맞다.[38] 여기서 나오는 폭행 문제가 체첸 반군 포로들에 대한 폭행인지, 자신 휘하 부하에 대한 폭행인지는 확인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능성이 있는 것은 체첸 전쟁에서의 러시아군, VDV 공수군의 무자비한 유혈진압으로 인한 인권 무시로 인해 서방세계나 국제사회, 인권단체의 압력에서의 허위진술을 해서 군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마카로프의 공수부대 부대가 제일 잔인하게 진압한 부대로 명성이 자자했는데 이를 통해서 친서방 정책으로 인해 무기력한 러시아 보수주의 정부에 환멸을 느껴 옛 영광을 그리워하는 국수주의 사상과 그들의 세력에 가담했다는게 신빙성이 있다.[39] 이때 투입된 특수부대는 그리스군의 해군 소속 특수부대인 해군 수중 폭파 사령부(OYK)인데 프랑스 해군 코만도 부대와 맞먹는 정예 군 대테러부대이며 아직까지 M60E3을 운용하고 있고 구형 M4 카빈의 총열덮개 위에 이오텍 552 홀로그래픽 사이트나 에임포인트 COMP 도트사이트를 부착해 사용하거나 콜트사의 4배율 스코프를 캐링핸들 위에 부착해 사용하는 등 열악하고 노후된 구형 총기들이나 장비들을 쓰는 것이 확인되었음에도 훌륭한 기량을 보여주는 특수부대다. 그러니까 인질구출을 위해 진압부대로 투입된 그리스 해군 특전단 오퍼레이터들을 거의 몰살시켰다는 점에서 마카로프가 얼마나 통제불능의 미치광이 악당이자 잔악무도한 괴물인지를 잘 알게 해 준다.[40] No Russian 브리핑에선 마카로프가 개입한 분쟁으로 르완다 내전, 시에라리온 내전, 코소보 전쟁이 직접적으로 명시된다.[41] 여기서 K2 자동소총과 한국군 방독면을 착용한 병사가 마카로프의 조직의 용병으로 나온다. 어쩌면 마카로프 조직의 수하에 있는 "프레게타" 같은 군수회사로 한국군 군수품들을 수입한 것일 가능성도 농후하다. 플래툰 2009년 12월호에서도 이걸 걸고 넘어가기도 한다.[42] 한국어로는 "미래를 바꿨습니다."[43] 트레일러 공개 후 리마스터드의 외모가 다시 재평가가 되었다.[44] 목에 가시줄 문신이나 문양(?)이 있는 문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