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3 12:59:12

보천

步闡
(? ~ 272)

1. 개요

삼국시대 오나라, 서진의 인물이자 보즐의 아들, 보협의 동생으로 자는 중사(仲思).

2. 정사 삼국지

247년에 아버지 보즐이 죽자 서릉독이 되면서 소문장군, 서정후에 봉해진다. 265년에 손호에게 무창으로 천도할 것을 주장해 받아들여진다.

272년 8월에 중앙으로 보천을 불러 요장독으로 임명하려고 하자 아버지의 임지에서 멀어지는 것에 반대해 자신의 형 보협의 아들 보기와 동생 보준을 낙양에 보내면서 임지를 바쳐 진에 투항한다. 보천은 서릉을 아버지, 형에 이어 3대째 이어받은 땅으로 집안의 영지 같은 곳으로 여긴 모양이다. 그런 상황에서 별 이유도 없이 손호같은 폭군이 딴 곳으로 옮기라고 했으니 의심이 들었을 것이다. 손호 입장에선 유력호족 보씨 가문을 견제하거나 촉한의 멸망으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해진 이릉을 수비하는데 보천이 못 미더웠을 수도 있다.

진나라에서 보천을 도독서릉제군사, 위장군, 의동삼사로 임명하면서 시중의 관직을 더했으며, 부절을 주고 교주목을 겸임하도록 하면서 의도공으로 봉했다. 또한 양호와 양조를 보내 보천을 구원하도록 했다.

오에서는 이에 육항, 오언, 좌혁, 채공을 보내 보천을 토벌하도록 하자 양호가 8만의 군사를 이끌고 오다가 수로 수송이 막히고 양조가 유인 계책에 속아 진의 군사가 패해 퇴각했다. 결국 고립된 보천이 지키던 서릉은 함락되어 사로잡혀 손호는 보천을 처형하고 함께 논의한 자들의 삼족마저 모조리 멸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때 육항은 본보기를 보여줄 심산이었는지 어린 아이까지 모조리 다 죽이는데 이를 보고 사람들은 육항의 자손들은 재앙을 만날 것이라고 욕한다.[1] 그리고 303년 과연 진나라에 항복한 육항의 자손들인 육기, 육운, 육탐이 죽으면서 이 말은 사실이 된다.

3. 삼국지연의

부하 장수들이 정탐꾼의 보고로 오군이 이끄는 군사들이 해이해졌다면서 공격하자고 했지만 양호가 육항에 대해 언급하면서 보천을 구하기 위해 출병했다가 구하지 못했다고 언급한다.

아버지 보즐은 오의 중신으로 대도독에다가 승상까지 지낸 인물이건만 아들 보천은 진에 투항했다가 죽으니 가히 호부견자의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external/kongming.net/684-Bu-Ch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00.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등장하는데 형 보협보다 오히려 능력치가 좋을 때가 많다. 아마 손호 밑에서 차라리 반란을 일으킨 것이 더 똑똑하다고 생각돼서 그런 듯. 한 가지 웃기는 점은 무력조차도 형보다 훨씬 높다는 것. 심지어 형은 무관이고 자신은 문관으로 설정될 때가 많은데도 그렇다. 형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69/64/72/61. 되레 형보다 능력치가 높으며 연사, 투함, 조영, 혼란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보협은 연사가 없고 대신 제사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68/60/72/63/61에 특기는 5개.(상업, 보수, 화시, 유인, 제독) 능력치 합만 보면 형 보협보다 조금 떨어지는데 특기가 2개 밖에 없는 형보다 꽤나 우월하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삼국지 13에서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1/60/71/64. 특기는 순찰 4, 교섭 5, 언변 2, 수영 1. 전수특기는 교섭으로 전법은 궁병도발. 일러스트는 침울한 표정을 지은 채 고개를 숙이고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60, 지력 72, 정치 63, 매력 64로 전작에 비해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와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충차, 전법은 저지, 도발, 구축,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4.2. 진삼국무쌍 시리즈

진삼국무쌍 BLAST 등장인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6px"
SR 하후돈, 곽가, 장료, 견희, 순욱(SR), 조비, 조조, 왕이, 문빙(낭아봉)(SR), 조인, 가후, 장합, 만총(요필)(SR), 악진
R 순욱(장검), 조홍(쌍월), 만총(타구곤), 문빙(언월도), 변씨(피리), 문흠(극), 화타(구조), 하후희(위복장)(피리), 조절(권), 장창포(피리), 조모(쌍인검), 조식(비연검), 최씨(양인창)
N 조휴(화염궁), 조진(폭탄), 왕랑(쌍인검), 조아(순패검), 주령(장검), 관구검(쌍월), 조상(폭탄), 하안(타구곤), 왕경(비연검), 마준(신세검)
SR 육손, 주연, 손상향, 감녕, 손책, 태사자, 손권(도), 정봉, 보연사(노), 대교, 소교(철선), 여몽, 능통, 주환(SR)(극)
R 서성(극), 서씨(피리), 손익(극), 오국태(쌍두추), 정보(쌍모), 주환(용창), 장흠(쇄분동), 고옹(비연검), 능조(극), 유씨(권), 주이(용창), 손노반(쌍두추), 제갈근(비연검), 육항(비연검), 손노육(적), 보천(비연검)
N 우번(도), 여대(도), 하제(선곤), 원희(권), 주치(극), 제갈각(비연검)
SR 조운, 관우, 장포, 관은병, 장성채, 마대, 유선, 관색(양절곤), 유비, 장비, 하후희(SR)(쌍선), 강유, 마초, 제갈량
R 주창(귀신수갑), 하후희(촉복장)(피리), 엄안(박도), 왕평(양인창), 제갈씨(순패검), 왕도(양인창), 미당(쌍모), 호제(용창), 왕열(쌍두추), 비의(비연검), 마량(비연검), 마속(비연검), 이씨(쌍두추), 요화(R)(열격도)
N 간옹(구조), 부사인(신세검), 요화(열격도), 미방(쌍검), 습씨(십자극), 장익(순패검), 황호(비연검)
SR 사마소, 왕원희, 종회, 문앙, 사마의, 사마사, 가충, 하후패, 제갈탄, 등애(나선창)
R 호열(극), 장반(비연검), 초이(극), 문호(용창), 신헌영(순패검), 가남풍(구조), 양호(구조), 두예(비연검)
N 신창(비연검)
여포 SR 여포, 여령기, 초선, 장료, 장패(언월도)(SR)
R 고순(박도)
N 장패(언월도)
원소 SR 원소
R 안량(연인자), 문추(아벽)
N 없음
SR 수경선생(SR), 호로(ホロウ)(총), 옥새, 잔다르크, 번옥봉(SR)(인노), 소마(금쇄봉), 동탁, 맹획, 동백(단철편)(SR), 아르나스
R 수경선생(R), 화웅(극), 우길(폭탄), 기령(쌍모), 화만(귀신수갑), 하태후(구조), 번옥봉(권), 풍씨(권), 마등(극), 한수(쌍월)
N 동백(십자극), 곽사(극), 황조(아벽), 이각(박도), 수경선생(쌍검), 유표(구조),
엄백호(쇄분동), 왕윤(비연검), 원술(신세검), 장수(비연검), 추씨(피리), 장로(도)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u_Chan_%28DWB%29.png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는 아직 촉 멸망 이후 스토리가 편입되지 않은 만큼 클론은 커녕 이름도 코빼기도 안보이던 무장이었으나 진삼국무쌍 BLAST에서 육항과 양호가 참전한 덕에 친히 썰려줄 졸개(...)로 참전하였다. 왠지 여러모로 억울해보이는 아저씨 인상이 특징이며 참외 비스무리한 열매를 들고 있는데, 아버지인 보즐이 오이 농사를 짓던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저게 오이라고?

4.3. 삼국전투기

삼국전투기에서는 모자 벗은 루크로 패러디되었다.

전투외편 8편에서 첫 등장. 손호에게 무창 천도를 건의하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이 때는 보천이라는 이름이 밝혀지기 전이었다.

본격적인 첫 등장은 서릉 전투 편. 본디 서릉[2]은 226년 보즐이 서릉독으로 임명된 이래 쭉 보씨 집안에서 담당해왔지만 보협의 대패와 손휴의 황권 강화 시도가 겹치면서 육항이 그 자리를 대신 차지했는데, 270년경 강릉을 지키던 대사마 시적이 죽고 육항이 강릉으로 가면서 보천이 서릉독에 임명되며 가문의 자리를 되찾았다고 묘사되었다. 보천은 눈물까지 보이며 매우 기뻐했지만 2년 후 손호가 보천을 요장독으로 임명하며 소환하려 하자 보천은 서릉독 자리를 잃기도 싫었던데다 미친 황제 손호 옆에 가야 한다는 사실도 견디기 어려웠기에 보천은 서릉을 점거한 채 그대로 형의 아들들까지 인질로 보내버리며 진에 투항했다. 이후 보천은 농성을 하며 진의 대군을 기다렸다.

서릉의 방어체계는 매우 잘 짜여 있었기에 처음에는 공격을 들어온 뇌담을 박살내기도 하는 등 분전하지만 육항의 계략으로 인해 양조의 지원군이 박살나는 와중에도 쫄아서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기에 양조를 구원하지 못했다. 퇴각하는 양조의 군을 육항이 공격하는 와중에도 보천은 완전히 쫄아붙어 있었기에 전혀 반응하지 못했고, 이는 양조군의 궤멸로 이어졌다고 묘사됐다. 양조군이 궤멸하면서 양호도 강릉, 서릉을 포기하고 돌아갔으며, 진의 원군이 돌아간 뒤 힘이 빠진 보천은 육항에게 바로 공략당해 버렸다. 서릉 함락 이후 보천은 수하들과 함께 3족이 주살되었다고 묘사되며 최후를 맞았다.

[1] 본래 당시 법률에는 반역사건에 연좌제를 적용할때 성별과 나이를 따지지 않고 모두 참형에 처하게 되어 있기에 육항이 딱히 당시의 관습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건 아니었다. 연좌제 적용 때 성별과 나이를 구분지은건 북위 시대 이후부터다.[2] 강릉 옆 이릉성의 다른 명칭. 오에서는 장패의 습격 이래로 쭉 서릉이라 불렀지만 본작에서는 오에서는 서릉이라 하고 위에서는 이릉이라 하니 헷갈릴까봐 그냥 이릉으로 퉁쳤었고 서릉 전투 편에서 서릉이라고 칭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