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320><tablebgcolor=#fff> | 2025 포드 퍼포먼스 팩토리 드라이버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벤자민 바커 | 더크 뮐러 | 세바스티안 프리오 | 조이 핸드 | |
데니스 올슨 | 마이크 로켄펠러 | 크리스토퍼 미스 | 앤디 프리오 | |
프레데릭 베르비쉬 | 아르준 마이니 | 살만 오베가 | 주수프 오베가 | |
데이비드 슈마허 |
2025 WEC LMGT3 참가 팀/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
정규시즌 엔트리 | ||||
10번 | | 21번 | | |
더렉 드보어 에두아르도 바리첼로 발랑탱 하세클로 | 프랑수아 헤리아우 사이먼 만 알레시오 로베라 | |||
27번 | | 31번 | | |
이안 제임스 미정 미정 | 야써 샤힌 티무르 보구슬라브스키 아우구스토 파푸스 | |||
33번 | | 46번 | | |
벤 키팅 조니 에드거 다니 융카데야 | 아마드 알 하시 발렌티노 로시 켈빈 반더린데 | |||
54번 | | 59번 | | |
토마스 플로어 프란체스코 카스텔라치 다비데 리곤 | 제임스 코팅엄 세바스티앙 보드 그레고아 소시 | |||
60번 | | 61번 | | |
클라우디오 스키아보니 마테오 크레소니 맥심 마틴 | 미정 미정 크리스티안 리드 | |||
77번 | | 78번 | | |
베르나르도 소사 벤 턱 벤자민 바커 | 아놀드 로빈 핀 게흐시츠 벤 바니코트 | |||
81번 | | 85번 | | |
톰 반 룸푸이 루이 안드라데 찰리 이스트우드 | 셀리아 마탕 라헬 프레이 미셸 가팅 | |||
87번 | | 88번 | | |
페트루 움브라레스쿠 클레멘스 슈미트 호세 마리아 로페즈 | 스테파노 가투소 지암마리아 레보라토 데니스 올슨 | |||
92번 | | 95번 | | |
라이언 하드윅 리처드 리츠 리카르도 페라 | 대런 렁 숀 겔라엘 사토 마리노 | |||
* 제조사, 차량 칸 모두가 회색인 차량은 르망 24시 한정 참가 차량이며 어떤 챔피언십 포인트도 획득할 수 없다. | ||||
| }}}}}}}}} |
2025 IMSA GTD-Pro 참가 팀/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 제조사 / 번호 | <colbgcolor=#fff> 팀 / 드라이버 | <colbgcolor=#fff> 제조사 / 번호 | <colbgcolor=#fff> 팀 / 드라이버 |
007번 | | 1번 | | |
로만 드 안젤리스[DAY] 로스 건[DAY] 마르코 쇠렌센[DAY] 알렉스 리베라스[DAY] | 매디슨 스노우 닐 베르하겐 코너 드 필리피 켈빈 반더린데 | |||
3번 | | 4번 | | |
안토니오 가르시아 알렉산더 심즈 다니 융카데야[10h+] | 토미 밀너 니키 캐츠버그 니코 바로네[10h+] | |||
9번 | | 14번 | | |
제임스 힌치클리프[DAY] 조던 페퍼[DAY] 마르코 마펠리[DAY] 안드레아 칼다렐리[DAY] | 타운센드 벨 카일 커크우드[DAY] 아론 텔리츠 벤 바니코트 | |||
20번 | | 48번 | | |
클라우디오 스키아보니 마테오 크레소니 리차드 리츠 토마스 프라이닝 | 댄 하퍼 맥스 하세 아우구스토 파푸스 제시 크론 | |||
64번 | | 65번 | | |
마이크 로켄펠러 세바스찬 프리오 오스틴 신드릭[CIN] 벤 바커[MEC] | 크리스토퍼 미스 프레데릭 버비시 데니스 올슨[MEC] | |||
69번 | | 75번 | | |
앤서니 바톤[DAY] 미정[DAY] 미정[DAY] | 케니 하불 마로 엥겔 미카엘 그레니어 미정 | |||
77번 | | 81번 | | |
로린 하인리히 클라우스 바클러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 알버트 코스타 발보아 미정 미정 | |||
91번 | | |||
셰인 반 기스버겐[DAY] 스콧 맥러플린[DAY] 코너 질리시[DAY] 벤 키팅[DAY] | ||||
| }}}}}}}}} |
WEC - 프로톤 컴페티션 No.88 | ||
IMSA - 포드 머스탱 멀티매틱 모터스포츠 No.65 | ||
데니스 올슨 Dennis Olsen | ||
국적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 |
생년월일 | 1996년 4월 14일 ([age(1996-04-14)]세) | |
출생지 | 노르웨이 볼레 | |
챔피언십 타이틀 | 포르쉐 카레라 컵 독일 (2017)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2019) | |
소속팀 | IMSA | 라이트 모터스포츠 (2019)GTD Pfaff 모터스포츠 (2019~20)GTD KCMG (2022)GTD/Pro 라이트 모터스포츠 (2023)GTD 프로톤 컴페티션 (2024)GTD 포드 멀티매틱 모터스포츠 (2025)GTD-Pro |
WEC | 팀 프로젝트1 (2021)LMGTE/Am 프로톤 컴페티션 (2024~25)LMGT3 | |
르망 24시 | 포르쉐 GT 팀 (2019)LMGTE/Pro 팀 프로젝트 1 (2021)LMGTE/Am |
[clearfix]
1. 개요
노르웨이의 레이싱 드라이버이다.2. 커리어
2.1. 카트
노르웨이 볼레에서 태어난 올슨은 6살 때 고향 노르웨이에서 카트를 타기 시작했다.수많은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한 올슨은 2009년 KF3 클래스에 올라 노르웨이 타이틀을 획득했다.2010년에도 타이틀을 유지했는데, 그 해에는 주니어 모나코 카트컵에서 2위, 독일 주니어 카트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1년 올슨은 노르웨이 KF3 타이틀, 독일 KF3 챔피언십, WSK 컵 파이널 KF2 타이틀을 3연패했다.
2012년 마지막 한 해 동안 그는 WSK 컵 파이널 KF2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으며 권위 있는 독일 KF1 카트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했다.
2.2.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
올슨은 2013년 초 뉴질랜드에서 열리는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에 출전하여 노르웨이 드라이버 최초로 시리즈에 출전하며 싱글시터 커리어를 시작했다.그는 맨필드에서 열린 시리즈 최종 라운드에서 최고의 레이스 결과인 5위를 기록하며 13위로 우승을 차지했다.
2.3. 포뮬러 르노 2.0
2013년 올슨은 포뮬러 르노 2.0 NEC 챔피언십에 독일 팀 요제프 카우프만 레이싱 소속으로 출전하였으며 잭 에잇켄과 맷 패리에 이어 순위 3위를 차지했다.그는 잔드부르트에서 열린 시즌 마지막 레이스에서 폴 포지션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폭우로 인해 레이스가 취소되었다. 그는 또한 AV 포뮬러 팀과 스파-프랑코샹에서 열린 포뮬러 르노 2.0 알프스 시즌에 일회성 출전하기도 했다.
2014년 올슨은 프레마 파워팀 소속으로 유로컵 포뮬러 르노 2.0 챔피언십에 출전했다.그는 스파-프랑코샹과 뉘르부르크링에서 레이스 우승을 포함해 세 차례 포디움에 오른 후 챔피언 닉 더프리스에 이어 순위 2위를 차지했다.
헤레즈에서 열린 시즌 최종 라운드에서 첫 번째 레이스에서 2위를 차지한 그는 처음에는 챔피언십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나중에 기술적 침해로 실격 처리되었다.
그러나 그는 시즌 최종 레이스에서 7위를 차지한 후 다음 날 챔피언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또한 프레마와 함께 열린 포뮬러 르노 2.0 알프스 챔피언십에서 시즌에 부분 참가하여 6번의 레이스에서 톱 10에 6번이나 이름을 올렸다.
올슨은 2015년에도 두 번째 시즌 동안 유로컵 포뮬러 르노 2.0에 머물며 매노어 MP 모터스포츠로 이적하였다.
2.4. 스포츠카 커리어
2023년, 올슨은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에 복귀했다.SSR 퍼포먼스 소속으로 2022시즌을 마친 올슨은 2023년 만타이 EMA로 이적했다.
두 개의 포디움으로 순위 7위를 차지했고, 팀메이트 토마스 프라이닝이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올슨은 루트노익 레이싱 소속으로 GTWC 유럽 인듀어런스 컵에 출전하여 로린 하인리히, 프라이닝과 함께 프로 클래스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시즌을 종합 7위로 마무리했다.
2024년 올슨은 포드 팩토리 드라이버로 전향하여 미켈 페데르센, 브론즈 랭크 드라이버 조르지오 로다와 함께 프로톤 컴페티션 소속의 신형 포드 머스탱 GT3를 타고 출전하게 된다.
첫 세 라운드에서 느린 출발을 보인 올슨은 르망 24시에서 클래스 3위를 차지하며 시즌 첫 포디움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