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22:49:55

국악방송/라디오

국악FM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국악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종합
방송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표준FM_신로고.svg파일:MBC라디오_White.svg) | 파일:EBS 로고.svg (파일:EBS FM 로고.svg)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파일:KNN 로고.svg (파일:KNN 러브FM.pn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 라디오 로고.png (독립)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표준FM)
파일:가톨릭평화방송 로고.svg (파일:cpbc FM 로고.svg)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음악
국영방송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파일:FM국악방송 화이트.svg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FM4U_신로고.svg파일:MBCFM4U_White.svg)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파일:KNN 로고.svg (파일:KNN 파워FM.png) | 파일:TBC 로고.svg (드림FM) | 파일:kbc 로고.svg (MyFM)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파워FM) | 파일:ubc 로고.svg (그린FM) | 파일:JTV 로고.svg (매직FM) | 파일:CJB 로고.svg (조이FM) |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Fresh FM) | 파일:JIBS 로고.svg (뉴파워 FM)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음악FM)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파일:YTN 라디오.png
파일:TBS FM 로고.svg | 파일:TBN 교통방송 로고.png
군사 파일:국방홍보원 MI.svg (파일:KFN 로고.png)
국내 방송사 운영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 파일:TBS eFM 로고.svg |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 | 파일:GGN 글로벌광주방송 로고.png
주한미군 운영
파일:AFN The Eagle.jpg | 파일:AFN Thunder AM.png
파일:관악FM.png | 파일:마포FM.png | 파일:성남FM.png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 단원FM | SoneFM | 파일:금강FM.gif |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파일:연제FM 로고.png | 전주FM | 대구동구FM
DMB
스트리밍
파일:U-KBS MUSIC 로고.svg | 파일:올댓뮤직.jpg | 파일:SBS V-Radio.png
인터넷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관련 틀과 문서
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 공동체 라디오 | 라디오 주파수/대한민국
방송 프로그램 문서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

파일:국악방송 로고.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파일:수도권 국악방송 화이트.svg
수도권
파일:광주국악방송 로고.svg파일:광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광주, 전남
파일:대전국악방송 로고.svg파일:대전 국악방송 화이트.svg
대전, 세종
파일:충주 국악방송.svg파일:충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충주
파일:영동 국악방송.svg파일:영동 국악방송 화이트.svg
영동군
파일:제천국악방송 로고.png파일:대전 국악방송 화이트.svg
제천, 단양
파일:부산국악방송 로고.svg파일:부산 국악방송 화이트.svg
부산
파일:대구국악방송 로고.svg파일:대구 국악방송 화이트.svg
대구
파일:전주국악방송 로고.svg파일:전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전북 북부
파일:경주국악방송 로고.svg파일:경주,포항 국악방송 화이트.svg
경주, 포항
파일:강릉국악방송 로고.svg파일:강릉 국악방송 화이트.svg
강원 동해안
파일:남도국악방송 로고.svg파일:목포, 진도 국악방송 화이트.svg
전남 서남부
파일:남원국악방송 로고.svg파일:남원 국악방송 화이트.svg
전북 동남부
파일:제주국악방송 로고.svg파일:제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제주시
파일:서귀포국악방송 로고.svg파일:서귀포 국악방송 화이트.svg
서귀포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파일:FM국악방송 화이트.svg 국악방송
Gugak FM
국악FM방송국
}}}
한국문화의 중심
<colbgcolor=#6e9ad1,#1f2023><colcolor=#fff,#6e9ad1> 채널 구분 <colbgcolor=#fff,#1f2023>지상파 라디오
장르 음악 전문 채널
분야 국악[1]·월드뮤직·대중음악 등
호출부호 HLQA-FM
(수도권, 강릉, 대구, 경주, 부산,
제주)
주파수 99.1㎒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e9ad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수도권)]
지역별 주파수
[ 펼치기 · 접기 ]
103.3㎒ '''
강릉·속초·동해
'''
107.5㎒ '''
대구
'''
107.9㎒ '''
경주·포항
'''
98.5㎒ '''
부산
'''
91.3㎒ '''
제주
'''
106.9㎒ '''
서귀포
'''
문자 참여번호 #0302 (수도권)
방송
품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e9ad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인터넷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e9ad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192kbps, 48kHz)
방송
시간
통상
오전 5시 ~ 다음날 오전 5시(24시간)
정파
오전 5시 ~ 밤 12시(19시간)
언어 한국어
가청취권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2]
방송책임 김은하 (방송본부장)

1. 개요2. 주파수3. 편성표

[clearfix]

1. 개요

한국문화의 중심, 국악방송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자 국악 전문 공영 방송국 국악방송의 라디오 채널을 다루는 문서. 호출부호는 수도권, 강원, 대구경북, 부산, 제주지역 HLQA, 호남지역 HLEG, 충청지역 HLEK이다.

대한민국의 전통음악인 국악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라디오 방송국으로서 2001년 3월 2일 국립국악원의 주도로 수도권 FM 99.1㎒를 통해 개국했다.

국악방송의 역대 DJ성우들이 유독 국악방송에서 프로그램을 자주 진행했었는데, 이선주, 이진화, 위훈, 박희은, 은영선, 유보라 등이 이 방송국에서 프로그램 DJ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은영선의 경우 2010년 초반부터 국악방송의 시보 멘트 아나운서를 맡고 있다.

문자 참여번호는 #0302번이다.

==# 연혁 #==
  • 1997. 10. 기본자료 수집
  • 1998 04.03 국악FM방송국 설립 기본계획 수립
  • 1998 04.17 98년도 대통령 업무보고시 설립계획 보고 [국민의 정부 새문화정책 사업]으로 선정
  • 2000 01.07 무선설비 공동사용 승인(체신청)
  • 2000 01.11 국악FM방송국 설립허가(정보통신부)
  • 2000 02.14 재단법인 국악방송 설립
  • 2000 04.04 서울지역 무선국 허가
  • 2000 06.08 남원국악방송 설립허가(전북 체신청)
  • 2000 07.10 남원국악방송 무선국(고정국) 설립 허가
  • 2000 12.21 [국악FM방송국 개국과 운영방안] 공청회 개최
  • 2000 12.27 방송장비 설치 완료
  • 2001 01.27 서울·경기지역 시험방송
  • 2001 02.23 방송국 준공검사 완료
  • 2001 03.02 서울·경기 지역 개국(방송시간 21시간/본방송 14시간, 재방송 7시간)
  • 2001 04.02 제1차 프로그램 부분개편/인터넷 방송 실시(방송시간 22시간)
  • 2001 05.01 남원지역 시험방송
  • 2001 06.01 남원국악방송(당시 본사 보조국) 개국
  • 2001 07.02 제2차 프로그램 부분개편
  • 2001 09.01 크레지오닷컴과 국악FM 인터넷 방송 공동 실시
  • 2001 10.08 제3차 프로그램 부분 개편
  • 2010 01.29 공공기관으로 지정
  • 2010 01.31 [한승호] 명창 추모 특집방송
  • 2010 02.01~03 만당 이혜구 별세 추모 특집방송
  • 2010 02.14 차 없는 광화문 광장 '2010 설날 한마당' (광화문 광장, 세종문화회관 야외특설무대)
  • 2010 02.26 박준영 국악방송 사장 취임
  • 2010 04.07 경주국악방송(본사 보조국) 개국 및 본방송 실시
  • 2010 04.14 2010년 봄 프로그램 개편
  • 2010 05.25 21C 한국음악 프로젝트 1차 예선
  • 2010 05.31 국악방송 새 현판 교체
  • 2011 10.27 전주국악방송(당시 본사 보조국) 개국
  • 2011 11.08 부산국악방송(본사 보조국) 개국
  • 2012 12.14 강릉국악방송(본사 보조국) 개국
  • 2012 12.30 대구국악방송(본사 보조국) 개국
  • 2014 03.26 광주국악방송 개국
  • 2014 08.11 남도·남원·전주국악방송 본사 → 광주 이관
  • 2015 12.29 제주·서귀포국악방송(본사 보조국) 개국
  • 2017 07.14 대전국악방송 개국
  • 2018 11.29 충주·영동국악방송 허가
  • 2019 03.13 충주·영동국악방송(대전 보조국) 개국
  • 2021 01.04 광주국악방송 연주소 및 송신소 이전
  • 2021 12.18 제주국악방송 송신소 이전(KT한라산 → 견월악)
  • 2022 07.21 경주국악방송 도음산 송신소 철탑 이전(포항MBC 철탑 → 포항극동방송 철탑)
  • 2023~2024 부산국악방송 송신소 이전(봉래산(영도) → 황령산)
  • 2024 01 제천국악방송(대전 보조국) 허가 #
  • 2024 07.10 청주국악방송(대전 보조국) 허가 #
  • 2024 10 이후 제천국악방송(대전 보조국) 개국 예정
  • 2025 전반기 청주국악방송(대전 보조국) 개국 예정

2. 주파수

  • 2001년 개국할 당시 수도권전북 남원시 일대만 있어서 나머지 지역은 인터넷으로 들어야 했으나 2006년 5월 남도국악방송 개국을 시작으로 광주국악방송, 대전국악방송을 제외한 전국 각 지역에 보조국 형태로 확대 중이다. 다만 송신소가 적어[3] 해당 지역 내에서도 주파수가 잡히지 않아 듣지 못하는 지역이 태반이지만 최근에는 송신소 이전과 송중계소 확충을 통해 가청권역을 확장하고 있어서 이러한 난청 지역은 줄어드는 추세다. 난청 지역에서의 보다 원활한 청취를 위해서는 인터넷으로 듣기를 권한다. 국악방송 자체 플레이어인 '덩더쿵' 앱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환경에서도 국악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 출력의 D 표기는 지향성 송출을 의미한다.
지역국 주파수
(㎒)
출력(㎾) 연주소(원격제어감시소) 송신소(주소) 가청권역
<colbgcolor=#ffffff> 파일:서울·경기국악방송 로고.svg 99.1 5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 54길 12 7층, 10~12층 서울 용산구 남산공원길 105 N서울타워(남산타워) 수도권[4]
파일:부산국악방송 로고.svg
(서울 보조국)
98.5 1 부산 부산진구 국악로 2 국립부산국악원 부산 연제구 황령산로 391-30 KNN 황령산 송신소[5] 부산[6]·김해·양산[7]·
창원(진해)·일본(대마도)
파일:대구국악방송 로고.svg
(서울 보조국)
107.5 1 대구 수성구 무학로 180 수성아트피아 대구 남구 앞산순환로 456 KBS대구 앞산 송신소 대구[8]·경산·영천·칠곡·성주·고령
파일:경주국악방송 로고.svg
(서울 보조국)
107.9 1 경북 경주시 알천북로 1 경주예술의전당 내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도음로 764-555 포항극동방송 도음산 송신소 경주·포항·영덕·울진[9]
파일:강릉국악방송 로고.svg
(서울 보조국)
103.3 1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 54길 12 7층, 10~12층 국악방송 본사 강원 강릉시 강동면 모전리 산26-1 KBS강릉 괘방산 송신소 강릉·동해·양양·속초·
삼척[10]·평창[11]·정선[12]
파일:제주국악방송 로고.svg
(서울 보조국)
91.3 D0.5 제주 제주시 첨단로 213-4 엘리트빌딩 502-2호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견월악 송신소[13] 제주시[14]
파일:서귀포국악방송 로고.svg
(서울 보조국)
106.9 0.5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KBS제주 삼매봉 송신소 서귀포[15]
파일:광주국악방송 로고.svg 99.3 D1 광주 북구 제봉로 324 SRB빌딩 4층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광주방송 무등산 송신소[16] 광주·나주·담양·함평·
장성·화순·곡성·
영암·무안·목포
파일:남도국악방송 로고.svg
(광주 보조국)
94.7 0.5 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 1-27 KBS목포 대둔산 송신소 목포·해남·진도·강진·
장흥·완도·영암·신안[17]
파일:남원국악방송 로고.svg
(광주 보조국)
95.9 1 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1 전주MBC 교룡산 송신소 남원·순창·임실·
곡성·구례·담양
파일:전주국악방송 로고.svg
(광주 보조국)
95.3 1 전북 전주시 완산구 한지길 64 전주한옥마을 전북 익산시 금마면 산북리 산69-1 KBS전주 미륵산 송신소 전주·군산·익산·김제·완주·부안·논산·부여·서천
파일:대전국악방송 로고.svg 90.5[18] D1 대전 동구 대전로 591 우성유통(구 대전방송 사옥[19]) 3층 대전 동구 대전로 591 우성유통 대전·세종[20]·공주·계룡·논산·금산·청주[21]·보은[22]·옥천[23]
파일:충주 국악방송.svg
(대전 보조국)
101.7 0.3 충북 충주시 목벌동 산58-3 충주남산 중계소 충주[24]·음성[25]·괴산[26]·이천[27]
파일:영동 국악방송.svg
(대전 보조국)
99.3 0.1 충북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 산32-3 KBS청주 영동 중계소 영동[28]
파일:제천국악방송 로고.png
(대전 보조국)[29]
90.1 0.6[30] 충북 제천시 신월동 산39-30 KBS충주 용두산 중계소 제천·단양·충주[31]·원주[32]·영월[33]
청주국악방송
(대전 보조국)[34]
107.5 충북 청주시 청주·증평·세종·진천

3. 편성표

  • KBS 1FM과 함께 뉴스도, 광고도 없이 그렇게 24시간 365일 내내 음악만 틀어주는 몇 안되는 채널이다. 심지어 지상파 방송사라면 예외없다는 민방위 훈련도 이 채널은 열외다.
  • 다른 라디오 방송들은 길게 편성된 프로그램이라도 한 시간씩 끊어서 광고와 시간 보도 방송을 넣은 뒤 2부를 시작하지만, 상술한 이유로 이 채널은 2시간을 통으로 진행해서 시보도 한 프로그램이 끝나고 다음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시간대에만 나오고, 2시간짜리 프로그램의 방송 중간(8시, 10시, 13시, 15시, 19시, 23시 등)에는 시보가 없다.[35]
  • 전체 방송 중 24시간이 국악 방송으로 편성되어 있지만 일부 시간대에 한해 재즈, 가곡, 세계의 다양한 음악(월드 뮤직)도 다루고 있다.
파일:국악방송 로고 화이트.png 본방송 재방송
시간 평일 프로그램 주말 프로그램 릴레이 로컬
02:00 흐르는 음악처럼
04:57 여기는 국악방송입니다
05:00 솔바람 물소리
07:00 이한철의 창호에 드린 햇살 이한철의 창호에 드린 햇살
08:55 김선근의 문화소식
09:00 국악산책 대전, 광주
11:00 한석준의 문화시대 은영선의 함께 걷는 길
12:00 음악이 흐르는 마루 음악이 흐르는 마루 대전
13:55 김선근의 문화소식
14:00 바투의 상사디야 온고을 상사디야
16:00 노래가 좋다 풍류가 좋다 대전, 광주
17:55 김선근의 문화소식
18:00 맛있는 라디오
19:30 양준모의 당신을 위한 노래
20:00 FM 국악당 (월~토) 연구의 현장 (일)
21:00 글과 음악의 온도
22:00 이세준의 음악이 좋은 밤 풍류가 좋다
24:00 국악산책


[1] 정악, 민속악, 제례악, 창작국악[2] 부산, 대구, 경북 일부, 강원 동해안, 제주도에서도 보조국인 부산국악방송, 대구국악방송, 경주국악방송, 강릉국악방송, 제주국악방송, 서귀포국악방송을 통해 청취할 수 있다.[3] 특히 울산광역시광역시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보조국이 없다. 타 광역시는 모두 방송망이 확충된 상태인 점에서 KBS 해피FM과 비슷한 상황. 또한 국악방송은 해피FM과 다르게 울산 인근의 팔공산, 기장, 양산에도 송중계소가 없고 황령산 또한 출력이 해피FM보다 낮아 울산 내 수신환경이 더 열악하다.[4] 송신소 자체 고도가 489m로 낮은 편이어서 남산 전파가 관악산, 광교산에 가려지는 경기 남부(안양, 군포, 수원 등)와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에 가려지는 경기 북부(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에서는 잡음이 매우 많다. 특히 평택시, 안성시를 포함한 경기 남부에선 전주MBC FM4U와 혼신되어 청취하기 더욱 어려우며 이 문제로 인해 관악산 등으로의 송신소 이전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이와 비슷하게 관악산 송출의 극동방송 또한 EBS FM 김제 모악산 송신소와 주파수가 동일해서 평택 등에서 혼신이 발생하지만 전주MBC FM4U의 출력은 5㎾로 3㎾인 EBS FM보다 더 높다. #
다만 옆 주파수(92.1)에 음성 가섭산에서 1㎾로 송출하는 KBS충주 1라디오가 위치하여 송신소 이전이 곤란할 것으로 보였던 MBC FM4U(91.9)와 인근 용문산(101.1)에서 더 높은 출력으로 송출하는 국방FM이 옆 주파수에 위치하여 송신소 이전이 곤란할 것으로 보였던 TBS eFM(101.3)도 송신소를 N서울타워에서 관악산으로 이전한 사례를 보면 송신소 이전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만일 국악방송이 송신소를 이전할 경우 한때 수도권의 대표 송신소였던 남산서울타워에서 송출하는 지상파 방송(및 남산서울타워의 송출 기능)은 사라지게 되며 남산 전체를 통틀어도 국방FM(96.7/KBS 준공, 소유 송신탑)과 AFN(102.7/미군 소유 송신탑)만 남게 된다.
[5] 2023년 이전에는 봉래산(영도)에서 송출했으나 현재는 황령산으로 이전했다. 공식 홈페이지에는 2024년 4월에 반영되었으며 반영 한 달 전인 2024년 3월에 송신소를 황령산으로 이전하여 부산 서면에서 깨끗하게 수신되는 대신 사하구, 김해 시내에서 잡음이 많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 서면은 황령산 전파가 봉래산보다 잘 잡히는 지역이며 사하구와 김해 시내는 그 반대이다. 송신소 이전 시기는 2023년 6월~2024년 3월 중으로 추정된다. 부산국악방송이 송신소를 이전하면서 한때 부산의 대표 송신소였던 봉래산(영도) 송신소에는 부산극동방송(93.3)만 남게 되었다. #(국악방송 입찰공고) #(라디오 방송채널현황)[6] 서부산, 기장에서는 대체로 잘 잡히지 않는다.[7] 동면 중·동부, 물금읍 서남부, 원동면 일부를 제외하고 잡음이 많이 들리며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도 있다.[8] 군위 일부지역 제외[9] 평해읍, 후포면, 온정면[10] 동지역, 미로면[11] 진부면, 대관령면[12] 임계면[13] 70도(구좌 방향), 290도(제주시내 방향) 지향. #(제안요청서 8p)[14] 동지역, 애월읍, 조천읍, 구좌읍[15] 동지역, 남원읍, 안덕면, 표선면[16] 270도(광주 시내 방향) 지향. 예전에는 연주소에서 송출하였으나 송신소를 무등산으로 이전하면서 광주지역 FM방송은 AFN(88.5)과 공동체 라디오(광주FM(88.9), GBS 고려방송(93.5))를 제외하면 모두 무등산에서 송출하게 되었다. #(제안요청서 8p)[17] 흑산면 등 낙도지역 수신 불가[18] 0도(신탄진 방향), 270도(계룡 방향) 지향. #(제안요청서 10p) 대전지역 FM방송 중 공동체 라디오한밭FM과 더불어 유이하게 송신소를 식장산, 계룡산 등 고지에 세우지 않았다. 덕분에 충남 북부 지역에서는 수신이 전혀 안된다. 이와 반대로 대전권 주요 방송사들은 서산시 원효봉, 보령시 옥마산, 천안시 흑성산 등에 중계소를 운영해 충남 북부권 청취자들의 청취권을 보장 및 보호하고 있다. 또한 1993년에는 엑스포FM이 나온 주파수였다.[19] 대전방송의 초창기 사옥으로 대전방송이 도룡동 신사옥을 2012년 10월에 완공한 후 신사옥으로 이전하면서 대전방송 관계사인 우성유통의 신사옥으로 리모델링된 건물이다.[20] 조치원읍 이남[21] 오송읍, 현도면[22] 회남면[23] 군북면, 군서면[24] 수안보면 제외[25] 감곡면, 생극면[26] 불정면[27] 장호원읍, 율면[28] 영동읍, 양강면[29] 2024년 10월 21일 정식 개국. #[30] 제천 송출 FM방송 중 출력이 가장 높다.[31] 산척면, 엄정면, 동량면, 살미면, 수안보면[32] 신림면, 판부면[33] 주천면, 한반도면, 남면, 북면[34] # 대전국악방송은 충청북도에 보조국 3개소를 두고 있으며 제천시에도 보조국을 개설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충북 최대도시청주시에는 현재 보조국이 없어서 청주 시내에서는 청취가 어려웠으나 2024년 7월 10일 청주 중계소도 허가받아 2025년 전반기 개국할 예정이다.[35] 아예 없지는 않고 일부 시간대에 슬로건과 로고송이 생략된 시보가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