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회 | |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 정부 | |||
| | · 국무위원 | ||
| | 국무회의 · 국가원로자문회의 · 국가안전보장회의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국민경제자문회의 | ||
| · 정부위원 | |||
| | 감사원 · 감사원장 · 감사위원 | ||
| 법원 | | · 대법원장 · 대법관 · 대법관회의 | |
| 각급법원 · 판사 | |||
| | 군사법원 · 군판사 | ||
| 헌법재판 | |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 |
| 선거관리 |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각급선거관리위원회 | |
| 지방자치 |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장 | |
| | 지방의회 · 지방의회의원 | ||
| : 헌법재판소 2004. 10. 21. 선고 2004헌마554 결정에 따른 분류 | |||
| <nopad> | ||||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 #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제1-3대 | 제4대 | 제5-9대 | 제10대 |
| 이승만 | 윤보선 | 박정희 | 최규하 | |
| 제11·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 노무현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
| 제20대 | 제21대 | |||
| 윤석열 | 이재명 | |||
| }}}}}}}}}}}} | ||||
| | |
| <rowcolor=#ffc224,#ffc224> 대한민국 대통령기 | 대한민국 대통령 문장 |
| <colbgcolor=#005ba6,#005ba6><colcolor=#ffc224,#ffc224> 대한민국 대통령 大韓民國 大統領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
| | |
| 현직 | 이재명 / 제21대 |
1. 개요
Commander In Chief | CIC국군통수권(國軍統帥權)을 가진 자로, 군대에 대한 최고 지휘 및 통제권을 행사하는 사람이다. 총사령관 또는 최고사령관으로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대한민국 국군을 통수하는 권한이다. 국군통수권자는 국군을 통솔한다는 군사적 용칭이며, 대통령은 국가원수의 의미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용어만 다르지 둘 다 국가원수라는 같은 의미를 가진다. 국민에게 권한을 위임받은 국가원수가 국군의 통수권을 가진다는 의미로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다.
국군통수권자라는 용어는 주로 국가에 중대한 안보 위기 및 적국에 의한 침략, 군 행사 등 군사적인 일에 관련해서 쓰인다. 민간 및 기자회견 등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국군통수권자라는 명칭보다는 국가원수나 대통령이라는 명칭을 쓴다.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보통 국무총리가 대행을 하지만 특수한 상황에는 국방부장관이 실질적으로 지휘를 한다. 이렇게 군 당국이 정부를 집권할 경우 국군통수권자라는 용어가 대통령 보다는 조금 더 많이 쓰인다.
2025년 10월 기준 대한민국의 국군통수권자는 이재명 대통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