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00:09:12

고전역학

고전물리학에서 넘어옴


<bgcolor=#614a0a>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관성 좌표계 ·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블록 쌓기 문제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안 · 작용)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안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 고전장론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구조역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1. 개요2. 역사3. 입지와 위상4. 종류5. 과목
5.1. 중등교육과정5.2. 고등교육과정5.3. 교재5.4. 학습 내용

1. 개요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classical dynamics)은 일상적인 규모의 물체들이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운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좁은 의미로는 영국의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에 의해 만들어진 '뉴턴 역학'만을 일컫는 경우도 있지만, 넓은 의미로는 뉴턴 역학 이외에도 조제프-루이 라그랑주에 의해 발달된 '라그랑주 역학', 윌리엄 로원 해밀턴에 의해 발달된 '해밀턴 역학' 등의 해석 역학을 아우르는 현대 이전의 전반적인 역학 분야를 일컫기도 한다. 고전역학은 모든 역학의 기초를 이룬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물리학/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입지와 위상

고전역학이 일상적인 규모를 다룬다고 할때 ‘일상적인 규모’란 아주 작거나 크지 않고, 매우 빠르게 움직이지 않는 물체의 운동을 의미한다. 더 쉽게 말하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운동을 뜻한다. 고전역학적 관점에서 비일상적인 물체의 운동은 양자역학, 상대성 이론현대물리학의 다른 이론들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고전역학은 현대물리학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덧붙여, 일상적인 전기자석 현상을 다루는 전자기학은 고전역학처럼 고전 물리학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사실, 전자기학은 특수 상대성 이론의 토대가 되었으며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전하와 전류에 관한 설명을 추가하여 전자기학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는 전자기학이 이미 상대성 원리를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전자기학을 오직 고전적 이론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그 본질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20세기 전까지만 해도 고전역학은 물리학의 표준이나 다름없었다. 당시에는 고전역학이 계속해서 심층적으로 검증되어 물체의 운동을 충분히 잘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맥스웰 방정식의 등장에 이어 특수 상대성 이론을 필두로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 등의 더 정확한 이론들이 새롭게 등장하여 대체되었다.

하지만 고전역학은 제대로 된 관측 장비가 거의 없던 17세기에 탄생한 이론이니까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이 고전역학보다 부정확한 게 오히려 이상하다. 즉 고전역학이 현대 이론과 맞지 않는 것은 문제삼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되지 못한다.

또한 표준으로서의 고전역학은 끝났지만, 전부 대체되지는 않았음을 알아야 한다. 여전히 일상을 지배하는 이론인 고전역학은 태양계 내에서 일어나는 물체의 운동 따위의 자연현상을 설명할 수 있기에 공학적 응용에선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시세계 연구같이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충분히 정확하고 계산하기도 간편한 고전역학이 현대물리학보다 훨씬 더 많이 쓰인다. 특히 실질적인 세계를 다루는 공학에서는 아직도 고전역학의 방법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데 로켓 추진을 제어한다거나 로봇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등 거시세계의 공학적 문제 상황에서는 미시세계를 다루는 현대의 물리학을 적용하지 않는다.

4. 종류

고전역학의 역사가 긴 만큼,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다. 가장 처음 구성된 뉴턴 역학 그리고 이 뉴턴 역학을 기반으로 나중에 만들어진 라그랑주 역학과 해밀토니안 역학이 있다. 각 접근 방법은 실제 모두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는 점에서 동등하다. 그러나 실제 적용 난도나 고전역학을 넘어서는 영역으로의 확장성은 많이 다르다.

4.1. 뉴턴 역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턴의 운동법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뉴턴의 운동법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뉴턴의 운동법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실상 고전역학의 시발점이다.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학문적으로도 가장 저명하다.

4.2. 해석역학

4.2.1. 라그랑주 역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그랑주 역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그랑주 역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그랑주 역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2. 해밀턴 역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밀턴 역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밀턴 역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밀턴 역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비교

  • 정확성 및 도출되는 결론
    셋 다 똑같다.
  • 입문 난이도
    뉴턴 역학이 다른 두 역학에 비해 입문하기 매우 좋은 편이다. 왜냐하면 해석역학은 기본적으로 뉴턴 역학의 지식이 필요할 뿐더러 기본적인 수식들에도 편미분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물론 뉴턴 역학 역시 복잡한 방정식등이 많이 나오지만 입문하는 수준에서 배우는 것들은 매우 간단한 방정식들로 표현 가능하다.
  • 현대물리학으로의 확장성
    셋 다 현대물리학과의 연계, 고전물리학에서 현대물리학으로 넘어가는 데에 있어 필수적인 징검다리 역할이다. 하지만 이러한 점이 가장 많이 부각되고 강조되는 것은 라그랑주 역학이다.
  • 운동 분석 방법
    뉴턴 역학은 힘이라는 벡터 물리량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해석역학은 스칼라인 에너지, 라그랑지언, 해밀토니언 등으로 분석한다.
  • 적합 용도
    뉴턴 역학은 1~2차원을 분석할 때 유용하고, 해석역학은 계산법이 간단한 스칼라를 이용하고 편미분 방정식들이 많으므로[1] 3차원일 때, 특히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이용해야 할 때 유용하다.

5. 과목

물리학 교육과정에서도 제일 중요한 분야 중 하나가 고전역학이다. 모든 역학의 기반, 기초 역할인 고전역학을 사전 지식으로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5.1. 중등교육과정

초중등 물리학에서는 '운동과 에너지'의 일부 내용으로서 다룬다. '전기와 자기', '빛과 물질'에 비해 성취 기준 수가 비대한 편이라 2022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힘과 운동'과 '에너지'[2]로 영역을 나눴다. 중학교 1학년 과학에서 알짜힘이라는 개념, 힘의 종류에 대해서만 간단히 다룬다. 중학교 3학년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속도와 가속도',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다루게 된다.[3]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고등학교 1학년 때 편성되는 통합과학1, 2에서 '중력장 내 물체의 운동'과 '운동량과 충격량'을 다룬다. 다만, 중력장 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정량 관계 및 수식은 역학과 에너지라는 진로 선택 과목(주로 고등학교 3학년 편성)에서 다루고, 1학년 과정에서는 [math(x)]축은 등속도 운동, [math(y)]축은 등가속도 운동(연직하방운동)을 한다는 개념 정도만 익히도록 한다.

주로 고등학교 2학년 때 편성되는 일반 선택 과목 물리학에서는 '물체의 평형', '돌림힘(1차원)'으로 시작하여 '등가속도 운동', '역학적 에너지 보존' 등을 다룬다. 이 점은 문서의 목차를 직접 확인하길 바란다.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현대물리학과 상대성 이론을 강조하면서 옛날에 비해 고전역학의 비중은 다소 줄어들었지만, 입시 시험 중 하나인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고전역학으로 상위권을 변별하는 주요 기준으로 활용된다.

5.2. 고등교육과정

물리학과 학부에서 일반역학, 고전역학, 해석역학 등의 과목으로 개설되는 과목. 앞서 언급한 뉴턴의 운동 법칙을 필두로 다양한 고전역학의 주제들을 배우게 된다. 보통 물리학과 2학년에 들어서고 나서 처음 접하는 본격적인 전공 과목이다. 일반적으로 물리학과가 아니더라도 이공계열 학부생이라면 보통 1학년 때 일반물리학 혹은 대학물리학이라는 공통과목을 배우는데, 고전역학 수업은 이를 안다는 전제 하에 심화된 내용이나 일반물리 과정에서는 다룰 수 없었던 수학적 테크닉, 그리고 후에 양자역학에서도 중요한 라그랑지언과 해밀토니언을 배우게 된다.

뉴턴 역학의 익숙함과 현상의 직관성 때문에 내용 자체의 난해성은 양자역학보다 덜하지만, 바로 그 특성이 문제를 난해하게 꼬아서 낼 수 있다는 점이 힘들 수도 있다. 관련 식은 간단하지만 뉴턴 역학의 비선형적인 특성 상, 계산과정만 페이지 단위가 넘어가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보통 2학년 두 학기에 걸쳐 배우는데, 물리학과에서 배우는 다른 과목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지라 한 학기만 짧게 하거나 2학기 과정은 필수과목이 아닌 학교도 있다. 그러나 고전역학의 중요성은 어떤 물리 현상을 기술하는 기본적인 사고방식과 방법론을 터득함과 동시에, 다른 과목으로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데 있어 절대로 소홀히 다뤄서는 안된다.

대학원 과정에서 가르치는 고전역학은 라그랑주 및 해밀턴 역학 위주로 전개된다. 대학원 과정에서 주로 쓰는 교재인 골드슈타인 교재에서 처음 두 단원부터 라그랑주 방정식이 나오니 말 다했다. 여기서는 학부 수준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더럽거나 엄밀하지 못하게 풀었던 모델들을 제대로 풀게 되며, 학부 수준에서는 해밀턴 방정식과 일반화 좌표계 정도에서 끝나는 해밀턴 역학을 본격적으로 파고든다. 해밀턴-자코비 방정식이나 정준변환 등을 다루게 되고, 이를 이용해 슈뢰딩거 방정식 등의 현대물리로의 확장이 어떻게 자연스럽게 이루지는가를 주로 배우게 된다. 이에 대한 한국어 강의로 고려대학교 최준곤 교수가 강의한 동영상이 존재한다.

5.3. 교재

  • Grant R. Fowles, George L. Cassiday - Analytical Mechanics
번역이 잘 되어 있어 학부과정으로 많이 보는 책이며 공대에서도 애용한다. 정성적인 설명과 문제풀이를 위주로 서술되어 있으며, 수식 사이에 증명이 없고 뜬금없이 건너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뉴턴 역학 위주이며 라그랑주 역학은 마지막 두 단원에서만 다룬다. 또한 이상한 주제에 집착하여 쓸데없이 자세히 나와있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학부과정의 대표 교과서이나 난이도 면에서나 분량 면에서나 Marion의 것을 더 높이 쳐주는 편이다. 수식은 가급적 간단하게, 많은 그림을 곁들인 예제를 통해서 설명한 것이 특징이며, 다른 역학 교과서들에 비해서 비교적 쉬우며(즉 문제를 쉽게 접근한다.) 명확한 개념설명이 다른 역학 교과서에 비해서 매우 돋보이는 편. 파동이나 유체 부분은 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 David Morin - Introduction to Classical Mechanics
이 교재도 학부과정때 보는 것 중 하나다. Purcell의 전자기학의 3판을 출간했으며, 그의 특징인 수많은 연습문제가 특징이다.
국내에서 최준곤 교수가 번역을 했으며, 해당 강의가 유튜브에 올라와있으니 참고.
해당 저자의 전자기학이 비교적 쉽다는 평을 듣는 것과 달리 해당 교재의 연습문제는 상당히 어렵다.
  • Jerry B. Marion, Stephen T. Thornton - Classical Dynamics of Particles and Systems
마찬가지로 학부과정때 많이 본다. 역학의 방대한 내용을 매우 충실하게 수록한 것이 특징. 예를 들어 단진자 운동으로부터 비선형역학인 카오스까지 접근하고 있다. 무엇보다 라그랑지안, 해밀토니안, 변분법에 대해서 어떤 다른 역학책보다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헷갈리면 이 책을 참조하면 좋다. 공부하다보면 아래 Symon의 책, Goldstein의 책이 서로를 참조하며 잘 엮여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 다 60년대에 첫 판이 나온지라 장수하고 있는 교재인 셈이다. 보통 대학교를 제외하고 영재학교나 과학고에서 역학을 처음 입문할 때는[4] 이 마리온 역학 대신 바로 위의 파울스 해석역학을 가장 많이 쓰는데 파울스와의 차이점을 꼽자면, 라그랑주 역학 단원의 배치가 파울스는 최후반부인데 반해 마리온은 중간에 배치가 되어있고, 마리온이 보다 카오스 진동계의 서술을 자세하게 한다는 것이 있다.

마리온 교재를 공부하며 알아둬야 할 것은 연습문제 중 수치적으로 풀어내야 하는 문제들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인데, 이들을 무작정 건너뛰기보다는 wolframalpha나 matlab을 활용하여 수치해를 구해보도록 하자. 특히 wolframalpha는 사용법이 매우 쉽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그래프를 찾아낼 수 있다. 난이도가 높거나 계산이 복잡한 문제들의 비중이 높은 편이기에 연습문제를 풀 때는 각오를 단단히 하자. 그리고 연습문제는 번역이 안되어 영어로 돼 있다.

여담으로 마리온 교수가 사망한 후 Thornton 교수가 현시대의 시류를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하여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Thornton 교수의 수정 보완 부분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이 때문에 Thornton이 참여하기 이전의 구판을 선호하는 사람도 존재한다.
  • Herbert Goldstein, Charles P. Poole, John L. Safko - Classical Mechanics
현재 번역본은 없는 상태이고, 대부분의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주로 쓰이는 교재이다. 3판까지 나와있는 책인데, 2판까지는 Goldstein이 혼자 저술하였으나 사후 Poole과 Safko가 시류를 반영한 챕터를 포함시키고 일부 내용을 수정하였다. 요즘 나온 물리학 교재들은 그 교수법도 많이 연구되어 친절한 비유와 함께 잘 설명이 되어있는 반면에 이 책은 오래되어 그렇지 않다. 고전역학의 탈을 쓰고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는데[5],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전역학을 접근하면 나중에 양자역학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논리적 배열이 거의 완벽하며, 그만큼 뒤로 갈수록 난해하게 보이는 notation들이 많이 쓰여 내용 구성이 어려운 편에 속한다. 학부에서 주로 다루지 않는 달랑베르의 원리로 시작하여 뇌터의 정리로 끝난다. Marion과 Symon의 교재와 연계성이 높기 때문인지, 간혹가다 일부 교수가 학부 교재로 사용하기도 하는 모양.
  • Keith R. Symon - Mechanics
과거에 고전역학의 교재로 주로 사용되었던 책이다. 수학적인 논리가 돋보이는 책이며 많은 부분을 자세히 다뤘고 수학적인 섬세함을 느낄 수 있으나 일반물리학의 지식이 부족하다면 다소 어려운 책이다. 파동, 음파, 유체역학, 상대성이론 또한 자세히 다루고 있다는 것이 특징.
  • L. D. Landau, E. M. Lifshitz - Course of Theoretical Physics: Vol.1 Mechanics
저자인 레프 란다우는 소련의 유명한 물리학자이기도 하다. 매우 얇지만 내용은 학부생에게는 상당히 어렵다는게 함정.[6] 이 책 역시 저자의 개성이 가득 담겨있는 책이며, 란다우 시리즈의 다른 책들과 같이 짧은 설명과 많은 내용이 충실하게 쓰여 있다.
전반적으로 뉴턴역학을 쓰기보다는 라그랑지안과 보존법칙을 이용해서 서술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비선형운동들과 비대칭등 몇가지를 추가해 서술하고 마지막은 해밀턴 역학에 대한 설명으로 마무지 짓는 책이다. 다루는 수학적 내용은 대략 보아스 수리물리학을 배웠다면 부족하진 않을 것이다.
  • H. Corbin and P. Stehle - Classical Mechanics
물리학과 대학원 고전역학 도서.
  • V.I. Arnold - Mathematical Methods of Classical Mechanics
대학원 수준의 고전역학 교재로 여러 주제의 수학적인 면을 강조한 전공서적.
  • Ralph Abraham, Jerrold E. Marsden - Foundations of Mechanics
대학원 수준의 교재로, 초반부에는 해당 교재에서 사용되는 수학적인 내용이, 그리고 주로 해밀토니안과 라그랑지언 관련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수학적인 접근이 많아 상당히 까다로우며, 수학과 대학원생 정도는 되어야 엄밀하게 사용하는 기호와 개념(대표적으로 미분다양체와 리 대수)도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각 소단원마다 수록된 연습문제 난이도도 끝판왕[7] 수준이다.

이 외에는 파인만 1권에서 이 고전역학을 설명하고 있으며, 데이비드 통의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부 이론물리학 강의록 중 3학년 고전역학 과목 강의록이 존재한다.

5.4. 학습 내용

대부분의 교재들이 그렇듯이 맨 처음에선 책 전반적으로 알아야 할 수학적 Formalism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고 그 다음부터 본격적으로 고전역학의 내용을 배우게 된다. 아래 목록은 Marion 기준이다.

[1] 대표적으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 있다.[2] 고전 역학에서 다루는 역학적 에너지를 넘어 전기 에너지, 핵 에너지, 열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의 범주로 삼는다.[3] 근간이 되는 내용인데도 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다는 점이 의아하게 느껴질 수도 있었으나 복잡한 수식이 등장한다는 사유로 중학교 2학년 과정, 이후 2010년대에 들어서는 3학년 과정으로 점차 이동되었다.[4] 물리올림피아드나 물리인증제 등.[5] 고전역학은 직관적인 표현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양자역학은 비직관적인 개념을 다루기 때문에 어려운 수학적 표현법을 사용하는데, 고전역학도 그러한 논리를 적용한 것이다.[6] 대략 Goldstein과 비슷한 난이도이다.[7] 고전역학인데도 불구하고 역학 교재 전체를 통틀어서 손꼽히는 난이도라는 평이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