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攷事十二集. 조선 시대 후기 농학 가문의 문신인 서명응(徐命膺)이 집필하고 그의 손자 서유구가 편찬한 전통 생활 기술집. 총 12권 6책.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고려대학교에 소장 중인 보만재총서에 수록되어 있다.2. 내용
서명응의 가문은 대대로 실학에 바탕을 둔 가문으로 서명응의 동생인 서명선이 식목실총(植木實總)을, 훗날 아들인 서호수가 해동농서를, 손자인 서유구는 임원경제지를 짓는다.서명응은 이 책을 짓기 전에 이미 1554년(명종 9년) 어숙권이 편찬한 종합 백과 사전인 고사촬요(攷事撮要)를 수정, 증보하여 고사신서(攷事新書)를 엮은 적이 있다. 그러나 고사신서는 16세기 우리 나라의 농업, 경제 내용을 대부분 큰 수정 없이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라 신농서로서의 의미는 크지 않았다. 이에 서명응은 다시 당대의 실정에 맞는 종합 농업 기술서로 본사(本史)를 엮었고, 이후 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고사십이집을 저술함으로서 당대 농업, 식품 관련 지식들을 모으고 그의 독창적인 농정관(農政觀)을 확립하였다.
고사십이집은 그의 생전, 1700년대 중엽에 이미 완성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편찬된 것은 그의 사후 손자 서유구에 의해서였다. 서유구는 그의 조부가 지은 각종 서적을 엮어 1787년에 보만재총서 60책을 편찬하였는데 이 고사집이 거기에 편입되어 있다.
서명응은 서문에서 "천체와 일월성진의 운행은 세심히 고찰하여야만 세차를 밝혀낼 수 있듯이 만물에게는 그에 따른 이치가 있는 것인바 그 이치를 탐구하는 것은 사물을 정확하게 아는 당연한 도리이다. 사물의 이치는 한없이 많은 바 인간의 지혜는 망각되기 쉬우므로 세심한 고찰과 더불어 이를 기록하지 않으면 사태의 변천에 따른 임기응변이 있을 수 있겠는가? ...(중략)... 이 책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수시로 변화되는 사물을 서술하여 실정에 어두운 벽지 관리들의 참고서로 삼고자 함이니 진실로 사물을 고찰하여야 올바르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3. 구성
책의 내용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2간지를 따라 12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중요한 농수산 관계 기술들은 제11권인 술집과 12권인 해집에 수록되어 있다.과실수장에서는 생과, 청과, 잣, 밤, 대추, 배, 홍시, 복숭아, 능금, 석류, 포도, 감귤 등에 대해 각론 형식으로 풀어 쓰고 있으며, 같은 서술 방식으로 소채수장에서는 생채와 건채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죽음제법에서는 잣죽 등의 효능과 우유죽 등에 대하여, 탕장제법에서는 제호탕, 모과탕, 오미탕, 온조탕 등에 대하여, 다명제법에서는 구기차, 기국다, 봉수다 등에 대하여, 초구조법에서는 천금초, 문행초, 우분 등에 대하여, 이당조법에는 각종 엿류에 대하여, 병고조법에서는 각종 떡류에 대하여, 한구조법에서는 각종 산과류에 대하여, 전약조법에서는 각종 약식류에 대하여, 전과조법에서는 전백매, 전청매, 전행, 전도, 전앵도, 전모과 등에 대하여, 잡채조법에서는 건채증법, 두아취법 등에 대하여, 자채조법에서는 죽순자, 포순자, 가자산 등에 대하여, 엄채조법에서는 구초침채, 산계침채 등에 대하여, 두부조법에서는 두부와 청포조법 등에 대하여, 낙수조법에서는 조락법, 조수법 등에 대하여, 수육임법에서는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개고기, 사슴고기, 곰 발바닥 요리 등에 대하여, 계아임법에서는 닭고기, 오리고기, 거위고기 등에 대하여, 어해임법에서는 물고기, 게 등의 요리에 대하여, 제장조법에서는 생황장, 황숙장 등에 대하여, 제초조법에서는 쌀, 보리, 밀, 감, 대추 등을 이용한 식초 제조법에 대하여, 주제조법에서는 누룩 만들기와 약 40여종의 각종 술 제조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 외 우리 나라의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에서부터 조선 관직의 품계와 관제, 성곽 축성 요령, 가옥 구조, 십이궁(十二宮) 별자리와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등이 표시된 기후 관련 자료, 각종 음식 제조법까지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 권 1 자집(子集) 협기(協紀)
- 십이궁명(十二宮名)
- 이십사기(二十四氣)
- 칠십이후(七十二候)
- 변방정위(辨方正位)
- 일경정시(日景定時)
- 북극출지(北極出地)
- 중성주천(中星周天)
- 신혼분법(晨昏分法)
- 간호신법(簡壺新法)
- 동국분성(東國分星)
- 간지별명(干支別名)
- 시월별명(時月別名)
- 폭풍기일(暴風起日)
- 사시우명(四時雨名)
- 후우제방(候雨諸方)
- 우수용법(雨水用法)
- 권 2 축집(丑集) 판장(昄章)
- 형승연원(形勝淵源)
- 경실제도(京室制度)
- 삼보체세(三輔體勢)
- 팔도제봉(八道提封)
- 해방원근(海防遠近)
- 역전노참(驛傳路站)
- 전결수목(田結數目)
- 수양진전(首陽眞傳)
- 명구승개(名區勝槩)
- 해조신후(海潮汛候)
- 해일지법(海溢止法)
- 해풍작식(海風作息)
- 권 3 인집(寅集) 계고(稽古)
- 단군조선(檀君朝鮮)
- 기자조선(箕子朝鮮)
- 삼한(三韓)이 경계를 나누다 分界
- 위만(衛滿)이 나라를 훔치다 竊國
- 신라(新羅)가 땅을 나누어 가지다
- 고구려(句麗)가 땅을 나누어 가지다
- 백제(白濟)가 땅을 나누다
- 고려(高麗) 통합(統合)
- 권 4 묘집(卯集) 건관(建官)
- 동서반계(東西班階)
- 관내각사(關內各司)
- 후설직관(喉舌職官)
- 관각직관(館閣職官)
- 선조직관(膳調職官)
- 내부직관(內府職官)
- 장차직관(掌次職官)
- 태복직관(太僕職官)
- 숙위직관(宿衛職官)
- 보익직관(輔翼職官)
- 빈어직관(嬪御職官)
- 궁액직관(宮掖職官)
- 상사아문(上司衙門)
- 삼공위문(三公衛門)
- 천관아문(天官衙門)
- 지관아문(地官衙門)
- 하관아문(夏官衙門)
- 추관아문(秋官衙門)
- 동관아문(冬官衙門)
- 경조아문(京兆衙門)
- 학교아문(學校衙門)
- 대각아문(臺閣衙門)
- 오영관할(五營管轄)
- 팔도관수(八道官守)
- 권 5 진집(辰集) 성헌(成憲)
- 정부관제(政府官制)
- 권통관제(圈通官制)
- 천거관제(薦擧官制)
- 전서관제(銓敍官制)
- 사만규례(仕滿規例)
- 서경규례(署經規例)
- 포폄규례(褒貶規例)
- 치처규례(置處規例)
- 돈녕규례(敦寧規例)
- 봉증규례(封贈規例)
- 상피규례(相避規例)
- 휴가규례(給假規例)
- 장적호패(帳籍號牌)
- 양전분등(量田分等)
- 전세정공(田稅正供)
- 반록제과(頒祿諸科)
- 대동(大同)
- 경공계명(京貢契名)
- 저치회감(儲置會減)
- 저치획급(儲置劃給)
- 삼남(三南)의 조운(漕運)
- 제도(諸道)의 잡세(雜稅)
- 늠(廩)·학(學) 제전(諸田)
- 군문(軍門)의 둔전(屯田)
- 각도의 조적(糶糴)
- 외관(外官)의 해유(解由)
- 조하(朝賀)의 여러 의식(諸儀)
- 과거격식(科擧格式)
- 능(陵)·전(殿)의 봉심(奉審)
- 문무관(文武官)의 장복(章服)
- 계목(啓目)
- 계본(啓本)
- 장계(狀啓)
- 첩정(牒呈)
- 평관(平關)
- 호구(戶口)
- 준호구(準戶口)
- 상언(上言)
- 문자(文字)의 등급(等級)
- 상례(喪禮)·장례(葬禮)의 품식(品式)
- 부신제도(符信制度)
- 순경군호(巡更軍號)
- 서전(西銓)의 잡식(雜式)
- 청천(廳薦)의 전서(銓敍)
- 연병(練兵)의 규식(規式)
- 구목자식(廐牧孳息)
- 역마체파(驛馬遞把)
- 군병면역(軍兵免役)
- 추단복계(推斷覆啓)
- 검험격식(檢驗格式)
- 격쟁품결(擊錚稟決)
- 공사천법(公私賤法)
- 금형시일(禁刑時日)
- 결송정한(決訟定限)
- 태유수속(苔流收贖)
- 결송작지(決訟作紙)
- 의친촌수(議親寸數)
- 좌장관수(坐贓貫數)
- 도로척보(道路尺步)
- 도량형법(度量衡法)
- 장인영건(匠人營建)
- 도성진량(都城津梁)
- 권 6 사집(巳集) 아교(訝交)
- 조종(朝宗)의 예전 의식(舊儀)
- 영조유사(迎詔遺事)
- 육로봉사(陸路奉使)
- 해로봉사(海路奉使)
- 시용표전(時用表箋)
- 시용주자(時用奏咨)
- 문서봉과(文書封裹)
- 문서총수(文書總數)
- 문서사대(文書査對)
- 방물수목(方物數目)
- 사개원액(使价員額)
- 역마숫자(驛馬匹數)
- 사행반전(使行盤纏)
- 사행팔포(使行八包)
- 사행노정(使行路程)
- 사행의절(使行儀節)
- 칙사영접(勅使迎接)
- 칙사연향(勅使宴享)
- 칙사예단(勅使禮單)
- 신사원액(信使員額)
- 신사범풍(信使帆風)
- 국서여왜(國書與倭)
- 예조서계(禮曹書契)
- 왜국 집정(倭國執政) 등 회답서계(回答書契)
- 전명의절(傳命儀節)
- 영사의절(迎使儀節)
- 증회례단(贈回禮單)
- 차왜액수(差倭額數)
- 왜인접위(倭人接慰)
- 방물회증(方物回贈)
- 왜공구로(倭貢舊路)
- 남번귀부(南番歸附)
- 해방지폐(海邦贄幣)
- 권 8 미집(未集) 경례(經禮)
- 단유제도(壇壝制度)
- 종묘제도(廟貌制度)
-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
- 시일재계(時日齋戒)
- 제기품식(祭器品式)
- 축폐품식(祝幣品式)
- 제향의절(祭享儀節)
- 노부등위(鹵簿等威)
- 하전식례(賀箋式例)
- 궐내예절(闕內禮數)
- 각관영송(各官迎送)
- 각관상견(各官相見)
- 아문청대(衙門請臺)
- 주현사전(州縣祀典)
- 외관영명(外官迎命)
- 봉명상우(奉命相遇)
- 주현양로(州縣養老)
- 향음예략(鄕飮禮略)
- 향사예략(鄕射禮略)
- 향약독법(鄕約讀法)
- 사관예략(士冠禮略)
- 사혼예략(士昏禮略)
- 사상예략(士喪禮略)
- 사제예략(士祭禮略)
- 권 9 신집(申集) 입예(立豫)
- 도비성곽(都鄙城郭)
- 축성요결(築城要訣)
- 해방축로(海防舳艫)
- 선집방략(繕檝方略)
- 과수방환(過水防患)
- 경영군제(京營軍制)
- 팔도군제(八道軍制)
- 호령절제(號令節製)
- 악기경전(握奇經傳)
- 봉수요망(烽燧瞭望)
- 권 10 유집(酉集) 다능(多能)
- 숲속생활의 배치(林居鋪置)
- 들녘생활의 연못(野居池塘)
- 지붕 만드는 방법(屋霤定制)
- 집을 꾸며 화재를 막음(飾屋防火)
- 우의 제조법(雨衣製造)
- 얼룩진 옷 세탁하기(汚衣澣濯)
- 고금의 붓(古今筆制)
- 붓 수장법(筆尖收藏)
- 필통 필가 필격(筆筒架格)
- 고금의 먹(古今墨制)
- 먹 잘 보관하기(墨竗收藏)
- 고금의 종이(古今紙制)
- 종이의 품질(紙品高下)
- 고금의 벼루(古今硯制)
- 벼루의 품급(硯品高下)
- 벼루 씻기(硯池洗滌)
- 벼루 상자(硯室匣屛)
- 수귀, 금착(水龜金錯)
- 고비서첩(古碑書帖)
- 서화 보관(書畵藏棄)
- 초와 횃불 제조(燭燎製造)
- 등촉대경(燈燭臺檠)
- 정로고금(鼎爐古今)
- 여러 가지 노향(爐香諸品)
- 여러 가지 병장(屛障諸法)
- 침석 만드는 법(枕席造法)
- 지팡이 만드는 법(拄杖撰法)
- 거문고 두는 법(琴瑟安法)
- 칼 가는 법(刀劍磨法)
- 옥석을 부드럽게 하는 법(玉石軟法)
- 기와와 돌 붙이는 법(瓦石粘法)
- 추위 물리치는 법(辟寒要法)
- 벼룩과 이 물리치는 법(辟蚤蝨法)
- 파리 물리치는 방법(辟蠅要法)
- 모기 물리치는 방법(辟蚊要法)
- 벌레 물리치는 법(辟蟲要法)
- 좀 물리치는 법(辟蛀要法)
- 쥐를 물리치는 법(辟鼠要法)
- 뱀을 물리치는 법(辟蛇要法)
- 호랑이를 물리치는 법(辟虎狼法)
- 망상과 온을 물리치는 법(辟罔象蝹)
- 밤길에 귀신 물리 치기(夜行辟鬼)
- 산길에 요괴 물리치기(山行辟妖)
- 음식잡기(飮食雜忌)
- 권 11 술집(戌集) 오륙(五六)
- 과실 건사하는 법(果實收藏)
- 채소 건사하는 법(蔬菜收藏)
- 죽 만드는 법(粥飮諸法)
- 탕과 음료 만드는 법(湯漿諸法)
- 다명제법(茶茗諸法)
- 미숫가루 제조방법(麨糗造法)
- 면분제조법(麥粉造法)
- 엿 고는 방법(飴鎕造法)
- 떡 찌는 방법(餠餻造法)
- 한구 만드는 법(寒具造法)
- 전약 만드는 법(煎藥造法)
- 정과 만드는 법(煎果造法)
- 여러 가지 나물 만드는 법(雜菜造法)
- 채소절임 만드는 법(鮓菜造法)
- 여러 가지 채소절임 방법(諸虀造法)
- 김치 담그는 법(淹菜造法)
- 두부 만드는 법(豆腐造法)
- 청포 만드는 법(靑泡造法)
- 홍화씨 전(紅花子煎)
- 참기름 건사하는 법(香油收法)
- 타락과 연유 만드는 법(酪酥造法)
- 고기 익히는 법(獸肉飪法)
- 닭과 오리 익히기(鷄鵝飪法)
- 물고기와 게 익히는 법(魚蟹飪法)
- 여러 가지 장 만드는 법(諸醬造法)
- 여러 가지 식초 만드는 법(諸醋造法)
- 술 빚는 법(酒齊造法)
- 권 12 해집(亥集) 천일(千一)
- 약이 구리와 철을 꺼리는 경우(藥忌銅鐵)
- 약과 음식이 서로 꺼리는 경우(藥食相忌)
- 납약용법(臘劑用法)
- 여러 가지 중독된 것을 풀어주는 방법(解諸中毒)
- 음식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飮食毒)
- 더운 국수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熱麪毒)
- 두부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豆腐毒)
- 소주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燒酒毒)
- 금수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禽獸毒)
- 물고기나 게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魚蟹毒)
- 회를 먹고 소화되지 않는 것을 풀어주는 방법(解膾不消)
- 고기가 소화되지 않는 것을 풀어주는 방법(解肉不消)
- 여러 가지 채소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諸菜毒)
- 버섯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菌蕈毒)
- 쓴 박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苦瓠毒)
- 해채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海菜毒)
- 여러 가지 과일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諸果毒)
- 여러 가지 약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諸藥毒)
- 석약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石藥毒)
- 금석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金石毒)
- 여러 가지 고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諸蠱毒)
- 마창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馬瘡毒)
- 연훈의 독을 풀어주는 방법(解煙熏毒)
- 끓는 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 치료하는 방법(治陽火傷)
- 뜨거운 기름에 데었을 때 치료하는 방법(治熱油傷)
- 칼에 상처를 입었을 때 치료하는 방법(治金刃傷)
- 총포나 화살에 다친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砲矢傷)
- 타박상을 치료하는 방법(治打撲傷)
- 타압상을 치료하는 방법(治墮壓傷)
- 뼈와 힘줄이 끊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骨筋斷)
- 손발이 부러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手足折)
- 사지의 마디가 빠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肢節脫)
- 귀, 코, 혀가 잘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耳鼻舌斷)
- 음낭이 다친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陰囊傷)
- 형장을 맞고 다친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杖毒傷)
- 사람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治人咬傷)
- 곰이나 호랑이에 물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熊虎咬)
- 소에 받혀 창자가 나온 것을 치료하는 방법(牛觸腸出)
- 말과 노새에 물리거나 차인 것을 치료하는 방법(馬騾咬踢)
- 개에 물려 입은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治犬咬傷)
- 돼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治猪咬傷)
- 고양이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治猫咬傷)
- 쥐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治鼠咬傷)
-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治蛇咬傷)
- 지네에 물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蜈蚣咬)
- 거미에 물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蜘蛛咬)
- 구수에 물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蠷螋傷)
- 벌에 쏘여 상처 입은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蜂蜜傷)
- 여러 가지 벌레에 물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雜虫咬)
- 여러 가지 상처의 파리나 구더기를 치료하는 방법(諸傷蠅蛆)
- 벌레가 귀나 코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虫入耳鼻)
- 지네가 귀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蜈蚣入耳)
- 유연이 귀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蚰蜒入耳)
- 개미가 귀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蟻子入耳)
- 여러 가지 벌레를 잘못 삼켰을 때 치료하는 방법(誤呑諸蟲)
- 여러 가지 물건을 잘못 삼켰을 때 치료하는 방법(誤呑諸物)
- 뼈가 목에 걸렸을 때 치료하는 방법(骨鯁在咽)
- 까락과 가시가 목구멍에 박혔을 때 치료하는 방법(芒刺在咽)
- 여러 가지 물건이 눈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諸物入目)
- 비사가 입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飛絲入口)
- 숟가락이 입 안에 붙었을 때 치료하는 방법(匙著口中)
- 여러 가지 물건이 살 속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諸物入肉)
- 물고기 가시가 뱃속에 있을 때 치료하는 방법(魚骨在肚)
- 귀격증을 치료하는 방법(治鬼擊症)
- 귀염증을 치료하는 방법(治鬼魔症)
- 객오졸궐을 치료하는 방법(客忤猝厥)
- 시궐증을 치료하는 방법(治尸厥症)
- 담궐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痰厥症)
- 식궐증을 치료하는 방법(治食厥症)
- 회궐증을 치료하는 방법(治蚘厥症)
- 기궐증을 치료하는 방법(治氣厥症)
- 중풍증을 치료하는 방법(治中風症)
- 중서와 중한을 치료하는 방법(中暑中寒)
- 곽란증을 치료하는 방법(治霍亂症)
- 교장사를 치료하는 방법(治攪腸沙)
- 산통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疝痛症)
- 토혈과 육혈을 치료하는 방법(吐血衄血)
- 호매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狐魅症)
- 온역증을 물리치는 방법(治瘟疫症)
- 해역증을 치료하는 방법(治咳逆症)
- 졸역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猝噎症)
- 졸실음을 치료하는 방법(治猝失音)
- 하품하다 턱이 빠졌을 때 치료하는 방법(失音脫頷)
- 눈알이 튀어 나왔을 때 치료하는 방법(眼晴突出)
- 견순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繭脣症)
- 순종증을 치료하는 방법(治脣腫症)
- 뇌배종을 치료하는 방법(治腦背腫)
- 정종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疔腫症)
- 은진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癮疹症)
- 두창증을 치료하는 방법(治痘瘡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