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외교부 제2차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외교통상부 제2차관 (2005~2013)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8대 유명환 | 제9대 이규형 | 제10대 김호영 | 제11대 김성환 |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12대 신각수 | 제13대 천영우 | 제14대 민동석 | 제15대 김성한 | |
외교부 제2차관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조태열 | 제2대 안총기 | 제3대 조현 | 제4대 이태호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대 최종문 | 제6대 이도훈 | 제7대 오영주 | 제8대 강인선 | |
외교부장관 · 외교부 제1차관 |
강인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문재인 정부 | 윤석열 정부 | ||||||||||||||||||||||||||||||||||||||||||||||||||||||||||||||||||||||||||||||||||||||||||||||||||||
해외언론 이지수 | → | 초대 강인선 | → | 2대 하태원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8대 외교부 제2차관 강인선 姜仁仙 | Kang In-sun | |||
| |||
출생 | 1964년 9월 21일 ([age(1964-09-21)]세) | ||
서울특별시 | |||
현직 | 외교부 제2차관 | ||
재임기간 | 윤석열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 ||
2022년 5월 10일 ~ 2022년 9월 7일 | |||
제8대 외교부 제2차관 | |||
2024년 1월 10일 ~ 현직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 서울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 / 석사[1])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 (행정학 / 석사) | |
소속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약력 | 월간조선 기자 조선일보 워싱턴 특파원 조선일보 정치부 기자 조선일보 논설위원 조선일보 국제부장 조선일보 편집국 주말뉴스부장 조선일보 워싱턴지국장 조선일보 편집국 외교안보국제담당 에디터 조선일보 편집국 뉴스레터팀장 조선일보 편집국 디지털콘텐츠기획 및 외교담당 에디터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신대변인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해외홍보비서관 (윤석열 정부) 제8대 외교부 제2차관 (윤석열 정부)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무직 공무원.윤석열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및 해외홍보비서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외교부 제2차관으로 봉직 중이다.
2. 생애
1964년 9월 21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여자고등학교[2] 졸업 후 1984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84학번)에 진학해 1988년 2월 졸업했다. 1990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1. 언론 활동
1990년 2월 조선일보에 입사하여 월간조선 기자, 정치부 기자 등으로 근무했다. 1999년 여름, 미국으로 유학하여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에 입학해 2000년 6월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년간 더 머물면서 월간조선에 '강인선 기자의 하버드 통신'을 연재했다.2001년 7월부터 2005년까지 약 5년 동안 미국 워싱턴 D.C.에서 특파원으로 활동했다. 이라크 전쟁 중이던 2003년 3월부터 4월까지는 종군기자로서 미군과 동행 취재를 수행하기도 했다. # 2003년 12월 2일 이라크 전쟁 당시 종군기자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사막의 전쟁터에도 장미꽃은 핀다>(2003)을 출간했으며 홍성현 언론상, 올해의 여기자상을 수상했다.
2006년 귀국하여 같은 해 4월 정치부 차장에 전보되었고, 2006년 6월 7일 <힐러리처럼 일하고 콘디처럼 승리하라>(2006) 라는 저서를 출간하였다.#
2011년 2월 국제부장, 2014년 1월 주말뉴스부 부장, 2015년 10월 논설위원, 2016년 11월 워싱턴지국장, 2021년 4월 디지털콘텐츠기획 및 외교안보 에디터 등으로 재직했다.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며, 2017년에는 마크 리퍼트 전 주한미국대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리퍼트-강인선의 워싱턴 라이브
2.2. 정치 활동
2022년 3월 9일,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꾸린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외신대변인으로 합류한다는 소식이 3월 22일 보도되었다. #2022년 5월 1일에는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으로 발탁되었다. 그리고 5월 10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
2022년 9월 7일 대통령비서실 해외홍보비서관 겸 외신대변인으로 발령이 났다.# 후임 대변인은 2023년 2월 6일, 이도운 전 문화일보 논설위원이 임명되었다.
2.2.1. 외교부 제2차관
2023년 12월, 오영주 전 외교부 제2차관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으로 임명되면서 후임 외교부 제2차관으로 내정되었다.#[3] 2024년 1월 외교부 제2차관에 임명되었다.2024년 1월 31일 호세 페르난데스 미국 국무부 차관과 '제8차 한미 고위급경제협의회'를 공동 주재해 경제 안보, 공급망과 인프라 개발 등에 대해 논의했다.# 2월 19일 외교부 영사콜센터를 찾아 민원 응대 체계를 점검했다.# 2월 26일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유엔 군축회의 고위급 회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27일에는 국군포로와 납북자, 억류자 문제의 즉각적인 해결을 촉구했다. 특히 북한에 장기 억류 중인 김정욱, 김국기, 최춘길 선교사를 언급했다.##
2024년 3월 3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 수석대표회의'에 참여해 리튬, 흑연, 희토류 등 핵심광물의 공급망 다변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3월 15일 아이티의 치안이 악화됨에 따라 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여 아이티의 현재 동향 및 향후 정세 전망, 현지 체류 중인 재외국민 70여명의 안전대책을 논의했다.#
2024년 4월 16일 후안 카를로스 살라자르 국제민간항공기구 사무총장과 접견해 협력 및 북한 미사일 도발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4월 17일 '제6차 수출·수주 외교지원 TF 회의'를 주재해 작년 성과를 정검하고 2024년 성과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4월 19일 질 오테로 파나마 다자협력차관과 면담해 한-중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토대로 한 양국관계 발전, 다자무대에서의 협력이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같은 날 일본의 역사왜곡 교과서에 대해 아이보시 고이치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를 표명했다.#
2024년 5월 17일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에게 라인 사태에 대해 일본에서 활동 중인 우리 기업에 대한 부당한 차별적 조치가 있어서는 안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5월 20일부터 22일까지 '제4차 핵안보 국제회의'에 참석해 IAEA와의 협력, SMR 관련 핵안보 등 국제 핵안보체제 강화 논의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같은 시기 데이비드 터크 미국 에너지부 부장관과 앤드류 보위 영국 에너지안보탄소중립부 차관을 각각 만나 핵안보 및 원자력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2024년 6월 26일 '한미우호의 밤' 행사에 참석했으며 7월 18일 미국과 EU가 공동 주최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포럼 고위급 화상회의'에 참석했다.# 7월 19일 알레한드로 솔라노 코스타리카 다자담당차관과 면담했다.#
2024년 8월 2일 ;중동 정세 관련 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해 재외국민 안전 및 보호 대책을 점검했다.# 8월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참석하여 국회의원들의 법안을 정검했다. 9월 4일 호세 페르난데스 미국 국무부 차관과 전화통화로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지속적 협력을 약속했다.# 9월 26일 미국 뉴욕에서 '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수석대표회의'를 의장으로서 주재했다.#
2024년 11월 26일 사도광산 추도식이 파행된 것에 대해 일본에 깊은 유감을 표했다.# 12월 12일 리페이 중국 상무부 부부장과 함께 '제28차 한-중 경제공동위'를 개최하고 경제 분야 주요 협력 현황과 향후 협력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2025년 2월 4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제1차 '한-아프리카 핵심광물 대화'를 주재했다.#
3. 기타
- 김민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같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84학번 동기이다.
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행정각부 차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획재정부차관 | 교육부차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차관 |
김범석 (제1차관) 김윤상 (제2차관) | 오석환 | 이창윤 (제1차관) 강도현 (제2차관) | |
외교부차관 | 통일부차관 | 법무부차관 | |
김홍균 (제1차관) 강인선 (제2차관) | 김수경 | 김석우 | |
국방부차관 | 행정안전부차관 | 국가보훈부차관 | |
김선호 | 고기동 | 이희완 | |
문화체육관광부차관 | 농림축산식품부차관 | 산업통상자원부차관 | |
용호성 (제1차관) 장미란 (제2차관) | 박범수 | 박성택 (제1차관) 최남호 (제2차관) | |
보건복지부차관 | 환경부차관 | 고용노동부차관 | |
이기일 (제1차관) 박민수 (제2차관) | 이병화 | 김민석 | |
여성가족부차관 | 국토교통부차관 | 해양수산부차관 | |
신영숙 | 진현환 (제1차관) 백원국 (제2차관) | 송명달 | |
중소벤처기업부차관 | |||
김성섭 | |||
※ 둘러보기: 국무총리 직속 기관 |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3px; padding: 0.8px 3px; margin: 1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