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8:24:34

장기에프

장기예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장기에프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에 대한 내용은 장기에프/커맨드 리스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4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정렬 가나다순) ]

{{{#!wiki style="margin: -25px -4px -11px"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sf6_Zangief_name.svg
파일:sf6_bg_zangief.jpg
파일:SF6_Zangief.png
이름 장기에프
ザンギエフ | Zangief | Зангиев
역대 캐치프레이즈
[ 펼치기 · 접기 ]
붉은 사이클론(赤きサイクロン)(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 CAPCOM VS SNK 시리즈)[1]
괴력무쌍의 업사(怪力無双の業師)(스트리트 파이터 리얼 배틀 온 필름)
대지를 떨게 만드는 흡인력(大地わななく吸引力)(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러시아의 붉은 사이클론(ロシアの赤きサイクロン)(마블 VS 캡콤 2)
붉게 타오르는 육체(赤く燃える肉体)(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붉은 중전차(赤き重戦車)(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아이언 사이클론(アイアンサイクロン)(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무적의 프로레슬러(НЕСОКРУШЫЙ БОРЕЦ)(스트리트 파이터 6)[alt]
국적
[[소련|]][[틀:국기|]][[틀:국기|]] →
[[러시아|]][[틀:국기|]][[틀:국기|]][3]
격투 스타일 프로레슬링(CAPCOM VS SNK 시리즈)
러시안 레슬링과 미국 레슬링을 조합한 스타일(스파 4 시리즈, 스파 5 시리즈, 스파 6)
생년월일 1956년 6월 1일
신장/체중 211cm / 115kg(스파 2 시리즈)
214cm / 121kg(스파 제로 시리즈)
214cm / 115kg(스파 4 시리즈)
214cm / 181kg[4](스파 5 시리즈, 스파 6[5])
쓰리 사이즈 B163/W128/H150(스파 2 시리즈, 스파 4 시리즈)
B172/W133/H154(스파 제로 3)
혈액형 A형
좋아하는 것 레슬링, 코사크 댄스[A]
싫어하는 것[B] 파동권 등의 장풍(스파 제로 시리즈, 스파 4 시리즈, 스파 6)[8]
묘령의 아름다운 여성(妙齢の美しい女性)[9](스파 제로 시리즈, 스파 4 시리즈)
제대로 못 싸우는
취미 독서
특기 보드카 한번에 마시기, 추위 견디기
직업 프로레슬러[A]
성우
[ 펼치기 · 접기 ]
* 오오토모 류자부로(실사판 영화 스트리트 파이터 TV판 더빙)
프로필 출처
[ 펼치기 · 접기 ]
스파 5 시리즈 공식 사이트(일본어)
샤돌루 격투가 연구소의 장기에프 캐릭터 도감
스트리트 파이터 30th 애니버서리 콜렉션 인터내셔널의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스파 6 공식 사이트
캐릭터 테마
1. 개요2. 작품별 모습 및 변천사3. 작중 행적4. 작품별 성능5. 대사6. 코스튬7. 콜라보레이션8. 미디어 믹스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붉은 사이클론이라는 별명을 지닌 거구의 프로 레슬러.
근육이 최고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제창하며 육체 진화와 후진의 지도에 힘쓰고 있다.
스파 6 공식 캐릭터 소개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러시아(소련[22]) 출신의 레슬러로서 '붉은 사이클론'이라는 이명을 가졌다.

2. 작품별 모습 및 변천사

각 작품별 일러스트
{{{#!folding [ 열기 / 닫기 ]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II_Artwork 1.jpg 파일:ww_zangief.pn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II Dash, Dash Turbo(Street Fighter II' Champion Edition, Hyper Fighting)_Artwork.jpg
스트리트 파이터 2[23] 스트리트 파이터 2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터보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II Dash Turbo(Street Fighter II' Hyper Fighting)_Artwork 2.jpg 파일:Zangief_Super Street Fighter II_Artwork.jpg 파일:Zangief_Super Street Fighter II X(Super Street Fighter II Turbo)_Artwork.jpg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터보 일러스트 2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Zero 2(Street Fighter Alpha 2).jpg 파일:Zangief_Pocket Fighter(Super Gem Fighter Mini Mix)_Character Select_Artwork 1.png 파일:Zangief_Pocket Fighter(Super Gem Fighter Mini Mix)_Artwork 2.png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포켓 파이터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Zero 3(Street Fighter Alpha 3).jp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Zero 3 Double Upper(Alpha 3 Max)_Character Select.jp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Zero 3 Double Upper(Alpha 3 Max)_Artwork.jpg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더블 어퍼
파일:Zangief_Capcom Fighting Jam(Capcom Fighting Evolution).pn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IV_Artwork 1.jp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IV_Artwork 2.png
캡콤 파이팅 잼 스트리트 파이터 4
파일:external/www.fightersgeneration.com/ssf4-zangief.jp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IV Series_Character Select.pn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X Tekken.jpg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파일:external/images.onesite.com/219676e0cf409c63c302b57b5c8a360f.pn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V Series_Character Select.png 파일:Zangief_Street Fighter V Series_Artwork 2.jpg
스트리트 파이터 5 공식 일러스트 1 스트리트 파이터 5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5 아케이드 에디션 &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 공식 일러스트 2
파일:character_zangief_l.png 파일:SF6_Zangief.png
스트리트 파이터 6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6 공식 일러스트
}}} ||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기에프/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작품별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기에프/시리즈별 성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기에프/대사 일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코스튬

6.1. 스트리트 파이터 5

2019년 2월 27일(해외 시간으로 2019년 2월 26일) 업데이트와 함께 더 기에프(ザ・ギエフ, The Gief) 코스튬메나트의 행운의 점술에서 얻을 수 있는 코스튬으로 추가됐다.

6.2. 스트리트 파이터 6

{{{#!folding [ 미사용 디자인 펼치기 · 닫기 ]
파일:장기에프 미사용 디자인.png}}}
  • 복장 1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6/코스튬,
번호=1,
캐릭터=장기에프,
)]
기본 복장. 월드 투어스토리 모드에서 착용한다.
손목 밴드가 쇠팔찌로 바뀌었고, 팔꿈치에 밴드를 착용한다. 전통적으로 입고 다녔던 빨간 브리프는 다리까지 뒤덮는 레깅스로 바뀌었는데, 이전보다 외형에서 전해지는 민망함이 훨씬 줄어들었다.드디어 각개빤쓰에서 벗어났다
  • 복장 2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6/코스튬 간략,
캐릭터=장기에프,
추가색상=,
)]
링 위에서 몸을 지켜주는 것은 무엇인가? 물론 강철 같은 근육은 말할 것도 없지!
그렇다면 무엇이냐? 바로 의상이다! 의상만은 절대로 찢어져서는 안 된다!
이것이 내가 무엇보다도 굳게 신뢰하는 의상이다!!
복장 해금 코멘트
시리즈 전통의 클래식 복장. 상점에서 구매하거나 월드 투어에서 유대감 MAX 보상으로도 얻을 수 있으며, 이전 스타일이기 때문에 스토리에서는 착용하지 않는다.
복장 1에선 가려진 다리의 흉터와 수북한 다리털을 볼 수 있다. 또한 10번 색상은 미카의 오마주로 보인다. 빨간 팬티라는 외형에서 전해지는 부담감 때문에 해당 복장을 끼고 있는 유저는 적은 편이다.
  • 복장 3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6/코스튬,
번호=3,
캐릭터=장기에프,
추가색상=,
확장자=jpg,
)]
저희는 장기에프의 지적인 면모와 레슬링 선수로서의 위엄을 보여줄 수 있는 디자인을 요청받았습니다. 디자인 과정은 아트 디렉터와 함께 순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강렬한 인상을 주는 배지와 시계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디자인 팀 코멘트
월드 투어 일러스트에서 도서관에 갔을 때 차려입었던 정장이다. 수염이 말끔해 지고 안경도 쓰고 있으며[24], 시계에는 장기에프 특유의 X자 흉터가 표현돼 있다.
장기에프 특유의 부담스러운 가슴털이 가려지고 엄청난 근육 덕분에 정장핏이 잘받아 잘뽑힌 아웃핏 3중 하나로 뽑힌다.

7. 콜라보레이션

2015년 3월 30일 Android 판과 6월 25일 iOS 버전 서비스를 시작, 2017년 3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한 웹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배틀 콤비네이션에서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며, SSR 카드로도 등장한다.

일본어판에서 2015년 7월 17일 ~ 7월 26일과 2016년 2월 17일 ~ 3월 2일까지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스트리트 파이터 5콜라보 이벤트가 진행된 몬스터 스트라이크에서는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춘리, 가일, 에드먼드 혼다, 블랑카, 베가, 사가트, 고우키, 마이크 바이슨, 발로그, 찰리 내쉬, 캐미 화이트, 켄 마스터즈, 네칼리, 레인보우 미카, 칸즈키 카린, 달심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한다.

퍼즐 앤 드래곤에서는 류 본인의 궁극 진화로 등장하는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몬스터 교환소에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하는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버전의 카게나루모노춘리, 베가, 찰리 내쉬, 칸즈키 카린, 가일, 고우키, 카스가노 사쿠라, 코디 트래버스, 사가트, 캐미 화이트, 켄 마스터즈, 발로그, 레인보우 미카, 달심, 알렉스, 마이크 바이슨, 블랑카, 히비키 단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한다.

마인크래프트에서는 2월 19일에 발매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35주년 기념 콜라보 더 월드 워리어 스킨 팩에서 춘리, 베가, 켄 마스터즈, 달심, 알렉스, 가일, 마이크 바이슨, 한주리, 고우키, 블랑카, 에드먼드 혼다, 세스, 루크 설리반 등과 함께 스킨으로 등장한다.(#)

8. 미디어 믹스

우락부락한 체형과 험악하게 생긴 인상 때문인지, 게임 외 미디어 믹스에서는 묘하게 악역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실사판 영화 스트리트 파이터에서는 바이슨 장군의 수하인 악역으로 등장하는데, 사실 착하지만 너무 바보라서 바이슨이 정의의 편인 줄 알고 무턱대고 따르는 것으로 나온다. 심지어 월급이 있냐면서 당황하는 대사를 보면 여태 일하는 동안 땡전 한 푼도 못 받은 모양. 나중에는 바이슨의 실체를 깨닫고 아군의 편으로 돌아선다.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트리트 파이터 2 무비에서는 샤돌루가 운영하는 지하격투장에서 블랑카와 싸우고 있는 모습이 잠깐 지나가는 수준의 엑스트라급 출연. 대사도 물어 뜯길 때 "아야야야야..."하는 것 말고는 없고 블랑카의 일렉트릭 썬더에 당해서 X - 레이를 찍고 퇴장(...). 그 뒤로는 아예 나오지 않는다. 원래 이 작품이 좀 그렇다. 북미에서 방영한 스트리트 파이터 2 TVA에선 더 비참한데, 가일과 한판 붙다가 그에게 정통으로 고자킥을 맞는다(...)

OVA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THE ANIMATION-에서는 대접이 조금 나아져서 를 상대로 압도적인 파워로 밀어붙이며 스크류 파일 드라이버까지 먹인다. 물론 이 때도 대사가 없다. 그러나 이때문에 류가 살의의 파동에 각성하면서 파동권을 맞고 저세상 갈 뻔했다.

힘내라 사쿠라에서는 러시아 국민들과 아이들을 위해 싸우는 영웅으로 그려진다. 카스가노 사쿠라캐미 화이트에게 패배했지만 팬들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선 채로 기절하는 장면은 폭풍간지 그 자체. 이때에는 아직 파동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해서 사쿠라의 파동권에 겁을 먹지만 당황해하는 팬들을 보고 그들을 위해 기어코 파동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낸다. 이 건투를 본 장기에프의 팬들은 비록 패배했지만 멋진 시합을 보여준 장기에프의 이름을 외치며 장기에프를 응원했다.

주먹왕 랄프에서는 베가[25]와 함께 악역 모임에 동참하는 캐릭터들 중 한 명으로 나온다. 자신이 악역이라 맨날 홀대받는다며 불만을 표출하는 랄프에게 악역이라는 꼬리표에 너무 연연하지 말라며 위로를 해준다. 원작 설정은 어디가고 대체 어째서 장기에프가 악역으로 나온 건지에 대해 의구심을 품을 수도 있는데, 이는 각본가가 어린 시절에 장기에프에게 하도 많이 깨졌던 일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이후 랄프가 태퍼로 들어가서 분실물을 뒤질 때 그의 팬티 한 짝이 나온다.

9. 기타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angief-conceptart.jpg

야스다 아키라가 처음 이 캐릭터를 만들었을때의 이름은 "보드카 고바르스키"였다고 한다. 이때엔 해군 육전대 출신으로 설정하려던 건지 팔뚝에 문양의 문신을 새기고 검은색 탱크탑을 입은 모습이었다고. 그래서인지 스트리트 파이터 2 계열의 포트레이트 이미지에서는 인게임에는 없는 붉은 탱크탑을 걸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26] 이 문서 앞부분에서도 설명이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실존했던 프로레슬러이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도 잠깐 활동한 적 있는 빅토르 장기에프(Victor Zangiev)의 이름을 따서 장기에프라는 이름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가끔 '장규라'(ザンギュラ)라는 이명으로도 불리는데 이건 당시 아케이드 게임 전문지였던 게메스트의 대표적인 오타에서 유래한다. 이 장규라가 언급된 문장이 더블 래리어트 설명 부분인데 기술명을 부르는 수퍼 우리앗상(ウリアッ上) 역시 더블 래리어트(ラリアット)의 오타다.[27] 눈치채면 알겠지만, 타이핑을 잘못했다기 보다는 인쇄용 원고를 만드는 과정에서 원본 글자를 잘못 읽은 오자에 가깝다. 이런 걸 글자를 잘못 심었다는 뜻으로 '오식(誤植)'라고 한다. 당시의 잡지 편집 시스템은 필자가 육필로 글을 쓰면, 편집자가 일일이 식자 작업을 했다는데, 식자 작업자가 뜻을 모르고 잘못 읽어서 엉뚱한 글씨를 집어넣는 일이 많았다. 이 둘의 경우 ザンギエフ→ザンギュラ / ラリアット→ウリアッ上가 된 케이스.

무인판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 동캐릭터 대전이 안되게 만든 장본인이다. 상세한 사연이 알려지기 전에는 단순히 2P 대전은 덤이고 CPU전을 중시해서 게임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나중에 니시타니 아키라가 밝힌 바에 따르면 동캐전을 염두에 두고 제작은 했지만 CPS 기판의 스프라이트 성능 한계 때문에 가장 덩치가 큰 장기에프 동캐전 구현이 불가능해서 아예 빼버렸다고 한다.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에서는 배경의 오브젝트를 줄이거나 하는 등의 스프라이트 사용량 다이어트를 통해서 장기에프 동캐전이 가능해져 겨우 동캐릭터 대전이 들어갔다고. 비슷한 이유로 슈퍼 패미컴 버전 등 당대의 가정용 콘솔 버전은 장기에프가 모션 삭제를 가장 눈에 띄게 당했다. 예를 들면 아케이드판은 원래 앞으로 걷는 모션과 뒤로 걷는 모션이 다르지만 16비트 콘솔판은 뒤로 걸어도 앞으로 걷는 모션으로 이동한다.

스트리트 파이터 가두쟁패전에서는 홍콩식 한자 발음으로 한 번 번역했던 이름을 다시 옮기는 과정에서 '장지아프' 라는 이상한 이름으로 바뀌어 등장한다. 이것은 '쌍가트' 라는 이름을 달고 등장한 사가트도 마찬가지.

유명한 장기에프 플레이어로는 미국 플레이어인 스네이크 아이즈(스파 4 시리즈, 스파 5 시리즈)가 독보적이다. 그야말로 경기에서 장기에프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게이머로 정평이 나있는 인물. 4:0으로 팀이 뒤지는 순간 장기에프만으로 4:5로 대역전하는 기염을 토한 경기가 매우 유명하다. 일본 쪽의 유명한 유저로는 버파에서 전향한 이타바시 장기에프(스파 4 시리즈, 스파 5 시리즈), 마법소녀 장기땅(...)[28](스파 4 시리즈), 포니(슈퍼 스파 2X), 쿠니(슈퍼 스파 2 X), 아토믹보이(슈퍼 스파 2 X)[29], 마다나(스파 4 시리즈) 등이 있고, 한국에서는 타칭 '장기에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짱무'가 있다.[30]

패러렐 설정으로 메카 장기에프라는 메카 버전이 있다.

하이스코어 걸의 여주인공 오오노 아키라의 주 사용 캐릭터이다. 플레이 하는 이유가 참 거시기한데, 약체캐에다 미형도 아니라 플레이어들에게 욕만 먹고 외면당하는 장기에프가 불쌍해서. 오오노가 장기에프를 선택하게 된 에피소드를 보면 게이머들에게 욕먹는 장기에프가 울고 있고(...) 오오노가 그걸 측은하게 보고 있다가 다음날 장기에프를 들고 오락실 게이머들을 박살내 버린다. 오오노는 다른 게임에서도 이렇게 외면받는 비주류 캐릭들을 주로 한다.[31] 작중에서는 오오노가 워낙 사기적인 게임실력을 자랑하기에 약캐인 장기에프를 가지고도 무쌍을 펼친다.[32]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한때 전사의 별명이기도 했다. 전사의 PVP 주요 특성인 무기/분노 특성의 필살기가 무기를 들고 소용돌이처럼 도는 '칼날 폭풍'이라는 기술인데, 칼날 폭풍이 시전 중 무장 해제 불가에서 가능으로 패치되면서 무장해제 당하고 무기 없이 빈손으로 도는 모습이 장기에프의 더블 래리어트를 연상시킨다고 붙은 별명.

2009년 1박 2일 시즌 1 전남 광양편에서 강호동이 벌칙으로 얼굴에 낙서 당하고 MC몽에 의해 헤어스타일 마저 변형 당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장기에프를 닳게 나왔다. 이때 1박 2일 시즌 1 제작진이 친절하게도 강호동과 장기에프를 동시에 비교하고 장기에프의 브금까지 틀어준다. 근데 그 영상에서 나오는 기합 소리는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라우 첸의 것이란 게 함정.[33]

I Wanna Be The Guy에서는 까메오로 크레이드와 결합된 형태(...)로 등장한다. 이때 쓰는 기술이...

한국의 뮤지션인 장기하가 한 때 장기에프라는 예명으로 활동한 적이 있다. 술탄 오브 더 디스코 멤버들은 다 외국 이름을 쓰는데, 장기하는 자신의 본명과 비슷한 이름을 고른 것이다.

에드먼드 혼다와 함께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를 대표하는 땀내나는 덩치 캐릭터의 상징이지만 레버 1회전이라는 특이한 커맨드에서 나오는 강력한 스크류 파일 드라이버와 의외의 강인한 인상 그리고 인텔리 설정까지 있어서 혼다에 비하면 취급이 좋다.

정사가 아닌 크로스오버작인 마블 VS 스파에서의 엔딩을 제외하면 그의 가족관계를 비롯한 사생활은 의외로 크게 드러나있지 않다. 개인적으로 산속에서 홀로 불곰과 수련을 한다거나 어린이팬과 만나 용기를 준다거나 하는 정도로만 사적인 면모가 나온다.

이 인물로 인해 덩치빨 있고 털 좀 많은 남자는 자동적으로 장기에프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x-width:35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break-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5em; margin:-6px -1px -11px"
파일:sf2_ryu.png파일:sf2_honda.png파일:sf2_blanka.png파일:sf2_guile.png파일:sf2_ken.png파일:sf2_chunli.png파일:sf2_zangief.png파일:sf2_dhalsim.png파일:sf2_bison.png파일:sf2_barlog.png파일:sf2_sagat.png파일:sf2_vega.png파일:sf2_hawk.png파일:sf2_feilong.png파일:sf2_cammy.png파일:sf2_deejay.png파일:sf2_gouki.png파일:sf2_evilryu.png파일:sf2_evilken.png파일:sf2_random.png
}}}}}}}}}

<rowcolor=#fff>{{{#!wiki style="max-width:1000px; min-width: 30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0em; margin:-6px -1px -11px"
파일:물음표.jpg
}}}}}}}}}||

<rowcolor=#fff>{{{#!wiki style="max-width:1000px; min-width: 300px; margin:0 -10px -5px; font-size: 0.95em;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물음표.jpg
}}}}}}}}} ||

{{{#!wiki style="max-width:700px; min-width: 35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1em; margin:-6px -1px -11px"
[[류(캡콤)|파일:sf5_ryu.png
]]
[[춘리|파일:sf5_cnl.png
춘리
]]
[[찰리 내쉬|파일:sf5_nsh.png
내쉬
]]
[[베가(캡콤)|파일:sf5_veg.png
베가
]]
[[캐미 화이트|파일:sf5_cmy.png
캐미
]]
[[버디(캡콤)|파일:sf5_brd.png
버디
]]
[[켄 마스터즈|파일:sf5_ken.png
]]
[[네칼리|파일:sf5_ncl.png
네칼리
]]
[[발로그|파일:sf5_blr.png
발로그
]]
[[레인보우 미카|파일:sf5_rmk.png
R. 미카
]]
[[라시드(캡콤)|파일:sf5_rsd.png
라시드
]]
[[칸즈키 카린|파일:sf5_krn.png
카린
]]
[[장기에프|파일:sf5_zgf.png
장기에프
]]
[[라라 마츠다|파일:sf5_lar.png
라라
]]
[[달심|파일:sf5_dsm.png
달심
]]
[[F.A.N.G|파일:sf5_fan.png
F.A.N.G
]]
이하 시즌 추가 캐릭터 (일레븐은 캐릭터 패스 / 프리미엄 패스 특전 보너스)
<colcolor=#fff>
시즌
1
[[알렉스(캡콤)|파일:sf5_alx.png
알렉스
]]
[[가일|파일:sf5_gul.png
가일
]]
[[이부키(캡콤)|파일:sf5_ibk.png
이부키
]]
[[마이크 바이슨|파일:sf5_bsn.png
M. 바이슨
]]
[[한주리|파일:sf5_jri.png
주리
]]
[[유리안|파일:sf5_urn.png
유리안
]]
시즌
2
[[고우키|파일:sf5_gok.png
고우키
]]
[[콜린(캡콤)|파일:sf5_kln.png
콜린
]]
[[에드(캡콤)|파일:sf5_ed.png
에드
]]
[[아비게일(캡콤)|파일:sf5_abg.png
아비게일
]]
[[메나트|파일:sf5_mnt.png
메나트
]]
[[제쿠|파일:sf5_zku.png
제쿠
]]
시즌
3
[[카스가노 사쿠라|파일:sf5_skr.png
사쿠라
]]
[[블랑카|파일:sf5_blk.png
블랑카
]]
[[팔케(캡콤)|파일:sf5_flk.png
팔케
]]
[[코디 트래버스|파일:sf5_cdy.png
코디
]]
[[G(캡콤)|파일:sf5_g.png
G
]]
[[사가트|파일:sf5_sgt.png
사가트
]]
시즌
4
[[카게나루모노|파일:sf5_kge.png
카게
]]
[[포이즌(캡콤)|파일:sf5_psn.png
포이즌
]]
[[에드먼드 혼다|파일:sf5_hnd.png
E. 혼다
]]
[[루시아 모건|파일:sf5_lca.png
루시아
]]
[[길(캡콤)|파일:sf5_gil.png
]]
[[세스(캡콤)|파일:sf5_sth.png
세스
]]
시즌
5
[[히비키 단|파일:sf5_dan.png
]]
[[로즈(캡콤)|파일:sf5_rse.png
로즈
]]
[[오로(캡콤)|파일:sf5_oro.png
오로
]]
[[카자마 아키라|파일:sf5_akr.png
아키라
]]
[[루크 설리반|파일:sf5_lke.png
루크
]]
[[일레븐(캡콤)|파일:sf5_elv.png
일레븐
]]
}}}}}}}}}



[1] 가장 유명한 장기에프의 캐치프레이즈로, 장기에프 본인도 스스로를 소개할 때 '붉은 사이클론'의 이명을 사용하기도 한다.[alt] 붉은 사이클론(КРАСНЬIЙ ЦИКЛОН), 위협적인 흡인력(ОПАСНЫЙ ИНСТИНКТ)[3] 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에서는 출신지가 소련으로 되어있었지만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이후 작품들에서는 러시아로 변경되었다. 스파 제로 시리즈는 소련 붕괴 이후에 나온 작품임에도 어째 국적이 소련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아마 스파 2 시리즈보다 더 이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4] 스트리트 파이터 6 캐릭터 중 신장 및 체중 1위. 시리즈 전체로 두면 244cm, 265kg의 아비게일이 1위다.[5] 장기에프 정도 되는 신장에 근육량이면 이게 제대로 된 체중 설정이다. 이전 시리즈 프로필의 장기에프의 체중과 신장이면 날렵한 농구 선수 같은 몸매 정도가 되기 때문에 체중이 너무 적게나간다고 지적된 바가 있었는데 스파 5에서 수정한 모양이다. 참고로 근육질로 유명한 격투가 밥샙의 전성기 신장과 체중은 195cm에 160kg.[A] 스트리트 파이터 6를 포함한 장기에프가 등장하는 거의 모든 작품들.[B] 스트리트 파이터 6의 소개란에서는 싫어하는 것에 파동권 등의 장풍만 남았다.[8] 파동권의 경우, 본인이 직접 극복하기 위해 일명 엄마손이라고도 불리는 배니싱 플랫이라는 기술까지 개발했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에서의 EX 배니싱 플랫은 장풍 상쇄, 돌진, 콤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기 기술이었다. 그러나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이후로 삭제. 도 이 사실을 알고 있는지 슈퍼 스파 4: AE/Ver. 2012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의 아케이드 모드에서 류로 플레이할 때 장기에프에게 승리 시 아직도 파동권이 싫냐고 묻기도 한다. 반면 장기에프는 파동권을 극복했는지 초기 스파 4의 아케이드 모드에서 장기에프로 플레이할 때 류에게 승리시 "음, 역시 파동권은 훌륭하군! 그렇게 나와야지!"라고 말하며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부터 변경된 승리대사에서는 "좋았어! 한 번 더! 파동권이든 뭐든 다 와라!", 켄 마스터즈에게 승리 시 "오랜 시간 단련한 이 팔이 있다면 파동권 따위는 무섭지 않아!"라고 말한다.[9] 여성 자체를 싫어한다기보단, 근육이 적은 여성의 육체를 싫어하는 것에 더 가깝다. 상대적으로 근육질 체형인 레인보우 미카라라 마츠다 등의 여성과는 쿵짝이 잘 맞으며, 춘리 상대로는 다리 근육이 훌륭하다는 칭찬까지 한다. 그 외 날씬한 체형의 다른 여성 캐릭터들에게도 조언을 하거나 좋은 점을 칭찬해주는 등, 대놓고 혐오감을 드러내지 않는다. 6에서는 자신과 똑같이 덩치큰 근육질인 마리사에게 결혼 얘기가 들려오자 쩔쩔매는 모습도 보인다. 애초에 정말로 여성을 싫어한다면 이런 반응이 나올 수 없다.[A] [11] 장기에프 말고도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에선 소돔, 아돈(OVA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THE ANIMATION-까지 담당.), 버디, 을 소화시켰고,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드라마 CD에서는 독트린 다크도 담당했다. 그 밖에 스트리트 파이터 3 뉴 제너레이션,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까지는 , , 휴고를 담당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성우계의 최다역 성우이기도 하다. 연기폭이 넓다고는 해도 담당 배역을 보면 공통점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캐릭터들이라 더 놀랍다. SVC CHAOS,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에서의 휴고의 일본어 음성 성우이기도하다.[1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및 더블 어퍼 까지 담당.[MVC] 엑스맨 VS 스트리트 파이터,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마블 VS 캡콤, 마블 VS 캡콤 2를 포함한 작품들.[EX] 스트리트 파이터 EX, 스트리트 파이터 EX 플러스, 스트리트 파이터 EX 2, 스트리트 파이터 EX 2 플러스, 스트리트 파이터 EX 3를 포함한 작품들.[15] 스트리트 파이터 리얼 배틀 온 필름에서는 장기에프 말고도 에드먼드 혼다, 블랑카, 마이크 바이슨 (발로그, 복서)을 중복으로 맡았었다. 또한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및 더블 어퍼 까지 담당.), CAPCOM VS SNK 2,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에서의 롤렌토의 일본어 음성 성우이기도 하며 CAPCOM VS SNK 2, 스파 제로 3 더블 어퍼에서는 이글도 맡았었다.[CVS] CAPCOM VS SNK, CAPCOM VS SNK PRO, CAPCOM VS SNK 2를 포함한 작품들.[17]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서는 버디를 담당했다.[18] 2020년 2월 18일 ~ 3월 4일 까지 진행된 퍼즐 앤 드래곤, 스트리트 파이터 5 아케이드 에디션콜라보 소개, 2021년 3월 8일 ~ 3월 22일 까지 진행된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 시즌 5 2차 콜라보 소개 1 캐릭터 진화 정보 & 능력 조정 소개 2 등에서 발췌.[19]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서는 의 영어 음성을 담당했다.[20] 장기에프가 러시아인이라는 설정을 반영해서인지 러시아식 영어로 발음한다.[21] 해당 애니메이션 영화의 감독이기도 하다.[22] 스트리트 파이터 2 이전까지는 소련 출신.[23] 해당 포즈는 스트리트 파이터 6에서 체력을 25~80% 남기고 이길 경우 승리 포즈로 등장한다.[24] 이때 승리 포즈를 보면 콧바람을 뿜을 때 안경에 김이 서리는 디테일을 볼 수 있다.[25] 이쪽은 "터보가 되려는 건 아니겠지?" 대사 한 마디만 하고 얼굴만 비추는 수준으로 등장한다.[26] 다만 2008년작인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HD 리믹스에서는 초상화 또한 상의(탱크탑)를 탈의한 모습으로 새로 그렸다. 이후 2017년작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는 다시 상의를 착용한 모습으로 돌아갔다.[27] 장기에프의 현재 기술명에 없는 '슈퍼'가 뜬금없이 튀어나온 이유는 터보 로케테스트판 당시 공개된 '하이스피드 더블 래리어트'의 기술명이 '슈퍼 래리어트'였기 때문이다.[28] 진짜로 따응할때 그 땅이다! 서양에서는 Zangitan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데, 참고로 뜻은 같다(...)[29] 대놓고 슈퍼 콤보 파이널 아토믹 버스터를 노리는 플레이로 유명.[30] 국내에서는 풍림꼬마세스를 상대로 요가 텔레포트를 예측하고 배니싱 플랫으로 따라간 뒤 얼티밋 아토믹 버스터로 마무리하는 명경기가 유명하다.[31]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비주류에 중량급 캐릭터를 즐겨한다.[32] 캡콤 측에서도 인상깊었는지 하이스코어 걸의 커버에 캡콤 캐릭터와 함께 그려졌다...그러나 하이스코어 걸 내용이 옛날 캡콤이 주류고 SNK는 캡콤의 시다바리 같은 묘사 때문에 SNK의 원한을 사서 저작권 소송을 먹는다....[33] 1박2일 시즌1 86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