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dark-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D2D2D, #161616 9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4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정렬 가나다순)] ## [[고우키| [[라시드(캡콤)| [[시라누이 마이(스트리트 파이터)| [[베가(캡콤)| [[사가트| [[알렉스(캡콤)| [[에드(캡콤)| [[엘레나(캡콤)| [[잉그리드(캡콤)| [[테리 보가드(스트리트 파이터)| [[A.K.I.| [[크림슨 바이퍼| 회색 배경: 출시 예정 {{{#!wiki style="margin: -25px -4px -11px" |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2><tablebordercolor=#4b7018><tablealign=right><table width=450><colbgcolor=#000><colcolor=#fff> 디제이
Dee Jay | ディージェイ ||
Dee Jay | ディージェイ ||
| ||
역대 캐치프레이즈 | ||
국적 |
| |
격투 스타일 | 킥복싱[상세] | |
생년월일 | 1965년 10월 31일 | |
신장/체중 | 184cm / 92kg | |
쓰리 사이즈 | B130/W89/H94(SF4) | |
혈액형 | AB형 | |
좋아하는 것 | 소리 지르기, 춤추기, 노래 부르기 | |
싫어하는 것 | 정적 | |
특기 | 밤부댄스 | |
직업 | 레게/힙합 뮤지션, 격투가 | |
성우 |
| |
캐릭터 테마 | ||
프로필 출처 |
|
1. 개요
|
>댄스 뮤직의 세계적인 슈퍼스타.
늘 명랑하고 쾌활하다. 음악과 격투를 향한 뜨거운 사랑을 불태우며, 자극적인 신곡과 관객을 열광케 하는 퍼포먼스를 구상하고 있다.
스파 6 공식 캐릭터 소개문
스파 6 공식 캐릭터 소개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이름은 캐릭터 제작자의 닉네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하며, DJ(Dosc Jockey)가 아니라 레게 음악의 Deejay에서 온 것으로 토스팅[4]을 하는 레게 뮤지션이라는 뜻이다.
자메이카의 유쾌한 레게 킥복서 청년.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추가 캐릭터로 첫 참전했다.
2. 시리즈별 모습 및 변천사
{{{#!folding [ 각 작품별 일러스트 열기 / 닫기 ] |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 ||
|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 ||
|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for Matching Service | ||
| |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콘솔판 및 더블 어퍼 셀렉트 이미지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더블 어퍼 | |
|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셀렉트 이미지 | |
| | |
스트리트 파이터 5에 맞춘 디제이 캐릭터 도감 일러스트 | 스트리트 파이터 6 CFN 일러스트 | |
| | |
스트리트 파이터 6 | 스트리트 파이터 6 셀렉트 이미지 |
3. 특징
본업인 레게 뮤지션으로는 상당히 인기가 있어서 나오는 CD마다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지만, 음악에 영감을 얻기 위해서라며 제멋대로 사라졌다 나타났다를 반복하는 탓에 매니저가 골머리를 썩히고 있다. 스트리트 파이트에 뛰어든 것도 새로운 리듬을 찾기 위해서[5].근본적으로 유쾌한 성격인데다가 낙천주의자라서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보아도[6] 자신만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남자. 왠지는 알 수 없으나 늘 마라카스를 들고 다니며 늘 얼굴에 웃음을 짓고 있다.
샤돌루 격투가 연구소의 디제이 캐릭터 도감에 따르면 스트리트 파이터 5 시점에서는 신곡을 만들기 위해 세계를 여행하고 있다고 한다.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서는 춘리의 캐릭터 스토리에서 류, 캐미 화이트, 페이롱, 썬더 호크랑 같이 포스터로 등장한다. 등장하는 포스터는 1994년 6월 25일 슈퍼 패미컴판으로 이식되어 발매된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사용설명서 일러스트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5 이후 시간대인 마코토의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에선 장기에프, 캐미 화이트, 썬더 호크, 알렉스 등과 함께 마코토와 대결을 펼쳤지만 결국 패배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4. 기술 일람
4.1. 필살기
- 에어 슬래셔: ←(모으고)→ + P
모으기 커맨드의 장풍기. 가일의 소닉붐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지지만 다른 장풍기들은 압도하는 스펙이다. 발생, 경직 모두 소닉붐 다음 가는 수준. 히트시에는 디제이가 유리하며 가드시에도 5:5인 우수한 장풍기이다. 약은 탄속이 느리므로 소닉붐과 비슷하게 약 에어 슬래셔를 깔아놓고 심리전을 거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스파 4시리즈의 EX 에어 슬래셔는 가드당해도 디제이가 유리할 정도로 유리 프레임이 길지만 다른 EX 장풍기와 달리 세스의 소닉붐처럼 에어 슬래셔를 2발 발사하다보니 동작 전체가 좀 길어지는 결점이 있으니 상대가 뛰어들어올 수 있는 중거리에서의 남발은 금물. 참고로 2발째 모션의 발생 시간 때문에 상대방의 EX 장풍이나 2타 이상의 장풍에 대해 너무 늦게 EX 에어 슬래셔를 사용하면 1타 상쇄후에 2타째를 얻어맞고 막타가 캔슬되어버린다.(...)
- 더블 롤링 소배트: ←(모으고)→ + K
전방으로 뛰쳐나가며 약은 1회, 중/강/EX는 2회 발차기를 먹이는 돌격기. 약 정도는 가드당해도 확정반격기가 많지 않아 그나마 괜찮지만 중/강은 가드당하면 좀 위험하니 주의. 약 더블 롤링 소배트는 하단 회피 능력이 있어 상대의 하단 강킥 등을 읽고 반격하는 데 쓸수 있지만 중/강과 달리 잡기 무적이 없어서 발생 중에 잡기에 당할 수 있고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에서는 이 하단 회피 능력이 삭제되었다가 1.04 패치에서 롤백되어 플레이어들이 식겁했던 전력이 있다(...). 1타째가 아머 브레이크 속성이라 눈앞에서 세이빙 어택을 노리는 상대에게 한번씩 휘둘러 주면 상대가 세이빙 어택을 하기 굉장히 껄끄러워진다. 하지만 상대가 거리를 잘 재서 롤링 소배트의 1타를 빗나가게 만들고, 아머 브레이크가 없는 2타를 세이빙 할순 있다. EX 버전은 무적시간이 있고 앞으로 크게 돌진하므로 장풍뚫기에 사용한다. 다만 발생 15F/무적시간 7F로 모션 중반 이후에는 무적시간이 없고 장풍 무적도 11F째까지만 존재하므로 장풍이 나오는 것을 보고 너무 일찍 사용하면 후반의 무적시간이 끊기는 타이밍에 얻어맞게 되므로 최대한 상대방의 장풍을 끌어당겨서 사용해야 한다. 장풍뚫기로 사용하려면 어느 정도 감을 익혀야 하는 편.
- 머신건 어퍼: ↓(모으고)↑ + P (연타)
모으기에서 연타로 히트수를 늘린다는 특이한 타격기. 아머 브레이크 속성이다. 머리 부분(...)에만 무적판정이 있긴 한데 당연히 의미없고 단독 사용은 거의 아머 브레이크를 노리고 사용하는 정도라서 결국 콤보파츠로만 의미가 있는 편인데 연타시에 위력이 꽤 올라가므로 콤보파츠로서는 우수한 기술. 다만 연타기 이면서도 리치도 짧은데다가 모으기 커맨드라는 점은 큰 단점이다.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시절에는 연타 타이밍이 있어서 타이밍이 틀리면 중간에 막히는데 타이밍이 까다로운 대신 전탄 히트시 위력은 게임 내 일반 필살기 중에선 가장 높다. 스파 4 시리즈에선 연타 타이밍 그런 거 없고 신나게 버튼을 두들겨주면 된다. EX 머신건 어퍼에는 눈꼽만큼 전신 무적시간이 있지만 역시 의미 없고 콤보파츠다. 발생/위력은 증가하지만 연타로 히트수가 증가하는 점은 동일. 다만 울트라콤보 2를 선택했다면 EX 머신건 어퍼에서 울콤 2 클라이맥스 비트가 그대로 연결되는 위엄을 발휘한다. 울콤 1 소배트 페스티벌을 사용중이거나 리벤지 게이지가 없을때는 EX 더블 롤링 소배트로도 연결 가능하며 이쪽도 2발을 다 맞추면 대미지는 쏠쏠한 편. 노게이지로는 강 잭나이프 맥시멈이 무난하고 구석에서는 EX 잭나이프 맥시멈도 연결된다.
- 잭나이프 맥시멈: ↓(모으고)↑ + K
공중에서 발차기 연타를 날리는 대공기. 약/중에는 무적시간이 있지만 강에는 없는 것이 특징이다. 덤으로 위력도 약이 가장 강하다.(...어?) 중 잭나이프는 공중에서 1히트만 한 경우엔 다시 중 잭나이프로 추격할 수 있지만 저축시간이나 대공 궤적 등의 문제로 노리지 않으면 어려운 편. 판정이 크지 않고 궤적이 좀 애매한데다 발생도 그리 빠르지 않아서 대공기로서의 성능은 그냥저냥. 디제이는 하단 강킥으로 나가는 슬라이딩 대공성능이 좋기 때문에 그쪽으로 대공을 치는 일이 많지만 멀리서 뛰어드는 상대를 떨어뜨리거나 할땐 잭나이프 맥시멈이 나을 때도 있다. EX는 노멀보다 긴 무적시간, 빠른 발생(4F), 위력도 강하고 판정도 좋아서 대공, 리버설, 콤보파츠로 모두 우수하다. 같은 커맨드인 가일의 서머솔트 킥에 비해 대공기로서 떨어진다는 인상이 강하지만 상대방의 역가드에 대한 자동 방향전환기능이 좋은 편이라서 역가드 대처용으로 뛰어나다는 점은 가일보다 좋은 점.
4.2. 슈퍼콤보 및 울트라콤보, 슈퍼 아츠
슈퍼 콤보 소배트 카니발 | 울트라 콤보 1/2 소배트 페스티벌/클라이맥스 비트 |
- 소배트 카니발: ←(모으고)→←→ + K
돌진하며 킥으로 7연타를 먹이는 평범한(?) 돌격계 슈퍼콤보로 슈퍼 스파 2 X 시절엔 썰렁하게 더블 롤링 소배트를 두번 쓰는 기술이었다. 발생은 약-중-강 순으로 느려지고 대신 돌진 거리가 길어지지만 위력은 동일. 강은 거리가 꽤 길어 소뱃 페스티벌처럼 중거리 장풍뚫기에도 사용 가능하지만 무적시간이 발생시간보다 1F 짧으므로 주의. 콤보로 사용할 때는 더블 롤링 소배트 중/강의 1타째에서 슈퍼캔슬로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 소배트 페스티벌: ←(모으고)→←→ + KKK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의 울트라콤보 1. 전방으로 빠르게 뛰쳐나가면서 킥 5연타를 먹이고 어퍼컷으로 마무리하는 기술로 슈퍼콤보인 소배트 카니발의 강화판 기술이다. 위력도 준수하고 장풍뚫기용으로 매우 뛰어난 위력을 발휘하며 슈퍼 스파 4: AE Ver. 2012부터는 슈콤 소배트 카니발에서 캔슬까지 된다. 게임 내에서 극히 드물게 캔슬로 연결 가능한 울트라 콤보. 콤보로 슈콤 소배트 카니발에서 울콤 1 소배트 페스티벌까지 다 들어가면 위력은 그야말로 ㅎㄷㄷ 하다. 캔슬로 대미지 보정을 먹어서 슈콤 게이지 100%+리벤지 게이지 다 쓰는 것치고는 효율이 좀 떨어지지만 일발역전급임에는 틀림없다. 아무래도 울콤 2 클라이맥스 비트가 너무 활용성이 좋은 나머지 소배트 페스티벌 쪽이 밀리니 붙여준 특혜인듯. 다만 다른 돌격형 울콤들에 비해선 1타째의 돌격거리도 좀 짧은 감이 있고 콤보용으로도 슈콤 소배트 카니발에서 잇거나 하지 않는 이상에는 그다지 쓸만하지 않아 범용성이 떨어지는 편.
- 클라이맥스 비트: ↙(모으고)↘↙↗ + PPP
스파 제로 3 & 더블 어퍼에서 슈퍼콤보, 스파 4 시리즈에서 울트라콤보 2로 사용한 머신건 어퍼의 강화판 기술로 머신건 어퍼와 비슷한 모션의 펀치 연타로 공중에 띄워 양손으로 무수한 펀치 연타를 날리고 구석에 처박아버리는 기술이다. 마지막에 뭔가 피니쉬를 먹일거처럼 폼을 잡다 마라카스로 짤랑~해주는 모션이 압권(...).[7] 참 디제이다운 기술이다. 총 히트수는 44로 게임내 최대. 무적시간이 꽤 있긴 하지만 리치가 짧아 소배트 페스티벌에 비해 효용성이 나빠보이는 것은 페이크로 EX 머신건 어퍼 히트 후에 무조건 콤보로 연결된다! 다만 리치가 짧기 때문에 구석 이외에서는 살짝 걸어가면서 사용하던지 대시하면서 사용해야 히트한다.[8] 콤보로 EX 머신건 어퍼 연타를 날리고 클라이맥스 비트까지 들어갔다면 전체 위력은 그야말로 절륜. 너무나 절륜한 위력이었던 나머지 결국 울트라 스파 4에서는 최대 대미지가 501에서 460으로 41이나 너프당하는 피를 보고 말았다(...). 이외에도 하단 강킥 슬라이딩으로 대공 히트를 했을 경우에도 연결되는 여러모로 활용성이 높은 울트라 콤보. 다만 이 부분의 경우 하단 강킥 슬라이드를 거의 예측수준으로 써야 한다. 안그러면 오히려 상대방이 너무 멀리 날라가서 연결이 안된다.
5. 시리즈별 성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제이(캡콤)/시리즈별 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제이(캡콤)/시리즈별 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대사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제이(캡콤)/대사 일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제이(캡콤)/대사 일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코스튬
7.1. 스트리트 파이터 6
{{{#!folding [ 미사용 디자인 펼치기 · 닫기 ]
- Outfit 1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6/코스튬 EX,
캐릭터=디제이,
추가색상1=,
추가컬러1=EX01,
추가색상2=,
추가컬러2=DX01,
추가색상3=,
추가컬러3=DX02,
추가색상4=,
추가컬러4=DX03,
)]
펑키한 레게 힙합 스타일로 본작의 새로운 기본 복장이다. 월드 투어와 아케이드 스토리에서 착용한다. 컬러 10은 사전구매 특전으로 제공된다.
기존의 다소 부족한 뮤지션으로서의 모습이 강조되었다. 온몸을 레게로 도배하다시피한 복장에 머리도 더욱 개성적으로 변했으며 선글라스로 눈을 가리고있어 전작들에서의 사나운 눈빛은 볼 수 없다.[9]
캡콤컵 11 5일차 시청 이벤트로 공개된 EX01 컬러는 이벤트 코드 "CK9J-VTQD-KQKR-QQYN"를 입력하여 획득할 수 있다.
기존의 다소 부족한 뮤지션으로서의 모습이 강조되었다. 온몸을 레게로 도배하다시피한 복장에 머리도 더욱 개성적으로 변했으며 선글라스로 눈을 가리고있어 전작들에서의 사나운 눈빛은 볼 수 없다.[9]
캡콤컵 11 5일차 시청 이벤트로 공개된 EX01 컬러는 이벤트 코드 "CK9J-VTQD-KQKR-QQYN"를 입력하여 획득할 수 있다.
- Outfit 2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6/코스튬 간략,
캐릭터=디제이,
)]
> Yo, 버디!
킥복서 남국의 혜성 코스튬을 입어봤어.
MAXIMUM은 이 무렵부터 내 트레이드마크였지!
월드 투어 유대감 100 달성 코멘트
MAXIMUM은 이 무렵부터 내 트레이드마크였지!
월드 투어 유대감 100 달성 코멘트
기존의 클래식 복장. 상점에서 구매하거나 월드 투어에서 유대감 MAX 보상으로도 얻을 수 있으며, 이전 스타일이기 때문에 스토리에서는 착용하지 않지만 일러스트에선 종종 등장한다.
전작들에서의 사나운 인상은 그래픽이 좋아져서인지 여유로운 느낌으로 변했다. 대체로 전작의 모습 그대로지만 바지의 밴드 부분에 자메이카 색상의 줄무늬와 'MAXIMUM'이라는 문자가 추가되었다는 소소한 차이점이 있다.
- Outfit 3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6/코스튬,
캐릭터=디제이,
확장자=jpg,
)]
> 이번 게임에서는 디제이의 아티스트적인 면모를 보다 강조하고 싶었고, 그래서 디제이에게 입기만 하면 어디든 댄스홀로 만들 수 있는 멋진 슈트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의상을 디자인했습니다. 디제이의 스타일은 언제 어디서든 흥과 즐거움을 잃지 않는다는 것이죠.
디자인 팀 코멘트
디자인 팀 코멘트
미러볼 마냥 전신이 번쩍거리는 슈트다. 정말 디제이스럽다고 말할 수 있는 복장.
초기 공개 당시에는 '태진아 같다'는 등 호불호가 다소 갈렸지만 쇼케이스로 공개된 후에는 고퀄리티로 구현된 그래픽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도 반응이 뜨거운 편.
헤어스타일은 이미 월드 투어 일러스트에서 등장한 바 있다.
8. 기타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 등장한 캐릭터 중에서 유일하게 캡콤의 미국 지사인 캡콤 USA측 스탭이 디자인한 캐릭터이다. 제임스 고다드(James Goddard)라는 직원이 디자인한것을 일본의 본사 디자인실에서 클린업한 디자인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울트라 스파 4에서 폭망했는 건지도 모른다. 여담으로 모델은 태보의 창시자인 빌리 블랭크스.
- 바지의 MAXIMUM이라는 글자는 원래는 ROCKMAN 이었으나 스프라이트의 좌우반전을 고려해서 어느쪽에 서도 그대로 보이는 단어인 MAXIMUM으로 바꾼다. 그 이유를 알아차린 개발자들은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미국쪽 인터뷰에서는 ROCKMAN이 아닌 MANTIS 였다고 말해서 엇갈림이 있다.
- 1999년 10월 21일 네오지오 포켓으로 발매된 SNK VS CAPCOM 카드 파이터즈, 2001년 9월 13일 1과 마찬가지로 네오지오 포켓으로 발매된 카드 파이터즈 2 익스팬드 에디션에서는 카드로 등장한다. 익스팬드 에디션에서의 디제이의 카드 번호는 C-013. 2006년 12월 14일 닌텐도 DS으로 발매된 카드 파이터즈 DS에서는 청색 계열의 카드로 등장한다.
- 포켓 파이터에서는 가이, 롤렌토, 로즈, 버디, 가일, 찰리 내쉬, 캐미 화이트, 에드먼드 혼다, 사가트 베가, 아돈, 뱀파이어 시리즈의 포보스, 스타 글라디에이터의 준 린 밀리엄 등과 함께 포켓 파이터 설정상 디제이 본인이 운영하는 칵테일 바 스테이지의 배경 캐릭터로 등장한다.
- 캡콤 파이팅 잼에서는 휴고, 캐미 화이트, 소돔, 버디, 숀 마츠다, Q, 켄 마스터즈, 찰리 내쉬, 썬더 호크, 코디 트래버스, 마이크 바이슨 등과 함께 뉴욕 스테이지의 배경 캐릭터로 등장한다.
-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에서는 화랑의 콜라보레이션 DLC 코스튬으로 등장한다.
- 장 클로드 반담 주연의 실사영화판 스트리트 파이터에서는 바이슨 장군의 수하인 천재 프로그래머 오퍼레이터로 나온다. 막판에 전세가 연합군쪽으로 기울자 금고 안에 있던 바이슨의 비자금을 들고 튀지만 그 돈이 전부 바이슨 달러였다는 결말. 바이슨에게 고용되기 전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근무했었다고. 다만 스트리트 파이터(영화)판은 흑역사급이 되었다.
-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트리트 파이터 2 무비'에서는 단역으로 잠깐 등장한다. 클럽에서 깽판치는 불량배를 두들겨 패주다가 가일과 춘리를 만나서 샤돌루에게 마크당하고 있다고 경고를 받는 것이 출연분량의 전부. 이 작품 최대의 피해자 블랑카보다는 훨씬 나은 대우이긴 하지만... 게임 쪽의 유쾌한 청년 이미지와는 달리 약간 불량한 느낌으로 등장한다. 모니터 사이보그의 서치 화면에서는 왠지 Dee Jay가 아닌 DJ로 이름이 뜬다.
- 미국의 타이거에서 개발한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LCD 휴대용 게임기[10]의 국내발매판에서는 '디죠이'라고 나왔다.
- 슈퍼 스파 4/AE/Ver. 2012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의 아케이드 모드에서 류로 플레이할 때 디제이에게 승리시 '너무 가볍다. 너의 싸움에서는 진정한 「강함」이 느껴지지 않는다.'면서 대놓고 까인다. 자신이 승리해도 상대의 장점과 강함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류가 이런 식으로 까는 캐릭터가 흔치 않다. 다행히 6에서는 '깊이는 없지만 그림자도 없군. 어쩌면 그런 게 좋을 수도 있겠어'라며 어느 정도 인정하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살의의 파동을 극복하고도 그 여파라고 할 수 있는 그림자로 인해 번거로운 경험을 한 덕분으로 보인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x-width:35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break-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5em; margin:-6px -1px -11px" |
<rowcolor=#000,#fff> |
<rowcolor=#fff> |
[alt] 남국의 혜성(TROPICAL COMET), 펑키 샤우팅(FUNKY HOLLERING)[상세] - 강인한 육체를 공격의 리듬에 맞춰 움직이며 노래하듯이 콤보를 때려 넣는다.[3] 스트리트 파이터 리얼 배틀 온 필름에서는 디제이 말고도 류, 가일, 게임 내에 나레이션을 맡았었고,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 슈퍼 퍼즐 파이터 2 X,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포켓 파이터, 마블 VS 캡콤 2, CAPCOM VS SNK 시리즈, SNK VS CAPCOM SVC CHAOS에서는 히비키 단을 맡았었다.[4] 가사가 없는 반주음악에 즉흥으로 가사를 붙여 노래하는 행위[5] 이질적인 싸움의 이유와 괴짜같은 행보 탓에 스파4 시절 기준으로는 류의 승리 대사에서 주먹에 무게가 없다며 대차게 비판한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도 그 마인드가 하나도 변하지 않는 걸 본 건지 현생을 유독 강조한 건지는 몰라도 6에 와서는 류도 무게는 없지만 원래 이런 놈이라는 수준으로 취급하고는 있다.[6] 실제로 스파6 기준 승리 대사를 보면 스파3 이전 출신들은 그닥 안 좋아한다.[7] 데뷔작인 슈퍼 스파 2부터 마라카스를 꺼내 신나게 흔드는 승리포즈가 있었다. 황당한 건 사실이지만 아예 뜬금없는 요소는 아닌 셈.[8] 모으기 기술이라서 단축 커맨드를 사용해야 한다. ↙(모으고)→→↘↖ + PPP로 발동 가능. 걸어가면서 사용하는 것도 비슷하게 ↙(모으고)→(길게)↘↖ + PPP로 가능하다.[9] 다만 아예 안 나오는 것은 아니고 배틀 직전 페이스 오프에서 고개를 숙이며 눈이 드러나는 표정이 있긴 하다.[10] 선택 가능한 캐릭터 숫자는 4명으로 매우 적다. 하지만 카드 인식기능이 있어서 게임에 동봉된 카드를 넣으면 캐릭터가 커지면서 일시적으로 강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