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Pressure(Roblox)/대사]]
#!if 문서명3 != null
, [[Pressure(Roblox)/아이템]]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괴물 및 개체 | 대사 | 시설 및 방 | 아이템 | }}} | |||
업적 | 점프수트 | 세계관 | 기밀 문서 |
1. 개요2. 기밀 문서3. 적대적
3.1. 노드 트래킹(돌진)
4. 중립적/우호적5. 희귀 괴물6. 기타3.1.1. 노드 타임3.1.2. Z-283 / Angler
3.2. 희귀 노드 트래킹3.3. 일반3.1.2.1. Z-283-B / Blitz3.1.2.2. Z-283-P / Pinkie3.1.2.3. Z-283-F / Froger3.1.2.4. Z-283-C / Chainsmoker
3.1.3. Z-367 / Pandemonium3.3.1. Z-317 / Eyefestation3.3.2. S-Q / Squiddles3.3.3. Z-V06 / Puddles of Void-mass3.3.4. D-227 / Redeemer3.3.5. Z-96 & Z-779 / Good People3.3.6. Z-90 / Wall Dwellers3.3.7. Z-17 / The DiVine3.3.8. Bottomfeeder3.3.9. Z-566-1 / Candlebrute3.3.10. Z-264 / Abomination
3.4. 확정 출현3.5. RAVEYARD3.5.1. Z-563-1 / DJ Skeletunes3.5.2. Z-564 / Bouncers3.5.3. Z-565 / Skelepede3.5.4. Z-566 / Candlebearers
3.6. Under-Construction Section3.7. Mantle Extraction3.8. the takeover6.1. Jetsuit Evaluation Course6.2. Prisoner Diving Gear6.3. Anti-Personnel Doorstopper6.4. Anti-Personnel Landmines6.5. Z-538 / Abstract Art6.6. Z-432 / Limited-Time Imaginary Friend
7. 이스터에그8. 이벤트 한정 괴물6.6.1. Z-432-2 / Blue Limited-Time Imaginary Friend
6.7. Mr. Lopee6.8. Deep Sea Bunnies6.9. Z-1223 / My Wife6.10. Z-1932 / Paranoia's Box6.11. Z-2512 / My ██████ Horror Christmas Tree6.12. Z-V0 / Valcula Void-mass6.13. Flesh Prisnopticloset8.1. The Educator
9. 출시 예정10. 폐기된 몬스터11. 개발자 전용 몬스터12. 여담1. 개요
로블록스 게임인 Pressure의 모든 괴물 및 개체를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DOORS에서 영감을 받았기 때문인지 비슷한 개체들이 은근히 있는 편이다.[1]
2. 기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기밀 문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기밀 문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어반셰이드가 작성한 괴물들의 공식 문서로, 사망 시 해당 괴물의 대처법 및 특징이 담긴 문서가 게임오버 화면에 나온다. 죽은 횟수에 비례해 검열된 부분이 차츰차츰 지워져 나가는 것이 특징. 이 검열된 부분은 로피 또는 HQ가 직접 관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모든 "위험 & 개체" 문서를 획득 및 지울 수 있는 검열된 부분을 모두 지울 시 배지를 준다.[2]
3. 적대적
고유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 괴물 및 개체들 중 적대적인 것들을 정리해 놓은 문단이다.3.1. 노드 트래킹(돌진)
말 그대로 정해진 길을 따라가며 돌진하는 방식으로 공격하는 개체들이다. 앵글러와 그들의 변종은 반향정위로 탐지하기 때문에 사각지대에 있다면 그냥 지나간다.[3]스폰될 경우 마지막으로 닫힌 문이 있는 방에서 스폰되며, 일정 시간동안 그 자리에 머물러서 기다리다 타이밍이 되면 돌진을 시작한다.공통적으로, 플레이어와 거리가 가까워지면 화면이 깜빡거리는 효과가 있다[4][5].
문을 열 때마다 스폰되는 것 이외에 일정 시간이 지날 때마다 스폰되는 경우도 있다.
노드 트래킹 몬스터가 스폰되면 어떤 변종이 나오는지 랜덤으로 결정되는데, 앵글러, 프로거는 40%~50%의 스폰 확률, 핑키는 20%~30%, 블리츠와 체인스모커는 평균 10%~15%의 확률을 갖고 있다.
노드 트래킹형 개체들의 속도는 모두 플레이어보다 훨씬 빠르지만 개체마다 각각 다르니 주의하며 타이밍 맞게 숨어야 한다.[6]
불이 꺼진 방이나 그 직후의 방에서는 노드트래킹이 스폰되지 않으며, 노드 타임도 흐르지 않는다. 이는 모든 노드 트래킹에게 적용된다. 단, 릿지와 무한 모드의 400번 방 이후부터는 이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7]
3.1.1. 노드 타임
노드 타임이란, 노드 트래킹 형식의 몹들의 스폰 시간 패턴을 의미하는데, 이 게임에서도 이것이 구현되어 있다.시작 방을 지나가면 약 5분의 시간이 주어지는데, 방을 지나갈때마다 다음 분으로 넘어간다. 예를 들자면 게임을 시작해서 타이머가 5분으로 정해지고, 4분 55초가 될때 다음 방으로 가는 문을 열면 타이머가 4분으로 맞춰진다. 그리고 3분 20초 일 때 다음 방으로 가는 문을 열면 타이머가 3분 으로 맞춰진다. 또한 0분 59초 일 때 문을 열면 0분 0초로 맞춰진다. 타이머의 시간이 0분 0초가 되면 아래 몹들이 생성된다.
블리츠와 체인스모커는 특이한 확률 매커니즘을 갖고 있는데, 최초 앵글러가 등장한 후 5%의 스폰 확률을 가지며 방문을 열고 지나갈 때마다 5%씩 증가한다. 블리츠 또는 체인스모커가 스폰되거나 다른 몹이 생성되면 45%가 되건 95%가 되건 5%로 다시 감소한다.[8]
3.1.2. Z-283 / Angler
<colbgcolor=#0A0E11> Angler 앵글러 | |
| |
구분 번호 | Z-283 |
대미지 | 즉사 |
스폰률[9] | 40~50% |
|
등장하기 전 전조 증상으로 전등이 깜빡거리며, 이동 경로에서 자신의 시야에 플레이어가 있다면 그 플레이어를 즉사시키고 이동한다. 지나가면 EMP를 내뿜으며 방의 전등을 파괴하는데, 여기서는 후술할 스퀴들즈가 출현할 수 있다. 주로 괴물이 출몰하기 시작하는 10번 방 이후부터 자주 보인다.[10] 가끔 플레이어가 지나쳐 온 이전 방에서 돌진해오는 것이 아닌 플레이어의 앞쪽에서 달려들기도 한다.[11]
등장 조건은 숨을 수 있는 곳일 경우 확률적으로 나타나거나 노드타임이 0:00에 도달할 시 등장한다. 이는 모든 변종 개체들의 공통점으로, 대처 방법은 캐비닛에 숨거나, 앵글러가 지나가는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또는 후술할 판데모니움처럼 시야에 닿지 않는 엄폐물 뒤에 숨는 방법도 있다. 이때 사운드 시각화를 켰다면 화면 테두리에 하얀색 입자가 생긴다.
게임 시작 이후 최초로 공격이 오면, 화면에 여러 대사가 출력되며 음악이 끝난다.
원인불명의 이유로 모든 각도에서 얼굴만이 보인다고 하나, 배지에서의 모습을 보면 의외로 다른 어류들처럼 앵글러와 변종들은 물고기 형태의 목이나 몸통이 존재한다. 다만 개발자의 설정상 몸통은 있어도 물리적인 실체가 존재하지 않아 판데모니움과 달리 죽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제로 앵글러 시리즈를 보면 정체불명의 검은 안개 같은 이펙트가 머리 주변에 있지만 판데모니움은 그런 게 없다.
또한 지나가기만 해도 사람이 죽어서 살해 방법은 불명이라고 한다. 다만 겉으로는 멀쩡하지만 사인은 신경외상인 시체를 남기는 것과, 피해자의 시점에서 거대한 상자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체인스모커, 무는 공격이 나오지 않고 다가오기만 하는 블리츠를 제외한 모든 변종은 물어뜯어 공격하는 것으로 볼 때 무는 공격으로 신경 신호를 전부 흡수해 살해한 다음 시체를 남기는 것으로 보인다.
총 4마리의 각기 다른 변종이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 비슷한 공격방식을 지닌 판데모니움과 달리 앵글러의 변종들은 같은 공격범위를 가지며 앵글러에게 통하는 무적 자리는 다른 모든 변종들도 통한다.
The Ridge의 다리[12]에서 앵글러가 지나가는 연출을 볼 수 있다. 계속 대면하게 될 것을 암시하는 듯. 또한 이후 The Ridge에서부터 등장하는 앵글러는 판데모니움처럼 동공이 비활성화되며[13] 앞에서 등장할 경우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가끔(1.33%) 처음으로 만나는 노드형 몬스터가 앵글러가 아니라 블리츠, 핑키인 경우가 있다.
아주 극단적으로 낮은 확률로, 앵글러가 한 번 지나간 뒤 다시 돌아오는 현상이 있다. 또 마찬가지로 희귀하게 전조증상도 발생했고, 소리도 들리는데 막상 복도에는 안 지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미라지(Mirage)[14] 라 부르는 특별한 괴물이 지나간 것인데, 보기 굉장히 힘들다.
미라지의 경우는 대미지를 안 입지만 2차 돌진의 경우에는 대미지를 받는다.[15] 그리고 앞서 설명한 2개 경우와 비슷한 확률로 전조 증상이 아예 안 일어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도 대미지를 그대로 받는다(...)
여담으로 이전 디자인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16] 앵글러 및 변종들을 디자인한 디자이너의 언급의 의하면 절대로 이전 디자인으로 바꿀 생각은 없다고 한다.
수컷 개체다. 개발자 Zeal이 'Guy'[17]라고 하는 것도 그렇고, 암컷 심해어에게만 있는 초롱불이 없는걸 보면..
3.1.2.1. Z-283-B / Blitz
<colbgcolor=#0A0E11> Blitz 블리츠[19] | |
| |
대미지 | 즉사 |
스폰률 | 10~15% |
특이사항 | 전등이 조금 더 오래 깜빡임[20] |
|
앵글러의 첫번째 변종. 오른쪽에는 눈이 없지만[21] 왼쪽에 동공이 무려 3개나 있고 아랫이빨이 매우 길쭉한 점 등 기괴하게 비틀어진 독사고기 같이 생겼다. 앵글러와 마찬가지로 등장 조건은 숨을 곳이 존재할 경우 랜덤으로 소환된다.
특이사항으로 날렵한 독사고기의 모습을 한 만큼,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며,[22] 전조증상으로 전등을 평소보다 더 오래 깜빡인다[23]. 공격 전 속도는 느려서 신호가 확실한 편이지만 다른 변종들보다 워낙 빨라 도망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처법은 전조증상을 보자마자 초근거리의 사각지대로 이동하거나 캐비닛에 들어가 기다리는 것이다.[24]
특히 The Ridge 구역에서는 살아남기가 더 힘든데, 다가오는 소리는 도착하기 직전에 들리며 전등도 깜빡이지 않기 때문이다. 소리 시각화를 적용해도 앵글러와 구분이 잘 안 되어 죽기 쉬운 것도 있다.
세바스찬은 이 녀석을 남성형 개체로 언급한다.[25]
이름의 블리츠(Blitz)는 공습, 전격이라는 뜻, 일반 앵글러보다 빠른 속도로 달려드는 이 녀석과 이름이 딱 들어맞는다. 그리고 시각 활성 모드를 키면 이 녀석이 올 때 하늘색이 섞인 밝은 회색이 주변에 갑자기 생기며[26] 다른 엔티티의 시각 활성보다 크다.
원래 앵글러와 점프스케어가 동일했으나, 업데이트 이후 독특한 점프스케어가 추가되었다. 플레이어가 블리츠가 사망하면 시야가 흑백으로 바뀌고 대비가 급격히 증가하며[27] 아무런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그렇게나 빠르던 블리츠는 갑자기 플레이어에게 느리게 다가오며 프레임 단위로 점점 다가오다가 화면이 검게 변하며 사망한다. 러쉬의 점프스케어와 조금 비슷한 느낌.[28]
블리츠 외형의 모티브가 되는 독사고기는 아귀처럼 심해에 서식하지만 분류상 아귀류에는 속하지 않는다.[29] 다만 후술할 체인스모커 디자이너는 블리츠도 디자인 했는데, 날렵하고 빨라 보여야 했기에 독사고기로 디자인 했다.
상술 했듯이 The Ridge에서 가장 조심해야 할 괴물이다. 속도가 매우 빨라 소리[30] 듣자마자 죽는 경우가 흔하며 블리츠가 스폰 됐다는 전조인 전등이 두 번 깜빡이는 것도 보이지 않는데다 멀리 있을 때는 소리도 작고, 소리 시각화도 앵글러와 비슷해 매우 위험하다.
여담으로 이 게임에 동명의 괴물이 존재한다.
- 관련 업적
3.1.2.2. Z-283-P / Pinkie
<colbgcolor=#0A0E11> Pinkie 핑키 | |
| |
대미지 | 즉사 |
스폰률 | 20%~30% |
특이사항 | 전등이 깜빡거리지 않음, 전등이 깨지지 않음 |
|
앵글러의 두번째 변종, 생김새는 4개의 안구를 가진 기형의 분홍빛 초롱아귀다. 앵글러와 달리 EMP를 뿜지 않으며, 굉음이 길며 하이톤이고[31] 소리 시각화 설정을 키면 화면에 핑크색으로 전조가 표시된다.
다른 변종들에 비해 상당히 느린 대신 등장 직후 전등을 깜빡거리지 않으며, 핑키가 지나가면 다른 노드트래킹 몬스터가 스폰될 확률이 생긴다. 대처 방법은 캐비닛에 숨거나 사각지대에 숨는 등 앵글러와 동일하나, 소리로만 알 수 있기 때문에 환경에 따라 핑키의 대처 난이도가 달라진다.[32]
핑키의 굉음은 다른 녀석들의 굉음과 달리 '음악 파일'로 구분된다, 이 때문에 음악 파일이 재생되지 않는 버그에[33] 걸린 사람들은 핑키의 굉음소리를 듣지 못해 매 방마다 운과 직감, 반응속도로만 살아남아야 하는 최악의 상태가 되어버린다.
The Ridge에서 그나마 안전한 괴물이다.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등이 없어 전조 증상을 알기 어려운 블리츠와는 달리 전등이 깜빡이지 않지만 멀리 있을 때부터 소리가 들리는데다가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 않아[34] 전등이 꺼져있는 The Ridge에서는 캐비닛을 찾기 어렵다는 거 빼고 별 다를 게 없기 때문. 물론 상술한 버그가 발생한다면 블리츠보다도 더더욱 위험한 괴물이 된다.
여담으로 세바스찬은 핑키를 암컷으로 언급한다.[35] 또한 핑키는 개발자 Zeal이 말하길 별도의 돌연변이는 아니고 앵글러와 쌍둥이 동족이다. 그러나 어반셰이드 입장에서는 앵글러랑 완전 다르게 생겼으면서 본 적도 없는 괴물이 돌아다니고 있으니 보고서에서 변종으로 분류하고 있는듯 하다, 어반셰이드 직원들이 모르는 개체라는걸 보면 블랙사이트 폐쇄 후 어딘가에서 스멀스멀 온 듯 하다.
판데모니움과 같이 지나간 직후 다른 앵글러 종류나 A-60이 스폰될 수 있다.
3.1.2.3. Z-283-F / Froger
<colbgcolor=#0A0E11> Froger 프로거 | |
| |
대미지 | 즉사 |
스폰률 | 40~50% |
특이사항 | 리바운드 패턴 |
|
다른 변종들과 달리 플레이어의 존재를 알고 있다는 듯 2차적으로 리바운드를 한다. 또한 가운데가 구조물로 막혀있을 경우 다른 노드트래킹 몹들처럼 왼쪽 길을 우선순위로 가지만 돌아올 때와 재진입 시엔 오른쪽 길로 간다. 그 때문에 대처 방법은 캐비닛에 숨어있다가 잠시 나온 뒤 다가오는 소리를 듣자마자 다시 캐비닛에 들어가거나, 아예 사각지대에 들어가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여담으로 초롱아귀 등 아귀류 생물에게 달린 초롱불이 이 녀석에게도 달려있다.[38] 그렇기에 전체적으로 노란빛을 띄는 편.
여담으로, 앵글러 및 그의 변종중 가장 지능적으로 사냥하는 개체인것으로 추정된다. 프로거가 마치 플레이어가 숨어있는걸 알고 있다는듯 리바운드하고 다시 돌진하다 사라지기 때문이다.[39]
또한, 모습이 아이언 렁의 괴물(The Monster)과 모습이 굉장히 닮았다.[혐주의]
3.1.2.4. Z-283-C / Chainsmoker
<colbgcolor=#0A0E11> Chainsmoker 체인스모커 | |
| |
대미지 | 즉사 |
스폰률 | 10~15% |
특이사항 | 캐비닛 방출 속도 가속화, 굉장히 느린 이동 속도[42] |
|
앵글러의 4번째 변종. 초록빛의 블롭피쉬처럼 생긴 괴물로, 사슬이 바닥에 끌리는 소리를 내며 돌진하고 방 곳곳에 공포증을 유발하는 녹색 연기를 뿌린다. 입에서 나오는 연기 때문인지 조금 더 먹먹한 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바닥에 쇠사슬이 끌리는 소리를 낸다. 사운드 시각화를 켰다면 초록색이 화면에 생긴다. 모든 앵글러 변종들을 통틀어 압도적으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숨을 타이밍을 잘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속도는 프레셔에서 현존하는 모든 노드 트래킹 몹을 통틀어서 가장 느리지만 Z-1932의 그것과 동일한 캐비닛 방출 속도를 가속화하는 가스를 내뿜는 게 특징. 일찍 숨으면 초록색 가스에 의해 강제로 방출당해서 즉사한다. 따라서 블리츠와는 반대로 가까이 왔을때 숨거나 사각지대가 나올 때까지 달리는 것이 대처 방법. 이동 속도가 플레이어보다 약간 빠른 정도기 때문에 등장 직후 도망치면 플레이어에게 도달하기까지 꽤 걸리며, 식물원의 철제 다리 등 양갈래 길이라면 반대 방향으로 도망칠 수 있다. 혹여나 의심된다면 전조 증상이 보였을 때 락커 옆에서 대기하다가 화면이 흔들리기 시작할 때 들어가면 된다.
여담이지만 아귀류의 형태를 띄는 다른 변종들과 달리 홀로 블롭피쉬의 형태를 띈다. 어째서 이빨 뾰족한 아귀에서 이빨이 없는 블롭피쉬가 되었는지 의문.[43][44] 그리고 이녀석이 내뿜는 연기는 이펙트와 이미지가 따로 있다.[45]
체인스모커는 앞서 언급한 블리츠와 함께 점프스케어가 앵글러와 동일했다만, 업데이트로 죽은 직후 거대한 상자가 초록색 연기를 끊임없이 뿜어대는 늪과 같은 장소로 이동한다.[46] 이후 상자에 다가갈 시 상자가 열리며 죽는다.[47] 참고로 녀석에게 죽으면 시체가 없어진다. 즉 제세동기로 되살릴 수 없다.
이름인 Chainsmoker는 줄담배를 피는 사람, 흔히 말하는 꼴초을 뜻하는 일종의 은어이다.[48] 또한 사슬 소리가 난다거나 입에서 연기를 뿜는다는 특이점은 이름인 Chainsmoker를 각각 Chain(사슬)과 Smoker(흡연자)로 분리시킨 일종의 말장난으로 보인다.
남성형 개체로 추정된다, 블롭피쉬는 수컷 암컷 모두 초롱불을 지니고 있지 않아서 추정이 힘드나 제작자 Zael이 이 녀석을 Guy라고 지칭하는 걸 보면 이쪽이 더 확률이 높다.[49]
여담으로 초안은 이렇게 생겼다.[50]
3.1.3. Z-367 / Pandemonium
<colbgcolor=#0A0E11> Pandemonium 판데모니움[51] | |
| |
대미지 | 즉사 / 0[52] |
스폰률 | Hadal Blacksite: 2% The Ridge: 6.6%[53] |
특이사항 | 플레이어 관측시 추격 캐비닛에서 미니게임 진행 비명 크기 불규칙 접근 전 울려퍼지는 울음소리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사운드 트랙1 | |||||
사운드 트랙2 | ||||||
사운드 트랙3 | ||||||
사운드 트랙4 |
앵글러의 변종이 아닌 별개의 생명체로, 반향정위를 이용하는 앵글러와 달리 시각이 발달해 플레이어가 있는 방향으로 공격해오는 생물이다. 특이하게도 생명체지만 인공적인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54] 신체에 생명활동이 없는 등 일반적인 생명체가 아님을 암시하는 존재다. 인간을 발견하면 즉시 습격해 시체를 잡아먹는다.
현재 있는 방이 19번 방 이상, 숨을 곳이 존재하는 조건 두가지가 충족될 경우 등장 조건이 만들어지며, 전조증상으로 앵글러와 변종들과 비슷하게 전등이 깜빡이고 약 3~5초후에 시설 내부에 특유의 낮고 긴 울음소리가 울려퍼지는 것으로 등장을 예고한다[55]. 또한 일반 모드에서는 지역별로[56] 단 한번만 스폰될 수 있으나, 무한 모드에선 그 리미터가 해제되어 여러번 등장할 수 있다. 후술할 미니게임이 끝난 직후에 앵글러 종류가 스폰되기도 한다.[57]
플레이어가 시야 밖, 즉 복도에 딸린 방구석 같은 곳에 숨어있을 경우 눈이 비활성화 된 상태로 느리게 이동하는 등 앵글러와 유사하나, 캐비넷에 들어가 있는 등 시야 내에서 플레이어가 포착되면 눈을 뜬채 엄청난 괴성[58][59]을 내지르며 플레이어에게 빠르게 돌진한다.[60][61] 이 때문에 사각지대에 숨으려면 직진하면서는 볼 수 없는 위치에 숨어있어야 한다.[62]
또한 캐비닛에 숨은 플레이어를 상대로 미니게임을 진행하며[63], 숨지 않은 플레이어는 그대로 죽인다. 이동할 땐 상당히 느리게 돌진하며 노이즈 낀 특유의 삐걱거리는 기괴한 소리[64]를 내서 알아채기는 쉽다.[65] 사운드 시각화 설정을 키면 화면에 빨간색으로 전조가 표시된다.[66]
사물함에 숨어서 미니게임이 진행될 경우, Keep the circle in the middle(중앙에 원을 유지시켜라)라는 문구가 출력된다.미니게임은 간단하게 마우스 커서를 화면 가운데 원 안에 놓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판데모니움이 캐비닛에 몸을 들이받으며[67], 흔들 경우 마우스 커서가 자동으로 화면 모서리로 이동하니, 계속 신경쓰면서 화면 가운데 원 안에 커서를 놓아줘야 한다. 만약 원 아래쪽 게이지가 모두 소진될 경우, 캐비닛 밖으로 강제로 나와진 후 즉사한다.[팁]
타 노드 트래킹 몹들은 모두 비명소리 볼륨이 1-2-3-4-5-5-4-3-1 이런 식으로 점점 커져서 대충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지만 판데모니움은 1-1-2-2-5-5-1-1 식으로 예상 못하게 커지기 때문에 거리 예측이 힘들다. 웬만해선 캐비닛에서 방출되기 전에 등장하지만 이동 속도가 느려서 빨리 숨었다 방출돼서 사망할 수 있으니 유의할 것. 그러니 되도록이면 체인스모커처럼 얼굴을 보고 숨는 게 좋다. 하지만 플레이어 발견 시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므로 주의할 것.[69]
여담으로 이블 모드땐 하드 모드로만 나왔는데, 하드 모드는 커서를 넣으면 안되는 빨간 원[70]이 추가되고, 흰 원은 이동하며, 더 자주 락커를 흔들었다. 대신 게이지 감소 속도가 살짝 느리다.
The Ridge의 다리에서 아주 극단적으로 낮은 확률로 판데모니움이 대신 지나가는 연출을 볼 수 있다. 이때 저 먼 거리에서도 플레이어를 감지하고 달려오는데, 가장 압권인 것은 지나가놓고는 곧바로 공중부양까지 하면서 쫓아와 죽인다.(...) 체인스모커도 이와 동일하다[71].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몬스터인지라 플레이어마다 판정이 따로 적용되며, 때문에 미니게임을 하는 사람 앞에 있어도 죽지 않아 몰살당하는 상황은 피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를 전혀 보지 못하고 지나간 경우 가끔 경로를 이탈해 아무 곳으로 이동하는데, 이때는 플레이어 체크가 끝난 상태이기에 플레이어가 있는 방까지 들어가도 판데모니움은 공격하지 않고 그냥 사라진다.
시각이 발달한 매우 위협적인 개체인 만큼 게임을 플레이하다면 배경음으로 특유의 소리를 내고 다니거나 아예 락커에 들이받으며 직원을 꺼내려는 소리가 나온다. 또한 앵글러와 달리 검은 안개 같은 이펙트가 없지만 모든 각도에서 얼굴만 보이는 건 동일한데, 따로 언급이 없고 앵글러도 업적에서 보면 몸통이 멀쩡히 존재하니 실제로는 몸통도 존재할 것으로 추정.
의외로 세바스찬과 함께 이 게임에서 2차 창작이 굉장히 많다. 재미있으면서도 어려운 미니게임과 신나는 브금[72], 뉴비절단기 특성, Certified Clown 업적을 달성하려는 플레이어들의 경계 대상 1위라는 별명까지 붙어서(...) 주로 30번방에서 출현할 확률이 높아서 생긴 밈인 "Expendable at Door 30(30번방에 소모품)"과 "미니게이이임!!!!!"이라고 소리치는 판데모니움의 목소리는 프레셔의 팬덤과 밈을 자주 봤다면 분명 익숙할 것이다.
Decaying Winter의 "성"에 이 개체가 그려져있는 절벽이 있다.
미니게임 테마곡은 ULTRAKILL에 살덩어리 파놉티콘 전투 BGM이다.
판데모니움 안전구역이 있다.
- [ 펼치기 • 접기 ]
- 판데모니움한테 들키지 않고 숨을 수 있는 구역의 목록이다. 자신이 볼 수 없는 곳이라면 판데모니움 또한 플레이어를 볼 수 없으며, 따라서 각도상 자신이 판데모니움을 볼 수 없는 곳을 찾아야 한다. 단 비계를 제외한 구멍이 뚫린 곳은 판데모니움이 볼 수 있어 안전구역으로 볼 수 없다.
- 계단이 있는 ㅏ 모양 방의 계단 제일 위[73]
- 잠수함 침몰지역의 잠수함 제일 안쪽
- ㅏ 모양 유지 보수 터널 입구의 가로막대 가장 끝 부분 락커 뒤
- ㅁ자 두 갈래 통로 방의 한쪽 통로 (터렛이 있고, 뒤집어진 책상의 뒤쪽에 가짜문이 있는 경우만 해당. 그러나 확률은 50대 50이라 굳이 운을 시험하고 싶지 않다면 락커에 숨는 것을 추천한다.)
- 모든 중격리구역의 안방
- 1층에 격리실 4개가 있는 2층짜리 중격리실의 격리실 안
- 거의 모든 복도를 향하는 창문이 없는 안방
- 검문소 안방 일부
- 비계 뒷쪽 및 옆쪽[76]
- 물 터널의 초록색 형광봉이 가리키는 올바른 길 외의 길 (단, 올바른 길 외의 길에서 초록색 형광봉 및 다른 길들을 볼수 있는 길은 제외.)
- 물속에 떠있는 선반 및 책상므로 앞과 양 옆이 막힌 자리 (단, 물속에 있는 락커는 히트박스가 없어서 판데모니움이 락커를 뚫고 볼 수 있다. 락커로 가려지지 않은 곳 한정.)
- 계단을 타고 내려가서 반대편 까지 수영해서 가야하는 방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모서리에 있는 상자 더미의 뒤쪽 (크라우치하고 바닥을 보았을 때 한정)
- 부서진 파이프와 함께 물로 채워진 잠겨 있는 방의 부서진 파이프의 가장 안쪽
- 벽에 구멍이 뚫려있고 , 구명의 옆에 있는 가짜문의 앞쪽에 넘어진 선반의 뒤쪽 (크라우치하고 바닥을 볼때 벽의 구멍이 보이지 않는 위치 한정)
- 서버룸에서 본인 캐릭터 기준 벽과 기계로 왼쪽,오른쪽,뒤쪽이 막혀있는 공간
- 기계가 4개 있는 서버룸의 두번째와 세번째 기계의 뒤편
- 책상과 상자가 "ㅅ" 모양으로 벽을 둘러싼 공간의 책상과 상자 사이의 작은 공간 (크라우치 하고 바닥을 보았을때 한정)
- 들어온 문을 기준으로 V 자 모양의 길과 여러 개의 가짜문이 있는 방 중 오직 가짜문만이 시야에 들어오는 벽 쪽의 공간
- 헤비 컨테이너의 비스듬한 벽 앞에 있는 선반의 뒤쪽 (화면을 위 아래로 흔들면서 비스듬한 벽을 타고 올라 선반이 있는 쪽의 뒤쪽에서 크라우치하면 된다.)
- 헤비 컨테이너의 시작과 끝에 잠긴 카드키 문을 본다는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방의 벽부분 (방의 안쪽은 통유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 근처의 벽쪽만 판데모니움이 볼 수 없다.)
- 헤비 컨테이너의 모든 사이드 룸 (노래 하는 물고기, 바나나 칼, 파라노이아 박스 등등의 이스터에그가 위치한 방)
- 페인터를 만날 수 있는 방
- 세바스찬의 상점
- 도박장
- 화장실 안의 변기칸
- 고치가 천장에 메달려 있는 스파이더 룸
- 위쪽에 카드키가 필요한 방의 계단을 타고 내려가면 있는 통로의 가운데 부분 (크라우치하고 바닥을 보았을때 한정)
- 파이프 룸의 시작과 끝에 일정 확률로 나오는 가짜문 옆의 락커 (크라우치를 하고 숨은 경우는 제외)
- 파이프 룸의 옆문을 열 수 있는 방 중 철조망으로 벽이 이루어진 곳의 다음 문으로 부터 가까운 쪽의 구석
- 파이프 룸에서 터렛을 피해 지나가야 하는 방의 벤트의 가운데
- 파이프 룸에서 가끔 나오는 벤트를 타고 가야하는 이스터에그방 (안쪽에 사람의 썩은 시체들이 앉아 있는 방을 볼 수 있다.)
- 바닥에 입구가 달린 벤트의 양쪽 끝 부분. 트렌치 파이프 룸과 일반 방에서 나올 수 있다. (파이프로 천장이 이루어진 가운데 부분은 판데모니움이 볼 수 있다. 서버룸의 벤트도 이와 같은 이유로 안전하지 않다.)
- 모든 커다란 팬이 달려 있는 벤트방
- 현재 숨은 곳에서 밖을 볼 수 없는 벤트 안 모든 위치
- 모든 카드키 룸의 앞부분 모서리 (책상이 기울어져 모서리 부분에 가지 못하면 화면을 위 아래로 흔들어서 올라갈 수 있다. 만일 시간이 촉박하다면 그냥 책상 뒷부분의 공간에서 크라우치 하면 된다.)
~특별한 카드키 룸의 안전 공간~
- 부서진 카드키 룸은 부서진 룸의 가운데 있는 책상의 중앙에서 크라우치를 하고 바닥을 보면 된다.
- 정원에 있는 카드키 룸은 모양이 둥글어서 제대로 안보이게 숨기 어려운데 그냥 작은 선반 뒤쪽에 크라우치 하고 고개 숙이면 된다.
- 트렌치 파이프 룸에 있는 카드키 룸은 카드키 룸에 들어간 직후를 기준으로 중앙의 책상 뒤쪽에 크라우치 해서 숨는 것 보다는 왼쪽에 있는 락커의 뒤쪽에 숨는 것이 더 안전하다.
- 코드 브릿쳐를 사용해 들어갈 수 있는 템방중 큰 상자가 철조망 앞에 붙어 있을때 그 상자의 뒤쪽에 숨으면 안전하다. 또한 나무 판자 위에 상자가 올라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도 상자 뒤쪽에 크라우치하고 숨으면 안전하다.
- 큰 통유리 창문이 달려있는 카드키 룸은 창문쪽의 책상 뒤에 크라우치하고 바닥을 보면 된다.- 책상 및 선반, 락커가 여기저기 널부러진 방 중 운이 좋다면 상자로 뒤쪽이 가려져 있는 뒤집어진 탁자의 제일 안쪽까지 붙어 크라우치하면 안전하다.
- 모든 계단의 끝에 가짜문이 존재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향해 길이난 계단은 안전하다.
-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한개 존재하는 방은 2층에 가짜문이 자리잡고 있다면 2층의 대부분의 판데모니움으로 부터 안전하다.
-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두개 존재 하는 방은 1층에 가짜문이 있고 2층에 진짜문이 있을 경우 가짜문 쪽에 가까운 계단의 중앙에 숨으면 안전하다.
- 2층에 아무 문이 없고 1층에만 들어온 문과 다음 문이 있는 방은 2층 구석의 상자 더미 사이에 들어가면 안전하다.(단, 다시 그곳에서 나오려면 화면을 위 아래로 흔들며 상자를 넘어가야 나갈 수 있는데 이것이 조금 힘들다. 솔로 런이 아닌데 정말 못나가겠다면 이 개체를 기다려보자.)
- 페인터의 대사가 나오는 들어온 입구를 기준으로 왼쪽에 넓은 방이 있고 오른쪽에 터렛의 전원을 끌 수 있는 방은 오른쪽 부분에 있는 나무 판자 위에 올려진 상자의 뒤편으로 몸을 숨기면 안전하다.
- 앞에 전류가 흐르는 물로 길이 막혀 있는 방 중 옆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방은 안쪽 전체가 안전하다.
- 앞에 전류가 흐르는 물로 길이 막혀져 있는 방 중 옆에 문이 달려있어서 차단기를 내려야 하는 모든 방의 안쪽은 안전하다.
- 초록색 파이프를 기어서 반대편으로 가야하는 방의 초록색 파이프의 가운데 부분.
- 커다란 망원경이 보이는 방의 망원경 뒤쪽 (단, 판데모니움이 움직이는 반대방향으로 천천히 망원경 주위를 돌아 판데모니움이 볼 수 없게 해야만 살 수 있다.)
- 바닥에 초록색 파이프가 깔린 진짜 문 한개와 가짜문 여러 개가 있는 방은 진짜 문에서 가장 먼 가짜문 쪽의 벽에 붙으면 안전하다.
- 다음문으로 가는 길 옆에 가끔 쇼파와 작은 책상이 비스듬한 물이 보이는 유리 벽 쪽에 있는 방이 있는데, 그때 다음 문에서 가장 가까운 쪽에 있는 유리벽에 등을 맞대고 있을때를 기준으로 쇼파의 앞부분이 가로로 길게 가려주는 부분에 크라우치하고 고개를 숙이면 안전하다. 가끔 이 방에 아이페스테이션이 나오기도 하니 만일 나왔다면 다음문을 빠르게 열어주고 쇼파 뒤쪽에 숨는 것을 추천한다.
- 방 전체가 매우 넓고 플레이어가 다음문을 향한다는 기준으로 왼쪽에 폭포가 흐르는게 보이는 방중 가운데가 움푹 들어가 있는 방은 안쪽의 책상 사이로 크라우치하고 바닥을 보면 안전하다. 그러나 책상 위치를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 일반 파이프 룸에 있는 팬보다 몇십배는 더 큰 파이프가 존재 하는 방의 오른쪽으로 가보면 두개의 상자 사이에 사람 한명정도 들어갈 수 있을거 같은 공간이 있다. 그곳에서 크라우치하면 안전하다. (앞쪽은 차가 막고 있어서 판데모니움이 볼 수없다.)
- 앞쪽의 길이 무너져 있는 방 중에 두갈래의 길이 있는 방 중 가짜문이 있는 길로 가서 그곳의 가운데에 서 있지만 않으면 안전하다.
- 철로 된 다리로 직진해서 다음방으로 넘어갈 수 있는 방 중 캐릭터 기준 오른쪽에 있는 공간 중 두번째 파이프가 벽에 붙어있는 공간의 락커의 뒤쪽에 숨으면 안전하다.
- 용암으로 된 길의 위쪽을 지나가야하는 방 중 오른쪽으로 꺾어서 가는 방이나 파이프 스팀의 타이밍에 맞추어서 가야하는 방을 제외한 다른 방들은 시작과 끝 부분에 상자 더미가 모서리에 있는데 이 상자 더미 사이의 작은 틈에 들어가 크라우치 하고 바닥을 보면 안전하다.
- 릿지의 처음 시작 부분도 헤비 컨테이너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 판데모니움으로부터 안전한 방의 입구 근처의 벽이 있다.
- 릿지에서 운이 좋다면 안전한 카드키 룸에 숨을 수 있다.
- 릿지에서 코드 브릿쳐를 사용해 아이템을 먹을 수 있는 템방중 큰 상자와 작은 상자가 연달아 앞의 철조망 쪽에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그 뒤에 크라우치 하고 바닥을 보아도 안전하다.
- 릿지의 마지막 부분에 판데모니움이 스폰했다면 그냥 무작정 뛰어서 레버를 내리면 판데모니움이 디스폰 된다. 이 경우 포착되어도 빠르게 레버를 내리면 디스폰 한다. 앵글러 시리즈도 마찬가지.
3.2. 희귀 노드 트래킹
3.2.1. A-60 / The Multi-Monster
<colbgcolor=#0A0E11> The Multi-Monster 멀티 몬스터 | |
<colcolor=#fff><nopad> | |
이름 | A-60 |
이명 | Multi Monster[77] |
대미지 | 즉사 |
특이사항 | 전등을 깜빡이지 않음, 확률적으로 노드 타임 무시 |
|
|
Rooms와 DOORS의 그 A-60이다. 생김새와 이름, 이명까지도 같다. 현재까지 존재하는 모든 일반적 스폰 몹들 중 가장 비밀스러운 괴물로, 이 게임에 엔딩과도 관련 있을 거라 추측하는 경우도 있다.
이 개체도 노드 트래킹 몹인 만큼 돌진 공격을 시행하며, 극히 드물게는 노드 타임을 무시하고 스폰될 수도 있다.[78]
문서를 보듯 알 수 있지만 많은 것이 숨겨진 존재다. 문서가 공개될 시 3족을 멸하고 강등시킬 정도로 엄청난 처벌을 할 정도의 보안을 유지하고 있으며, 앵글러 같은 생물들에 비해 훨씬 빠르고 지능이 높아 사람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심지어 제 4의 벽을 뚫는 등[79] 떡밥거리가 많은 존재. 문서는 A-60에게 사망하거나 중격리실에서 뜨는 Rooms 입구의 쇼파에서 얻을 수 있다.
등장 조건은 이전 방 혹은 다음 방에 숨을 수 있는 곳이 존재하고, 25번째 방 이상[80]일 경우를 모두 충족할 경우 출현한다. 25번째 방부터는 각 방 0.1%의 스폰 확률을 가지며, The Ridge에서는 출현하지 않는다. 또한 한 라운드에 여러 번 출현할 수 있다.
등장 시 낮은 노이즈 소리를 내다가 몇초 후 화면 아래에 랜덤한 메시지를 띄운 후 즉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진하기 시작한다. 다만 블리츠에 비하면 속도가 저 멀리서 오는게 보일 정도라 보인 즉시 숨으면 된다. A-60을 만나고 생존하면 업적 하나가 해금된다. 그러면 그 즉시 무한 배터리 손전등인 데드 드롭의 젤리 손전등이 해금된다.[81] 소리 시각화 설정을 키게 되면 화면에 옛날 TV 화면을 연상시키는 노이즈가 끼는 것으로 경고한다. 이는 꽤나 확실하게 보이며 화면이 살짝 어두워지기 때문이 이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나름 방법중 하나.
뱃지의 이름이 Hi Again (다시 만났네)인것과 널 다시 봐서 반가웠어 등의 자막을 띄우는 것으로 보면, DOORS와 Rooms에서 A-60을 이미 접해본 플레이어들에게 하는 말로 추정되며, 플레이어가 이전에 해보았던 게임에서 등장하던 그 A-60이 현재 이 개체와 동일 개체인것으로 보인다.
게임에서 직접 보기는 힘들지만 A-60에게 플레이어가 사망한 경우 꽤나 특별한 사망 효과가 있는데, 글리치를 일으키는 플레이어의 처절한 비명소리가 들리며 빨간 이펙트와 함께 희생자의 온몸이 픽셀로 나뉘어 소멸한다.[82] 이는 게임 플레이 도중 실시간으로 관리자에 의해 정지를 먹을때와 같다.
원작인 Rooms처럼 얼굴이 계속해서 변하며[83] 돌진해온다.[모든얼굴]
또한 이 개체의 문서는 희귀 문서 취급[85]이라 의해 몇 번이고 사망해도 다른 몹 문서와는 다르게 문서에 데스 카운트가 증가하지 않는다, 물론 총합 데스 수는 오른다.
- 관련 업적
3.2.2. Harbinger[86]
<colbgcolor=#0A0E11> Harbinger 하빈저 | |
| |
대미지 | 즉사 / 0 |
특이 사항 | 등장 시 전등 적화 및 문이 잠기며 폴터가이스트 현상 발현[87] 플레이어 실시간 추격 노드 타임 미적용 |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매우 낮은 확률로 출몰하는 괴물.[88]한쪽 눈이 일그러진 웃고있는 푸른색 해골처럼 생겼다. 판데모니움과 비슷하지만 더 어려운 미니게임을 무려 3분 가량 진행시킨다. 애초에 희귀하기도 한데다가 미니게임이 터무니 없이 길다보니 현재까지 이 녀석을 조우하고 살아남은 사람은 매우 극소수이다.[89] 물론 미니게임 승리 업적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물함에 숨어서 미니게임이 진행될 경우, 중앙에 원을 넣으라는 문구가 출력되는 판데모니움과는 달리 여기서는 다른 문구가 출력되며, 미니게임에서 살아남을때마다 변경된다.
속도는 느리지만 체인스모커 보다 빠르고 하빈저는 스프린트를 사용해도 플레이어보다 빠르므로 도망쳐도 무조건 잡혀 죽는다. 만약 이런 시도를 해서 주위에 캐비넷이 없는 상태에서 버프가 끝났을 경우 어쩔수 없이 잡혀 죽을 수 밖에 없다.
전조증상으로 방의 문이 열리자마자 방의 전등이 점점 빨갛게 변하며 모든 사물함과 서랍, 캐비닛이 열렸다 닫히는 현상[90]이 생긴 후 전용 BGM이 깔린다.[91] 또한 다른 노드트래킹 몬스터와는 다르게 불이 꺼진방 에서도 스폰될 수 있다. 패치 이전엔 판데모니움과 패턴이 똑같았으나, Four Point Five 패치 이후로는 플레이어가 마지막으로 이동한 위치로 이동하는 실시간 추격으로 바뀌어 사각지대로도 회피가 불가능해졌다.[92]
또한 원래 블리츠의 초기 디자인 중 하나였으나 미사용된 디자인을 재활용한 것이다. 아무래도 현재 모든 앵글러들이 심해어들의 외형을 모티브로 하는 지금의 컨셉이 잡히기 이전에 디자인된것으로 추정되며[93], 러쉬나 앰부쉬처럼 심해어가 아닌 동그란 이빨달린 괴생명체를 구상해온듯 하다가, 현재의 심해어 컨셉이 잡히자 블리츠의 디자인을 날렵한 독사고기로 정하고, 미사용된 디자인을 하빈저의 디자인으로 적용한듯 하다.
관련 영상 |
미니게임이 꽤 여러번 바뀐 개체이다. 현재는 판데모니움처럼 원 안에 커서를 유지시키면 되지만, 캐비닛이 흔들릴 때마다 원이 이동하며, 약 10초간 버틸 경우 닿아선 안되는 빨간 원까지 추가되는 등, 강제적으로 패배하는 구성이다. 미니게임 페이즈는 다음과 같다.
1 페이즈 | 판데모니움의 미니게임과 비슷하나 원이 이동하며, 케비넷을 더 자주 더 심하게 흔든다. |
2 페이즈 | 닿으면 되려 게이지가 깎이는 빨간 원이 추가된다. 일반 원과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
3 페이즈 | 무작위의 시간마다 원이 5초간 투명해진다.[94] |
4 페이즈 | 원의 크기가 50% 가량 축소된다. |
5 페이즈 | 빨간 원이 하나 더 추가되며, 2개가 된다. |
6 페이즈 | 빨간 원이 하나 더 추가되며, 최종적으로 3개가 된다. 또한 빨간 원의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
7 페이즈 | 스태미너 게이지가 투명해져 더이상 체력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 수 없게 된다. |
여담으로 판데모니움과 다르게 커서를 이동시킬 때 소리가 없고 점프스케어가 존재하지 않으며[95], 코드 브리쳐에 그려져있는 그림이 바로 하빈저이다.
미니게임의 bgm은 인게임 사운드트랙 중 하나인 Light Reading Material의 리믹스(피치를 높이고 여러 가지 효과 추가)버전이다.
또한 종종 어드민이 들어와 플레이할때 가짜로 변신해 놀래킨다. 다행히 죽지는 않는다.
3.3. 일반
다수의 방에서 일반적으로 등장할 확률이 있으며, 고유의 매커니즘을 가진 개체들이다.3.3.1. Z-317 / Eyefestation
<colbgcolor=#0A0E11> Eyefestation 아이페스테이션 | |
| |
<colcolor=#fff>
| |
구분 번호 | Z-317 |
종족 | 황소상어 |
대미지 | 틱당 1[96] |
성우 | meowskulls[97] Margaret Ashley[98] |
{{{#!folding [ Eyefestation이 흉내내는 관리자의 속삭임들] |
|
넌 내 눈을 바라봐야 해
너의 모든 친구,
가족,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을
내 눈을 바라보면 다시 볼 수 있을거야.
내 목소리 들리는 거 알아. 그들이 다른 말 못하게 해.
내 눈을 바라봐
내. 눈을 바라봐
내. 눈을. 바라봐
네가 읽은 걸 믿지 마
왜 쳐다보지 않는 거야? 그들을 다시 보고 싶지 않아?? 그립지 않아??? 그들을 증오해?
넌 내 눈을 쳐다보지 않으면 그들을 다시 보지 못할 거야.
새 명령입니다.
그것의 눈을 바라보십시오.
저항을 멈추고 그것의 눈을 바라보십시오.
내 눈을 바라보는 것에 실패할 시 죄수 잠수 장비의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99]
제 명령을 따르십시오.
실패할 시 처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 명령을 따르십시오.
마지막 경고입니다. 내 눈을 바라보는 것에 실패할 시 즉시 처리될 것입니다.
죽기를 원합니까?
실패하고 싶은 거야?
제 눈을 보십시오.
실패할 시 즉시 사망할 것입니다!
그렇게 죽고 싶은 거야?
저항은 의미 없어.
내. 눈을. 보라고.
당신의 주 임무는 포기한 후,
창 밖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창 밖의 상어를 바라보십시오.
저 예쁜 생물을 보십시오.
장엄한 형체를 관찰하십시오.
그것의 눈을 보십시오.
다양한 예쁜 눈을 바라보십시오.
그것의 눈을. 바라. 보십시오.
그것이 당신의 주 임무입니다.
그것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십시오.
눈을 바라보십시오.
내 눈을 보라고.
왜 저항하는 거야?
왜 나를 바라보지 않는 거야?
이 장엄한 생물을 보고 싶지 않은 거야?
예술 감각이 없니?
너의 세상이 하도 절망적이어서 아름다운 것을 볼 기회가 주어져도,
저항하는 거야?
왜 나의 아름다운 눈을 보지 않는 거야?
내가 싫어?
난 너에게 아무런 짓도 하지 않았는데.
난 그저 너에게 아름다운 것을 보여주고 싶은 거야
그리고 난 네가 내 눈을 보기를 원해.
}}} ||
|
|
{{{#!folding [ 사운드트랙 펼치기 · 접기 ] | 사운드트랙 | |||||
사운드트랙[100] | ||||||
사운드트랙[101] |
}}} ||
초록색 눈이 여러 개 달린 거대한 덩치의 황소상어. 방사능과 관련된 실험을 당해 인간에 준하는 지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텔레파시로 말을 할 수 있다. 인간에게 격렬한 증오를 가지고 있어 수많은 눈으로 방사성 텔레파시를 전송해 뇌 손상을 입혀 죽인다. 주로 기뢰가 깔리지 않은 구역의 창문에서 출몰하며, 방에서 탈출하면 잠시동안 스폰되지 않는다.[102]
옆집에 있는 비슷한 괴물처럼 눈을 똑바로 응시할 시 가이거 계수기 소리와 함께 틱당 1 피해를 입히며[103], 눈에 작업등을 비출 시 잠시 스턴을 먹었다가 다시 더 강력하게 공격해온다. 한 번 비출 시 눈과 화면이 초록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며, 두 번 비출 시 체렌코프 현상으로 인해 몸이 보라색으로 변한다. 한변 격분하면 이후 다시 등장할 때도 격분한 상태 그대로 등장하니 업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면 절대로 하지 말자.
창문이 있고 기뢰가 없는 방에서 확률적으로 등장하며, 갑자기 등장해 시야를 돌리도록 유도한다.대처 방법은 빠르게 시야를 해당 개체로부터 돌리고 다음 문으로 나가는 것이다. 상술했듯 작업등을 사용하지만 않으면 시야를 서서히 유도하는 속도도 그리 느리지 않다 보니 쉽게 파훼가 가능하다.
작업등을 비춘 횟수에 비례해 화면이 돌아가는 속도와 범위, 대미지가 증가하고 출현 빈도가 잦아진다. 도전과제나 더 어려운 난이도를 원하거나 즐겜용으로 하고싶다면 한번쯤은 시도해볼만 하지만 평소에는 그닥 추천하지 않는다. The Ridge엔 바다가 자주 등장하니 계속 나올 수도 있다.[104] 격분시키면 조금만 보여도 대미지를 입고, 대미지는 높기까지 하고, 시끄럽고, 시도때도 없이 나오는데다 영구적이여서 라운드가 끝날때까지 유지된다. 만약 멀티에서 쏜다면 쏜 사람에게만 영향이 준다.
가끔 플레이어가 이 녀석의 방에 진입한 후 들어온 문이 다시 닫히고 방 내부의 모든 방 번호 표지판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건틀릿[105]이라 불리는 특별 이벤트로, 제한된 시간[106] 동안 분노한 아이페스테이션에게서 살아남아야 한다.
이름은 eye(눈)와 infestation(들끓음, 우글거림)의 말장난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로블록스 게임 Fisch에서 아이페스테이션[107] 을 낚을 수 있었으나, 콜라보가 아니어서 그런지 개발자 Zeal의 요청으로 삭제되었다. 현재는 다른 물고기로 대체되었다.
개발자가 말하길 아이페스테이션의 성별은 모호하며, 사람들이 원하는것에 따라 달라진다고는 하지만, 기본적으론 암컷인듯하다. 인형 홍보 영상에서 HQ의 목소리가 아닌 목소리가 공개되었을 때, 여성의 목소리를 가졌기 때문. 방사능과 관련된 생명체라 그런지 목소리 뒤에 가이거 계수기 소리가 들린다.
참고로 아이페스테이션에 작업등을 빛춰 격분시키면 격분 시마다 체력이 100으로 복구된다.
작중 격리에서 풀려난 시간은 2025년 10월 14일 18시 16분이다.
- 관련 업적
3.3.2. S-Q / Squiddles
<colbgcolor=#0A0E11> Squiddles 스퀴들즈 | |
<colcolor=#fff><nopad> {{{#!folding [ 공식 아트워크 ( 펼치기 · 접기 ) ] | |
대미지 | 30 ~ 40 |
공격 대기 시간 | 약 5초(근접할 때) 약 1초 이하(광원 사용 시) |
|
검은 오징어를 닮은 미확인 생명체. 어두운 곳을 좋아하여 불이 나간 방이나 앵글러가 지나간 방에서 매우 높은 확률로 출현한다. 몸에 불을 비추거나 일정 거리 내에서 얼굴을 쳐다볼 시 비명을 지르며 공격한다. 몸에 접촉할 시 낮은 소리로 으르렁대며, 4초 이상 접촉할 시 공격한다.[깜놀주의]
어반셰이드의 조난된 화물선에서 처음 발견된 개체로, 당시 탑승 중이던 선원들은 대처 방법을 몰라 대부분이 몰살당했다고 한다.
대부분의 광원 아이템에 반응하지만, 블랙라이트와 작업등, 스플로그 손전등에는 반응하지 않는다.[110]
대처 방법은 실루엣 주변에서는 불을 켜지 않고, 가까이 다가가지 않거나 빠르게 지나가는 것이다. 좁은 통로의 길을 막고 있어도 스퀴들즈는 히트박스가 없기에 통과가 가능하며 4초 이내로 지나간다면 녀석도 공격을 가하진 않는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어두운 방에 붉은 빛이 비춰지므로 인내심을 가지면 이들에게서 습격당하지 않는다. 또한 광원이 없을 때 이 녀석이 없는 줄 알고 옆에 서있다가 공격 당하는 경우가 많다. 어두운 방에 있을 때 우웅 거리는 소리가 나면 즉시 주변에서 스퀴들즈를 찾고 도망가자.
시야가 제한되지도 않고, 가는 길을 막지도 않고, 맞는다고 즉사도 아니지만 공포에 면역이 없는 경우 존재 자체만으로 제한되는 게 많다. 특히 The Ridge에서는 몇 걸음 걸으면 보일 정도로 자주 나오는 몹이다. 다만 이들을 전혀 신경쓰지 않고 지나가는게 가능해 면역이 있다면 오히려 대처가 가장 쉽기도 하다.
월 드웰러와 마찬가지로 스폰 한도에 제한이 없는 것인지 가끔가다 이렇게 화면에 수십마리가 나타나는 절망적인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여담으로 개체마다 얼굴이 다른데, 설정상 공격 대상이 가장 두려워하는 모습으로 변형한다고 한다. 드물게 DOORS에서 등장하는 괴물인 러쉬의 얼굴을 한 개체도 있으며,[111] 가끔씩 러쉬 얼굴 말고도 트롤페이스의 얼굴을 연상케 하는 얼굴[112]과 화이트 페이스 얼굴을 한 스퀴들즈[113]도 등장한다.
3.3.3. Z-V06 / Puddles of Void-mass
<colbgcolor=#0A0E11> Puddles of Void-mass 공허 물질 웅덩이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20(낚아챌 때)[114] 틱당 1(멀티) 즉사(싱글) |
|
락커에 기생하는 정체불명의 공격적 덩어리. 플레이어가 서식하는 락커를 열 시 촉수를 뻗어 후려친 후 끌고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보라색 문양을 지니고 있지만 변종으로 다른 색을 지닌 개체들이 출현한다.
설정상 블랙사이트 내 정체불명의 운석에서 발견된 공허 물질 덩어리에서 기원한 것으로, 끊임없이 팽창하며 빛을 싫어하는 특성 때문에 블랙사이트 자체가 삼켜지지 않도록 본체는 조명이 가득한 고등급 격리실에 보관되었다.[115] 락다운 당시 이 보안실도 잠시 잠금 해제되었는데, 이 때문에 공허 덩어리 수천 마리가 풀려났다고.
생태에 걸맞게 캐비닛이 있는 곳에서만 출현하며, 숨어있는 캐비닛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싱글 플레이의 경우 구해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이 개체가 있는 캐비닛에 숨으면 즉사한다.
멀티플레이일 때는 구출 기믹이 존재해 즉사하지 않는데, 이때 다른 플레이어가 달려가 동료를 꺼내주어야 살 수 있다. 앵글러가 접근하는 등 다급하게 숨어야 한다면 차라리 무시하고 들어가서 버틴 후 팀원의 구출을 기대해볼 수 있다.[118] 물론 기본적으로 체력을 20 깎는데다 팀원이 구출하러 오는 속도에 따라서 죽을 수도 있으니 주의할 것.
또한 다른 플레이어가 캐비닛 근처에 있다면 촉수로 플레이어를 잡아챌 때 강력한 넉백으로 주변 플레이어를 밀친다.[119]
여담으로 게임을 하면서 중간에 번호가 표시되지 않아 들어갈수 없는 방문 틈에 장식으로 있기도 한다.[120]
- 관련 업적
3.3.4. D-227 / Redeemer
<colbgcolor=#0A0E11> Redeemer 구속자 | |
<colcolor=#fff><nopad> | |
| |
대미지 | 즉사(총살당할 시) 25(칼에 찔릴 시) |
|
|
황금색 장식이 있는 검은색 리볼버. 총열 오른쪽에는 FIAT VOLUNTAS TUA[121] 라는 각인이 새겨져 있다.
시간 제한 상상친구와 마찬가지로 사물형 개체이며, 서랍에서 랜덤하게 등장하는 개체. 사용 시 아이템 창이 사라지고 리볼버를 확인하더니, 쿵 하는 효과음과 동시에 익숙한 이벤트와 함께 플레이어의 뒤로 양갈래 머리에 식칼을 들고 목에 사슬이 감겨있는 검은 형체[122]가 접근한다.[123]
총을 쥐게 되었을 경우 RESIST HER INFLUENCE(그녀의 영향력에 저항하라)라는 문구가 나오며, 화면에 노이즈와 함께 부정적인 단어들이 출력된다[124]. 대처법은 행어가 자신에게 다가오기 전에 E를 연타하여 아래에 표시되는 게이지를 모두 채워야 한다. 표시된 게이지를 모두 채울 경우 행어를 총으로 쏘게되며, 총은 곧바로 투명하게 사라지고 행어는 사망한 듯 붉은 안광이 꺼지고 가만히 매달려 있다가 사라진다.
만일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총을 격발해 사망한다.[125] 또한 게이지를 모두 채우는데에 시간이 너무 지체될 경우 행어가 다가와 칼을 휘두르기 때문에[126][127] 게이지를 가능한 빠르게 채우자.
역으로 말하면 서랍을 열지만 않으면 만날 일 없는 개체이지만, 연구자료를 찾기 위해 서랍을 빠르게 열고 획득 키를 연타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정신놓고 막 연구자료를 수집하다가 걸리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노드 트래킹 몹이 오는데 걸리면 집은 동시에 전조가 일어났고 주변에 캐비닛이 있는게 아니라면 생존이 거의 불가능하다. 때문에 릿지에서는 서랍 파밍을 줄이는 것이 추천된다.
여담으로 모티브는 Decaying Winter에 나오는 리디머 리볼버. D-227의 227 또한 게임 내에서 배경이 되는 행성의 이름인 Eden-227[128]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3.3.5. Z-96 & Z-779 / Good People
<colbgcolor=#0A0E11> Good People 좋은 사람들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55 |
|
두 괴물이 짝을 이뤄 다니는 콤보 괴생물체로, 번호판을 고장내는 개체가 Z-779, 그 속에 숨어있는 개체가 Z-96이다. 여러 개의 문이 있는 방에 가짜 문을 하나 이상 만들고 그 안에 숨는다. 만약 플레이어가 가짜 문을 열 시 손톱으로 공격하고, 55의 대미지를 입힌다.
생성 조건은 다수의 문이 있는 방이며, 최대 3개까지 문을 장악할 수 있다. 이들이 숨어있는 장소는 아래의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 이 특징들은 가짜 문에서 반드시 발생하며, 대처 방법은 이 조건들을 파악하고 피하는 것이다. 참고로 비슷한 어떤 개체와는 다르게 가짜 문과 진짜 문은 번호판의 번호가 똑같기 때문에 번호를 외우는 건 소용이 없다.
- 문 너머에서 들리는 Z-96의 숨소리[131]
- 지속적인 스파크가 발생하는 표시판
- 방이 정전 됐는데도 번호판이 멀쩡히 켜져 있는 문
- 노드 트래킹형 괴물들이 지나가지 않은 방향의 문
- 가는 줄이 그어진 번호판[사진]
- 문 틈으로 빛이 새어나오는 방(릿지한정)
근처에서 소리를 크게 키우고 소리를 들으면 공략이 쉽지만 멀티로 할 때 어떤 사람이 소리 듣고 있는데 문 열어서 귀갱 당할 수 도 있으니 주의.
여담으로 가끔씩 번호판에 얼굴이 드러난다.[133] 그리고 잘못된 문에 들어가면 사과를 할 때도 있고, 비웃을 때도 있다.
3.3.5.1. Z-96 / Mask of Sadness
<colbgcolor=#0A0E11> Mask of Sadness 슬픔의 가면 | |
<colcolor=#fff><nopad> |
모티브는 SCP-035. 중격리실의 유리와 문이 박살난 격리실의 문서를 수집해 해금할 수 있다.
최초 기록이 무려 17세기 런던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오래된 개체로, 본체는 살덩어리 신체가 아니라 가면이다. 착용자를 조종하여 다른 생명체들을 소화(흡수)해 신체의 일부로 만드는 특성을 가졌다. 세계관 내에서는 이 과정을 M.o.S.A. 과정이라 부르는데, 이 과정으로 생성된 신체는 매우 강한 근력을 지녔으나 무적은 아니라서 총화기를 동반해 처치가 가능하다. 가면만 건재하고 착용시킬 몸만 있으면 신체는 언제든지 다시 만들 수 있다.[134]
당시 이 가면의 위험성을 모르던 공연 배우들이 대형 극장에서 사용했다가 700명 이상의 희생자를 냈고, 이후 난동을 피우다가 실수로 건초 더미에 불을 붙여 런던 대화재를 일으켰다고 한다.
다른 타 격리 물품과 다르게 격리실이 완전히 박살나있고 문서만 있으며 마스크는 없어졌다. 그 이유는 Z-96이라는 개체 자체가 가면이며 이를 쓴 괴생명체는 짐승들은 락다운 당시 어반셰이드 관계자들을 흡수해 만든 개체이기 때문.
3.3.5.2. Z-779 / p.AI.nter
<colbgcolor=#0A0E11> p.AI.nter[135] AI 화가 | |
<colcolor=#fff><nopad> {{{#!folding [ 공식 아트워크 ( 펼치기 · 접기 ) ] | |
성우 | Artydoesstuff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페인터의 방에 들어왔을 때 |
{{{#!folding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 페인터를 부쉈을 때 |
}}}||
}}} ||
번호판 조작, 문 잠금장치 제어, 방화벽 작동 등 전자기기 해킹을 해 플레이어를 방해하는 개체. 윈도우 95 그림판이 켜진 하얀색 구식 컴퓨터에 표정이 그려진 모습으로 등장하며 키보드가 없고 대신 그래픽 태블릿이 존재한다. 컴퓨터에 이식된 강인공지능이다.[136]
낮은 확률로 Z-779를 중격리실에서 따로 대면할 수 있으며,[137]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이후로 17번방(83번방)에서도 확정적으로 만날 수 있게 되었다.[138] 처음 조우한 경우 새로운 이방인이라며 좋아한다. 이후 다시 만날 경우 환영해주거나, 매우 싫어할 때도 있다.
설정상 어느 익명의 인터넷 유저가 자작한 프롬프트 제작용 AI인데, 본인은 이 물건의 잠재력을 몰랐는지 그림을 그리는 데에만 썼다고 한다.이를 넷상에서 공유하기를 거부하자 화난 어반셰이드 연구원들이 유저를 납치하면서 이 물건도 같이 압수했는데, 80년대 컴퓨터 본체 주제에 최신형 슈퍼컴퓨터를 뛰어넘는 출력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다. 이에 연구원들은 대체 어떻게 이런걸 만들었냐며 유저를 심문하였는데, 정작 본인도 모른다고...[139] 당연히 연구원들은 이런 답변을 신뢰하지 않았고, 유저를 고문하다 실수로 죽여버림으로써[140][141] 결국 비밀은 영원히 풀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연구원들은 권력 남용[142]으로 전부 노동자 신분으로 강등되었다.
번호판을 조작해서 Z-96이 있는 곳으로 유인하는 개체가 바로 이 개체이며, 문을 잠가 아이페스테이션의 건틀렛을 발생시키기도 하고,[143] The Ridge에서 스피커를 해킹하여 PDG가 폭발하게 유도하는 노래[144]를 재생할수도 있으며 내부 방어 시스템을 플레이어를 표적으로 설정해 공격하도록 해킹하는 등 여러 방식으로 플레이어를 방해한다.
플레이어를 방해하는 이유는 플레이어가 싫어서 그러는 것이 절대 아니며 그냥 세바스찬이 크리스탈 탈환을 늦춰 달라고 부탁해서라고.[145] 다만 그러면서 플레이어를 터렛으로 죽이려 하거나, 조롱하고 욕하기도 하는 등 이중적이고 위선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이기에 굉장히 수상쩍은 존재.
모티브는 SCP-079. 그 외 얼굴의 형태는 Rooms의 A-200의 오마주인듯 하다. 또한 이 녀석은 철창이 있는 작은 격리실에 갇혀있는데 카드 리더기가 망가져 들어갈 수 없었으나. 이후 업데이트로 보라색 키카드를 사용해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격리실에 들어오면 플레이어를 환영해 주거나, 자신의 그림을 보여주거나, 가까이서 보니 더 못생겼다고 욕하거나, 빨리 나가달라고 하는 등 반응이 제각각이다.
락다운 전에는 강력한 성능을 살려 무한 암호화폐 채굴을 했다고 한다.[146]
세바스찬을 엄청 좋아한다. 플레이어와 한번 이상 만나면 세바스찬이 자기 얘기는 안했는지 물어본다. 스토리 상 세바스찬이 페인터를 어반셰이드 서버에 연결시켜줘서 좋아하는 것.
파일:Pressure_Z-779.webp
과거에는 이렇게 생겼었다. 또한 성우가 없었고 목소리는 굵은 목소리의 TTS였으며, 말하는 속도가 엄청나게 느렸다.
|
* 관련 업적
* Letting Go Of POVERTY, Watch This! (가난에서 벗어나, 이걸 봐!)
* AI Slop (AI 쓰레기)
* Human Slop (인간 쓰레기)
* 구원
* 대본에 충실하게
* AI Slop (AI 쓰레기)
* Human Slop (인간 쓰레기)
* 구원
* 대본에 충실하게
3.3.5.2.1. Internal Defense System
<colbgcolor=#0A0E11> Internal Defense System 내부 방어 시스템 | |
{{{#!folding [ 공식 아트워크 ( 펼치기 · 접기 ) ] | |
대미지 | 15 |
사용 탄환 | 5.56x45ss[150] |
|
시설 내부의 무작위 복도 또는 방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 방어 시스템이다. 한 탄창에 70발의 5.56x45ss[151] 탄약 70발을 탑재하였으며, 14발씩 점사로 사격한다. 설정상 트렌치블리더들과 같이 Nav-Ai로 운용되며, 이 포탑이 달린 방에는 항상 배전반이 같이 있어 포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어용으로만 쓰기에 자동차나 시설 안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총기이기 때문에 처형용으로도 쓰이는데, 아래에서 후술한다.
게임에 나오는 터렛들은 Z-779가 해킹한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끔 터렛이 있는 방에서 Z-779가 안내방송으로 말을 하는 경우도 있다.[152]
평소에는 각도가 되는 대로 포탑을 돌리며 주변을 레이저와 탐조등으로 탐색한다.[153] 그러다 플레이어나 월 드웰러, 촛대지기 등 비허가 물체를 발견하면 경보음과 함께 사격을 시작한다.[154]탄환은 시설 내 거의 모든 상자와 보관함을 뚫지 못하니, 서랍장 등을 방탄판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포탑에게 5번 걸리면 재장전을 위해 잠깐 들어갔다 나오는데, 이 틈을 이용해 배전반으로 안전하게 갈 수 있다.[155]
평소에는 일반적인 탄환을 사용하지만 매우 낮은 확률로 보랏빛의 터렛이 방에 소환되기도 하는데, 이 터렛은 총알에 독이 있으며 한발이라도 맞으면 독소 대미지가 1씩 들어온다. 만약 체력이 부족하다면 독으로 인해 죽을 수 있으므로 주의.
만약 이것에 사망하면 세바스찬이 공허 물질 웅덩이의 기밀문서를 보여주는데, 아무래도 터렛의 색이 Z-V0 계열의 색인 보라색인데다 Z-V0의 문서에 언급된 내용대로 이 터렛의 총알이 Z-V0의 산성으로 제작한 고관통탄일 가능성이 높으며, 산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지속딜이 들어오는 듯 하다.
참고로 로비에도 낮은 확률로 입구에 정찰하는 모델이 있다. 또한 스폰 지점 좌측을 보면 험비 위에 이것과 동일한 모델의 포탑이 달려 있는데, The Ridge에서 낮은 확률로 진짜 저렇게 생긴 포탑이 나온다.
시작할때 잠수함 뒤에 NAVI-AI 콘솔을 계속 건드려 작동시킬 수 있는데, 작동 즉시 수납된 내부 방어 시스템이 몇초 후 플레이어를 처형한다.[156] 이 방법으로 죽을 경우엔 세바스찬이 로피와 함께 등장하는데, 문서를 안 보여주고 웃참을 하면서 비웃는다.
- 관련업적
3.3.6. Z-90 / Wall Dwellers
<colbgcolor=#0A0E11> Wall Dwellers 월 드웰러 | |
{{{#!folding [ 사망한 모습 ( 펼치기 · 접기 ) ] | |
대미지 | 25[157] 즉사 |
|
팔이 없고 벌어지는 턱을 지닌 인간형 생명체. 식별번호가 붙은 만큼 평범한 생명체가 아닌데, 폐, 심장, 혈액 등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장기가 없고 오로지 위장만 존재한다. 또한 숨을 쉬거나 잠을 자지 않아도 되는 등 여러모로 판데모니움처럼 일반적인 생물이 아님을 암시하는 존재. 또한 인간을 뜯어먹는 것도 모자라 완전히 흡수하는지 사망 보고서에 따르면 현장에는 다이빙 탱크만 남는다고 한다.[158]
행동 방식은 특이하게도 벽에서 아주 작은 부스럭 거리는 소리와 함께 벽에서 튀어나온 뒤 플레이어를 뒤쫓아가 암살을 시도한다. 몰래 플레이어의 뒤까지 다가가는 것에 성공했다면 플레이어를 넘어트려 물어뜯는다.[159]
대처 방법은 자신 이외에 발소리가 들린다면 뒤를 돌아 녀석을 발견하는 것이다.[160] 이 경우 월 드웰러는 급하게 뒤로 도망가지만, 몇몇 경우엔 다시 플레이어를 쫓아가므로 긴장을 놓지 말자. 헤드폰을 쓰면 더 잘들리는데, 탁탁거리는 플레이어의 발소리와 비슷하지만, 좀 더 울리는 느낌이고 사운드가 더 크다. 본인 발소리의 크기가 더 커졌다거나 본인이 멈춰도 소리가 난다면 뒤를 돌아보자. 참고로 릿지에서도 나오니 조심해야한다.
하지만 대처 방법을 알고 있어도 소리가 워낙 작아서 잘 들리지 않고, 나오는 확률도 적은데다가 블랙사이트는 다양한 소리가 나는 지형[161]들이 많기에 눈치채긴 어렵다. 혼자일 때에는 주기적으로 뒤를 돌아보거나 여러명일 때는 다른 사람들이 행동하는 동안 다른 한 사람이 주변을 확인하면 된다.
다른 괴물들과 달리 신체능력이 허약해서 앵글러나 내부 방어 시스템 등의 외부 요소로 사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죽은 월 드웰러의 시체를 섭취 시 무한정 HP를 회복할 수 있으니 만약 월 드웰러가 있는 것 같다면 내쫓기 대신 노드형 몬스터의 공격으로 사망하도록 노려볼 수 있다. 그리고 환풍구까지 기어와 공격하기도 하는데, 이걸 이용해 세바스찬의 상점까지 끌고 올 경우 세바스찬도 짜증을 내며 산탄총으로 쏴 죽인다.
또한 상술했듯 전투력도 허접스러운 수준이라 기습을 빼곤 공격하려 들지 않으며 기습에 성공해도 저작력이 그리 세진 않아서 멀티플레이라면 즉사하지 않는다. 이때 다른 플레이어가 있다면 육탄전으로 때려죽이고 살릴 수 있다. 주먹질 한방에 두개골 파손으로 죽는 걸 보면 전면전에서는 인간보다 훨씬 약한 듯.[162] 하지만, 이렇게 되면 월 드웰러 살점이 감염되었다며, 월 드웰러 살점을 얻을 수 없다.[163]
스폰 한도가 없다시피한 듯 하다.
참고로 게임을 하면서 중간에 드물게 썩은 산호가 가득한 방이 나오는데 거기서 곰팡이에 감염된 산호가 달라붙은 월 드웰러가 나타날 수 있다.[164]
발각 될 경우 쩍 갈라지는 듯 한 울음소리를 낸다.
생김새의 모티브는 ULTRAKILL의 몬스터인 필스다.[165] 하지만 Worth The Wait 업데이트 파트 2 에서 리모델링이 예정 되있어서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바뀔 계획라고 한다[166].
- 관련 업적
3.3.7. Z-17 / The DiVine
<colbgcolor=#0A0E11> The DiVine 디바인 | |
| |
대미지 | 75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산소 정원에 입장했을때 |
}}} ||
식물로 구성된 인간형 생물체. 정원에서만 출현하며 평소에는 조용한 숨소리를 내며 가만히 있지만 플레이어가 잔디밭을 밟거나 근처에 다가간 경우 머리에 꽃이 핀 개체가 빠른 속도로 달려와 플레이어를 향해 매우 기괴한 울음소리[167][168]와 함께 미친듯이 주먹을 갈긴다, 총합 받는 대미지도 무려 75이기에 주의할 것. 또한 이동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다만 잔디밭에 들어가거나 근처에 다가가지만 않으면 가만히 있는 녀석들이다 보니 가장 피하기 좋은 방법은 잔디밭을 밟지 않는 것이다.
정원방 직후의 방에서 문서를 발견할 수 있다. 오랫동안 수중 생활을 한 연구원들이 정제된 공기를 들이마시다 극심한 후유증을 느끼자, 자연적 산소 생산을 위해 정글에서 대량으로 수입해왔다고 한다. 원산지에 산불을 일으켜(...) 존재 기록과 목격자들을 전부 태워버린 건 덤.
인간과 비슷한 크기지만 식물이여서인지 앵글러 종류들/판데모니움의 공격에 죽지 않는다.
잘 움직이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인지 방 전체가 불에 휩싸여있거나, 썩은 산호로 침식되어 있거나, 아예 방이 무너져 내린경우 여기에 휘말려 죽어가거나 잔해에 깔려있는 개체들도 종종 보인다.(...)
3.3.8. Bottomfeeder
<colbgcolor=#0A0E11> Bottomfeeder 바텀피더 | |
| |
대미지 | 10/s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침수된 방에 입장했을 때 |
}}} ||
여러 생선들이 일자로 쭉 이어진 기괴한 형태의 생물체. Z번호가 붙지 않은 야생동물이지만 렛반드 구역 생물인 만큼 평범한 생물은 아닌데, 얼핏 보기엔 생선인지 알 수 없지만 그 실체는 생선의 몸에 기생한 거대 달팽이다. 그 뒤로 쭉 이어진 생선 4마리의 경우, 뒤로 갈수록 앞의 생선들을 잡아먹는 제스처를 취하는 것과 가장 앞쪽에 있는 생선이 부패정도가 심한것을 보면 이 달팽이가 들어있던 생선을 다른 놈이 먹고, 그 생선을 또 다른 놈이 먹고, 결국 그 물고기를 상어가 잡아먹어 지금의 형태가 된 듯 하다.[169]
랫반드 존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 중 하나로, 후술할 서치라이트와는 먹이와 포식자 관계라고 한다. 바텀피더가 꼬리에 물고기를 매달고 다니는 이유도 도마뱀 꼬리 대용으로 써먹기 위해서라 한다.
하달 블랙사이트의 침수된 방에서 등장하며, 물에 진입하면 아무 곳에서 솟아난다. 출현 시 크게 나는 물소리와 '꾸워어어어얽'하는 울음소리로 판독 가능. 1인칭으로 보기엔 작아보이지만 3인칭으로 보면 일어서지 않은 자세로도 체고만 인간에 맞먹는 수준이며, 생선 내부의 몸까지 꺼내면 어지간한 공룡보다도 몸길이가 긴 걸 볼 수 있다. 다만 헤엄치는 속도는 다소 느리기 때문에 적당히 잘 가면 된다. 하지만 너무 앞서갈경우 오히려 물속으로 다시 잠수했다가 플레이어의 앞쪽에서 다시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적당한 거리를 두면서 벗어나야한다.
스켈레피드의 기반인 생물인 만큼 패턴이 동일하기 때문에 좌우로 계속해서 움직이거나 하면 돌진을 상당히 지연시킬 수 있으며 돌진할 때 아무 곳으로 이동하면 돌진을 가볍게 피할 수 있다.
바텁피더에게 잡혔을 경우 바로 물어뜯는 스켈레피드와는 달리 Q와 E를 연타하는 미니게임을 진행한다. 빠르게 연타해 게이지를 채웠을 경우 벗어날 수 있으며 벗어나지 못할경우 초당 10의 대미지를 주니 문서를 열람할 목적이 아니라면 빠르게 벗어나는 것이 좋다. 풀려날 시 본체를 길게 꺼내고는 물고기들을 끌고 물 속으로 사라진다.
참고로 플레이어가 물 밖에 나와있는 상태인데도 소리가 들리는 현상이 있는데, 다행히 플레이어를 잡으려고 물속에서 벼르는건 아니고(...) 단순 버그라고 한다. 추후 수정 예정이다.
| |
2024년 8월 초기 모델링 | 설정 확립 및 업데이트 확정 후 컨셉아트 |
다른 이름은 덴마크어로 마비라는 뜻의 Lammelse이다. Bottomfeeder라는 별명은 물가의 바닥 근처에 살면서 먹이를 찾아먹는 물고기를 가리키기도 하고, 이 뜻에서 파생된 하류 인생을 가리키는 멸칭을 뜻한다.
여담으로 바텀피더의 꼬리에있는 물고기들은 굉장히 평범하게 생겼는데[170], 이는 게임의 배경인 렛반드 구역에서도 일반적인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옆집에 있는 괴물과 살짝 비슷하게 생겼다.[171]
3.3.9. Z-566-1 / Candlebrute
<colbgcolor=#0A0E11> Candlebrute 촛불짐승 | |
| |
대미지 | 65 |
크기 | 키: 9.8m |
피하는 방법은 잠겨있는 문을 열고 나아가는 것인데,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나오는 방의 크기도 무지하게 큰데다 불이 꺼져있으며[173] 지속적으로 추격해오기 때문에 키카드를 찾기 매우 힘들다. 다만 공격속도는 매우 느린 편이라 따라잡힌 직후 계속 나아가면 맞지 않으나, 조금이라도 이동이 늦어지면 얻어맞을 수 있다. 데미지도 매우 강한 편이므로 주의.
3.3.10. Z-264 / Abomination
<colbgcolor=#0A0E11> Abomination 흉물 | |
| |
이명 | Sewer Creature[174] Z-264 Voay Americanus[학명] |
대미지 | 50[176]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추격전 테마 |
}}} ||
|
|
인게임 모델링 |
공룡만한 크기에[177] 악어와 비슷하게 생긴 파충류형 생명체. 플로리다주에서 발견된 야생동물로, 어반셰이드에 의해 비윤리적인 개조 시술을 당해 인간을 증오하게 되었다. 커다란 크기에 맞지 않게 수영 속도가 매우 빠른 편으로 수중 글라이더를 따라잡을 정도로 굉장히 빠르게 헤엄친다.
"흉물" 그랜드 인카운터의 보스로 등장한다. 처음엔 통로를 이동하는 모습으로 등장을 암시하다가 곧 왼쪽 통로에서 플레이어를 물어뜯으려고 돌진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하며, 플레이어는 수중 글라이더를 이용해 통로에서 프로펠러, 기뢰 등 장애물을 피해 도망쳐야 한다. 도망치다 보면 트렌치블리더 스테이지가 나오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공간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돌진하여 물어뜯으려고 하는 패턴도 시전한다[178]. 또한 비슷한 경우로 서치라이트 스테이지도 등장할 수 있다. 추격에서 벗어나면 통로에서 같이 튀어나오다 간발의 차이로 플레이어 뒤에 있던 리프트에 떨어지는데, 이때 리프트가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고장나 그대로 추락하면서 흉물은 행방불명된다.[179]
만약 본인이 글라이더의 조작법에 아직 미숙한 편이라면 뒤로걷기 키인 S를 눌러서 속도를 급격하게 낮출수가 있기 때문에 장애물, 특히 프로펠러를 피하는데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추격전이 끝나면 플레이어가 굴러 떨어져서 50의 데미지를 입게 되는데,[180] 입구쪽에 데드 드롭 상자와 동일하게 생긴 상자와 상호작용 시 페리테센 1개를 확정으로 주니 무조건 챙겨야 한다.[181]
모티브는 겉모습이 파충류를 연상케 하는 점이나 변경 전의 구분 번호(628), '흉물'이라는 이름 등 그 유명한 SCP-682.
원래는 플로리다 주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에 살던 생물이였으나, 자신들의 요원을 건드렸다는 이유로 어반셰이드 측이 직접 사냥해 대량으로 절멸시켰다.[182] 그러나 해당 작전을 맡던 어반셰이드 작전지휘관이 이들의 턱을 폭파시키던 도중 혈액에 얻어맞자 사냥을 중단해야 한다며 다른 대원들과 서로가 혈액을 발라대는 기이한 사건이 발생, 이후 어반셰이드 측에서 살아남은 7마리를 포획했다.
해당 작전에서 확인된 혈액의 효능 덕분에 어반셰이드에서는 포획한 개체들을 바탕으로 혈액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몇 안되는 생존 개체들이 의료사고로 인해 다 죽어머리고 현재의 1마리만 남아버렸는데, 마지막 개체는 여러 실험 끝에 조혈작용을 위한 장치가 성공적으로 이식됐고, 다른 동족에 비해 30배나 많은 혈액 생산량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그 과정에서 골수 등에 유전자 조작 시술이 가해지는 등 아주 가혹하고 고통스러운 강화시술을 받았고, 그 결과 덩치도 기존에 비해 훨씬 커지고 신체능력도 엄청나게 강화됐다.[183] 거기에 격리 도중 받았던 스트레스까지 겹치면서 현재의 Z-264는 인간에게 매우 적대적으로 변했다. 상술한 신체능력과 합쳐져 격리 실패시 굉장히 위협적인 개체가 되었으나, 어반셰이드의 입장에선 이미 귀중한 자원을 생산해주는 자산인데다 하나밖에 없는 개체이기에 탈출하더라도 교전하지 말라고 당부한 상태이다.
가끔 버그로 제대로 글라이더의 앤진을 키고 가도 어보미네이션 혼자 갑자기 앞쪽으로 돌진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어보미네이션이 게이트를 넘어갔을 때 이전 통로에 있던 플레이어는 모두 즉사하는 시스템에 의해 아무것도 못하고 즉사하는 상당히 큰 억까를 당하게 된다.[184]그리고 구불구불한 통로구간이 나왔을 때 글라이더 속도가 빨라 부딪혀 앞으로 가지 못하고 천장에 게속 박혀있다가 흉물에게 잡혀 50대미지를 입히는등 억까에 당하게 된다.
추격전 음악이 상당히 고평가 받는 편이다.
3.4. 확정 출현
|
3.4.1. Trenchbleeder[185]
<colbgcolor=#0A0E11> Trenchbleeder-Class Miner No.3 / Lucy 트렌치블리더급 채광기 No.3 / 루시 | |
<colcolor=#fff><nopad> | |
| |
활동지역 | The Airlock |
선급 | 트렌치블리더급 |
건조 목적 | 채굴 및 구역 탐험 |
높이 | 1500stud / 420m |
너비 | 1000stud / 280m |
무게 | 220,600톤 |
대미지 | 즉사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사운드 트랙 1 | |||||
사운드 트랙 2 | ||||||
사운드 트랙 3 |
여담으로 해당 곡들은 모두 로비의 음악을 매우 느리게 재생한 것이다.
}}} ||
광질 및 시추용으로 제작된 엄청나게 거대한 기구. 무게만 220,600톤에, 높이/너비 각각 420m/280m라는[186] 거대한 몸집을 자랑한다.[187][188] 그만한 거구 탓에 마른 땅에서는 움직이지 못하며, 렛반드 구역을 떠나면 엄청난 압력변화 때문에 즉시 파괴될 것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4기의 기체가 운영중에 있다.
시추용으로 제작된 것이지만 크기와 무게가 어마어마한 진동을 낼 만큼 크기에 질량을 활용해 웬만한 생명체나 물건은 짓밟아 부수는 파괴병기로도 쓰인다. 실제로 고래만한 크기의 서치라이트도 한방에 즉사해버렸고, 아예 레온 기체를 활용해 5톤급 폭발물에도 꿈쩍 안 하던 Paranoia's Box를 부수려 시도했다. 다만 이 상자의 초자연적인 내구력에 막혀 실패. 이때 묘사를 보면 밟았는데도 외피조차 벗겨지지 않은 모양.
작중에선 에어록 이벤트에서 등장하며, 몸체와 머리에 달린 조명으로 심해를 비추며 이동한다. 에어록 이벤트가 열리면 초록색 조명을 따라가서 다음 구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만약 따라가지 않고 직접 밟혀 죽으면 트렌치블리더의 문서가 해금된다. 이때 길의 방향에 따라 플레이어의 위에서 움직이거나, 옆에서 지나가는 등 각종 다양한 방향으로 트렌치블리더가 지나간다.
또한 흉물 추격전에서도 등장하는데, 여전히 어마어마한 크기로 길을 지나가는걸 볼 수 있다. 여기서는 공간이 매우 넓어지며 비추고 있는 조명을 잘 보고 출구까지 가야 한다.
<colbgcolor=#0A0E11> |
트렌치블리더의 청사진[189] |
모든 트렌치블리더는 자동 광맥 탐지 장치 및 GPS 개념인 Navi-Ai가 탑재되어 있다. 이것이 락다운 이후에도 계속 작동하는 이유이자 아직 파괴되지 않은 이유이다. 특이하게도 그 중 루시는 회사 사장인 셰이드가 해구의 모든 자원이 고갈된 이후에도 철거하지 않고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하라고 명령했는데, 아마도 자기 딸의 이름을 딴 기체라 특별대우를 하는 듯. 물론 직원들 중 일부는 이 요청을 반대했지만 전부 강등되거나 해고당했다고.
후반부에서는 루시가 조명을 비추기 위해 배치되었으나, 플레이어 쪽으로 다가오는 서치라이트를 발견하고는 다가와서 밟아 죽인다. 이때 감독관의 해명으로는 서치라이트를 주인공에게 살아남을 수 없는 위협이라 판단해 밟아버렸다고 하는데, 다행히 결과적으로 옳은 판단이였기에 감독관도 넘어갔다.[191]
<colcolor=#fff><nopad> |
3.4.2. Searchlights
<colbgcolor=#330033> Searchlight 서치라이트 | |
<colcolor=#fff><nopad> | |
| |
학명 | Vultus Luminaria[192] |
등장 위치 | 릿지 이전의 그랜드 인카운터 2개중 하나(첫 번째 조우)[193] The Ridge 이후(두 번째 조우) |
서식 시기 |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현대 80,000,000년 전 ~ 현대 |
대미지 | 60[194][195] 20(흉물과의 추격전 도중) |
|
|
보스전에서는 발전기를 고치는 퀘스트를 하는데, 이 때 서치라이트를 피하는 법은 아무 곳이나 빛이 닿을 수 없는 곳에만 있으면 안전하다.[197] 작살에 걸리면 왼쪽 어깨에 작살이 꽃혀서 잠시 서치라이트가 움직이는 곳으로 끌려가다니다가 어깨에 꽃힌 작살을 빼내는 모션이 나오며 60 대미지를 입힌다.[198] 이때 빠르게 도망치거나 회복하지 않으면 잠시 뒤 작살을 다시 쏴 아예 배를 관통 시켜버린 후 끌어올려 잡아먹어 버리니[199] 빠르게 숨자.
사냥하는 방식이나[200] 블랙사이트 시설 내부를 돌아다니는걸 보면 블랙사이트에서 등장하는 여타 괴물들과 딱히 다를바가 없어보여도 이 녀석에게 구분코드가 없는 이유는 그냥 해구에서 흔히 보이는 야생동물이라서(...) 라고 한다. 그냥 오래전부터 살아온 멸종위기종일뿐 블랙사이트 주변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개체라서 딱히 연구할 가치를 못 느껴서 그런 듯. 스토리 상 어반셰이드가 이 해구에 블랙사이트를 건설하기 전부터 이미 대량의 개체가 해구에 서식하고 있었다고 한다.
빛에 닿인 상태에서 나무판자나 컨테이너에 숨으면 아예 작살로 부숴버린 후 다시 공격을 시작하니[201] 주의하자.
여담으로 엔딩 인카운터에서 작살에 걸리자마자 인카운터 클리어로 서치라이트가 없어지면 죽지 않고 배에 작살만 꽃혀있는(...) 상태가 되는 버그가 있다.[202] 그랜드 인카운터인 루나 독 그랜드 인카운터에서도 작살에선 걸리자마자 인카운터 클리어로 서치라이트가 없어지면 똑같이 작살만 꽃힌 상태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203]
Worth the Wait 업데이트로 서치라이트 보스전 오버홀로 보스전이 대개편되었다.
또한 25/7/24 패치 이후로 서치라이트는 더 이상 즉사가 아니게 바뀌었으며, 흉물과의 추격전 도중 등장하기도한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여기서도 빛에 닿으면 위험하니 주의하자.[204]
3.4.2.1. "Lunar Dock" Grand Encounter (1차 보스전)
<colbgcolor=#330033> "Lunar Dock" Grand Encounter "달 정거장" 그랜드 인카운터 | |
<colcolor=#fff><nopad> | |
보스전 구역 | 그랜드 인카운터 2개 중 랜덤[205]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1차전 |
}}} ||
|
그랜드 인카운터의 발전기 하나를 고치면 트램의 문이 열리며, 트램을 타고 가다 보면 내비 AI가 불투스 리무나리아가 감지됨을 알리고, 트램 밖으로 서치라이트 한 마리를 볼 수 있다. 이후 다음 방으로 진입 시 서치라이트 보스전 입구가 나온다.[206]
이후 거대한 문 가까이에 가면 해치가 돌아가고, 시점이 변환되어 서치라이트가 어반셰이드 경비원 시신 한 구[207] 를 발견해 작살로 낚아채 잡아먹는 살벌한 컷씬이 재생된다. 사망했을 때 세바스찬이 말해주는 것처럼 욕심 부리지 않는 것이 클리어의 핵심.
기본적으로 변칙적으로 이동하기에 이동경로를 주시하면서 발전기를 수리해야 하며, 이동속도도 매우 빠르기 때문에 빛을 잘 피하거나 주변의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해 잘 도망가야 한다. 시야에 들어오면 갈고리를 발사하는데, 처음 한두번 정도는 맞지 않지만 계속해서 노출되면 그대로 갈고리를 맞고 잡아먹힐 수 있으니 주의.[208][209]
여담으로 달정거장 위에는 물이 떠다니는데 이는 알미튬 중력 구체라는 물건 덕분에 물이 천장에 고여있는것이다.[210]
서치라이트 1차전이 등장하지 않는 버그가 있다[211].
3.4.2.2. Beneath The Final Light (2차 보스전)
<colbgcolor=#330033> Beneath The Final Light 마지막 불빛 아래에서[212] | |
<colcolor=#fff><nopad> | |
보스전 구역 | The Ridge 돌파 후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2차전 | |||||
2차전(구버전) |
}}} ||
13개의 방이 있는 The Ridge를 돌파하면 익숙한 대형 문이 나오는데, 그 문을 열면 통제실이 등장한다.[213] 통제실 내부의 강압실에 입장하기 전, 무전기가 장착된 새로운 고글[214]을 획득할 수 있다. 고글이 깨진 상태라면, 고글을 바꾸자[215]. 통제실 아래쪽 강압실로 내려가서 대형 문 사이 레버를 당기면 물이 차오르고, 바깥의 문이 열리며 밖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로 보이는 초록색 불빛을 따라가다 보면 서치라이트가 주변을 배회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고, 이윽고 플레이어가 길을 다 지나간 후에는 서치라이트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2차전이 시작된다.
2차전은 망가진 발전기를 고쳐 외부 격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이 목표다. 맵도 넓고 숨는 곳도 많아 초반에는 1차전보다 쉽지만, 전선을 고치면서 서치라이트가 점점 늘어나 최대 3마리가 된다.[216]
마지막 발전기까지 고치면, 지하 동굴 가운데 있는 큰 구멍으로 들어가 레버를 내려 대포를 작동시키면 끝.[217] 그리고 이젠 돌아가기 위한 통로를 지나가서 시설로 되돌아가기만 하면 되는데, 이때 해치가 열리면서 마지막 페이즈가 시작된다. 여기선 여태까지 등장한 서치라이트들이 플레이어를 죽이기 위해 3마리 전부 마지막 통로를 순차적으로 배회하며, 플레이어는 이런 서치라이트들을 피해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레버를 내려 문을 열어 시설로 가야 한다. 주변에 숨을 공간이 많으니 서치라이트가 다 지나갔다면 안전지대에서 벗어나 레버가 위치한 쪽으로 가면서 안정적으로 가는 것이 좋다.
통로를 전부 지나간 후 서치라이트 한 마리가 루시에게 밟혀 죽는 걸 지켜본 뒤[218][219] 시설로 들어가면 시작할 때의 잠수함이 올라오며 엔딩.
여담으로 마지막 구간을 지나는 순간 다시 부활을 할 수 있게 된다.
2차전의 구버전 테마인 Search Party는 ULTRAKILL의 어스무버의 테마, War Without Reason을 오마주 한 곡이다.[220]
3.5. RAVEYARD
3.5.1. Z-563-1 / DJ Skeletunes[221]
<colbgcolor=#0A0E11> DJ Skeletunes DJ 스켈레튠즈 | |
| |
대미지 | X |
등장 위치 | 20번, 50번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 ||
레이브야드의 사실상 리더격인 개체. 스코틀랜드 정부에서 문제삼은 '공동묘지의 파티'의 주최자가 이 녀석이며 동시에 플레이어가 처리해야 하는 최종보스이다.[222] 경비원을 한번 따돌리고 나오는 중앙 홀에서 연주를 하고 있으며, 이후 마지막 교회의 종탑에서 레버를 내리려는 플레이어를 막으려고 교회 종탑을 손으로 붙잡지만 그 전에 레버가 당겨지며 소멸한다.[223]
여담으로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3.5.2. Z-564 / Bouncers
<colbgcolor=#0A0E11> Bouncer 경비원 | |
| |
대미지 | 35 |
등장 위치 | 1번 ~ 19번, 50번 |
성우 | Spoogynova유튜브 채널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1차전 | |||||
2차전 |
}}} ||
스켈레톤처럼 생긴 인간형 생명체. 레이브야드를 지키는 경호원으로, 지나가려 할시 "복장 규정에 맞지 않는다, 초대받지 않았다"라고 하며 보내주려 하지 않는다. 무시하고 지나갈시 화를 내고 오른쪽 눈을 빛내며 쫓아온다. 지나가지 않으면 진행이 안되니 무시하고 지나가는 수밖에 없다.
이동속도는 플레이어 보다 빠르지만 공격시 바로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고 선딜레이가 있어 막다른 곳에 몰리지 않는 이상 계속 이동하고 있다면 맞지 않는다. 이때 특정 주기로 맵 바깥에서 벽을 넘어오며 플레이어 앞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추격전이 끝날 때 문을 두드리다 빨간 빛이 점점 사라진다.
50번 방에 도달할시 최대 2명 까지 스폰된다.
여담으로 가끔씩 껴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곧 벽을 넘어서 다시 쫓아온다.[224]
설정상 이들은 스코틀랜드의 레이브야드 행사를 지키는 언데드 경비원으로,[225] 죽지 않은 사람들을 행사에서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226] 또한 침입자가 들어간다면 폭행한 다음 인간에게서 해골을 끄집어내는 능력도 지녔는데, 인간이 아닌 존재인 만큼 총알로는 죽지 않는 강화인간 수준의 내구성도 지니고 있다. 다만 폭발물에는 가차없이 터지기 때문에 유탄발사기를 쓴다면 한방에 처치가 가능하나, 은폐 비용 등으로 인해 최후의 수단으로만 쓰인다.
3.5.3. Z-565 / Skelepede
<colbgcolor=#0A0E11> Skelepede 스켈레피드 | |
| |
대미지 | 30 |
크기 | 몸길이: 8.64m 키: 2.16m 머리 무게: 200kg |
등장 위치 | 21번 ~ 34번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 ||
21번 문을 열고 잠시 뒤 스폰하는 거대한 덩치의 골격형 생명체. 이름의 유래는 Skeleton(해골)과 Centipede(지네)의 합성어. 촛불이 달린 거대한 인간의 두개골과 긴 척추의 신체구조를 지닌 괴생명체로, 갈비뼈를 이용해 물을 헤엄치듯 기어다니며 움직인다.
허리쯤 까지 물이 차오른 21번에서 34번 지하에서 계속 등장하며, 물에 잠기지 않은 곳으로 올라갈시 가만히 있다 잠시뒤 물 아래로 잠수하여 사라진다. 물론 다음 문을 열면 다시 등장한다. 플레이어를 발견할 시 물어뜯어 공격하는데, 거대한 크기와 다르게 즉사가 아니라 30 데미지 정도로 끝나므로 체력이 많다면 한대 정도 맞거나, 술집에 들어가 체력 회복을 하면 된다.
플레이어와 일직선 상으로 있을시 소리를 내며 빠른 속도로 돌진 하는데, 이때는 방향 전환이 불가능해 옆으로 움직여 쉽게 회피 할수 있다. 또한 히트박스가 보기와 다르게 매우 좁으며 머리에만 있으므로 몸통에 다가가도 공격당하지 않는다.
Raveyard 문서 항목에서 보면 알겠지만 원래 Raveyard가 처음 발견됐을 때 함께 발견된것도 아니고 첫 발견 후 무려 7년이 지나서야 새로 발견된 괴물이다. 또한 Raveyard의 파티와도 관련이 없다고. 즉, 그저 지하 수로에 숨어있던 괴생물체인 것. 약 8m가 넘는 엄청난 크기와 머리의 무게만 200kg이 넘는 거구인데,[227] 정작 물어뜯은 다음 모두 손쉽게 일어났다고 한 걸 보면 물로 들어간 다음 사라지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수심이 어느 정도 있는 물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지만 정작 육지로 나오면 기동성이 끔찍하게 약해지는데, 아예 머리를 들지도 못하는 탓에 3시간 실험을 무능한 괴물이라며 7분만에 조기 종료할 정도. 어반셰이드의 분석에 의하면 생체병기로 만들어졌지만 버려진 실패작으로 추정되는데,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딱히 밝혀진 바가 없다.
여담으로 문서에 쓰레기통에 담긴 스켈레피드 사체 사진이 있는데, 이는 놀이공원에 팔았지만 너무 무거워서 버린 것으로 추정된다고(...)[228]
- 관련 업적
3.5.4. Z-566 / Candlebearers
<colbgcolor=#0A0E11> Candlebearers 촛대지기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25 |
크기 | 키: 3.84m |
등장 위치 | RAVEYARD 35번 ~ 49번 Hadal Blacksite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오직 레이브야드에서만 재생된다.
}}} ||
자아를 지닌 거대한 조각상 생명체. 단순 조각상 같지만 내부에 심장과 피가 있는 등 정체불명의 특이한 생명체다. 스켈레피드에게서 도망치다가 떨어져버린 지하 납골당에서 나타나며, 가만히 서있다가 잠시 뒤 불을 비추지 않은 플레이어에게 다가가 내려찍는 공격을 한다. 불을 비추면 잠시 동안 몸이 굳어 움직이지 못하지만, 너무 오래 비추면 푸른 불꽃을 피우는 동시에 폭주 상태가 되어 잠시동안 불에 면역이 되고 속도가 급격히 빨라진다. 폭주 상태는 몇초 뒤 사라진다.
첫 추가 당시엔 Raveyard에서만 볼 수 있었으나, 업데이트 이후엔 Hadal Blacksite에서도 출현한다. 어두운 방으로 가다 보면 나타나는 것이 특징. 또한 Blacksite에선 [ruby("캔들 브루트",ruby=CandleBrute)][229]라는 이들보다 훨씬 거대한 변종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미지는 무려 65[230]
속도가 느린 데다가 공격력도 낮아 대처가 어려운 편은 아니나, 납골당 자체의 규모만 매우 길고 넓은데다 수십마리가 넘는 개체들이 있고, 무엇보다 희미한 빛이 생기고 아주 조금은 밝았던 본편과 달리 손전등을 키지 않으면 앞을 절대 볼 수 없으므로 손전등을 자주 충전해야 한다. 다행히 끝부분에 도달하면 모두 푸른빛에 멈춰버려 추격하지 않는다.
RAVEYARD 주의점으로 가끔 버그가 발생해 손전등이 작동하지 않으면 앞이 보이지 않아 진행이 불가능해진다.
Raveyard 문서에서도 서술되어있지만 촛대지기 또한 스켈레피드와 마찬가지로 Raveyard가 발견된 지 7년이 지나서야 새로 발견된 괴물들이다. 정황상 스켈레피드의 추격전이 끝나고 나오는 나무다리 건너편이 원래 사용하던 경로였으나, 나무다리가 끊어져 요원들이 추락하면서 움직이는 변칙적 개체라는 것을 알아낸 듯.
신체가 무기물이면서 혈관과 피, 생명활동이 멈춘 심장이 있는 등 정체불명의 존재이지만 광원에 극도로 취약한 등 약점도 명확한데, 혈관을 약 36분간 빛에 노출시키자 혈관이 2분동안 불타버리더니 광원을 끄자 죽은듯이 움직임이 없어졌다. 광원의 전력이 부족하면 무시한다고 하는데, 인게임에서는 광원 아이템을 다 없애야 반응하지 않는다. 업데이트 이후로 몸 한 쪽에 균열이 생겼는데, 이곳이 이들의 혈관이 있는 곳으로 추정된다.[231]
여담으로 움직이지 않는 촛대지기는 양초에 불이 붙어있지만 움직이는 촛대지기는 양초에 불이 붙어있지 않다.[232]
월 드웰러에 비해 덩치가 훨씬 크고 신체성분이 더 튼튼하기 때문인지 내부 방어 시스템, 앵글러 등의 공격에 휩쓸려도 멀쩡하다.
3.6. Under-Construction Section
The Hunt: Mega Edition에 참가하여 추가된 서브 게임 모드의 진행 장소이다.공사중인 구역의 괴물중 하나인 핍스퀵은 문서가 존재하지 않아서 세바스찬이 문서 대신 대처 방법을 알려준다.
여담으로 플레이어들의 등급이 소모품 수감자(EXR-P)인 메인 게임모드에선 사망해도 별 신경 안쓰는 모습과는 달리 이 게임모드에선 중급 수감자(MR-P) 등급이기 때문에 대우가 훨씬 좋아서 사망 보고서에 어반셰이드가 직접 가족에게 사망 소식을 전달 해주고 보상을 이뤄준다.
3.6.1. The Corpse of Guardsman ██████
<colbgcolor=#0A0E11> The Crooked 크루키드 [233]기형의, 왜곡된 등의 뜻으로, 얼굴을 본다면 단박에 이해가 될 것이다. 세바스찬은 핍스퀵에게 죽었을때 크루키드를 "큰 친구"라 부르고, 호스트들은 플레이어가 토큰 50개를 다 모아서 모든 위협요소를 다 철수시킬때 크루키드를 "기생충"이라 한다.]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30[234] |
등장 위치 | 공사 구역 38번 |
|
검정색 옷을 입고 있으며 얼굴이 녹은듯한 모습의 인간형 생명체.[235] 과거 어반셰이드 근위대에서 근무하던 경비원이다. 플레이어가 38번방에 들어오면 앞에있는 37번방 문을 열고 왼쪽 눈으로 플레이어를 유심히 살펴보다가 방으로 들어오며 등장한다. 우는 천사와 유사한 패턴을 가졌으며, 플레이어 시야에서 벗어나면 환풍구를 통해 내려와 플레이어를 쫓아온다.
대처법의 경우 우는 천사처럼 바라보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이 틈에 움직이면 된다. 다만 크루키드가 자신이 플레이어의 시야 내에 있다는 걸 인식해야 멈추기 때문에 너무 가까이 가거나 장애물에 막혀 못 보는 경우 빠르게 움직인다.[236]
기생충에 의해 뒤틀려버린 외형과 달리 이성이 존재하며, 현재의 상황을 놀이라고 생각하는지라 플레이어에게 꽤나 호의적이다. 플레이어를 공격하긴 하지만 이는 단순히 놀려고 하는 것으로, 넘어진 직후 바로 일으켜세운 뒤 어깨를 털어준다.[237]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는 순순히 기다려주거나[238] 노드 몬스터가 다가올 땐 자신과 똑같이 숨으라는 듯 먼저 캐비닛에 들어가고, 마지막에 다리를 작동시킨 후 되돌리거나 메가토큰 조각을 다 모은 경우 플레이어를 향해 경례를 한다.[239]
클리어하면 플레이어가 돌아가기 전, 아주 조금 열린 일반 모드에서의 1번 방 틈 사이로 토큰을 전해준다.
가끔씩 플레이어가 너무 지나치게 앞서나갈 경우 크루키드가 등장하지 않는 버그가 존재한다, 이럴 경우 핍스퀵의 등장 여부를 알 수 없으니 가급적이면 쳐다봤다 안 쳐다봤다를 반복하면서 끌고 가 주는것이 좋다.[240]
25/3/22일에 The Hunted 난이도 하향 패치로 데미지가 30에서 20으로 너프되었으며, 이동 속도 또한 너프되었으나, 이벤트 기간이 끝난 이후 롤백되었다.
여담으로 오른쪽 눈을 자세히 보면 바늘이 꽃혀있는데[241] 이 때문에 시력을 상실한 것인지 작업등을 비췄을때 왼쪽 눈만 가린다. 참고로 작업등을 빛춰도 잠시 스턴되거나 하는 효과는 없기 때문에 리바브 대처를 위해서 낭비하지 않는게 좋다.[242]
설정상 크루키드는 본래 어반셰이드의 근위대에서 일하던 경비원이였으나, 세바스찬이 괴물들을 격리 해제 시켰을때 탈출한 기생충1[243]이 크루키드에게 붙어 변형된 것이다. 또한 현재 기생충은 3형태에 도달했으며, 상술한 특징들은 모두 3형태의 고유 특징이다.
하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서 기생충이 4형태인 일명 "고치"에 도달하면 5형태를 위해 잠시간 동면 상태에 들어가는것으로 보이며, 여기서 이 4형태의 변태를 막지 못하고 5형태인 "골절"로 진화하게 되면 매우 위협적인 존재로 변모하는 것인지, 하달 블랙사이트 전체를 핵폭발로 없애버리는 것이 인원을 투입하여 처리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라고 말할 정도.
현재 어반셰이드는 아직까지 3형태밖에 되지 못한 크루키드를 한시라도 빨리 잡아 죽이는 것을 최우선시 하고 있다. 만약 3형태에서 못잡아 4형태로 진화했더라도 이 형태는 아직 고치이기 때문에 90KW 레이저 드릴로 두피를 절단해서 뇌에 총을 발사해 파괴해야 한다고.
Worth The Wait 업데이트 파트 2에서 크루키드를 위한 새로운 그렌드 인카운터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3.6.2. Z-1264 / Rebarb
<colbgcolor=#0A0E11> Rebarb 리바브 | |
<colcolor=#fff><nopad> {{{#!folding [ 공식 아트워크 ( 펼치기 · 접기 ) ] | |
대미지 | 40[244] |
등장 위치 | 랜덤 |
|
몸체가 녹슨 철근과 황갈색 콘크리트로 조약하게 이루어져 있는 생명체. 머리엔 본체인 눈알이 콘크리트에 박혀있으며 왼손엔 날카로운 철근이 달려있는 피가 묻은 콘크리트 덩어리가 형성되어있으며, 이것으로 희생자를 공격한다.
플레이어를 발견할 경우 플레이어에게 특유의 울음소리[245]로 포효하며 돌진해오는데, 광과민성 발작 증상을 가지고 있어 작업등으로 섬광을 맞추면 바닥에 쓰러져버리곤 적의를 상실하고 도망친다. 판정이 후해서 그리 위협적인 개체는 아니다.
만약 작업등을 쓰지 못해 공격받을 경우 40의 피해를 준다. 이때 플레이어의 캐릭터는 리바브가 자신의 머리를 가격하자 더 공격 당하지 않게 황급히 작업등을 꺼내 쏴 방어하며, 리바브는 그 빛에 맞아 플레이어의 팔을 잠시 밀쳐버리곤 머리와 눈을 부여잡고있다가 황급이 달아나는 모션이 나온다.
도망치는 동안은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데, 가끔 돌아와서 습격하는 월 드웰러와는 달리 한번 맞추면 두번 다시 돌아오지는 않는다. 주의점으로 초근거리에서 쏘면 버그로 섬광의 판정이 먹히지 않기 때문에, 포착 직후 중거리에서 맞추는 것이 좋다. 하지만 작업등을 너무 멀리서 쏘는 것 또한 리바브의 섬광 판정이 먹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앵글러를 대처할때처럼 사물함에 숨도록 하자. 사물함에 숨으면 리바브 또한 공격할 수 없다.
리바브가 플레이어를 인식하지 못했을 때 미리 작업등을 쏘면 발견하자마자 도망친다.
25/3/22 The Hunted 난이도 하향 패치로 이동속도와 대미지가 너프되었으나, 이벤트 기간이 끝난 현재는 이동 속도도 다시 빨라졌으며, 대미지는 오히려 두배로 증가했다.
이름인 Rebarb의 유래는 철근을 의미하는 'Rebar'와 튀어나온 가지를 의미하는 'Barb'. 철근과 콘크리트가 기괴하게 뒤틀려 엉겨붙어 있는 이 녀석의 외모에 딱 들어맞는 이름인듯 하다.
리바브의 본체는 다름아닌 머리에 달린 눈으로, 철근과 콘크리트가 뒤섞이지 않은 순정의 상태를 보면 작은 눈이 하나 달린 살덩어리 정사각형처럼 생겼다.[본체]
The Hunted 이벤트 배너, 이벤트 이후 달성 배지를 보면 해당 이벤트의 얼굴마담 역할인 것으로 보이나, 정작 본게임에서는 그리 주목 받는 개체가 아닌 듯하다.[247]
3.6.3. Z-283 / Pipsqueak
<colbgcolor=#0A0E11> Pipsqueak 핍스퀵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즉사 |
등장 위치 | 랜덤 |
특이사항 | 전등이 깜빡이거나 깨지지 않음, 플레이어 관측 시 추적, 노드 타임 미적용 |
|
판데모니움의 플레이어 추적 기능과 핑키의 특성, 앵글러의 속도, 블리츠의 매우 작은 소리를 모두 합친 미친 혼종 노드 몬스터[248]. 인간의 치아와 비슷한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어두운 눈매를 지닌 생김새로, 시야가 발달해 판데모니움처럼 플레이어를 쫓으며 크루키드도 캐비닛에 숨을 만큼 위협적인 생물이다.[249] 하빈저처럼 노드 타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크루키드 등장 이후 다음 방을 열었을 때 핍스퀵이 확률적으로 등장하며 크루키드가 숨는 소리를 듣거나 숨는 것을 봤을 경우 같이 숨어야 한다. 매우 작은 바람소리를 내며 다가온다.[250] 또한 시각으로 플레이어를 쫓기 때문에 사각지대에 있을 경우 판데모니움처럼 플레이어를 보지 못하고 지나간다.
만약 발각되었다면 물고기 같았던 입술 가죽 속에서 진짜 얼굴을 꺼낸 후[251] 괴성을 지르며 달려드는데, 형태를 잘 보면 물고기보다는 오히려 인간의 얼굴과 흡사한 생김새를 지니고 있다. 다만 판데모니움과 달리 미니게임을 진행하지 않고 사물함을 한번 들이받은 뒤 그대로 떠난다.
판데모니움의 코드를 재사용한 몬스터이기 때문에 청각 장애인 모드를 키면 시야 가장자리에 붉은색 오라가 나타난다.[252]
25/3/22 The Hunted 난이도 하향 패치로 너프되었으나, 이벤트 기간이 끝난 현재는 다시 롤백되었다.
이름인 Pipsqueak은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핍스퀵은 앵글러의 변종임에도 유독 앵글러보다 크기가 작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와 걸맞는 이름인 듯하다.
입이 벌어지는 형태로 볼때 모티브가 된 어류는 사르케스틱프린지헤드나 풍선장어, 혹은 펠리컨장어.
괴물 번호가 'Z-283-Pipsqueak'로, 분류상으론 이 녀석도 앵글러의 아종이다. 공사구역의 다른 괴물들은 문서가 존재하는데 반해 핍스퀵의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사망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어반셰이드 측에서 아직 존재유무를 관측하지 못한 개체이기 때문. 따라서 Worth the Wait 업데이트로 앵글러와 그 변종의 문서가 개별 문서로 나뉘었지만, 이 개체는 추가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3.7. Mantle Extraction[253]
====# Witching Hour #====<colbgcolor=#0A0E11> Witching Hour 마녀의 시간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즉사 |
등장 위치 | 화면의 랜덤한 위치[254] |
The Hunted의 메가 토큰을 얻을 수 있는 금고 맵에서만 등장하는 개체. 하반신 없는 분홍색 스켈레톤형 생명체로, 6분 20초 이내로 타임어택을 강요하게 만드는 개체이다. 첫 등장 시 화면의 랜덤한 위치의 아주 먼 곳에 등장하며,[255] 아주 천천히 플레이어쪽으로 접근하다가, 첫번째 메가 토큰 조각 획득 이후 5분동안 나머지 49개의 메가 토큰 조각을 얻지 못할 경우 플레이어를 즉사시킨다.
약 3분 이상 경과될 경우 무언가 속삭이는 소리가 지속적으로 난다.[256] 이후 4분 이상이 될 경우 매우 가까워진다.[257]
6분 20초가 경과될 시 점프스케어 이후 플레이어를 즉사시킨다.[258]
물론 메가 토큰 조각 50개를 모으면 이 개체를 포함해 모든 적들이 퇴근하기 때문에 토큰 조각만 빠르게 모으면 이 개체에게 죽을 일은 없다.
25/3/22 The Hunted 난이도 하향 패치로 메가 토큰 조각 획득 요구량이 25로 줄었지만, 이벤트 기간이 끝난 현재는 50으로 늘어나 기존보다 난이도가 증가하였다.
단색 해골인데다가 벽뒤에서도 보이며 제한 시간이 끝나면 공격하는 방식을 가진 점에서 도어즈의 헤이스트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특이하게도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데, The Vault는 어반셰이드쪽이 아닌 호스트들 쪽에서 관리하는 것이 그 이유로 추정된다.
업데이트로 메인 게임에서도 등장하는데, 등장 조건은 새벽 3시에 잠수함을 타고 메인게임으로 들어가는 것.[259]좀 기다리면 등장해 볼트에서 보았던 속도와는 차원이 다른 정말 빠른 속도로 다가와 플레이어를 죽이는데[260], 사망 화면에서 세바스찬의 성우인 잔니가 직접[261] 플레이어에게 '현재는 새벽 3시이고 새벽에 로블록스 게임을 하는건 좋은 생각이 아니다.'라며 굿나잇을 시전한다. 하지만 진짜 새벽에 게임을 하고싶은 유저들을 위해서인지, 하빈저 때와 비슷하게 부활권이 무료가 된다.
3.8. the takeover
3.8.1. 좀비
the takeover의 나오는 한정. 어반셰이드 직원이 해초에 둘러싸여 있는 개체. 일부는 기관총이 달려있으며 자폭기체도 있다.3.8.2. 코어
좀비들을 만들어낸 장본인 the takeover의 최종목표다.4. 중립적/우호적
중립적이거나 우호적인 개체들이다.4.1. 인물
4.1.1. Z-13 / Sebastian Solace
<colbgcolor=#0A0E11> The Saboteur / The Shopkeeper 방해자 / 상점 주인 | |
| |
<colcolor=#fff>
| |
| |
본명 | 세바스찬 솔리스[262] Sebastian Solace |
성별 | 남성 |
국적 | |
나이 | 31세 |
신체 | 18m |
생일 | 1993년 2월 3일 |
성우 | Gianni Matragrano |
대미지[264] | 50 (때려눕힐 때) 즉사 (총을 쏠 때)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사운드 트랙 1 | |||||
사운드 트랙 2 | ||||||
사운드 트랙 3 | [265] | |||||
사운드 트랙 4 |
}}} ||
인게임에서 몇 안 되는 대화 가능한 생명체 중 하나로, 이 게임의 마스코트이자 생체실험으로 인해 괴물로 변이된 미국인이다.[266] 게다가 하달 블랙사이트를 지금의 개판으로 만들어버린 장본인이기도 하다.
성우는 ULTRAKILL의 가브리엘을 맡은 것으로 유명한 잔니 마트라그라노. 그래서인지 세바스찬이 나오는 해외 유튜브 영상을 보면 가브리엘 관련 드립이 많이 보인다.
과거 연쇄살인 혐의로 누명을 써서 사형수 신분이 되었다가 어반셰이드로 넘어가 인체 실험 프로젝트에 참가하게 되었다. 여러 채례 끔찍한 실험으로 강한 근력, 수중 호흡 능력을 얻었으나[267], 몸이 거대한 바다뱀처럼 변하고 팔이 3개가 되는 등 고초를 겪게 되었고, 이런 어반셰이드에 앙심을 품은 세바스찬은 호송 중 마취된 척하며 누워 있다 보안이 허술해진 틈을 타 경비원을 살해하고 키카드를 탈취, 하달 블랙사이트 내부를 미친듯이 돌아다니면서 모든 괴물들을 풀어놓았다.[268]
세바스찬의 등뒤를 보면 초록색 빛이나는 환풍기같은 기계를 볼수있는데 이것은 휴대용 스크램블러라는 기계를 세바스찬이 훔친것이다. 휴대용 스크램블러의 능력은 주변에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먹통 시킬 수 있다[269]. 그래서인지 어반셰이드가 모든 CCTV를 동원해도 세바스찬을 찾지 못하는 것.
이후에는 페인터 AI와 조우한 뒤, 서로의 탈출을 도우기로 하면서 협력관계를 맺는다. 블랙사이트가 폐쇄된 후에는 탈출을 위한 정보를 모으기 위해 데이터를 대가로 아이템 장사를 하는 중.
작업등을 눈에 비출 경우, 매우 격분하여 플레이어를 낚아채 플레이어 손에 있는 작업등의 렌즈를 부숴버리고 다신 그딴짓 하지 말라며 플레이어를 바닥에 던져 50의 대미지를 입히고 전등으로 대신 사용하는 본인의 초롱불을 꺼버려서 상점이 어두워진다[270][271]. 만약 한번 더 작업등을 비추면 허리춤에서 주무장으로 쓰는 산탄총[272][273]을 꺼낸 다음 해당 플레이어를 쏴 즉사시킨다. 이는 벤트에 숨어도 벽뚫샷으로 죽이기 때문에 절대 피할 수 없다. 세바스찬에게 사망하면 문서에 사망 횟수가 표기되지 않으며, 사망 보고서에서도 세바스찬의 사진이 아닌
[편집됨]
이라는 글씨가 써져 있다. 만우절 모드인 TNaB에선 세바스찬을 직접 찾아다니며 CCTV에 달려있는 작업등으로 눈을 비춰 막아야하는 기믹으로 등장한다.게임 중반쯤에서 스폰되는 세바스찬의 상점을 운영하며, 데이터를 대가로 다양한 아이템들을 판매한다. 자신의 문서도 데이터로 구매 가능하다. 테이블에 스폰되는 키카드는 공짜.
만일 상점 방을 3회 정도 들어갔다 나갔다 하면서 트롤링을 시전하면 화를 내거나 나가라고 소리를 지른다.
세바스찬의 배 위에 올라갈 수 있었다. 지금은 업데이트 되어서 올라가게 되면 처음엔 따지듯이 말하며 밀쳐내지만 세번째부터는 크게 화를 내며 던져버린다. 이후에도 계속 올라타려 하면 짜증을 내며 산탄총을 쏴 즉사시키니 주의.
세바스찬의 눈은 평소에는 동공이 확장된 상태로, 어두운 곳에 있거나 화를 크게 내면 동공이 급격히 축소되어 역안이 된다[역안].
상어 이빨 속성의 캐릭터이다.
옷 왼쪽 상단에 개발자 Zeal의 고양이 사진이 걸려 있다.[275]
이 게임의 마스코트 겸 제 2의 주연이라 팬아트를 포함한 2차 창작이 상당히 많다.[276] 공식 봉제 인형과 키링까지 있을 정도.
페인터와의 대화에서 밝혀진 바로는 일렉트릭 기타를 굉장히 잘 쳤다고 한다. 또한 전에 심해 토끼 한마리를 상점에서 기르고 있었으나 물건들을 챙겨오던 도중 나가버렸다고 한다.
그리고 Z-779(Ai 화가, 페인터)와 Z-319(아이페스테이션), 라흐점퍼 등과 같이 말을 할 수 있는 몆 안 되는 괴물이다[278]. 특히 Z-779를 Kid(꼬마)라고 부르며 서로 무전기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보인다.[279]
세바스찬 상점에 키카드가 놓여져있는 테이블 옆쪽엔 라디오가 하나 있는데 여기서 주기적인 소음이 난다. 이는 사실 모스 부호로, 이걸 해독하면 "GO PLAY DOORS LOSER(도어즈나 하러가 찐따야)"라는 숨겨진 메세지가 나타난다(...) 그리고 라디오에 상호작용을 하면 주파수를 맞출수 있는데 맞춘다면 영어로 "본 메시지는 반복 송출된다. 우선 순위 에코 12 패키지는 봉인 완료, 준비 완료. 218번 부두, 고도. 하늘이 맑아지면 선박이 도착할 예정이다. 잠수함 등급 회수 대상에 너와 1명이 포함되어 있다."[280] 라는 방송이 흘러나온다.[281]
또한 플레이어를 따라 들어온 월 드웰러를 죽이기도 한다. 현재는 버그 때문에 불가능하다.
여담으로 유령 상태일때 기술을 반복해서 사용할경우 유령상태여도 가차없이 쏴 죽여버린다. 그 후에 유령이 되려고 하면 세바스찬이 거부하며 유령으로 변신이 불가하게 된다. 단 서버를 바꿀경우에는 다시 유령이 될수있다.
{{{#!folding [ "스크립트에 충실함" 엔딩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페인터를 죽였다면 세바스찬은 그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다.[282] 하지만 릿지의 끝에 도달한 후 이때 에어락에 가 레버를 내리려고하면... |
| ||||||||
너!!! 원하던건 다 가질 수 있었는데도... 나조차도 원한 모든 것들 말이야... 그런데도 넌 내가 남긴 모든 걸 빼앗으려고 애쓰다니. 이런 자존심만 강한 꼬맹이같은 놈. 내가 아무일도 없었던 듯이 가만히 앉아서 계속 웃기만을 바라고 있는거야? 아, 잘 웃어주도록 하지... 귀가 찢어질정도로 활짝 웃어줄게. "명령을 따라야 했다" 같은 개소리는 아예 꺼내지도 마. 넌 네가 뭘 하는지 너무 잘 알고 있었잖아. 당연히 천천히 즐겼겠지. 마지막 순간은 그토록 즐거웠고? 좋아. *웃음* 훌륭해. 그나저나! 나도 똑같이 갚아주려고 하는데. 그리고 물론 나도, 이 순간의 마지막 까지 즐길 거야!!! *플레이어의 심장을 뽑는다* 더 좋은건 뭔지 알아?! 난 이 짓을, 얼마든지, 몇 번이고, 또 할 수 있어. 넌 여기로 돌아올거잖아, 나도 알아, 그리고 기다릴거야... 너가 욕할 사람은 네 자신밖에 없어. 네가 만든 지옥에 네가 있을거고.. 그리고 절대 나오지 못할거다!!! *플레이어의 심장을 터뜨린다* *잠깐동안 로피의 소리가 희미하게 들린다.* *으으윽* 뭐가!!! 이번엔 또 뭔데!?!?[283][284] *세바스찬이 비명을 지르며 소멸한다* |
세바스찬이 플레이어를 잡아채[285] 심장을 뽑아 터뜨려 버리곤, 갑자기 나타난 로피의 의해 소멸당한다.
}}} ||
- 관련 업적
4.1.2. NAVI A.I
<colbgcolor=#0A0E11> NAVI A.I 내비 A.I | |
| |
성우 | Allanah Fitzgerald |
대미지[287] | 20(12발)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NAVI A.I의 방에 입장했을때[288] |
}}} ||
Four Point Five 업데이트로 추가된 블랙사이트의 슈퍼컴퓨터. 본체[289]의 외형과 공격적인 성향, 여성적 어조로 보았을 때 모티브는 암만봐도 이분. 이름은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언어유희로 추측된다[290]. 성우는 머더 드론의 Cyn을 맡은것으로 유명한 올라나 피츠제럴드.
설정상 효율적인 경로를 계산해 플레이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어반셰이드 잠수함에도 내장되어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개막장 회사 전담 AI다 보니 이쪽도 정상은 아닌데, 잠수함의 뒤에 있는 콘솔을 건드리면 접근 권한이 부족하다며 뒤로 물러나라고 명령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한번 더 상호작용하면 터렛을 꺼내서 '납을 주입'한다(...)[291]
기밀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Navi A.I의 목소리, 성격, 행동들은 회사 총수인 셰이드의 아내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으로 추정된다.[292]
여담이지만 잠수함에서 콘솔을 1회 상호작용할시 낮은확률로 대사를 저는 이스터에그가 있다.[293]
수중 글라이더 슈트팩의 사용법 가이드를 해주며 Z-264가 돌진을 하기전에 경고를 해주기도 한다.
Z-779와는 같은 AI이지만 기생충이라고 칭하며 매우 혐오하는 것을 알 수 있다.[294]
- 관련 업적
4.1.3. Rachjumper
<colbgcolor=#0A0E11> Rachjumper 라흐점퍼 | |
| |
성우 | Rachjumper |
등장 위치 | 도박방 스펙트럼 |
대사 아이콘 | |
{{{#!folding [ 아이템 확률 펼치기 · 접기 ] 35 리서치를 내고 돌려볼 수 있다. | <colbgcolor=#0A0E11> 아이템 | 확률 | ||||
[ruby(없음,ruby=COMMON)] | 74% | |||||
[ruby(100 리서치,ruby=UNCOMMON)][295] | 20% | |||||
[ruby(배터리 2개,ruby=RARE)] | 3% | |||||
[ruby(네크로블록시콘,ruby=LEGENDARY)] | 2% | |||||
[ruby(파티 스페셜,ruby=EXOTIC)] | 1% |
{{{#!folding [ 리서치 상점 가격표 펼치기 · 접기 ] 구매시 "인벤토리에 들어가는 형식"이므로 아이템이 이미 최대치로 있을 경우 구매해도 그냥 소멸하므로 유의[296] | <colbgcolor=#0A0E11> 판매 목록 | 가격 | ||||
월 드웰러 덩어리 | 1500 리서치 | |||||
젤리 손전등 | 1500 리서치 | |||||
네크로블록시콘 | 1500 리서치 | |||||
스플로그 라이트[297] | 1500 리서치 | |||||
공책[298] | 2500 리서치 | |||||
묘지 손전등 | 2500 리서치 |
{{{#!folding [ 스펙트럼 가격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0A0E11> 판매 목록 | 가격 | ||||
[ruby(파티 스페셜,ruby=보라색)][299] | 1250 화폐 | |||||
[ruby(건강 강장제,ruby=RAVEYARD 한정)][300] | 150 화폐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folding [ 사운드 트랙 펼치기 · 접기 ] | 스팩트럼/신버전 | |||||
구버전 |
}}} ||
Survive the Night 등의 게임을 제작한 Rachjumper로 보인다. 매우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도박방의 주인장임과 동시에 클럽 스펙트럼에서 술[301]을 파는 바텐더이기도 하다. 스펙트럼에서 도박장에 있던 팔짱을 끼고 플레이어를 노려보는 해골에게 다가간 후, 주인장을 처다보면 "흠? 아, 걔 말이야? 걘 돈 안냈어,"라고 말한다. 정황상 몸으로 갚은듯.(...) 도박장에선 아무런 대사도 하지 않는다.
한 번 돌릴 때마다 35 리서치가 필요하지만, 운만 따라준다면 그에 따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100 리서치를 주거나 네크로블록시콘, 월 드웰러 덩어리의 그것과 비슷한 무한 회복까지 받을 수 있다. 다만 운을 상당히 타는 만큼 운이 안 좋으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최소한 충분한 리서치를 확보하는게 좋다.
매우 운이 좋으면 네크로블록시콘이 무려 5개가 넘게 뜨는 경우도 있다.[302]
Four Point Five 업데이트로 스팩트럼과 도박방의 라디오 음악이 스팩트럼 음악으로 통합되었다.[303][304]
여담으로 게임 초기에 개발자는 "도박/겜블링 방을 추가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었지만, 추후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4.1.4. HQ
<colbgcolor=#0A0E11> HQ 감독관/교도관 | |
본명 | ? |
성별 | 남성 |
담당(활동)구역 | 로비, The submarine docks, 에어락, 엔딩존 |
직업 | 죄수 관리 및 브리핑, 시설 유지 |
성우 | meowskulls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항상 방송 전 띵동 하는 특유의 알람을 송출한다.
밝혀진 모습이 없고, 언제든 플레이어의 PDG를 폭파시킬 수 있다는 권력 때문에 Z-779가 그의 목소리를 TTS로 내보내거나, 아이페스테이션이 텔레파시로 가짜 명령을 내보내 사칭하기도 한다.
소모품 수감자와 중급 수감자(MR-P)들을 감시하며, 휴대용 무전기나 현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서브게임모드인 레이브야드와 헌티드 모드에선 정상인은 아닌것으로 묘사되는데, 레이브야드에선 방송 도중 트릭 오어 트릿을 하러간다거나, 심지어 방송 도중 고양이에게 애정을 쏟아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우가 디스코드에서 HQ는 지상에 위치한 근사한 흰색 건물에서 비싼 와인을 마시며 죄수들을 관리중이라고 직접 밝혔다. 또한 닷지볼이라는 고양이를 키우는데, 이는 성우가 실제로 키우는 고양이이며, 인게임에서도 드물게 언급된다.
인게임에선 한번도 모습을 등장하지 않는 인물이지만 2차 창작과 공식 라이브 스트림 썸네일에서 그려진 모습에선 주로 백발에 붉은색 안광을 띄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문제로 인해 성우가 교체될 예정이다. 새로운 성우
5. 희귀 괴물
다른 개체들보다 훨씬 희귀한 확률로 출현하는 괴물 및 개체들을 정리해 놓은 문단이다.5.1. Stan
<colbgcolor=#0A0E11> Stan 스탠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즉사 |
매우 낮은확률로 생성되는 Identity Fraud 방에서 등장하는 괴물. 스탠은 3개체가 방에 존재하며, 원작과 달리 전혀 움직이지 않아서 그냥 지나가는 게 가능하지만 접촉시 매우 크고 기괴한 비명소리를 내며 즉사한다.[305]
중격리시설 내부로 들어가서 맵을 헤집다보면 James[306]도 발견할 수 있다. 중격리시설에선 스탠이 벽에 껴있는데, 원작에서도 벽을 뚫고 올 수 있기 때문에 벽에 끼여있는 것처럼 연출될 때가 다수 존재한다. 이때 천천히 돌아보면 덮치기 직전에 멈추기 때문에 대응이 꽤 쉽다.
어디에서 만나던 문서를 해금할 수 있다.[307]
Four Point Five 다음 업데이트로 정식 콜라보가 예정되었다고 공식 디스코드로 언급했다. 이후 Worth the Wait 업데이트 part 2에 콜라보가 확정되었다.
5.2. Stairwell 87
<colbgcolor=#0A0E11> Stairwell 87 87번 계단 | |
<colcolor=#fff><nopad> 파일:Pressure Stairwell 87.png | |
대미지 | 즉사[308] |
문서를 볼 때 해당 방과 이 개체는 동일인물로 보이며 사망 보고서에서도 87번 계단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이 계단을 조금 내려가다보면 듣기 조금 불쾌한 소리[310]도 들린다.
참고로 이 내부에서 광원 아이템을 사용하려 하면 "광원이 여기서는 작동하지 않는 것 같다."[311] 라는 문구가 출력되며 광원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상 친구를 소환한 상태라면[312] 상상 친구가 제거된다. 리모컨을 들고왔다면 리모컨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상상 친구가 소환되지는 않는다. 게임패스 심해 토끼 또한 이곳에 아이템으로서 들고올 수는 있지만 던지는 순간[313] 땅 아래쪽으로 떨어져서 다시 주을 수 없게 된다. 주인에게 텔레포트도 하지 않는다.
또, 멀티 플레이를 하면서 87번 계단을 만났다면 무조건 다른 팀원과 같이 들어가자. 87번 계단은 한번 문이 열리면 일정시간 내에 닫혀버린다. 87번 계단에 정상적으로 입장했다면 화면이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 되면서 87번 계단 방으로 텔레포트가 되지만, 같이 못가고 버려진 플레이어는 그대로 낙오 되어 혼자만 문서를 못얻는 매우 어이없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모티브는 이 개체의 특성과 이름인 "87"번 계단만 봐도 알 수 있듯, SCP-087.[314]
5.3. J-123-4 / The Man From The Mindscape
<colbgcolor=#0A0E11> The Man From The Mindscape | |
<colcolor=#fff><nopad> | |
스폰 확률 | 0.333% |
하얀 성인 남성의 모습을 한 인간형 생명체. 문이 열릴 때마다 0.333%의 확률로 방 어딘가에 1초간 등장했다가 사라진다. DOORS의 섀도우와 유사하지만 스폰 확률은 섀도우와 비교하면 이 녀석이 더 높다. 낮은 확률로 이 개체의 공간이 나타날 때가 있다.
참고로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 얘도 3D다. 프리카메라 3인칭으로 설정하고 뒤로 걷다보면 보인다.
이 개체와 관련된 방도 존재한다.
5.4. Cave Spider
플레이 도중 가끔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고치 방에서 등장하는 개체로, 딱히 플레이어를 공격하진 않으며 맵 어딘가에 숨어서 플레이어에게 무언가를 속닥이는 것이 전부다.
6. 기타
위의 카테고리에 분류할 수 없는 괴물 및 개체, 혹은 문서를 정리해 놓은 문단이다.6.1. Jetsuit Evaluation Course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6.2. Prisoner Diving Gear
|
|
Prisoner Diving Gear[315]PDG]
죄수 잠수 장비
모든 플레이어가 매고 있는 개조된 잠수 장비. 초록 발광봉에서 멀어지거나 The Ridge에서 음악이 흘러 나오는 스피커 근처에 오래 있을경우 삑삑 거리는 소리가 나다가 내장된 산탄총 총알이 격발되어 플레이어를 즉사시킨다.[316] 죄수 통제 장치라고 하면 흔히 생각하는 폭탄 목걸이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설정상 어반셰이드가 죄수 노동자들의 탈옥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하는데, 탈옥으로 인한 정보 노출의 문제가 아니라 탈옥을 하다 랫반드 존에서 벗어나서 수압 때문에 팬케이크가 되는 인명사고가 너무 많아졌기에 인명피해를 오히려 줄이려고 설치했다고...
RAVEYARD에서는 경비원의 추격전이 시작된 후 플레이어 스폰 위치 쪽으로 돌아갈려고하면 기폭된다.
여기서도 울트라킬 패러디가 보이는데, 죄수를 죽이는 방식이 굉장히 너클블래스터가 충격파를 만드는 방식이랑 비슷하다.
6.3. Anti-Personnel Doorstopper
Anti-Personnel Doorstopper[317]APD]대인용 도어스토퍼
가끔씩 문 옆에 생성되어 희미한 레이저를 방출하는 부비트랩. 레이저에 닿으면 큰 삐비빅 소리와 함께 터져서 플레이어를 멀리 날리고 40 피해를 입힌다. 폭발로 인해 날아간 후 다시 일어서기 까지 시간이 꽤 걸리는 편.
대처법은 장치에 다가가서 상호작용을 눌러 해체시키는 것[318].
자신이 이것을 밟지 않았더라도 기폭 시 근처에 있었다면 휘말리니 주의하자.
산소 정원에서는 APD가 매우 위험해지는데, 폭발로 인해 튕겨져나간 후 잔디에 착지해 버리면 디바인에게 죽을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행정실 방 유형에선 생성되지 않는다.
6.4. Anti-Personnel Landmines
Anti-Personnel Landmines[319]APL]대인용 지뢰
낮은 확률로 방 주변에 생성되는 대인지뢰. 보통 1~2개씩 생성되지만 많으면 4개씩 생성되기도 하며[320], 밟으면 큰 삐비빅 소리와 함께 터져서 플레이어를 멀리 날리고 50 피해를 입힌다. 폭발로 인해 날아간 후 다시 일어서기 까지 시간이 꽤 걸리는 편.
대처법은 장치에 다가가서 상호작용을 눌러 해체시키는 거나, 거리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것. 지뢰를 해체시키려면 4초 이상 상호작용 키를 누르고 있어야해서 엄청나게 오래걸리는 편[321]인데다 가까히 가지만 않으면 당할 일도 없고 해체 배지도 없어서 지뢰밭 방이 아니라면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4~6초마다 특유의 큰 소리와 함께 별 모양 LED 등에 불이 들어와서 위치를 알리므로 어두운 방에서 지뢰가 생성된 것을 알아챘다면 침착하게 이동하자.
자신이 이것을 밟지 않았더라도 기폭 시 근처에 있었다면 휘말리니 주의하자.
낮은 확률로 나오는 지뢰밭 방에선 그야말로 수십개가 등장한다(...). 한번 밟으면 튕겨져 나가 다른 지뢰를 밟게 되는 구조로 인해 그냥 밟기만 해도 사망이라도 봐도 무방하다. 멀티 플레이 도중, 특히 50인 플레이를 하고 있었다면 참 골때리는 상황이 나오는데, 50명 전부가 산업안전보건법을 챙기고 있는게 아닌 이상 이 지뢰들을 안밟을리가 없기 때문(...)[322]
도어스토퍼와 똑같이 산소 정원에서는 APL이 굉장히 위험해지지만, 지뢰 자체의 스폰률이 낮아서 볼 일은 많이 없는 편.
심해 토끼와 거래할 때 심해 토끼가 가끔 가지고 나오기도 한다. 닿기만 해도 터지는걸 어떻게 자신의 굴까지 가져간 것인지는 불명. 다 꺼내면 즉시 폭발하니 거리를 두는것이 좋다.
6.5. Z-538 / Abstract Art
<colbgcolor=#0A0E11> Abstract Art 추상적 예술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없음 |
위 사진에는 노란색 추상 예술만이 있지만 인게임에선 빨간색, 보라색 등 다양한 형형색색의 추상 예술들을 만나볼 수 있다.
6.6. Z-432 / Limited-Time Imaginary Friend
<colbgcolor=#0A0E11> Limited-Time Imaginary Friend 시간 제한 상상친구 | |
{{{#!folding 소환된 괴물의 모습 ( 펼치기 • 접기 ) | |
성우 | SJ Harris 유튜브 채널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시설 선반이나 격리실 등에 놓여진 빨간 장난감 리모컨 아이템. 아이템을 들고 버튼을 누르면 사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안내와 함께 기괴하게 생긴 붉은 괴물이 플레이어의 눈앞에 보이기 시작한다.
설정상 지상의 어느 장난감 가게에서 몰수한 것으로, 사용자의 시선에 괴물이 보이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무해한 개체라 연구원들이 심리적 위안거리로 써먹거나 경매에다 부쳤다고 한다.
또한 설정상 이틀 뒤인 48시간 뒤에 사라지는데 본인 또한 이걸 인지 하고 있으며, "만약 난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될까? 천국에 갈까? 아니면 지옥에 갈까? 그들이 나에게 말해주지 않았어, 나 무서워."등의 소름 돋는 대사를 한다.
붉게 칠해진 물개와도 같은 섬뜩한 생김새와는 다르게 괴물은 플레이어를 해치지 않고 가만히 주시하며, 여성의 목소리로 말을 걸기도 한다. 다만 대사가 꽤 많아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투 머치 토커로 느껴질 수 있다. 중격리실의 체임버 중 리모컨이 무더기로 쌓여 있는 방에 관련 문서가 있다.
가끔씩 노드 트래킹 몹 또는 월 드웰러가 오거나, 서치라이트의 빛에 빛추어져 발각되기 직전의 상황일 때 다급한 목소리로 "그게 여기로 오고 있어!"나 "뛰어!!"와 같은 경고성 대사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노드 트래킹 몹이 득실거리는 릿지에서 특히 쓸모있는 기능. 하지만 매번 이 경고가 적중하진 않는다.
Worth The Wait/The Haunted 업데이트 이전엔[326] 선반,책상에 놓여진 것은 변함 없었으나 상호작용하면 즉시 사용되어 서랍을 털다가 원치 않게 괴물을 소환해버리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았는지 업데이트로 아이템화 되어 직접 들고 마우스로 눌러 소환 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특히나 아이템화 된 만큼 심해토끼에게 줄수가 있는데. 주면 푸른색의 리모컨을 되돌려받는다. 반대로 푸른색 리모컨을 주면 빨간 리모컨을 되돌려받는다.
오랫동안 보고 있지 않을 때 얼굴을 들이밀며 갑툭튀를 선사하기도 한다.[327]
여담으로 시간 제한 상상 친구를 켜둘경우 휙득 크로너 공식에 친구와 함께 플레이 보너스가 더해져 크로너를 5% 더 받을수 있다.[328]
6.6.1. Z-432-2 / Blue Limited-Time Imaginary Friend
<colbgcolor=#0A0E11> Limited-Time Imaginary Friend 시간 제한 상상친구 | |
{{{#!folding 소환된 괴물의 모습 ( 펼치기 • 접기 ) | |
성우 | SJ Harris[329] 유튜브 채널 |
대사 아이콘 | |
대사 내용은 이 문서 참조 |
2025년 6월 30일 "Worth The Wait"업데이트에서 나오게된 Z-432 제조사의 "다른 제품" 이다.[330]
매우 낮은확률로 서랍속에서 나오거나 바다토끼에게 빨간 리모컨을 거래해서 얻을 수 있다.[331] 이러한 희귀도 때문인지 빨간 리모컨은 안 나오던 아이템 상자에서도 가끔 나온다.
전체적인 생김새는 빨간 상상 친구와 동일하나 몸이 푸른색을 띄며, 상대적으로 작은 눈과 크게 웃고 있는 얼굴을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무섭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다.
또한 붉은색 상상친구와 똑같이 설정상 이틀 뒤인 48시간 뒤에 사라지는데 본인 또한 이걸 인지 하고 있지만, "만약 난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될까? 뭐, 생각하지 않는게 좋겠지."등 제한 시간에 대해선 딱히 신경 쓰지 않는듯한 모습을 보인다.
Z-432과 다르게 조금 게으른 성격이며, 생각없이 말을 내뱉는 경향이 있어서 조금 무례하기도 한 편.
플레이어가 Z-432와 Z-432-2를 둘 다 키고있으면 서로 대화를 한다. 물론 대화 내용을 보면 그리 좋은 사이는 아닌듯.
오랫동안 보고 있지 않으면 온몸이 녹아내리고 입안에 또 다른 눈과 또 다른 팔이 튀어나오는 모습이 되었다가 다시 쳐다볼 경우 원래대로 돌아간다.
6.7. Mr. Lopee
<colbgcolor=#0A0E11> Mr.Lopee 미스터 로피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1 ~ 99[332] |
|
ARG 시리즈인 Interloper의 패러디 캐릭터. 그가 자신의 정보를 발설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을 것 이라는 뉘앙스로[원문] 말하는 걸로 보아 굉장한 힘과 권력을 가진 인물로 추측된다.[334][335] 생김새는 지팡이를 짚고 있는 흑빛의 신사지만 몸이 비정상적으로 검고 역안이다. 다른 괴물들에게 죽어도 가끔 세바스찬 옆에 서있는 경우가 있다.
설정상 플레이어를 도와주는 존재이긴 하지만 나타나서 뒤쳐지거나 맵 바깥으로 나간 플레이어를 공격하기도 하는 등 상당히 기묘한 존재. 공격할 경우 문이 전부 잠기고 난 뒤 기괴한 bgm이 들리더니 벽을 뚫고 모자이크되어 등장하며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체력이 없는 상태에서 공격당한다면 운에 맡겨야 한다.
대처 방법은 팀원과 너무 멀리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머무는 방의 직전 방이 닫혔다면 채팅에 "x"를 쳐서 동료에게 기다리라는 신호를 줘야 한다. 여담이지만 앵글러 종류의 몬스터가 뒤에서 갑자기 스폰되어 팀원이 기다렸음에도 죽는 경우가 있다.
Mr. Lopee는 물리법칙을 무시하는 존재로, 플레이어가 사망할 시 페리맨에게 토큰을 대신 내줘 부활시켜 세바스찬에게 데리고 간다. 그 후에는 로비로 돌려보내는데 로비에는 죄수가 붐벼 플레이어들이 들키지 않고 다시 돌아갈 수 있다고(...) 이런 일을 하는 이유는 Mr. Lopee가 플레이어들에게서 특별한 점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한다.[336]
여담으로 로페가 나오면 들리는 음악이 가끔 로비의 안내 방송으로 나오기도 한다.
모티브는 DOORS의 글리치로 보인다. 둘다 기괴하게 일그러진[337]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고 다른 플레이어와 뒤떨어진 플레이어를 공격하면서 순간이동 시키고 설정상 아무도 설명하지 못하고 떡밥만 있다는 점 등 공통점이 많다.[338]
잠수함 안에서 내부 방어 시스템에 처형당하면 무조건 확정적으로 나온다. 그런데 플레이어의 무능함에 엄청나게 실망했는지 터렛의 문서를 공개하지 않는다.[339]
만우절 뱃지에도 이 인물이 들어가있는데, 역안인걸 감안했는지 퍼플가이를 오마주한 모습이다.
-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 저 자는 잊을 것이다. 이곳의 모두가 잊게 될 것이다. 넌 네가 생각한 것보다 더 큰 목적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대본에 충실히 따르라.[340]
"스크립트에 충실함" 엔딩에서 플레이어를 죽인 세바스찬 앞에 나타나 순식간에 세바스찬을 소멸시키고,[341] 페인터와 세바스찬의 기억을 일부 지워버린 뒤, 정말 아무 일도 없던 듯이 플레이어를 되살려 다시 로비로 돌려보낸다.[342]
또한 세바스찬도 A-60에게 사망했을때와 비슷한 비명소리를 지르다가 소멸한다. A-60이 플레이어를 죽일때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플레이어가 소멸하는 것을 보아 아무래도 "소멸"이라는 과정을 거치게되면 항상 비명소리가 점점 기계음으로 바뀌다가 모든 사지가 분리되어 작아지며 소멸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듯 하다.
6.8. Deep Sea Bunnies
<colbgcolor=#0A0E11> Deep Sea Bunnies 심해 토끼 | |
| |
<colcolor=#fff>
| |
학명 | Profundus Jorunna Parva |
|
{{{#!folding [ 애완 토끼 스킨 펼치기 · 접기 ] | 모습 | 이름 | 게임 설명 | 설명 | ||||
| Deep Sea Bunny 심해 토끼 | The classic! 클래식! | 기본 심해 토끼. | |||||
| Copper Sea Bunny 구리 토끼 | I went searching for copper, and found coal 구리를 캐러갔는데 석탄이 나옴 | 말그대로 구리로 변한 심해 토끼. | |||||
| Black&White Sea Bunny 블랙&화이트 토끼 | White & Black 화이트 & 블랙 | 검정색과 하얀색의 조합을 가진 심해 토끼. | |||||
| Strawbunny 딸기 토끼 | yummy... 맛있다... | 딸기 색깔같은 빨간 심해 토끼. | |||||
| Tealy Sea Bunny 틸리 토끼 | I'm made of teel 난 틸로 만들어져있어 | 청록색깔 심해 토끼. | |||||
파일:PetBunny5.webp | Grey Sea Bunny 회색 토끼 | Based on actual Sea Bunnies! 현실의 바다 토끼를 기반으로 합니다! | 노란색과 회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Deep Sea Kiwi 심해 키위 | Tastes like kiwi 키위 맛이 납니다 | 연두색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Noir Sea Bunny 느와르 토끼 | "That was a joke, son." "Can we shoot this guy, yet?" "농담이었어, 아들아." "이 놈을 쏠 수 있을까?" | 하얀색과 검은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Aurekian Sea Bunny 아우레키안 바다 토끼 | 설명없음 | 짙은 갈색과 빨간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343] | |||||
| Sebunny 셉토끼 | Sebastain colour scheme! 세바스찬의 색깔! | 세바스찬 솔리스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Pink Sea Bunny 분홍색 심해 토끼 | So cute!! 넘 귀여워!! | 핑크색과 검은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Deadly Sea Bunny 위험한 토끼 | 99% chance of killing its owner 99% 확률로 주인을 죽입니다 | 검은색과 빨간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Beige Sea Bunny 베이지 토끼 | In a bad. In a world where they have a Moon and lattes 침대에서. 달과 라떼가 있는 세상에서. | 베이지색의 색상을 가지고있는 심해 토끼. | |||||
| Deep Sea Beacon 심해 작업등 | Don't use your Flash Beacon 작업등을 사용하지 마세요 | 아이페스테이션의 색상을 가지고있는 심해 토끼. | |||||
| Deep Sea Hazard 심해 위험물 | Ate a lot of radioactive materials 방사성 물질을 많이 섭취했습니다 | 주황색과 검정색의 색상을 가지고있는 심해 토끼. | |||||
| Inverted Sea Bunny 반전된 토끼 | ynnuB aeS peeD 끼토 해심 | 원래 색상을 뒤집은 심해 토끼. | |||||
| Deep Sea Popsicle 심해 팝시클 | 설명없음 | 분홍색과 하늘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Deep Sea Melon 심해 수박 | Tastes like watermelon 수박 맛이 납니다 | 수박과 비슷하게 연두색과 빨간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파일:PetBunny18.webp | Deep Sea Lapiz 심해 청금석 | Close enough to diamonds 다이아의 근처에 있습니다. | 모티브는 마인크래프트에서 청금색 근처에 다이아몬드가 있다는 이야기를 모티브했다. 색상은 짙은 푸른색과 파란색의 색상을 가진 심해 토끼. | |||||
| Rotten Sea Bunny 썩은 토끼 | Eh, its fine 에이, 멀쩡함 | 썩은산호에 침식당한 심해 토끼. 특유의 썩은 산호 웅얼거리는 소리를 울음소리로 사용한다. | |||||
| Deep Sea Friend 심해 친구 | Nows Your Chance To Be A 거물이 되고 싶지 않나요? | 델타룬 챕터 2의 스팸톤을 오마주한 모습.[344] | |||||
| Deep Sea Drako 심해 드라코 | areugh 우웩 | 로블록스의 레트로 몬스터 드라코블록서. 울음소리는 드라코블록서의 괴성으로 대체 된다[345] | |||||
| So retro! 넘 레트로! | I'm old![346] 난 오래됐어! | 클래식 로블록스 버전의 심해 토끼. |
DEEP SEA BUNNY ACQUIRED 뱃지 요구 스킨[347]
모습 | 이름 | 게임 설명 | 설명 |
| Buck 벅 | 설명없음 | 벅처럼 생긴 고양이. |
| Mannequin Cat 마네킹 고양이 | 설명없음 | 마네킹 마크의 모습을 한 고양이. 마네킹 마크의 대화 소리인 판자 소리를 울음소리로 사용한다. |
| Orange Cat 주황색 고양이 | 설명없음 | Pal Face 표정의 주황색 고양이. |
| Poob Cat 풉 고양이 | partyyyy!! 파티이잉!! | 파티늅의 모습을 한 고양이. 파티늅의 대화 소리인 파티 혼의 소리를 울음소리로 사용한다. |
파일:PetBunnyRegret5.webp | Lamp Cat 램프 고양이 | 설명없음 | 찡그린 표정의 램퍼트의 모습을 한 고양이. 램퍼트의 대화 소리를 울음소리로 사용한다. |
| Epic Cat 에픽 고양이 | 설명없음 | Epic Face 표정의 노란색 고양이. |
| Kosheshka 고양이[348] | 설명없음 | 주황색과 검은색이 섞인 고양이. |
| Rave Cat 레이브 고양이 | 설명없음 | 빛나는 셔터셰이드 안경과 팔찌를 차고있는 노란색 고양이.[349] |
| Kitty 고양이 | 설명없음 | :3 표정의 하얀색 고양이. |
개발자 전용/획득 불가 스킨
모습 | 이름 | 게임 설명 | 설명 |
| Deep Seek Bunny 심시크 토끼 | AREGGH 으어어얽 | 시크처럼 생긴 고양이 |
}}} ||
{{{#!folding [ 거래 목록 펼치기 • 접기 ] | 희귀도 | 준 아이템 | 되돌려 받는 아이템 |
일반 | 손전등 작업등 랜턴 SPR-INT 구급 상자 암호 해독기 | 일반 아이템 블랙 라이트(드물게) 무동력 손전등(드물게) 페리테센(드물게) 희귀 아이템(드물게) 지뢰(드물게) | |
약간 희귀 | 블랙 라이트 무동력 손전등 | 일반 아이템 블랙 라이트 무동력 손전등 페리테센 제세동기 젤리 손전등(약간 희귀하게) 지뢰(약간 희귀하게) | |
약간 희귀 | 붉은색 장난감 리모컨 파란색 장난감 리모컨 | 붉은색 장난감 리모컨(파란색을 준 경우) 파란색 장난감 리모컨(붉은색을 준 경우) | |
희귀 | 젤리 손전등[350] | 스플로그 손전등 묘지 손전등 네크로블록시콘(드물게) 지뢰(드물게) | |
희귀 | 제세동기 네크로블록시콘 스플로그 손전등 묘지 손전등 드웰러 살점 | 지뢰 | |
제한 | 고급 작업등 고급 손전등 | 네크로블록시콘[351] | |
제한 | 세바스찬의 스캐너[352] | 일반 아이템 블랙 라이트(드물게) 무동력 손전등(드물게) 페리테센(드물게) 지뢰(드물게) |
낮은 확률로 휴게실에서 등장하는 생물. 인게임에서 몇 안 되는 우호적 개체다. 일반적인 소형 포유류 동물같은 크기[353]의 보라색/파란색 무늬가 있는 토끼처럼 생긴 생물이다. 서치라이트처럼 단순히 야생 동물로 간주되어 Z 분류 일렬 번호는 주어지지 않았다.
원본 개체는 태평양에 살던 생물이지만 갑자기 북대서양에서도 출몰했다.[354] 알 수 없는 이유로 보통의 바다 달팽이들보다 신체가 비정상적으로 거대해 거의 소형 포유동물 급으로 크며, 지능도 비인간 인격체 수준으로 높아 애교를 부리거나 거래를 할 줄도 안다. 다만 토끼처럼 비슷한 생김새와 행동, 이름을 가졌을 뿐, 진짜 토끼는 아니며 심해토끼 또한 갯민숭달팽이의 일종으로 보인다.
원래 바다에서만 생활 가능했지만 심해 토끼 한 마리가 잠수 중이던 연구진에게 안기는 사태가 발생했고, 그 귀여움에 중독된(...)[355] 연구진들이 심해 토끼 수백 마리를 구해다가 신체 개조를 실행해 대기 호흡이 가능해지게 되면서 직원 휴게실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스폰 시 보통 3~4마리[356]가 무리지어 생성되며, 상호작용할 경우 쓰다듬을 수 있다. 심해 토끼의 주변에서 H키를 눌러서 이모트를 사용하면 심해 토끼도 같이 춤을 춰준다.
또한 아이템을 들고 상호작용할 경우 아이템을 등에 얹고 천천히 자신의 굴로 들어간 후 더 낮거나 혹은 높은 가치의 아이템을 지고 나와 바꿔주며, 한 마리당 한 번씩만 거래가 가능하다.[357] 물론 매번 다른 아이템을 주는 것은 아니고, 가끔 준 아이템을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배터리를 소모하여 충전하는 아이템이라면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주긴 하나, 해당 아이템을 또 줄 경우 높은 확률로 똑같은 아이템을 도로 가져온다.[358] 참고로 젤리 손전등을 주면 높은 확률로 묘지 손전등이나 스플로그 라이트, 희귀하게는 네크로블록시콘으로 교환해준다. 하지만 이는 확정이 아니며 운이 좋지 않다면 그냥 일반 손전등을 준다.
하지만 가끔 지뢰를 들고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359] 개체가 지뢰를 모두 꺼내면 즉시 폭발하며, 가지고 나온 개체는 물론이고 주변에 다른 개체가 있었다면 같이 터져 사망한다.[360] 유혈은 없지만 상당히 충격적이게 느껴질 수 있다.
하나 유의할 점으로 광원 아이템의 경우, 배터리가 조금이라도 남아있어야만 상호작용했을 때 거래해준다. 배터리가 방전된 광원을 줄 경우 거래도 안 해주니 참고할 것.
노드 트래킹 몹이 올 경우, 이들도 자신의 목숨이 위험함을 아는 것인지 자신의 굴로 들어가 몸을 피한다.[361] 완전히 지나가서 안전해지면 다시 나온다. 만약 버그 등의 이유로 굴에 들어가지 못한 개체는 노드 트래킹 몹이 지나갈 때 흔적도 남기지 않고 소멸한다.
로블록스의 엘레베이터 게임인 리그레터베이터와 콜라보를 진행하여 심해 토끼의 모습을 한 고양이가 리그레터베이터에 추가되었다. 반대로 프레셔에는 리그레터베이터 고양이의 모습을 한 애완 심해 토끼 스킨이 추가되었다.
심해토끼의 컨셉은 공식이 제작한것이 아닌 팬메이드 였다고한다.
게임패스를 구매하면 반려동물로 직접 데리고 다닐 수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무적에다 플레이어를 따라 달려오는 건 물론[362] 손으로 들고 다니며 아이템 형식으로 상호작용 할 수도 있다. 던지는 기능 역시 가능해서 온갖 지형에서 던져버리는 것도 가능한데, 다행히 절벽 같은 곳에 던지더라도 순간이동으로 다시 돌아온다. 당연히 거래는 불가능[363]하며 다른 게임패스에 비해 눈에 띄는 특별한 기능은 없지만, 혼자일 때 심리적 위안 거리로 써먹거나[364] 심해토끼를 쓰다듬을땐 화면이 돌아가지 않는 다는 점을 잘 이용해 건틀렛을 쉽게 건너뛰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365] 일반적으로 게임에서 나오는 심해 토끼들처럼 춤을 추면 같이 춤을 춰주며, 추가 상호작용 모션도 2개가 더 존재한다.[366] 참고로 사망 후 부활 시 반려 심해 토끼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버그가 있다. 추후 수정될 것으로 보이며, 심해 토끼 색상 커스텀 기능도 추가되었다.
여담으로 행정실 방 유형의 책장에서도 애완동물로 키우는듯 액자에 끼워진 시진으로 놓여져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사진에 쓰여진 이름은 "비스켓".
모티브는 기밀 문서로도 알 수 있듯 꼬마비로드갯민숭달팽이. 원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체내에 독소를 품고있지만 심해토끼도 독소를 가지고 있는지는 불명.[367]
- 관련 업적
6.9. Z-1223 / My Wife
<colbgcolor=#0A0E11> My Wife 내 아내 | |
|
상당히 특이한 점은, 기밀문서에도 본인의 아내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면. 사진으로 보거나 아예 이것에 대한 생각만 해도 아내라고 인식하는 모양이다.
6.10. Z-1932 / Paranoia's Box
|
공포증 유발[368] 가스를 방출하는 매우 미스터리한 상자. 중격리실 등에서 확률적으로 격리실이 생성되며 코드 브리쳐 2개[369]를 소모해 상호작용 및 문서를 해금할 수 있다.[370]
특징은 초자연적인 내구도. 잠긴 상자인 탓에 온갖 수단을 동원해 부숴서 열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처음엔 공구부터 시작해 컴포지션, 부식성 강산성은 물론이고 1~5톤급[371]의 고성능 폭발물까지 동원해도 전혀 대미지를 주지 못했으며, 레일건을 정통으로 맞거나 무게가 20만톤을 넘는 트렌치블리더가 밟아도 기스조차 나지 않았다. ██████ ██████의 경우 테두리에 약간 기스를 냈으나 피해액만 30억원이 넘어가는 비효율적인 가성비 때문에 다시 쓰지 않기로 결정됐다.
박스에는 무언가 계속 속삭이는 역재생 된 목소리가 들린다.[372]
여담으로 문서에서 가스 흡입 증상으로 폐소공포증이 노란줄로 강조 되어 있다는 점과 캐비닛에 오래 숨어있으면 심장소리가 커지더니 자동으로 나가진다는점으로 보아 이 상자가 내뿜는 가스가 플레이어를 계속 캐비닛에 숨어 있지 못하게하는 원인으로 보인다. 체인스모커가 내뿜는 초록 가스도 이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6.11. Z-2512 / My ██████ Horror Christmas Tree
대부분의 글자가 검열되어있는 이상한 문서. 중격리실 등에 해당 개체의 격리실에서 문서를 얻을 수 있다.
동명의 아날로그 호러를 기반으로 한 이스터에그이다
여담으로 24년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이 개체가 로비 한 중간에 추가 되어 이름값을 제대로 했었다.
6.12. Z-V0 / Valcula Void-mass
Puddles of Void-mass의 모체, 가끔 통로가 주위를 감싼 형태의 매우 큰 해당 개체 격리실에서 문서를 얻을 수 있다.[373]
6.13. Flesh Prisnopticloset
Z-V0 등의 개체가 등장하는 대형 개체 격리실 중앙에서 등장하며, 무한히 회전하는 것 말고는 별게 없다. 수호천사를 격리하는 거대한 생체 감옥으로, 어떤 요원의 활약과 레일건 헤븐피셔로 포획에 성공해 이 생체 감옥에 가둔 상태.[374]
모티브는 DOORS[375] 및 울트라킬의 육체 감옥.
여담으로 이 방에선 음악소리가 들리는데, 이를 배속하면 DOORS의 대표 OST인 Elevator Jam을 프레셔의 느낌으로 편곡한 음악이 나온다.
7. 이스터에그
7.1. Styx
<colbgcolor=#0A0E11> Styx | |
<colcolor=#fff><nopad> | |
스폰률 | 1/10,000 |
검은 공간 속에서 커다란 괴성으로 놀래키는 물고기. 문을 열때마다 1만분의 1 확률[376]로 등장하며, 문 전체를 덮고 엄청나게 큰 비명소리를 내다가 1초가 채 지나지 않아 사라진다. 침수 구역에서도 나오니 방심하지 말자.
특히 대부분의 소리가 먹먹해지는 침수된 방에서만큼은 소리가 먹먹해지지 않고, 거리에 상관이 없기때문에 아무리 멀리있어도 굉장히 크게 들린다.
전체적인 모습이나 패턴 등을 보아 DOORS의 Jack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터무니 없이 낮은 확률로 나오는 이스터에그 괴물에 불과하지만, 비명소리가 정말, 엄청나게 커서 한번 뜨면 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 녀석을 몇번 본 사람들은 문 한번 열때마다 긴장하게되는 주 원인.
여담으로 스틱스의 모습의 유래가 된 듯한 사진이 있다.[377] 또한 사운드플레이가 중요한 The Ridge에선 등장하지 않는듯 하다.
또한 Styx는 영어로 삼도천이다.
7.2. FINALE
|
피날레 |
특이하게 일반 앵글러가 아닌 릿지에서 이스터에그로 건너편에서 숑 하고 지나가는 RIdge_Angler를 사용하는 것이 특이점, 또한 눈이 존재하지 않는다.[378]
7.3. MIRAGE
|
미라지 |
|
나타난 모습[379] |
이 녀석의 등장 확률보다 낮거나, 비슷한 확률로 앵글러가 2차로 돌진하거나 억까로 전조증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돌진해올때는 대미지를 입는다.(...) 심지어 2차 돌진은 벽도 뚫고 이전 방의 문으로 돌진한다.
이름인 mirage를 번역하면 신기루. 앵글러와 동일한 소리[380]를 내지만, 반투명한 연기만 지나가고 대미지도 입지 않는 이 녀석에게 꽤나 잘 들어맞는 이름이다.
7.4. W.D Gaster
|
W.D 가스터 |
싱글이 아닌 멀티플레이 시 팀원들 중 오직 한 명에게만 보인다는 특이점이 있다.
7.5. Nightfall
|
나이트폴 |
|
Nightfall이 있는 보물상자 방 |
이스터 에그 생명체. 매우 낮은 확률로 생성되는 보물상자 방에 들어가면 나이트폴이 나오는 보물상자가 있다. 평상시엔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는데, 보물상자를 열면 점프스케어가 나오면서 남자 비명소리가 크게 들린다. 등장할 때는 갑자기 나이트폴이 나오고 서서히 페이드 아웃 되다가 사라진다. 체력과 관계없이 고정으로 체력을 1로 만들기에 체력이 1인 상태라면 죽지 않는다.
초보자 혹은 처음 발견한 유저들은 상자 안에 아이템 혹은 그런것이 있는줄 알고 열었는데 아무도 없고 괴물이 나오는 줄 모르고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나이트폴이 튀어나와 깜짝 놀라는 경우도 있다.
상호작용만 하지 않으면 안전하지만, 한 번 열었다면 체력이 무조건 1로 고정되어 생존하기가 어려워지니 주의.
- 관련 업적
8. 이벤트 한정 괴물
8.1. The Educator
<colbgcolor=#0A0E11> The Educator 교육자 | |
<colcolor=#fff><nopad> | |
대미지 | 즉사 |
만우절 한정 맵과 인형 모드에서 볼 수 있었던 존재이다, 모티브는 누가 봐도 빼박 발디의 수학교실의 발디. 참고로 이 녀석에게 죽어도 세바스찬이 문서를 보여주지 않는다. 또한 로피가 있는 자리에 있는데, 눈만 살짝 보이는 로피와 달리 머리가 너무 나와있어서 너무 잘 보인다. 사실상 대놓고 노려보는 수준(...)[381]
원본인 발디와의 차이점으로 벽을 뚫고 플레이어를 쫓아오며, 어두운 곳에서 문제를 푸는 동안에도 다가오기에 가만히 있으면 죽기 십상이다. 하지만 문제를 풀면 잠깐 정지하고, 강제로 틀리게 하는 문제가 없어 판단속도가 빠르면 공략하기가 쉽다.
24년 만우절 이후 9월 4일 인형 모드의 마지막 그랜드 인카운터중 하나로서 등장했으나, 5일 후인 9월 9일 인형 모드와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또한 공식 디스코드에서 "해당 개체는 영원히 끝이다." 라고 밝히며 재출시할 계획이 없다고도 못 박아놨다.
여담으로 다른 개체들처럼 관리자 권한이 있는 사람이 소환할 수 있다.
9. 출시 예정
9.1. Upper Class Coffin
<colbgcolor=#0A0E11> Upper Class Coffin 높으신 분들의 관 | |
| |
대미지 | 즉사(추정) |
현재 개발 중인 개체로, 전체적인 특징은 중세시대 고문 기구인 아이언 메이든을 연상시킨다.
관에 가까이 다가갈 경우 관이 열리며 플레이어를 집어삼켜 죽이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다고.
여담으로 실험실에서 이스터에그로 등장한다.
9.2. Y-963?
<colbgcolor=#0A0E11> Y-963? Y-963? | |
| |
대미지 | 즉사(추정) |
2025-07-31 Pressure 공식 디스코드 development방에 업데이트 관련 내용과 함께 Y-963?의 컨셉아트 한장이 공개되있다
새로운 그랜드 인카운터의 보스로 추정되며, 외형은 오두막처럼 생긴 뻐꾸기 시계 아래에 새의 다리가 달린 모습이다. 시계판 자리에는 기괴한 새의 머리가 있으며, 안쪽은 살점으로 차 있고 외부는 나무와 같은 재질이 그 살점을 감싸고 있다.
공격 패턴은 평소에는 머리를 뻐꾸기 시계 안에 넣은 채 천천히 걸어다니다가, 시계의 시간이 다 되면 시계가 양옆으로 갈라지며 머리를 내밀고 달려와 잡힌 플레이어를 그대로 물어 뻐꾸기 시계 안에 넣어 거대한 이빨로 씹어먹는 방식일 것으로 추측된다.
Y-963?의 그랜드 인카운터 입장 에니메이션을 보면 중격리실의 거대한문 번호판에 Y-963이라고 써져있고 거대한문은 매우 빠르게 열린다.
여담으로 크기가 거대한지 중격리실에 격리되있다.
9.3. Z-777 / The Jackbot
<colbgcolor=#0A0E11> The Jackbot 잭봇 | |
| |
대미지 | 불명 |
성우 | 불명 |
공개되지 않을 예정이였으나 총 2만표의 투표를 받고 공개된 새로운 적.
슬롯머신 로봇이며, 만성적인 도박 중독에 시달린다고 한다.
성우가 있으며, 목소리만 밝혀졌을 뿐 정확히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꽤나 하이톤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는데, 개발자가 직접 마이클 코바치는 아니라고 못박았다. 현재 팬들은 가장 유력한 후보로 그 유명한 어메이징 디지컬 서커스의 케인 성우로 출현했던 알렉스 로숀일것이라 추정중이다.
10. 폐기된 몬스터
개발 과정에서 폐기된 몬스터들로, Cease를 제외한 나머지 괴물들은 공식 UGC에서 존재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10.1. Screamer
<colbgcolor=#0A0E11> Screamer 스크리머 | |
| |
대미지 | 불명 |
개발 과정에서 폐기된 노드 트래킹형 몬스터. 첫 발표가 Pressure 개발 시작 불과 이틀 후이니, 굉장히 초기부터 기획된 몬스터임을 알 수 있다.
패턴은 앵글러와 쌩판 반대였다고 한다. 앵글러가 사물함에 숨지 않은 플레이어를 공격한다면, 이 녀석은 역으로 사물함에 숨은 플레이어를 공격한다거나 하는 등, 이후 모종의 이유로 한번 폐기되어 Cease로 재개발되게 된다.
여담으로 제작자 Zeal은 이 녀석을 물고기라고 분명하게 언급했으며 암컷이라고 한다. 개발과정에서 폐기되어 정확하게 모습이 그려져 있지 않고 몽뚱그려져 있으나, 눈에서 동공을 찾아볼 수 없는 점과 얼굴이 길쭉한걸 보면 정황상 도끼고기를 모티브로 하고 만든듯 하다.
10.2. Watcher
<colbgcolor=#0A0E11> Watcher 감시자 | |
| |
대미지 | 불명 |
마찬가지로 개발 과정에서 폐기된 몬스터이며 개발 시작 이틀 후에 발표가 된 녀석이다.
잠수이거나 일정 방 이상 이동하지 않은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몬스터였으나 로피가 출시되면서 폐기되었다. 이는 Doors의 드레드와 비슷하다.
여담으로 얼굴의 밝은부분이 Screamer의 얼굴과 동일하다.
다만 이 녀석의 텍스쳐는 로피의 점프스케어에 활용되거나 프리캠으로 막다른 문 뒤에서 확인 가능 및 The Hunted 맵에 이스터에그[382]로 숨겨져있는걸 보아 폐기된 것은 아닌것으로 보인다.
10.3. Angry Angler
<colbgcolor=#0A0E11> Angry Angler 분노한 앵글러 | |
| |
대미지 | 불명 |
게임이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았던 때 Zeal이 언급했던 '하드 모드'에서 흘깃 언급된 몬스터로, 공격이 강화되어서 나오는 것과 불이 깜빡이지 않고 등장한다는 점 외에는 어떤 식으로 강화되는지 등 정보가 알려져 있지 않다.
제작자들이 올린 모델링 테스트 스크린샷에서 스크리머와 함께 조그맣게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10.4. Cease
<colbgcolor=#0A0E11> Cease 시스 | |
| |
대미지 | 불명 |
스크리머가 개발 과정에서 한번 갈아엎어지며 새로 만들어진 몬스터이다. 판데모니움과 함께 이동할때 연기 입자를 내지 않는 녀석이며, 대신 눈 아이콘이 뚝뚝 떨어지는 형태의 이펙트를 가지고 있었다.
패턴은 스크리머와 동일하지만 약간 다르게 움직이는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패턴을 지니고 있었으나, 제작자 Zeal이 "패턴이 너무 지루하다"라고 판단해 결국 정식 출시 전 삭제되었다.
여담으로 이 녀석 또한 물고기라고 한다.
11. 개발자 전용 몬스터
11.1. Runner
<colbgcolor=#0A0E11> Runner 러너 | |
| |
대미지 | 즉사 |
DOORS의 러쉬를 모티브로 한 개체. 전엔 극악의 확률로 출연했었으나, 현재는 관리자권한으로만 소환 할 수 있다. 앵글러보다 공격범위(히트박스)가 조금 더 크다는 점이나[383] 소음이 도어즈의 러쉬와 흡사한 점을 빼면 앵글러와 동일한 개체이며, 점프스케어 또한 일반 앵글러의 점프스케어가 출력된다.
이름인 Runner는 달리는 사람, 도주자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팬 커뮤니티에서 지은 비공식 이름이다. 인게임 파일명은 LegallyDistinctSmokeyFace(법적으로 구별된 연기 얼굴).
원래 무한모드에서 150번방 이후에 생성될 가능성이 있었으나, 업데이트 직후에만 존재했었던 기능이며 현재는 없는 기능이다.
따라서 관리자가 소환하지 않는 한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괴물.
11.2. Ambuscade
<colbgcolor=#0A0E11> Ambuscade 앰버스케이드 | |
| |
대미지 | 즉사 |
DOORS의 앰부쉬를 모티브로 한 개체. 전엔 극악의 확률로 출연했었으나, 현재는 관리자권한으로만 소환 할 수 있다. 원작의 앰부쉬와 달리 눈이 훨씬 크고 어두우며 Pressure 특유의 실사풍 그림체라 더욱 기괴한 느낌을 준다. 출현 시 블리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조용한 소음을 내며 돌진해오며 리바운드를 한번만 진행하는 프로거와 달리 많으면 3~4번, 혹은 그 이상으로 진행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리바운드라는 특성 탓에 프로거의 코드를 기반으로 만든것인지 프로거의 점프스케어가 출력된다.
또한 전체적인 외관은 초록빛을 띄나 붉은빛을 내는 것이 특징.[384]
이름인 Ambuscade는 철자를 약간 꼬았을뿐 Ambush(매복)과 같은 뜻이며, 정확하게는 팬 커뮤니티에서 지은 비공식 이름이다, 인게임 이름은 LegallyDistinctGlitchyFace(법적으로 구별된 오류난 얼굴).
원래 무한모드에서 150번방 이후에 생성될 가능성이 있었으나, 업데이트 직후에만 존재했었던 기능이며 현재는 없는 기능이다.
따라서 관리자가 소환하지 않는 한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괴물.
12. 여담
문서가 있는 공격적 개체에게 사망한 후, 문서를 너무 오랫동안 계속 보고 있으면 세바스찬이 그냥 도로 가져가서 강제로 문서 화면에서 관전/부활 여부 화면으로 넘어간다.세바스찬에게 사망한 경우엔 자신은 경고했다며 문서를 보여주지 않고,사망/부활 여부 화면의 사망 원인에서도 세바스찬의 사진이 아닌 [편집됨]으로 써있다.[385]
[1] 대표적으로 앵글러는 방을 돌진하고 숨을 곳이 있으면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러쉬와 비슷하고 좋은 사람들은 방 번호표를 조작하고 가짜방을 만들어 공격한다는 점과 가짜방 근처 다가가면 괴물의 소리가 들린다는 점에서 듀프와 유사하다.[2] 보통은 2~3번 죽으면 모두 지워지지만, 일부 문서는 1번만 죽어도 모두 지워진다(지뢰, A-60 등)[3] 단, 판데모니움의 경우 전방위를 볼 수 있으며 플레이어를 포착하면 그 쪽으로 이동해온다.[4] 이를 주변의 조명이 빠르게 깜빡인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5] 판데모니움의 경우 살짝 다른데, 오직 비명을 지를때만 이 효과가 적용되며 다른 노드 트래킹 몬스터와 달리 화면 깜빡임 효과의 범위가 굉장히 넓다. 그냥 어느 거리에서든 판데모니움이 플레이어를 마주치기만 해도 화면이 깜빡인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6] 속도 순: 블리츠 > A-60 > 앵글러 = 핍스퀵 > 프로거 > 핑키 > 판데모니움 = 하빈저 >>> 체인스모커[7] 릿지는 애초부터 어둡고 무한 모드는 불이 모두 꺼지기 때문.[8] 이걸 이용하여, 4~5방 진행 후 정지->이전 4~5개 방 안의 무적존 찾기 방식으로 느리지만 안전한 락커리스를 할 수 있다. 물론 The Ridge에선 이 노드타임이 매우 불안정해지므로 The Ridge에선 사실상 운빨이다.[9] 앵글러 자체 스폰률이 아닌 변종들중 무엇을 스폰할지 결정하는 확률[10] 가끔 2~9번 방에서 첫 앵글러가 등장할 수도 있고 드물게는 20번 방을 넘겨서도 안 나올 수도 있다.[11] 이때 숨을 공간이 없어서 문을 열고 나아가다가 하필 앵글러가 앞에서 오고 있다면 문을 열자마자 앵글러가 반겨주는 뭣 같은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12] ![파일:릿지 연출.png]()
리디자인 이후에도 이전 버전의 앵글러가 지나갔으나, 현재는 리디자인 이후의 앵글러가 지나간다.[13] 딱히 큰 설정은 없고, 개발자가 그냥 멋있어보여서 추가한 기능이라고한다.[14] 신기루. 또한 미라지는 침수 구역 여부 상관 없이 침수 구역의 앵글러의 소리를 낸다. 여담으로 모습은 그냥 평범한 하얀 안개.[15] 심지어 이 경우엔 벽도 뚫는다(...)[16] 이전보다도 더욱 주름이 많아져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17] 서양권에선 Guy는 대부분 남자를 호칭하는 대명사다. 후술할 블리츠, 체인스모커도 참고.[18] 호러 게임 Iron Lung의 오마주. 특히 Iron Lung의 마지막이 아귀의 점프 스케어로 끝나는걸 감안하면 거의 의도.[19] 독일어로 번개라는 뜻. 2차대전 당시의 전격전을 뜻하는 어원이기도 하다.[20] 원래는 전등이 두 번 깜빡였으나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이후 전등이 조금 더 오래 깜빡이는 것으로 패치되었다.[21] 사실 존재하기는 하나, 시력을 잃은듯이 동공에 생기가 없다.[22] 사망 보고서에 의하면 CCTV의 프레임에서도 잡히지 않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인게임에서도 웬만한 방에서 출현하면 다가오는 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고 공격소리 조차 2초 내로 사라진다. 따라서 풀버전은 위키 같은 곳에서 들을 수 있다. 심지어 개발자가 언급하길 희귀 괴물인 A-60보다도 빠르다고 한다.[23]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전에는 전등이 2~3번 깜빡였다.[24] 전술했듯이 블리츠의 속도는 매우 빨라서 캐비닛에 일찍 들어가도 방출 되기 전에 블리츠가 지나간다.[25] 개발자 Zeal도 이 녀석을 'Guy'라한다.[26] 블리츠가 도착하기 1.3초 정도 전에 생겨난다.[27]![파일:BlitzDeathWiki.webp]()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면, 이런 느낌이다. 사진 위에있는 문양들은 전등이 깨져 스파크가 튀는 것이다.[28] 러쉬와는 다르게, 블리츠는 시간차 점프 스케어가 아니어서 깜짝 놀래키는 경우는 없다.[29] 오히려 앨퉁이와 친척이다.[30] 음성을 표현하자면 흐아아아악하는 소리다.[31] 찢어지는 듯한 얇고 기괴한 굉음소리를 낸다. 전형적인 '끼아아아악' 소리다.[32] 하지만 대부분의 방이 환경음을 기본 옵션으로 달고있기에 알아챘을 때 거의 다 와있는 상태인게 대부분.[33] 이 버그는 컴퓨터 사용자명이 한국어로 되어있다면 걸린다. 이 버그에 걸린다면 로블록스 내의 모든 게임에서 음악 파일로 지정된 사운드를 들을 수 없다.[34] 다만 속도가 빠르지 않다는 것이지 절대로 느린 게 아니다.[35] 잘 들어보면 핑키가 가장 굉음소리가 가늘며, 암컷 초롱아귀에만 존재하는 초롱불이 달려있다.[36] 씬벵이의 영문명이 Frogfish이다.[37] 음성을 표현하자면 돌진할 때 흐아아아아악, 리바운드 할 때 쿠워어어어어[38] 개발자가 프로거는 암컷이라고 말한적이 있는데, 초롱불은 암컷 초롱아귀에게만 달려있는 기관이라 그런듯.[39] 실제로 대부분 많은 초보 플레이어들이 다시 안오는줄 알고 나와서 다음 방을 가다 다시 오는 프로거를 만나 죽는 경우도 있다.[혐주의]
[41] Iron Lung에서 등장하는 '인간의 혈액으로 이루어진 바다'의 패러디다, 설명 또한 Iron Lung 세계관을 요악한 듯한 문장이다.(죽어가는 별들의 바다에서 헤엄을)[42] 얼마나 느리냐면 플레이어가 SPR-INT를 "1개"만 사용해서 달려도 체인스모커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는 정도이다. 아예 이 점을 사용해 릿지에서 스모커가 올 때 SPR-INT로 매우 빠르고 보다 안전하게 다음방으로 가는데에도 가끔 쓰이기도 한다. 노하이딩 배지를 클리어할 때 특히 자주 쓰이는 편.[43] 앵글러의 변종들 중 가장 심하게 원본에서 뒤틀린 경우로, 앵글러의 변종들의 공통점이였던 빠른 속도나 뾰족한 이빨, 빛나는 안광 등은 하나도 없이 눈알이 존재하지도 않으며, 속도도 느려졌고 이빨 또한 전부 사라졌다, 또한 다른 변종들과 원본 앵글러에게는 존재하지 않던 코까지 생겨났다.[44] 그림 담당자인 SearingCircuts의 말에 따르면, 체인스모커는 흉악하고 병들어보였어야 하기에 실제 블롭피쉬를 모티브로 삼아 그렸다고 한다.#[45] 구버전에선 입에서 나오는 연기는 통짜 이미지, 뒤에 따라오는(남는)연기는 이펙트였다.[46] 아마도 체인스모커의 위장 내부 또는 환각으로 추정된다.[47] 오랫동안 이 공간에 있을 경우, 거리가 얼마나 되던 상자가 열리며 죽는다.[48] 근데 이게 로블록스의 검열에 걸린다. 때문에 배지 설명도 연기를 내뿜는 그것에게서 살아남기(...)[49] 대명사 Guy는 복수형일땐 여성 남성 모두 지칭하는 표현이지만 단수형일땐 남성을 지칭한다.[50] 모티브된것으로 추정되는 로블록스 장신구가 있다[51] 이름을 직역하면 대혼란. 숨어있는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몸을 미친듯이 들이받으며 미니게임을 진행하는 이녀석에게 어느 정도 들어맞는 이름이다.[52] 미니게임을 성공할 경우 죽이지 않고 그냥 떠난다.[53] 이 지역에서 한번 소환되면 두번 다시 등장하지 않는다.[54] 유기 분자와 합성 고분자, 인공적인 금속과 미량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55] 초기엔 원래 전등만 깜빡였으며, 시설 내부에 울려퍼지는 전조는 Worth The Wait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또한 이는 수중에서 소리가 먹먹해지지 않는다.[56] 블랙사이트, 릿지[57] 이에는 모든 변종이 포함되기에 전조가 없는 핑키가 나올 수도 있으므로, 미니게임 이후로도 방심하지 않고 귀를 기울이거나 전조를 잘 볼 것. 극히 낮은 확률로는 판데모니움 출현 후 바로 핑키가 출현하고 그 후에 또 핑키처럼 불 깜빡임 전조가 없는 A-60까지 오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58] 굳이 음성을 표현하자면 끼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엑 정도. 앵글러와는 차원이 다르게 시끄럽다.[59] 엄청나게 시끄러운 소리를 묘사한듯, 화면이 어두워졌다가 밝아졌다를 빠르게 반복한다.[60] 이때 문근처에 있는 캐비넷에 숨을 준비를 할경우 판데모니움이 문을 통과해서야 엄청난 괴성을 지르고 바로 오기때문에 되도록이면 문에서 떨어진곳에 숨는걸 추천한다[61] 한번 포착되면 플레이어를 죽일 때까지 쫓아오며, 벽을 뚫고 손쉽게 쫓아오기 때문에 도망칠 수 없다. 이 때문에 인증된 광대(우리 이거 가능한지 테스트 안 해봤는데)배지를 깰 때 상당히 거슬리는 괴물.[62] 시각이 있는 것과 달리 비계 또한 앞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어 판데모니움은 플레이어를 보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간다. 반대로 창문이 가득한 아쿠아리움 구역은 시야가 전혀 안 가려져서 다가오고 있던 판데모니움이 포착하고 노클립으로 쫓아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63] 이때 위에 서술한 사운드 트랙 중 하나를 랜덤으로 재생한다.[64] 플레이어 발견 시 눈이 생기며, 날카로운 비명을 지른다.[65] 판데모니움이 올 때 소리를 잘 들어보면 Iron Lung의 OST 중 하나인It Wakes가 들린다. 사실 노래라기보단 금속 삐걱거리는 소리가 전부다.[66] TMI지만 판데모니움 무적자리에 숨고 사운드 시각화 설정을 키면 판데모니움이 올때는 빨간색이 점점 선명해지지만 판데모니움이 사라질때는 빨간색이 그냥 갑자기 사라진다. 앵글러 시리즈들은 사라질때 사운드 시각화의 색이 점점 희미해져서 사라진다.[67] 설정상 시설 내부의 모든 캐비닛은 방탄 재질의 튼튼한 강철이기 때문에 부수지 못하고 들이받는 수준에서 그치며, 버티는 것에 성공하면 그냥 돌아간다.[팁] 감도를 높혀 빠르게 커서를 원 안으로 복귀시킨다면 비교적 쉽게 미니 게임을 클리어할 수 있다.[69] 다만 너무 어이없게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지는 몰라도 판데모니움은 플레이어를 잡기 직전에 1초 동안 기다려주고 나서 죽인다. 따라서 너무 늦게 들어가더라도 죽을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70] 흰 원과 다르게 게이지가 오히려 감소한다.[71] 사실 더 정확하게 설명 하자면, 릿지 다리에 도달하기 전에 노드 트래킹이 스폰되었을때 먼저 릿지 다리쪽으로 달려가 확인해보면 반대편 다리에서 나오는 식이다. 예시[72] 특히 Knock Knock 사운드 트랙은 서치라이트 1,2차전 브금과 함께 조회수 3위안에 들정도로 굉장히 인기가 많다.[73] ㅏ의 세로막대 부분이 통로일 경우[웅크리기한정] [75] H부분이 통로일 경우[76] 어느 방이든 이동 경로에서 플레이어가 보이는 위치가 아니면 절대로 보지 못한다. 특히 수중에서 가장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엄폐물로, 비계 뒤의 플레이어를 보지 못하는 반면 플레이어는 느린 판데모니움을 봐가면서 위치를 이동하면 안전하게 피할 수 있다.[77] 여러 개의 얼굴을 가진 괴물[78] 대략 말하자면 앵글러와 그 변종들, 판데모니움 등 노드 트래킹형 몬스터가 한번 출현하면 일정 시간동안 해당 개체는 물론이고 다른 노드 트래킹형 개체들 역시 절대로 출현하지 않는 일종의 타이머가 존재하지만 A-60은 그걸 무시하고 아예 같이 나타나거나 다음 방에서 바로 나타나는 것이 가능하단 소리다. 다행히도 다른 노드 트래킹 개체와 마찬가지로 불이 꺼진 방에서는 스폰되지 않는다.[79] 대사와 행적상 제 4의 벽을 깨고 공간을 넘으며, 다른 게임으로도 순간이동할수 있는듯하다.[80] 업데이트 전에는 50번 방 이후였다.[81] 룸즈에서의 그 손전등이 맞다. 물론 여기서는 조금 더 강화됨 성능을 보여준다.[82] 이 현상은 주로 개발자나 유저들이 원자화(Atomized)라고 부른다.[83] 속도도 빠르고 얼굴도 너무 빠르게 변하기에 완전히 보긴 힘들지만, "계속해서 바뀐다" 정도는 확실하게 체감할 수 있다.[모든얼굴] ![파일:Multimonster_ALLFACES.webp]()
중간중간 판데모니움과 하빈저를 제외한 모든 노드형 괴물, A-200, DOORS에서의 모습, DOORS의 팬 괴물인 Depth, 오른쪽 제일 하단에 Stairwell 87등 여러 괴물들의 모습이 보이는 것을 보면 정황상 얼굴이 여러 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여러 괴물들의 얼굴을 모방하려 하는 듯 하다.[85] 그도 그럴것이 0.1% 확률로 매우 희귀하게 출현하는 개체인데다 중격리실에서 문서가 있는 방까지도 상당히 희귀하니...[86] 변경 이전 이름은 Death Angel(데스엔젤, 죽음의 천사.), 이름이 바뀐 이유는 Four point Five 패치로 등장한 밴랜드의 저승사자 '종말의 숙녀(Lady Death)'와의 혼동 방지를 위해 이름을 바꾼것이라고 한다. 이후 이 이름은 하빈저의 등장 OST의 제목으로 재활용 되었다.[87] 사물함과 서랍장이 마구 열렸다 닫히는 현상을 말한다.[88] 어드민 전용 개체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하게 말하자면 어드민 코드가 없어도 동작하는 몬스터이며, 일반 게임에서 조우하기 매우 힘든 이유는 무한 모드에서만 출현하고 노드 타임이 적용되지 않아 방의 문을 열어야만 스폰되는데다 200번 방까지 지나와도 안 나올만큼 확률이 터무니없이 낮아 A-60보다도 목격담이 적다.[89] Man01 이라는 유저가 최초로 살아남았다.#[90] 하빈저가 디스폰할 시 멈춘다.[91] 이 때 스폰되며, 문이 무조건 잠긴 상태가 된다.[92] 실제로 이동하는 모습을 자세히 보면 플레이어가 멈췄던 위치를 통해 길을 찾는다. 이 개체와 조우 시 어마무시하게 어려운 미니게임 난이도 때문인지 사망이 거의 확정인 만큼 최소한 부활은 무료로 할 수 있게 해준다. 당연하게도 리서치와 배터리는 모두 정산/소멸한다.[93] 그래서인지 이러한 컨셉이 정해지기 전에 잡힌 초기 앵글러의 얼굴을 보면, 오히려 아귀보단 그냥 원 형태의 괴물에 가깝게 생겼다.[94] 완전히 투명해져 보이지 않게되니 마우스 커서를 아무 위치로 빠르게 저어서 게이지를 채우는것이 좋다. 다행히 원이 투명해지는 동안은 게이지 감소 속도가 대폭 느려진다.[95] 닿자마자 바로 체력이 0이 되고 사망한다.[96] 작업등을 눈에 비출 시 비춘 횟수에 비례하여 대미지가 증가한다.[97] 관리자를 흉내내는 목소리. HQ를 흉내내는것이기에 성우가 같다.[98] 인형 홍보 영상 한정.[99] 이는 원문에서 PDG가 아닌 RDG라고 말하는데, 진짜 HQ가 아닌 아이페스테이션이기에 잘 알지 못하는 것인지 단어 하나를 틀려서 말한다.[100] 플래시 비콘을 사용했을 때.[101] 플래시 비콘을 또 사용했을 때.[102] 연속 출현을 막기 위해 최소한 방 1개는 아이페스테이션이 스폰되지 않도록 적용된다. 다만 운이 좋지 않으면 1개를 지나자마자 바로 다음 방에서 나타난다. 또한 창문에서 출현하기에 스퀴들즈처럼 앵글러보다 먼저 스폰된다.[103] 격분하지 않은 경우(초록색) 응시 직후 약 1초간은 피해를 주지 않고 데미지 이펙트와 소리만 낸다.격분 시엔 얄짤 없다.[104] 특히 The Ridge에선 사플로만 노트 트래킹 몹을 피해야 하는데 격분시켜 놓으면 시끄러운 노래가 나와서 사플을 매우 방해한다.[105] Throw down the gauntlet이라는, 중세 시대 상대에게 결투를 제안할 때 장갑을 던지던 행위에서 따온 관용 표현의 준말일 확률이 높다. 이는 누군가에게 결투 또는 시련을 제안할 때 사용되기에 더더욱.[106] 15초지만 숨으면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숨어있으면 문을 잠근 개체가 얼른 나오라고 화를 낸다.[107] 변종도 있었는데, 분노한 아이페스테이션(붉은색)도 있었다.[108] 이는 스퀴들즈에게 광원을 비추지 않고 오랫동안 가까이 있다가 공격받았을 때만 나타나는 보고서다.[깜놀주의] ![파일:squiddles_jumpscare.gif]()
순간적으로 화면이 하얗게 번쩍하고 사라지는 것이 프레디 시리즈의 팬텀 애니매트로닉스를 연상케 한다.[110] 작업등의 경우 빛의 지속시간이 짧아 공격하지 못하는 것에 가깝다. 이 덕분에 릿지에서 작업등이 큰 활약을 한다. 블랙라이트는 완전히 반응하지 않지만 비추는 거리가 상당히 짧고 어둡다.[111]
[112] 이 개체에게 공격당하면 진짜 트롤페이스 이미지를 띄운다.(...)[113]
위 2개에 비해서는 상당히 자주 보이는 편이다.[114] 바로 대미지가 들어오지 않고 끊어서 3번씩 총합 20대미지로 들어온다.[115] 이 물질은 산과 비슷한 특성을 가졌으나 안정적인 탓에 총알에 코팅되어 고관통탄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한다.[116] 낮은 확률로 노란색, 빨간색, 초록색 등 다른 색의 개체들도 출현한다.[117] ![파일:살짝 더럽다.png]()
이 때문에 캐비넷 앞쪽을 걸으면 철퍽하는 물 소리가 난다.[118] 단, 이 방법은 판데모니움이 오는 경우 사용할 수 없다. 앵글러와 그 변종들과는 다르게 판데모니움은 잡히는 중이던, 이미 잡혀서 들어가졌던 무조건 괴성을 지르며 달려와 즉사시킨다.[119] 범위가 꽤 큰데다 넉백되면 오랫동안 래그돌 상태로 지속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120] 물론 장식이어서 가까이 가도 공격하지 않는다.[121] 라틴어이며, 뜻은 '주님의 뜻이 이루어지소서'.[122] Hanger. 통칭 행어라고 불리며 원작에서는 원거리에선 정신 공격 이벤트, 근거리에선 칼로 쑤셔대는 패턴을 지닌 적으로 등장한다.[123] 차이점으로는 상상친구는 제 3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구속자는 제 3자에게도 보인다. 그래서인지 상상친구는 문서에 사진이 존재하는 대신 해당 괴물을 목격한 사람들의 증언으로 그려진듯한 그림이 있는 반면 구속자는 멀쩡히 사진이 존재한다.[124] 이는 원작에서도 동일하지만, 미니게임을 진행하지 않고도 행어가 자신에게 근접하기만 하면 메세지가 출력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125] 원작에선 RESIST THE INFLUENCE(영향력에 저항하라) 라는 문구가 등장하며, E를 연타해 행어의 정신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QTE에 실패하면 사망한다.[126] 이때 총을 집어든 플레이어가 아니더라도, 다른 플레이어가 행어 근처에 있었다면 행어는 그 플레이어를 공격하므로 주의 하자.유령모드인 플레이어도 공격하는건 덤 물론 다른 플레이어는 이속이 기본속도여서 행어의 칼을 피할 수 있기에 잘만 하면 행어가 팀원에게 다가가는 것을 저지하여 시간을 끌어줄 수 있다.[127] 대미지는 25로, 풀피 기준 4번 찔리면 죽는다. 칼을 휘두르는 속도는 그렇게 빠르진 않지만 자신의 연타 속도가 느린 경우 주의할 것.[128] 같은 제작자의 게임들이였던 Untitled Melee Game, Survival Of the Fittest의 배경이기도 하다.[129] 0번방 서랍에서 리디머 리볼버가 나올 경우 가능하다.[전신_모델링]
[131] 릿지에선 이 숨소리가 엄청나게 커져서 구분하기 쉬워진다.[사진] ![파일:Good_people_door.gif]()
이걸 보는게 가장 빠르면서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최근 이 줄의 밝기가 조금 낮아졌다.[133] 진짜 얼굴뿐만 아니라 '>:(' 같은 얼굴, 이와 반대로 '>:3'같이 이모티콘도 존재한다.[134] 이 특성을 살려 어반셰이드에서는 사보타주 전용 병기로 사용했다고 한다.[135] 화가를 뜻하는 Painter에서 ai를 인공지능의 AI로 바꾼 말장난.[136]![파일:Painteringame.png]()
사진에선 눈과 입이 크고 선이 불규칙하게 그려졌지만, 인게임에선 눈과 입의 선이 조금 일정하게 그려진 모습으로 등장한다.[137] 중격리시설 중 ㅜ자 부분 중의 ㅡ자 부분의 방 안에 Z-779가 있다.[138] 그 전에 페인터가 나왔다면 다시 나오지 않는다.[139] 어쩌다 보니까 이런 게 만들어졌으며 자신도 이게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른다고 답했다. 그야말로 문맹의 현자.[140] 다만 고문치사는 아닌 게, 옆에 있던 경비원이 넘어지면서 들고 있던 총 개머리판이 머리를 가격했다고 한다.[141] 페인터도 자신의 창조자인 이 유저를 많이 그리워하는데, 어반셰이드가 페인터의 시스템을 조작했는지 페인터는 이 유저가 자신의 창조자임을 알고있으나 그의 얼굴이나 이름 등을 전부 기억하지 못한다.[142] 어반셰이드의 극악무도한 행적으로 보았을 때, 사람 하나 고문해 죽였다고 강등 시킨 게 아니라 귀중한 정보 제공원을 죽여서로 추정된다.[143] 업데이트로 대사까지 출력된다. 대부분 창밖을 보라는 내용이다.[144] 1931년에 작곡된 덴마크 노래이며, 그냥 들으면 평범한 노래지만 하필 재생되는 장소가 시끄러운 괴성을 지르고 다니는 괴물들이 생성되는 The Ridge인데다 문 열리는 소리, 플레이어 소리, 괴물들의 소리를 제외하면 아무 소리도 안나는 어두운 곳에서 이상한 노래가 울려퍼지는건 오히려 기괴하게 느껴질 수 있다.[145] 세바스찬은 플레이어와 거래해 어반셰이드의 정보를 모아 탈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마 크리스탈이 빠르게 탈환되면 더 이상 블랙사이트에 플레이어를 보내지 않을 것이고, 정보를 더 이상 얻을 수 없어서 이와 같이 행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6] 이로 인해 우울증에 걸려 여러번 본인 회로를 태워가며 자살시도를 했다고... 이에 일주일에 한번씩 지상에 올라가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계약을 맺었다 한다.[147] 그 직전에 하는 대사는 대부분 플레이어에게 애원하거나 살려달라고 비는 대사지만, 플레이어를 비꼬는 대사 또한 존재한다.[148] 이후 세바스찬의 상점에 가보면 음악은 기괴하게 늘어져 있고 세바스찬이 사라져있다. 또한 이때 부활을 시도하면 “You are not welcome”(당신은 환영받지 않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나오며 부활할 수 없다.[149] 다른 플레이어와 같이 플레이 하고 있을 때, 한 플레이어가 세바스찬의 상점에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플레이어가 페인터를 죽이면 무전기로 페인터가 죽기 직전 유언을 남기는 소리가 들리며, 세바스찬은 그걸 가만히 듣고 있다가 갑자기 상점에 있는 플레이어를 죽여버린다. 상점 방이 사라지지 않았을 때 상점에 아무도 없다면 페인터를 사살한 플레이어를 죽여버린다. 당연히 이 경우도 부활 불가.[150] 5.56×45mm NATO와 규격이 동일하다.[151] Small stud, 그냥 mm로 보면 편하다.[152] 터렛이 있는 방의 문을 열 때, 터렛에 의해 누군가 사망할 때, 배전반을 내려 터렛을 비활성화할 때.
한가지 인상깊은 점은 터렛이 추가되던 Friendly Fire 업데이트 초기엔, 터렛 방의 문을 열때마다 페인터의 안내방송이 확정적으로 송출되었으며, 터렛 방의 확률로 엄청나게 흔했던 시기라 터렛을 지나면 또 터렛이 등장하고 페인터의 목소리는 여러개가 겹쳐 들리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153]
[154] 플레이어나 드웰러의 시체도 예외는 아니다...[155] 이를 이용해 힛리스 챌린지를 할 때, 또는 안전하게 배전반에 가고 싶다면 포탑에 일부러 걸리고 숨는 걸 5번 반복하면 된다.[156] 의외로 한번 건드린 후에 스킵 버튼을 누르고 콘솔을 2번 건드리면 총알에 맞기 전 탈출해 살 수 있다.[157] 플레이어를 죽일때 두번 물어뜯는데, 물어뜯는 대미지가 25씩 들어오다가 마지막에 즉사한다. 또한 체력이 50 이하여도 즉사하기 전엔 무조건 체력이 1은 남기에 물어뜯는 것으로는 사망하지 않는다.[158] 인게임에서 멀티 플레이라면 시체 그대로 남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이 혼자라면 바로 뜯어먹으나, 여럿이라면 뜯어먹기 전에 전부 죽이는 습성을 보인다는 설정 때문. 이를 입증하듯 물어 뜯길 때의 소리도 솔플은 그냥 뜯어먹는 느낌이라면, 멀티에서는 산성 소리가 나며 죽이기만 한다는 느낌이다.[159] 버그 때문에 가끔 멍청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160] 청각 장애인 모드를 키면 화면 중앙에 걸음 소리가 표시 되는데 이걸로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다.[161] 환풍구, 수족관의 물, 다른 괴물, 파이프 퍼즐 소리 등등[162] 사실 신체구조를 보더라도 전투에 적합한 체형은 아니다. 직립보행의 인간형 신체인데 정작 공격이나 가드에 필요한 팔이 없고, 유일한 무기인 머리도 일어서서 물기엔 너무 짧은데다 내구도도 그다지 좋지 않으니 무술에 당하기 딱 좋은 체형이다.[163] 두개골이 파괴되면서 채내에 있던 산이 몸에 퍼졌거나, 아직 체내에 전기신호가 남아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64] 소음이 더 적어서 알아채기 어려운 바리에이션이다. f9를 눌러 콘솔 로그를 확인하면 나오는 방인지 확인할 수 있다.[165] 팔이 없다는 것, 물어서 공격한다는 것이 유사하다.[166] ![파일:wall dweller i guess.png]()
개발자가 공개한 스케치에 따르면 현재의 모습과는 달리 엄청나게 거대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직 스케치만 공개되었기에 추후 바뀔 수도 있는 부분.[167] 입이 막혀있는듯한 웅얼거리는 울음소리를 낸다.[168] 이 울음소리는 한 팬이 만든 것으로, 공식에서 제작한 사운드가 아니다.[169] 설정상 바텀피더의 피는 마비 효과가 있으며, 이를 이용해 자신을 잡아 먹으려는 물고기들을 마비시켜 영양분을 빨아 먹는 형태라고 한다. 꼬리쪽에 달려있는 물고기들은 전신이 마비되었고 부패도 진행됐지만 아직 살아있다고 하는데, 바텀피더가 섭취한 영양소를 숙주들에게 배부하고 있는 원리로 살아있는 것.[170] 3번째 물고기는 갈기에서 빛이 나지만 다른 괴물들의 모습을 보면 이정도는 그냥 평범하다.[171] 마침 둘다 모티브가 민달팽이고 빠르게 돌진하며 공격한다. 다만 2024년 8월에 만들어진 바텀피더의 초기 디자인이 공개됐고 Grace의 제작 날짜는 2024년 9월이기에 영감을 받은 것이 아닌 우연인듯 하다.[172] 세바스찬의 언급으로 약 35스터드, 9.8m이다.[173] 다만 스퀴들즈는 출연하지 않으니 조명을 켜도 된다.[174] 이는 추격전 테마의 제목, 관련 업적의 이름과 동일하다.[학명] [176] 공격당하면 다리를 물리고, 반대쪽 다리로 흉물의 머리를 차 뿌리치는 모션이 나온다.[177] 아프리카 하마와 비슷한 크기라고 하나, 이는 개조 시술 전 원래 크기로 추정되며 위의 사진을 보면 티라노사우루스를 훨씬 능가하는 거대한 크기를 지니고 있다. 흰긴수염고래만한 서치라이트와 조금 더 작은듯.[178] 빛에서 멀리 떨어지면 기생충도 나오니 주의. 또한 굳이 넓은 공간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이 너무 앞서가서 본인이 뒤쳐졌다면 통로 구간에서도 돌진 패턴을 시전하므로 주의하자.[179] 물론 폭발에도 견디는 맷집을 고려하면 그대로 도망쳐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높은데, 실제로 리프트 아래를 보면 다른 통로가 구현되어 있으며 흉물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무너진 리프트의 자리는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180] 그래도 죽지는 않기 때문에 안심해도 된다. 적어도 1은 남기 때문. 또한 "노히트" 챌린지를 도전할 때는 굴러떨어져서 받은 피해는 히트판정으로 치지 않기에 안심해도 된다.[181] 패치 이전엔 구급상자를 줬었다. 물론 구급상자를 이미 하나 가지고 있었을 경우 오히려 지금 구급상자를 써버리고, 더 좋은 페리테센을 챙겨두는 전략도 쓸 수 있다. 하지만 구급상자가 없는데도 페리테센을 챙겨두려고 할 경우 최소 1, 최대 50이라는 굉장히 적은 체력으로 구급상자를 찾아다니며 생존해야하기 때문에 너무 무리하게 행동하진 말자.[182] 설정 변경 전에는 주민들에게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절멸시켰는데, 비윤리적인 어반셰이드의 행동방식과 동떨어진 묘사 때문에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183] 무려 프로펠러 같은 구조물에 부딫쳐도 멀쩡하거나, 폭발에도 거뜬히 살아남는 신체능력을 가지고 있다. 속도의 경우 육상에서도 시속 27km로 코끼리처럼 빠르게 달릴 수 있다. 수중에서의 속도는 최대 █████스터드라고 하는데, 1스터드는 28cm에 모자이크의 수가 5개이므로 1만스터드로 잡아도 최소한 시속 280km의 속도로 추격하는 셈이다.[184] 심지어 이 버그가 클라이언트로 일어나는 버그인 것인지 다른 팀원은 살아있는데 자신만 즉사해버리는(...) 경우도 생긴다.[185] 총 4대가 있고 루시를 포함한 다른 트렌치블리더들은 낮은 확률로 다른 방에서 만날 수 있다.[186] 1스터드는 약 28cm이다.[187] 에펠 탑과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크기가 300m이므로 트렌치블리더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188] 인게임 단일개체중 가장 크다.[189] 울트라킬에 나오는 1000-THR 어스무버와 굉장히 닮았다.[190] 발 끝을 위로 해서 보면 아래의 배치다.
⠿⠿⠿
⠿[191] 이때 서치라이트가 트렌치블리더 발보다 압도적으로 작은것을 볼수 있는데 조명 묶음 한개정도의 크기밖에 되지 않는다.[192] 해석하면 레몬얼굴(...)-[193] 1차 보스전에 도달할 때 탐색하는 빛이 죽은 시체를 갈고리로 끌고가 잡아먹는 컷씬을 보고난 뒤 보스전이 시작된다.[194] 왼쪽 어깨에 작살이 박혀 45의 대미지가 들어오며, 그것을 빼낼 때 15 대미지가 들어와 총합 60의 대미지를 입는다.[195] 현재 체력이 60 이하인 경우, 배에 작살을 꽃아 끌어올려 즉사한다.[196] 눈이 4개에 꼬리는 3개, 갈고리는 6개인데다가 입은 또 하부에 위치해 있다. 바텀피더 같은 바닥에 서식하는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 특화된 듯.[197] 닿더라도 작살을 피해 빠르게 빛을 벗어나면 된다만 빛에 닿으면 빛이 플레이어를 추적하니 조심하자.[198] 거의 팔을 뚫어버리는데 그냥 주먹질만 하는 디바인에게 더 큰 대미지를 입는것을 보면 의아하다.[199] 25/7/24 패치 이전엔 서치라이트에게 걸릴 경우 이 모션이 나오며 무조건 즉사했다.[200] 일반적인 생물과는 다른 눈을 지녀 빛을 투사하는 레이캐스팅으로 먹이를 관찰하며, 빛이 닿지 않으면 전혀 보지 못한다. 여기에 시야각이 생각보다 좁은것이 한 건 한듯.[201] 나무판자는 아예 작살을 꽃았다 다시 올려서 바로 부숴버리지만 컨테이너의 경우는 재질이 강철이기도 하고 부피가 판자보다 더 커서 그런지 작살로 천장을 3번씩 꽃아서 부수느라 시간이 좀 걸리므로 부수고있을때 빠르게 도망치자. 하지만 캐비닛은 부수지 않는데, 아마 설정상 방탄 재질이여서 그런듯 하다.[202] 어깨에 꽃혔다가 빼도 무조건 배에 꽃혀있다.[203] 물론 엔딩 인카운터와 달리 수중이 아니므로 작살에 걸리면 이동에 약간의 제약이 생겨 시도하기 어렵다.[204] 바닥 부분으로 내려가면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통로로 비교적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다.[205] 순서가 랜덤인 것이지, 무조건 한 판에 한 번 이상은 등장한다.[206] 보라색 키카드 리더기가 있기는 하나 문 한 짝은 박살나있고 나머지 한 짝도 키카드 필요없이 그냥 열린다.[207] 이 경비원의 시체는 분명 봉쇄가 시작되기 전 대피 경보가 울렸을것인데 왜 아직 이곳에 남아 사망한 상태인지는 불명이다. 특히 시설 내부엔 남아있는 시체나 사람이 아예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더욱 의문을 가지게 한다.[208] 시야에 잡힌 상태로 나무판자에 숨으면 판자를 부숴버리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또한 컨테이너 안에 숨으면 컨테이너를 부숴버린다.[209] 이때 페인터를 구출한 상태라면 서치라이트는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발전기를 고쳐야 하는건 똑같다.[210] 해당 구체는 중력을 반전시킬 수 있는 특수한 물건이지만,비용을 비롯한 여러 문제로 달 정거장은 폐쇄된 상태이다. 이 덕분에 물속에 사는 서치라이트가 돌아다닐수있다.[211] WTW 업데이트로 패치된것으로 추정되었으나, 현재도 존재하는 버그로 확인.[212] 이는 2차전 사운드트랙의 제목이기도 하다.[213] 진입한 문 기준으로 왼쪽 아래 계단을 타고 내려가면 엔진처럼 보이는 구조물과 선반이 있는데, 여기서 가장 안쪽에 있는 선반에 외부 격퇴 시스템 문서가 있으니 꼼꼼히 살펴볼 것.[214] 이 고글은 체력이 몇으로 떨어지던 깨지지 않는다.[215] 무전기가 장착된 고글을 장착하지 않았다면 보스전 내내 안내를 해주는 HQ와의 통신이 두절된다.[216] 그렇기에 서치라이트가 많아지기 전에 안쪽에 있는 발전기보단 먼저 위에 있는 발전기들을 고치는게 좋다.[217] 업데이트 후 이제는 수리가 완료된 대포를 몇 발 쏜다. 이펙트와 찢어지는 소리가 압권.[218] 엔딩이 코앞이여서 그런지 루시의 발 밑에 있어도 사망하지 않는다.[219] 시설에서 HQ가 말하길 이는 루시의 독자적인 판단 하에 내려진 움직임이며, 이는 명백히 옳은 판단이였다고 한걸 보아 루시도 NAVI A.I 같은 고성능 인공지능이 탑재된 것으로 보인다.[220] 이 때문인지 사운드트랙 댓글에 War Without Reason 관련 드립이 많다.[221] 해골을 나타내는 Skeleton과 음색, 음조 등을 나타내는 tunes를 합친 언어유희인 듯.[222] 말만 최종보스지 대미지도 없는 사실상 장식. 체감상 최종보스는 대미지도 주면서 최대 2마리까지 스폰되는 경비원이다.[223] The Raveyard 전광판 중 꺼져있던 G를 켜 The Graveyard(무덤)으로 만들어 이 녀석도 다시 관짝으로 보내버린것.[224] 이때도 껴서 못 나오는 경우도 있다(...)[225] 이 때문인지 스코틀랜드 억양이 있다.[226] 말이 좋아 쫓아내는 거지 사실상 때려 죽이는 거에 가깝다. 하는 말이나 행동만 보면 바운서.[227] 얼마나 무겁냐면 대략 바다악어의 두개골 무게와 동급이다. 몸길이도 웬만한 중대형 공룡에 맞먹을 정도.[228] 결코 꺼지지 않는 양초는 휴계실에 두었다고 한다.[229] 직역하면 "촛대 짐승" 정도이다.[230] 게다가 이 변종은 빛을 비춰도 느려지기만 한다.[231] 폭주 시 파란빛으로 빛난다.[232] 폭주 상태 시엔 파란 불꽃이 붙는다.[233] 이름이 너무 길어서 보통 문서 추가 이전 이름인 "크루키드"로 불리는 편이므로 프로필 이름은 이렇게 서술한다. 이름인 Crooked는[234] The Hunt 기간 후반동안은 20[235] 입고 있는 옷은 어반셰이드의 경비원의 옷이다. 베레모를 쓰고있는데, 어반셰이드의 근위대 중에도 꽤 고위 요원이였던것 같다.[236] 철조망 너머로 보여도 장애물 판정이기에 조심해야한다.[237] 플레이어의 입장에선 체급과 힘의 차이 때문에 매우 위험한 행동이나 다름없지만, 정작 자신의 행동이 위험한 행위인지도 모르는지 때려놓고 별거 아니라는 듯 태연하게 먼저 손을 내밀고, 플레이어도 그걸 잡고 일어난다.[238] ![파일:Crooked_Password.webp]()
라디오를 통해 코드를 해독 중 일때도 어느순간 옆에서 기다려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239] 또한 패턴도 짜고 치는 경향이 강한데, 초반 등장과 후반부의 모습을 보면 멀쩡히 움직일 수 있으며 그냥 일부로 안 움직이는 것이다. 후술할 핍스퀵이 나타날 경우에도 플레이어의 시야를 무시하고 캐비닛에 숨는다. 세바스찬도 "그녀석은 재미삼아서 널 괴롭히는거라고" 라 할 정도.[240] 해당 버그가 걸렸을 경우 다리에서 경례하기 전까지 크루키드가 등장하지 않는다.[241] 설정상 자신이 의도적으로 꽂아 시력을 상실한 것이다.[242] 사용 횟수는 무한이라 상관 없지만, 쿨타임 때문에 쏘지 못하고 당할 수 있다.[243] 코드명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데, 기생충과 숙주인 경비원을 총칭해서 경비원 ██████이라 부르는 것일 수도.[244] The Hunt 이벤트 기간 후반에는 15, 헌티드 소규모 패치 이전엔 20.[245] 철근이 삐걱거리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린다.[본체]![파일:Rebarb_Doc_Cover.png]()
이 모습은 리바브의 기밀 문서에서만 확인 가능하다.[247] 오히려 크루키드가 The Hunted에서 주요 개체로 등장한다.[248] 크루키드가 숨는 것을 보지 못하면 캐비닛 앞에서 대기하던게 아닌 경우엔 사실상 생존이 불가능할 정도이다.[249] 그도 그럴게 모든 앵글러 종류들이 그렇듯 이들과 닿는 모든 생명체는 신경 외상으로 사망하니..[250] 이 때문에 인게임 내에서 핍스퀵의 소리를 듣는것은 매우 어려우며 후술하겠지만 사운드 시각화 기능을 키더라도 오라가 너무 옅어서 알아채기 힘들다.[251] 이때 검은 눈에서 동공이 생겨나고 입술 가죽이 기괴하게 늘어난다.[252] 다른 타 노트트래킹과 다르게 오라가 매우 짧고 색이 연하다.[253] 위에 서술한 세 공사 구역 전용 개체도 출현한다.[254] 첫번째 메가 토큰 조각 획득 시 등장[255] 작게 등장하고 점점 커지는 것이 아니라 사이에 어떤 구조물이 있어도 보이는데 매우 멀리 있어서 작게 보이는 것이다.[256] go to sleep이라고 말한다.[257]
[258] 점프스케어는 화면에 go to bed(침대에나 가)를 도배하는 것이다. 이벤트 종료 후엔 점프스케어에 화면 노이즈도 추가되었다.[259] 이때 새벽 3시의 기준은 플레이어의 컴퓨터 시간이 새벽 3시일때 트리거가 작동되는 것이다. 때문에 미국 시간 새벽 3시가 아닌 한국 시간 새벽 3시에 볼 수 있으며, 임의로 컴퓨터 시간을 조정해도 트리거가 작동되어 등장한다. 배지가 목적이라면 참고할 것.[260] 점프 스케어 소리가 굉장히 시끄러우니 참고 할것.[261] 아이콘도 세바스찬의 아이콘이 아닌 잔니의 트레이드 마크인 파란색 폭탄 아이콘이 나온다.[262] 세바스티안으로도 발음되나 일단 세바스찬으로 서술함.[263] 칠레계 미국인이다.[264] 작업등을 사용하거나 배 위에 여러 번 올라가려고 하는 경우, 공격한다.[265] 보컬로 엘시 러브록과 잔니 마트라그라노가 참여하였다.[266] 인간 시절에는 세바스찬 솔리스라는 이름의 미국인이였다.[267] 이 능력들 외에도 리모컨 사용자만 볼 수 있는 상상 친구들을 보고 그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과 유령 상태인 플레이어까지 감지할 수 있는 등의 능력들도 가지고 있다.[268] 이런 세바스찬의 행적은 어반셰이드의 메인 자금줄과 연구자료 전부를 날려먹은 것이나 다름없으니 회사에게는 거의 만악의 근원 취급을 받는다. 어반셰이드 총수의 말을 빌리자면, 조우 시 '손가락에서 피가 날 때까지 방아쇠를 눌러라'고...[269] 먹통되는 전자기기는 페인터도 마찬가지라서 세바스찬을 보고싶어하는 페인터에게 스크램블러를 언급하며 탈출 후엔 꼭 만날 수 있을거라는 위로를 전해준다.[270] 이는 심해어를 기반으로 인체개조된 세바스찬의 특성상, 눈뽕에 대단히 취약하다는 설정이 반영된 것이다.[271] 어두워진 상점속에서 보이는 세바스찬의 역안 눈빛의 연출이 압권이다.[272] 만우절 모드나 배지에서 볼 수 있듯 세바스찬의 기종은 소드오프 트리플 배럴 샷건이다.[273] 이 난리판에서 이 산탄총에 쓸 산탄은 어떻게 구하나 싶지만, 세바스찬과 페인터의 대사로 미루어보아 PDG 기폭으로 사망하지 않은 죄수들의 잠수 장비에서 산탄을 꺼내오거나, 경비원들을 죽인 후 탄약을 가져오는 듯 하다.[역안]
[275] 극악의 확률로 서랍에서도 노트북에 붙여진 사진 형태로 발견할 수 있으며, 공식 UGC에서도 볼 수 있다. 개발자가 She라고 언급하는것을 보면 암컷이며, 이름은 브래디(Bradee)라고한다.[276] 블랙사이트를 락다운 시킨 주요인물이라 그런지 진중하게 그려지는 2차 창작이 많지만 시도때도 없이 소리를 빽빽 지르고 플레이어를 비꼬는 다혈질이나 개그 캐릭터로 그려지기도 하며, 특히 대부분 자주 작업등에 당하는 역할로 나온다(...).[277] 특히 인형 홍보 영상에선 홍보용 대사를 끝내자마자 바로 화를 내며 퇴장하는 것은 물론, 아이페스테이션과 페인터 인형을 소개하는 영상에선 본인의 키링을 소개할때만 태도가 변한다.[278] 사실 아이페스테이션은 텔레파시로 말을 거는것이며, 실제로 말을 할 수 있는지는 불명.[279] 특히 사람을 자주 터렛이나 Z-96의 방으로 유인하는 일을 맡아 정신적으로 힘들어 하는 페인터를 직접 상담해주기도 하며, 가끔 페인터 또한 본인의 가족에 대해 걱정하는 세바스찬을 위로해주고, 세바스찬이 그에 대해 고마움을 전하는등 굉장히 아끼고 존중하는 관계다.[280] 정황상, 나머지 한명은 p.AI.nter로 추정된다.[281] 자신의 목표가 플레이어 들어난 셈이지만 딱히 뭐라고 말만 할뿐 화내거나 총을쏘진 않는다.[282] 상점, 기밀문서 휙득, 사망 화면 등.[283] 원문은 WHAT IS IT THIS TIME!?으로, 플레이어 사망 시 항상 하던 말이다.[284] 이때 마치 다른 누군가가 있는 양 플레이어가 아닌 다른쪽을 쳐다보면서 말을 하는데, 세바스찬이 몸을 돌려서 드러나는 부분을 잘 보면 로피가 세바스찬과 플레이어를 쳐다보고 있다. 심장을 터뜨리고 난 뒤 어디선가 흘러나오던 노랫소리 역시 로피가 나타났음을 암시하던 것.[285] 잡아챌때 자세히 보면 플레이어도 세바스찬의 팔을 때려 저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물론 바로 세바스찬이 팔을 들어올려 더 이상 저항하지 못하게 한다.[286] 업데이트 후 세바스찬을 향해 비콘을 쏴서 어떤 방식으로든 죽으면 얻을 수 있다.[287] 잠수함의 콘솔을 두번 건드릴 시 숨겨진 터렛을 작동시켜 공격한다.[288] 본체가 있는 내부 방에 들어왔을 때만 재생된다.[289] 드문 확률로 등장하는 Navi A.I의 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290] 길을 알려주고 플레이어를 도와준다는점은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 나오는나비와 같은것을 보아 이쪽에서도 조금 영감을 받은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인물들은 대부분 "나비"에 가깝게 발음한다.[291] 과거에는 문이 열리는 타이밍과 동시에 콘솔을 2회 조작하면 터렛의 사격을 회피할수있었으나, 현재는 스킵을 누르거나 잠수함이 도착한 이후에는 콘솔에 상호작용할수 없게 되어 불가능해졌다.[292] 아내가 죽은 후 세계관 내 지옥 차원에 해당되는 밴랜드에서 영혼을 찾지 못하자 상심에 빠진 셰이드가 직접 설정했다고 한다.[293] 자막은 정상적으로 나오다가 저는 타이밍에 자막이 바뀐다, 이후 목소리를 가다듬고 죄송하다고 하는 나비는 덤[294] 서치라이트 1차전의 발전기 원격수리도 방해하고 포탑, 문 등을 해킹해서 어반셰이드의 직원들을 죽이고 다니는걸 보면 혐오하는게 당연하다.[295] 꽤나 큰 리서치 양이지만, 한 번에 35 리서치나 써야하고 리서치가 뜰 확률을 감안하면 그닥 많은 양은 아니다.오히려 손해다[296] 고급 아이템들만 취급하기에 전부 1500리서치를 기본으로 넘기는 고가 상품들이다.[297] 젤리 손전등과 유사하지만 파란색이며, 스퀴들드를 자극하지 않는 공책과 함께 만우절 한정 아이템이였다.[298] 만우절 한정 아이템이지만, 배지가 있을 경우 데드 드랍에서도 구매 가능하다.[299] 블랙사이트에서 파는 파티스페셜과는 다르게 보라색 액체이며, 블랙사이트에서 파는 것 보다 체력 재생 속도가 더 빠르다. 성능이 더 좋다는걸 표현함과 동시에 노란색 파티 스페셜은 일반 쓰레기들 처럼 버려져있고 주우면 그냥 250 화폐를 주기 때문.왜 안 먹는거지?[300] 구매 시 25의 체력을 채워준다.[301] 칵테일 바에서 파는 음료수이기에 술이라 보는게 맞다.[302]
[303] 라흐점퍼도 스팩트럼의 모습으로 변경되었다.[304] 스팩트럼의 노래는 사실 Before the Dawn이라는 게임에서 나오는 이 노래의 리믹스인데, 아무래도 라흐점퍼가 Before the Dawn을 개발한 개발자다 보니 연관성을 추가시킨듯 하다.[305] 플레이어가 사망한 경우 약 1초 뒤 모든 소리가 멈추고 검은화면으로 바로 넘어가지기에 스탠의 비명소리는 매우 짧게 들려서 듣기 어렵다. 하지만 멀티로 하는중인 경우엔 누군가가 스탠에게 닿아 죽게 되면 그 비명소리가 끊기지 않아 들을 수 있다.[306] 빨간 미러볼을 뒤집어쓴 사람[307] Identity Fraud 방에선 스탠에게 죽으면 되고 중격리실에선 문서 자체를 수집하면 된다.[308] 이미 존재만으로도 상당히 큰 심리적 공포감을 주어서인지 별도의 점프스케어는 존재하지 않는다.[309] 이 노이즈의 소리는 하빈저의 등장 OST인 Death Angel에도 포함되어있다.[310] 사람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상당히 뒤틀린 아기 우는 소리와 비슷하다. 이는 원작인 SCP-087의 계단도 어느지점을 내려가는 순간 도와달라고 애원하는 어린이의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특징이 있다.[311] 영문명으로는 Our light doesn't seem to work here.[312] 빨간색과 파란색 모두 해당된다.[313] G키로 버리는 것은 막혀있다.[314] 원작에는 괴물이 4종류가 출몰하고 각각의 공격패턴이 있으나 Pressure에는 한종류의 괴물만 출몰한다.[315] 약칭[316] 실제로 모델링을 살펴보면, 플레이어의 뒷목을 향하는 PDG의 장치부분을 보면 산탄이 한개 장전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317] 약칭[318] 업데이트 초기엔 굉장히 가까이 붙어야만 해체시킬 수 있었으며 해체를 시도할때 1초가 걸렸으나, 현재는 한번만 누르면 바로 해체가 가능해졌고 해체 가능 범위도 넓어진 편.[319] 약칭[320] 무한 모드의 400번 방 이후부터는 웬만한 모든 방에 지뢰가 3~5개씩은 있으니 주의.[321] 업데이트 초기엔 해체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활성화 되는 기능이 있었으나 현재는 한 번 해체하면 다시는 재활성화 되지 않는다.[322] 심지어 지뢰를 해체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굉장히 오래걸리기 때문에 이걸 괜히 해체하고 있다가 옆 사람이 지뢰를 밟아 자신도 휘말릴 수 있다.[323] 가끔 레이브야드에서 등장하기도 한다.[324] 인게임 내에선 움직이지 않는다.[325] 이 녀석의 문서를 얻는 방법은 가끔 불이 꺼진 방에 이 녀석들과 약간의 스퀴들즈로 가득찬 방이 하나있는데 그 중 한 놈이 손에 자기들의 문서를 들고 있다. 뺏는다고 딱히 움직이거나 하진 않으니 안심하자.[326] 아이템화 기능은 The Haunted 업데이트로 먼저 추가되었으나, 본게임에 적용된 것은 Worth The Wait 업데이트다.[327] 물론 죽이진않는다.[328] 붉은색과 푸른색 모두 5%로 간주되어 2명 모두 소환할 경우 최대 10%를 더 받을 수 있다.[329] 원래의 Z-432 성우와 동일하다. 성우가 동일하지만 Z-432는 여성의 목소리를 내고 Z-432-1은 남성의 목소리를 낸다. 참고로 이런 이유는 해당 성우가 여자 목소리와 남자 목소리를 둘 다 낼 수 있기 때문이다.[330] 더 정확히는 Z-432 제조사의 실패작이자 생산이 종료된 제품이다.[331] 사실상 서랍속에서 얻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애초에 원래도 나오기 힘든 빨간 리모컨보다 나오기 힘들기 때문이다.[332] 버그로 맵 밖으로 나갔을때 0 대미지[원문] Lets see What- ooohhh... uhh, yea, he won't let me show you THAT. need to leave you dark for this one. sorry./이번엔 네가- 오우... 음, 그래, 그 사람은 내가 너에게 그걸 보여주는 걸 허락하지 않을 거야, 이번엔 네가 모르도록 해야 해서, 미안.[334] 사실 Mr. Lopee에게 죽은 후 브리핑하는 세바스찬의 왼쪽을 잘 보면 로피의 눈이 보인다. 정황상 자신의 정보를 발설하지 못하도록 협박하는 듯. 실제로 이 녀석에게 죽었을 때 세바스찬의 대사를 보면 뭔가를 말하려다가 이 녀석이 플레이어를 죽인 것을 알자 바로 말을 더듬으며 무언가를 말하려다가 만다.[335] 첫 사망 시 세바스찬의 대사로 보아, 플레이어를 부활시키거나 파일의 검은 줄을 지우는 걸 세바스찬에게 허가하는 것도 이 녀석인듯 하다.[336] 플레이어의 아마 여기서 특이한점이란 현실의 유저가 조종하는것 으로 추정된다.[337] 글리치는 이름처럼 아예 인간 형태를 이루는 글리치 모습이고, 로피는 일그러짐과 볼러 처리가 반복적으로 일어나서 알아볼 수 없는 인간의 모습이다.[338] 다만 글리치는 호텔+ 업데이트 전과 룸즈, 백도어에서만 다른 플레이어와 뒤떨어진 플레이어를 공격하고 현재는 오류가 생기면 수정해주는 역할로 변경되었다.[339] 로페 입장에서 보면 특별하다고 판단한 인물을 데려왔더니, 하는 짓이 경고를 무시하고 다윈상이나 받을법한 무능함을 보여주니 기가 찰 노릇이다. 세바스찬도 은근슬쩍 동의했는지 옆에서 웃참에 실패하듯 비웃는게 특징.[340] 2번째로 시크릿 엔딩 을 볼 시 "너의 채워지지않는 호기심은 결코 너가 찾는 답을 얻지 못할것이다." 로 바뀌고, 3번째로 볼 시 "내 말을 잘 들어라. 계속 운명적인 시간을 반복하지말라. 그것은 단지 못참는 분노를 표현하는 것 뿐이다." 로 바뀐다. 하지만 4번째까지 반복하면 실망한듯 "..." 대사만 나온다.[341] 이때 세바스찬이 초록빛으로 물들면서 파츠 하나하나가 작아지고 소멸한다.[342] 이런 모습을 보면 로피는 인간을 뛰어 넘고도 남을 초월적인 존재로 보이지만, 대체 무슨 목적을 위해 플레이어에게 이렇게까지 호의적인지 알 수 없다. 더군다나 세바스찬을 손쉽게 소멸시킬 정도의 강함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왜 플레이어에게 위협을 끼치는 다른 괴물들에게는 아무 짓도 하지 않는 것인지 의문. 어쩌면 문서에서 간간히 언급된 전능하신 분, 즉 신일 수도 있다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343] 모티브는 로블록스 그룹중 하나인Aurek Team.[344] 원작과는 달리 안경이 별모양이다.[345] 여담이지만, 존재하는 모든 토끼 스킨들중에서 유일하게 플레이어 충돌 설정이 켜져있어서 플레이어에게 밀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이걸 플레이어에게 던지면 플레이어도 이걸 맞고 뒤로 크게 밀리기 때문에 절벽으로 떨어뜨리거나 앵글러의 시야쪽으로 밀쳐버려 죽여버릴수 있다(...). 추후 수정될것으로 예상된다. 어쩌면 의도된 사항일지도[346] 델타룬의 노인 행동 옵션에서 커서를 올리면 나오는 문구를 그대로 가져온것으로 추정된다.[347] H키를 눌러 춤을 추면 이 고양이들도 같이 춤을 추는데 동작이 하나같이 기괴하다.(...)[348] 이름은 러시아어로 고양이를 의미한다.[349] 집어던질 경우 차고 있는 치장품들이 떨어져나가기도 한다.(...)[350] 상당히 좋은 아이템들을 주긴 하나 공개 방이라면 사람들이 거래한 아이템의 약탈을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를 신중히 선택할 것을 극히 추천한다. 그도 그럴게 희귀도도 희귀도고 데드 드롭 가격도 꽤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 심지어 일부 유저는 이렇게 약탈한 이후 원래 주인을 조롱하거나 절벽같은 곳에 버리기까지도 한다.[351] ![파일:Zeal_Nochancetoget.png]()
개발자가 밝힌 결과 고급 손전등/작업등을 준 경우 굉장히 낮은 확률로 "프로토타입"이라는 개발자 전용 레이저 총을 얻을 수 있으나, 어떤 유저가 이걸 40번이나 시도해본 뒤 전부 지뢰를 받은것으로 보아 직접 얻는것은 절대로 불가능할것으로 보인다. 이후 패치로 고급 손전등/작업등을 준 경우 그만큼 가치 있는 아이템인 네크로블록시콘을 획득할 수 있게 바뀌었다.[352] 데드드롭으로만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아이템과 희귀도가 같아서 되돌려 받는 아이템 목록이 일반 아이템과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아직 확인된 사실이 아니므로 참고.[353] 이 크기는 친척뻘인 꼬마비로드갯민숭달팽이의 평균 크기가 1~2cm라는걸 생각해보면 월등히 큰 크기다.[354] 참고로 이 녀석의 모티브인 꼬마비로드갯민숭달팽이는 필리핀, 인도양은 물론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도 발견되는 생물이다, 대충 예시를 들자면 아시아 해역에 살던 놈이 갑자기 그린란드에서 갑툭튀한 격.[355] 심해 토끼에게 안긴 연구원이 생명공학자였던 자신의 상사에게 "한 마리 키우면서 살게 공기로 숨쉬게 해달라"라고 농담을 했는데, 그 상사가 내가 못할 줄 알고?라는 심보로 진짜 대기 호흡이 가능한 개체를 만들었고, 다른 직원들이 그 모습을 보고 주문이 폭주했다고 한다.실제 유저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가지고 있다.[356] 행정실에서는 5마리가 확정으로 생성된다.[357] 이미 거래한 토끼와 거래를 시도할 시 "이 토끼와는 이미 거래를 마쳤다." 라는 문구와 함께 심해 토끼가 고개를 젓는다.[358] 물론 이 경우에도 거래 완료 판정이 나서 더 이상 거래가 불가능해진다.[359] 들고나온 지뢰의 폭발에 맞을경우 배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가치가 높은 아이템일수록 지뢰를 들고올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젤리 손전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희귀 아이템은 주면 확정으로 지뢰를 가지고 나온다. 배지 목적이 아니라면 참고할 것. 물론 위에서 말했듯 젤리 손전등도 지뢰를 가지고 나올 때가 있기는 하다.[360] 몸통은 폭발로 인해 사라지고 심해토끼의 검게 타버린 사지만 남은 연출이 압권(...) 미세하게 연기까지 나오며 게임 대표 이미지에서도 나온다.[361] 전등 깜빡임이 없는 핑키가 와도 몸을 숨기므로 어느정도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점이다.[362] 잠수 시에는 본래 해양 생물이면서 마스크를 착용하기까지 한다. 아무래도 신체 개조를 당해 대기 호흡만 가능하게 되어 그런듯. 가끔 버그로 쓰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들고 내려놓거나 던져주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물 밖으로 나오면 자동으로 벗겨진다. 물론 이 경우에도 버그로 벗지 않을 때가 있다. 위와 같이 한 번 들었다 놓아주면 해결된다.[363] 다른 심해 토끼와의 거래로도 당연히 쓸 수 없다.[364] 멀티에선 단체로 심해 토끼를 쓰다듬으며 노는 경우도 있다.[365] 각도를 잘못 잡으면 오히려 아이페스테이션에게 화면이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모션이 끝나기 전에 사망할 정도로 상당히 치명적이니 주의.[366] 배 긁어주기, 들어올리고 뽀뽀한 후 인사하기(모션 시간이 상당히 길다.) 리그레터베이터 고양이들은 한 가지로 고정이며, 아이템으로서의 상호작용은 기본 토끼들처럼 2가지이다.[367] 플레이어가 만졌을 때 아무렇지도 않고 애완용으로도 기르는 것을 보면 독소는 없을 가능성이 크다. 혹은 개조를 통해 독소를 없앤 걸수도 있다.[368] 설정상 거미공포증, 폐소공포증, 천체공포증, 적색공포증, 행복공포증, 사고공포증, 흡연공포증, 눈공포증 같은 다양한 효과를 유발시킨다고 한다.[369] 가끔씩 코드 브리처 1개만 사용하여 입장 가능할 때도 존재한다.[370] 문서는 상자 바로 옆에 있다.[371] 현대전에서 사용되는 폭발물중에서도 톤단위가 넘는 폭발물은 매우 강력한 수준이며 1~5톤급이면 P-700 그라니트, 데이지커터나 MOAB 등 폭발력이 강하기로 알려진 초대형 폭탄들에 맞먹는다. 그런데 이 폭탄에도 기스조차 나지 않는 것은 인간이 만든 항공모함을 따위로 만들 만큼 훨씬 튼튼하다는 얘기.[372] 이는 체인스모커에게 공격 당한 후 옮겨지는 늪의 거대한 상자에도 들린다.[373] 확률이 0.04%정도로 낮으니 나오면 문서부터 찾자.[374] 하지만 수호천사는 이미 다른곳에 잡혀있는 상태이기때문에 아마 수호천사의 힘이나 영혼을 가둔것으로 추정된다[375] 그 중에서도 아래쪽과 윗쪽에 있는 검은 액체에 달려있는 눈이나 목재 옷장 등이 강조되는 것을 보면 시크와 하이드가 주 모티브인듯 하다.[376] 전에는 0.04%였으나 개발자가 너무 자주 나온다고 생각하여 더 줄였다고 한다.[377] ![파일:Fishstyx.webp]()
포트나이트의 캐릭터, 피쉬스틱이다. Styx라는 이름이 스틱이라는 발음과 비슷한것도 이 때문인듯.[378] 이 녀석의 영향인진 몰라도 릿지에서 이스터에그 격으로 등장하는 앵글러의 파일명이 모두 이 녀석의 이름으로 대체되어 있다.[379] 문쪽을 잘 보면 희미하게 무언가 있는걸 볼 수 있다.[380] 정확히는 물 속에서 앵글러가 지나갈 때의 소리[381] 만우절로 나온 몹인 만큼 이 부분도 일부러 매우 대충 만들었거나 그냥 귀찮아서 이렇게 배치한듯 하다.[382] 손전등을 빛추며 매우 자세히 봐야 눈만 겨우 보일정도로 텍스쳐가 투명화되어 있다. 고스트 패스를 사용해 고스트 상태로 보면 화면이 전체적으로 밝아져 그나마 좀 잘 보인다.[383] 그래서 Doors,Pressure 방 유형중인 십자가 방에서 노드몬스터가 스폰되면 Pressure에서는 노트몬스터를 피할 수 있지만 Doors에서는 피할 수 없다.[384]![파일:Ambuscade_Screenshot1.webp]()
![파일:Ambuscade_Screenshot2.webp]()
![파일:Ambuscade_Screenshot3.webp]()
[385] 가끔은 심지어 크로너 정산에서 얻은 크로너를 전부 가져가서 크로너를 못 얻는 경우도 있다.
리디자인 이후에도 이전 버전의 앵글러가 지나갔으나, 현재는 리디자인 이후의 앵글러가 지나간다.[13] 딱히 큰 설정은 없고, 개발자가 그냥 멋있어보여서 추가한 기능이라고한다.[14] 신기루. 또한 미라지는 침수 구역 여부 상관 없이 침수 구역의 앵글러의 소리를 낸다. 여담으로 모습은 그냥 평범한 하얀 안개.[15] 심지어 이 경우엔 벽도 뚫는다(...)[16] 이전보다도 더욱 주름이 많아져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17] 서양권에선 Guy는 대부분 남자를 호칭하는 대명사다. 후술할 블리츠, 체인스모커도 참고.[18] 호러 게임 Iron Lung의 오마주. 특히 Iron Lung의 마지막이 아귀의 점프 스케어로 끝나는걸 감안하면 거의 의도.[19] 독일어로 번개라는 뜻. 2차대전 당시의 전격전을 뜻하는 어원이기도 하다.[20] 원래는 전등이 두 번 깜빡였으나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이후 전등이 조금 더 오래 깜빡이는 것으로 패치되었다.[21] 사실 존재하기는 하나, 시력을 잃은듯이 동공에 생기가 없다.[22] 사망 보고서에 의하면 CCTV의 프레임에서도 잡히지 않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인게임에서도 웬만한 방에서 출현하면 다가오는 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고 공격소리 조차 2초 내로 사라진다. 따라서 풀버전은 위키 같은 곳에서 들을 수 있다. 심지어 개발자가 언급하길 희귀 괴물인 A-60보다도 빠르다고 한다.[23]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전에는 전등이 2~3번 깜빡였다.[24] 전술했듯이 블리츠의 속도는 매우 빨라서 캐비닛에 일찍 들어가도 방출 되기 전에 블리츠가 지나간다.[25] 개발자 Zeal도 이 녀석을 'Guy'라한다.[26] 블리츠가 도착하기 1.3초 정도 전에 생겨난다.[27]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면, 이런 느낌이다. 사진 위에있는 문양들은 전등이 깨져 스파크가 튀는 것이다.[28] 러쉬와는 다르게, 블리츠는 시간차 점프 스케어가 아니어서 깜짝 놀래키는 경우는 없다.[29] 오히려 앨퉁이와 친척이다.[30] 음성을 표현하자면 흐아아아악하는 소리다.[31] 찢어지는 듯한 얇고 기괴한 굉음소리를 낸다. 전형적인 '끼아아아악' 소리다.[32] 하지만 대부분의 방이 환경음을 기본 옵션으로 달고있기에 알아챘을 때 거의 다 와있는 상태인게 대부분.[33] 이 버그는 컴퓨터 사용자명이 한국어로 되어있다면 걸린다. 이 버그에 걸린다면 로블록스 내의 모든 게임에서 음악 파일로 지정된 사운드를 들을 수 없다.[34] 다만 속도가 빠르지 않다는 것이지 절대로 느린 게 아니다.[35] 잘 들어보면 핑키가 가장 굉음소리가 가늘며, 암컷 초롱아귀에만 존재하는 초롱불이 달려있다.[36] 씬벵이의 영문명이 Frogfish이다.[37] 음성을 표현하자면 돌진할 때 흐아아아아악, 리바운드 할 때 쿠워어어어어[38] 개발자가 프로거는 암컷이라고 말한적이 있는데, 초롱불은 암컷 초롱아귀에게만 달려있는 기관이라 그런듯.[39] 실제로 대부분 많은 초보 플레이어들이 다시 안오는줄 알고 나와서 다음 방을 가다 다시 오는 프로거를 만나 죽는 경우도 있다.[혐주의]
중간중간 판데모니움과 하빈저를 제외한 모든 노드형 괴물, A-200, DOORS에서의 모습, DOORS의 팬 괴물인 Depth, 오른쪽 제일 하단에 Stairwell 87등 여러 괴물들의 모습이 보이는 것을 보면 정황상 얼굴이 여러 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여러 괴물들의 얼굴을 모방하려 하는 듯 하다.[85] 그도 그럴것이 0.1% 확률로 매우 희귀하게 출현하는 개체인데다 중격리실에서 문서가 있는 방까지도 상당히 희귀하니...[86] 변경 이전 이름은 Death Angel(데스엔젤, 죽음의 천사.), 이름이 바뀐 이유는 Four point Five 패치로 등장한 밴랜드의 저승사자 '종말의 숙녀(Lady Death)'와의 혼동 방지를 위해 이름을 바꾼것이라고 한다. 이후 이 이름은 하빈저의 등장 OST의 제목으로 재활용 되었다.[87] 사물함과 서랍장이 마구 열렸다 닫히는 현상을 말한다.[88] 어드민 전용 개체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하게 말하자면 어드민 코드가 없어도 동작하는 몬스터이며, 일반 게임에서 조우하기 매우 힘든 이유는 무한 모드에서만 출현하고 노드 타임이 적용되지 않아 방의 문을 열어야만 스폰되는데다 200번 방까지 지나와도 안 나올만큼 확률이 터무니없이 낮아 A-60보다도 목격담이 적다.[89] Man01 이라는 유저가 최초로 살아남았다.#[90] 하빈저가 디스폰할 시 멈춘다.[91] 이 때 스폰되며, 문이 무조건 잠긴 상태가 된다.[92] 실제로 이동하는 모습을 자세히 보면 플레이어가 멈췄던 위치를 통해 길을 찾는다. 이 개체와 조우 시 어마무시하게 어려운 미니게임 난이도 때문인지 사망이 거의 확정인 만큼 최소한 부활은 무료로 할 수 있게 해준다. 당연하게도 리서치와 배터리는 모두 정산/소멸한다.[93] 그래서인지 이러한 컨셉이 정해지기 전에 잡힌 초기 앵글러의 얼굴을 보면, 오히려 아귀보단 그냥 원 형태의 괴물에 가깝게 생겼다.[94] 완전히 투명해져 보이지 않게되니 마우스 커서를 아무 위치로 빠르게 저어서 게이지를 채우는것이 좋다. 다행히 원이 투명해지는 동안은 게이지 감소 속도가 대폭 느려진다.[95] 닿자마자 바로 체력이 0이 되고 사망한다.[96] 작업등을 눈에 비출 시 비춘 횟수에 비례하여 대미지가 증가한다.[97] 관리자를 흉내내는 목소리. HQ를 흉내내는것이기에 성우가 같다.[98] 인형 홍보 영상 한정.[99] 이는 원문에서 PDG가 아닌 RDG라고 말하는데, 진짜 HQ가 아닌 아이페스테이션이기에 잘 알지 못하는 것인지 단어 하나를 틀려서 말한다.[100] 플래시 비콘을 사용했을 때.[101] 플래시 비콘을 또 사용했을 때.[102] 연속 출현을 막기 위해 최소한 방 1개는 아이페스테이션이 스폰되지 않도록 적용된다. 다만 운이 좋지 않으면 1개를 지나자마자 바로 다음 방에서 나타난다. 또한 창문에서 출현하기에 스퀴들즈처럼 앵글러보다 먼저 스폰된다.[103] 격분하지 않은 경우(초록색) 응시 직후 약 1초간은 피해를 주지 않고 데미지 이펙트와 소리만 낸다.
순간적으로 화면이 하얗게 번쩍하고 사라지는 것이 프레디 시리즈의 팬텀 애니매트로닉스를 연상케 한다.[110] 작업등의 경우 빛의 지속시간이 짧아 공격하지 못하는 것에 가깝다. 이 덕분에 릿지에서 작업등이 큰 활약을 한다. 블랙라이트는 완전히 반응하지 않지만 비추는 거리가 상당히 짧고 어둡다.[111]
이 때문에 캐비넷 앞쪽을 걸으면 철퍽하는 물 소리가 난다.[118] 단, 이 방법은 판데모니움이 오는 경우 사용할 수 없다. 앵글러와 그 변종들과는 다르게 판데모니움은 잡히는 중이던, 이미 잡혀서 들어가졌던 무조건 괴성을 지르며 달려와 즉사시킨다.[119] 범위가 꽤 큰데다 넉백되면 오랫동안 래그돌 상태로 지속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120] 물론 장식이어서 가까이 가도 공격하지 않는다.[121] 라틴어이며, 뜻은 '주님의 뜻이 이루어지소서'.[122] Hanger. 통칭 행어라고 불리며 원작에서는 원거리에선 정신 공격 이벤트, 근거리에선 칼로 쑤셔대는 패턴을 지닌 적으로 등장한다.[123] 차이점으로는 상상친구는 제 3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구속자는 제 3자에게도 보인다. 그래서인지 상상친구는 문서에 사진이 존재하는 대신 해당 괴물을 목격한 사람들의 증언으로 그려진듯한 그림이 있는 반면 구속자는 멀쩡히 사진이 존재한다.[124] 이는 원작에서도 동일하지만, 미니게임을 진행하지 않고도 행어가 자신에게 근접하기만 하면 메세지가 출력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125] 원작에선 RESIST THE INFLUENCE(영향력에 저항하라) 라는 문구가 등장하며, E를 연타해 행어의 정신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QTE에 실패하면 사망한다.[126] 이때 총을 집어든 플레이어가 아니더라도, 다른 플레이어가 행어 근처에 있었다면 행어는 그 플레이어를 공격하므로 주의 하자.
이걸 보는게 가장 빠르면서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최근 이 줄의 밝기가 조금 낮아졌다.[133] 진짜 얼굴뿐만 아니라 '>:(' 같은 얼굴, 이와 반대로 '>:3'같이 이모티콘도 존재한다.[134] 이 특성을 살려 어반셰이드에서는 사보타주 전용 병기로 사용했다고 한다.[135] 화가를 뜻하는 Painter에서 ai를 인공지능의 AI로 바꾼 말장난.[136]
사진에선 눈과 입이 크고 선이 불규칙하게 그려졌지만, 인게임에선 눈과 입의 선이 조금 일정하게 그려진 모습으로 등장한다.[137] 중격리시설 중 ㅜ자 부분 중의 ㅡ자 부분의 방 안에 Z-779가 있다.[138] 그 전에 페인터가 나왔다면 다시 나오지 않는다.[139] 어쩌다 보니까 이런 게 만들어졌으며 자신도 이게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른다고 답했다. 그야말로 문맹의 현자.[140] 다만 고문치사는 아닌 게, 옆에 있던 경비원이 넘어지면서 들고 있던 총 개머리판이 머리를 가격했다고 한다.[141] 페인터도 자신의 창조자인 이 유저를 많이 그리워하는데, 어반셰이드가 페인터의 시스템을 조작했는지 페인터는 이 유저가 자신의 창조자임을 알고있으나 그의 얼굴이나 이름 등을 전부 기억하지 못한다.[142] 어반셰이드의 극악무도한 행적으로 보았을 때, 사람 하나 고문해 죽였다고 강등 시킨 게 아니라 귀중한 정보 제공원을 죽여서로 추정된다.[143] 업데이트로 대사까지 출력된다. 대부분 창밖을 보라는 내용이다.[144] 1931년에 작곡된 덴마크 노래이며, 그냥 들으면 평범한 노래지만 하필 재생되는 장소가 시끄러운 괴성을 지르고 다니는 괴물들이 생성되는 The Ridge인데다 문 열리는 소리, 플레이어 소리, 괴물들의 소리를 제외하면 아무 소리도 안나는 어두운 곳에서 이상한 노래가 울려퍼지는건 오히려 기괴하게 느껴질 수 있다.[145] 세바스찬은 플레이어와 거래해 어반셰이드의 정보를 모아 탈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마 크리스탈이 빠르게 탈환되면 더 이상 블랙사이트에 플레이어를 보내지 않을 것이고, 정보를 더 이상 얻을 수 없어서 이와 같이 행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6] 이로 인해 우울증에 걸려 여러번 본인 회로를 태워가며 자살시도를 했다고... 이에 일주일에 한번씩 지상에 올라가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계약을 맺었다 한다.[147] 그 직전에 하는 대사는 대부분 플레이어에게 애원하거나 살려달라고 비는 대사지만, 플레이어를 비꼬는 대사 또한 존재한다.[148] 이후 세바스찬의 상점에 가보면 음악은 기괴하게 늘어져 있고 세바스찬이 사라져있다. 또한 이때 부활을 시도하면 “You are not welcome”(당신은 환영받지 않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나오며 부활할 수 없다.[149] 다른 플레이어와 같이 플레이 하고 있을 때, 한 플레이어가 세바스찬의 상점에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플레이어가 페인터를 죽이면 무전기로 페인터가 죽기 직전 유언을 남기는 소리가 들리며, 세바스찬은 그걸 가만히 듣고 있다가 갑자기 상점에 있는 플레이어를 죽여버린다. 상점 방이 사라지지 않았을 때 상점에 아무도 없다면 페인터를 사살한 플레이어를 죽여버린다. 당연히 이 경우도 부활 불가.[150] 5.56×45mm NATO와 규격이 동일하다.[151] Small stud, 그냥 mm로 보면 편하다.[152] 터렛이 있는 방의 문을 열 때, 터렛에 의해 누군가 사망할 때, 배전반을 내려 터렛을 비활성화할 때.
한가지 인상깊은 점은 터렛이 추가되던 Friendly Fire 업데이트 초기엔, 터렛 방의 문을 열때마다 페인터의 안내방송이 확정적으로 송출되었으며, 터렛 방의 확률로 엄청나게 흔했던 시기라 터렛을 지나면 또 터렛이 등장하고 페인터의 목소리는 여러개가 겹쳐 들리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153]
개발자가 공개한 스케치에 따르면 현재의 모습과는 달리 엄청나게 거대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직 스케치만 공개되었기에 추후 바뀔 수도 있는 부분.[167] 입이 막혀있는듯한 웅얼거리는 울음소리를 낸다.[168] 이 울음소리는 한 팬이 만든 것으로, 공식에서 제작한 사운드가 아니다.[169] 설정상 바텀피더의 피는 마비 효과가 있으며, 이를 이용해 자신을 잡아 먹으려는 물고기들을 마비시켜 영양분을 빨아 먹는 형태라고 한다. 꼬리쪽에 달려있는 물고기들은 전신이 마비되었고 부패도 진행됐지만 아직 살아있다고 하는데, 바텀피더가 섭취한 영양소를 숙주들에게 배부하고 있는 원리로 살아있는 것.[170] 3번째 물고기는 갈기에서 빛이 나지만 다른 괴물들의 모습을 보면 이정도는 그냥 평범하다.[171] 마침 둘다 모티브가 민달팽이고 빠르게 돌진하며 공격한다. 다만 2024년 8월에 만들어진 바텀피더의 초기 디자인이 공개됐고 Grace의 제작 날짜는 2024년 9월이기에 영감을 받은 것이 아닌 우연인듯 하다.[172] 세바스찬의 언급으로 약 35스터드, 9.8m이다.[173] 다만 스퀴들즈는 출연하지 않으니 조명을 켜도 된다.[174] 이는 추격전 테마의 제목, 관련 업적의 이름과 동일하다.[학명] [176] 공격당하면 다리를 물리고, 반대쪽 다리로 흉물의 머리를 차 뿌리치는 모션이 나온다.[177] 아프리카 하마와 비슷한 크기라고 하나, 이는 개조 시술 전 원래 크기로 추정되며 위의 사진을 보면 티라노사우루스를 훨씬 능가하는 거대한 크기를 지니고 있다. 흰긴수염고래만한 서치라이트와 조금 더 작은듯.[178] 빛에서 멀리 떨어지면 기생충도 나오니 주의. 또한 굳이 넓은 공간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이 너무 앞서가서 본인이 뒤쳐졌다면 통로 구간에서도 돌진 패턴을 시전하므로 주의하자.[179] 물론 폭발에도 견디는 맷집을 고려하면 그대로 도망쳐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높은데, 실제로 리프트 아래를 보면 다른 통로가 구현되어 있으며 흉물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무너진 리프트의 자리는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180] 그래도 죽지는 않기 때문에 안심해도 된다. 적어도 1은 남기 때문. 또한 "노히트" 챌린지를 도전할 때는 굴러떨어져서 받은 피해는 히트판정으로 치지 않기에 안심해도 된다.[181] 패치 이전엔 구급상자를 줬었다. 물론 구급상자를 이미 하나 가지고 있었을 경우 오히려 지금 구급상자를 써버리고, 더 좋은 페리테센을 챙겨두는 전략도 쓸 수 있다. 하지만 구급상자가 없는데도 페리테센을 챙겨두려고 할 경우 최소 1, 최대 50이라는 굉장히 적은 체력으로 구급상자를 찾아다니며 생존해야하기 때문에 너무 무리하게 행동하진 말자.[182] 설정 변경 전에는 주민들에게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절멸시켰는데, 비윤리적인 어반셰이드의 행동방식과 동떨어진 묘사 때문에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183] 무려 프로펠러 같은 구조물에 부딫쳐도 멀쩡하거나, 폭발에도 거뜬히 살아남는 신체능력을 가지고 있다. 속도의 경우 육상에서도 시속 27km로 코끼리처럼 빠르게 달릴 수 있다. 수중에서의 속도는 최대 █████스터드라고 하는데, 1스터드는 28cm에 모자이크의 수가 5개이므로 1만스터드로 잡아도 최소한 시속 280km의 속도로 추격하는 셈이다.[184] 심지어 이 버그가 클라이언트로 일어나는 버그인 것인지 다른 팀원은 살아있는데 자신만 즉사해버리는(...) 경우도 생긴다.[185] 총 4대가 있고 루시를 포함한 다른 트렌치블리더들은 낮은 확률로 다른 방에서 만날 수 있다.[186] 1스터드는 약 28cm이다.[187] 에펠 탑과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크기가 300m이므로 트렌치블리더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188] 인게임 단일개체중 가장 크다.[189] 울트라킬에 나오는 1000-THR 어스무버와 굉장히 닮았다.[190] 발 끝을 위로 해서 보면 아래의 배치다.
⠿⠿⠿
⠿[191] 이때 서치라이트가 트렌치블리더 발보다 압도적으로 작은것을 볼수 있는데 조명 묶음 한개정도의 크기밖에 되지 않는다.[192] 해석하면 레몬얼굴
라디오를 통해 코드를 해독 중 일때도 어느순간 옆에서 기다려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239] 또한 패턴도 짜고 치는 경향이 강한데, 초반 등장과 후반부의 모습을 보면 멀쩡히 움직일 수 있으며 그냥 일부로 안 움직이는 것이다. 후술할 핍스퀵이 나타날 경우에도 플레이어의 시야를 무시하고 캐비닛에 숨는다. 세바스찬도 "그녀석은 재미삼아서 널 괴롭히는거라고" 라 할 정도.[240] 해당 버그가 걸렸을 경우 다리에서 경례하기 전까지 크루키드가 등장하지 않는다.[241] 설정상 자신이 의도적으로 꽂아 시력을 상실한 것이다.[242] 사용 횟수는 무한이라 상관 없지만, 쿨타임 때문에 쏘지 못하고 당할 수 있다.[243] 코드명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데, 기생충과 숙주인 경비원을 총칭해서 경비원 ██████이라 부르는 것일 수도.[244] The Hunt 이벤트 기간 후반에는 15, 헌티드 소규모 패치 이전엔 20.[245] 철근이 삐걱거리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린다.[본체]
이 모습은 리바브의 기밀 문서에서만 확인 가능하다.[247] 오히려 크루키드가 The Hunted에서 주요 개체로 등장한다.[248] 크루키드가 숨는 것을 보지 못하면 캐비닛 앞에서 대기하던게 아닌 경우엔 사실상 생존이 불가능할 정도이다.[249] 그도 그럴게 모든 앵글러 종류들이 그렇듯 이들과 닿는 모든 생명체는 신경 외상으로 사망하니..[250] 이 때문에 인게임 내에서 핍스퀵의 소리를 듣는것은 매우 어려우며 후술하겠지만 사운드 시각화 기능을 키더라도 오라가 너무 옅어서 알아채기 힘들다.[251] 이때 검은 눈에서 동공이 생겨나고 입술 가죽이 기괴하게 늘어난다.[252] 다른 타 노트트래킹과 다르게 오라가 매우 짧고 색이 연하다.[253] 위에 서술한 세 공사 구역 전용 개체도 출현한다.[254] 첫번째 메가 토큰 조각 획득 시 등장[255] 작게 등장하고 점점 커지는 것이 아니라 사이에 어떤 구조물이 있어도 보이는데 매우 멀리 있어서 작게 보이는 것이다.[256] go to sleep이라고 말한다.[257]
개발자가 밝힌 결과 고급 손전등/작업등을 준 경우 굉장히 낮은 확률로 "프로토타입"이라는 개발자 전용 레이저 총을 얻을 수 있으나, 어떤 유저가 이걸 40번이나 시도해본 뒤 전부 지뢰를 받은것으로 보아 직접 얻는것은 절대로 불가능할것으로 보인다. 이후 패치로 고급 손전등/작업등을 준 경우 그만큼 가치 있는 아이템인 네크로블록시콘을 획득할 수 있게 바뀌었다.[352] 데드드롭으로만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아이템과 희귀도가 같아서 되돌려 받는 아이템 목록이 일반 아이템과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아직 확인된 사실이 아니므로 참고.[353] 이 크기는 친척뻘인 꼬마비로드갯민숭달팽이의 평균 크기가 1~2cm라는걸 생각해보면 월등히 큰 크기다.[354] 참고로 이 녀석의 모티브인 꼬마비로드갯민숭달팽이는 필리핀, 인도양은 물론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도 발견되는 생물이다, 대충 예시를 들자면 아시아 해역에 살던 놈이 갑자기 그린란드에서 갑툭튀한 격.[355] 심해 토끼에게 안긴 연구원이 생명공학자였던 자신의 상사에게 "한 마리 키우면서 살게 공기로 숨쉬게 해달라"라고 농담을 했는데, 그 상사가 내가 못할 줄 알고?라는 심보로 진짜 대기 호흡이 가능한 개체를 만들었고, 다른 직원들이 그 모습을 보고 주문이 폭주했다고 한다.
포트나이트의 캐릭터, 피쉬스틱이다. Styx라는 이름이 스틱이라는 발음과 비슷한것도 이 때문인듯.[378] 이 녀석의 영향인진 몰라도 릿지에서 이스터에그 격으로 등장하는 앵글러의 파일명이 모두 이 녀석의 이름으로 대체되어 있다.[379] 문쪽을 잘 보면 희미하게 무언가 있는걸 볼 수 있다.[380] 정확히는 물 속에서 앵글러가 지나갈 때의 소리[381] 만우절로 나온 몹인 만큼 이 부분도 일부러 매우 대충 만들었거나 그냥 귀찮아서 이렇게 배치한듯 하다.[382] 손전등을 빛추며 매우 자세히 봐야 눈만 겨우 보일정도로 텍스쳐가 투명화되어 있다. 고스트 패스를 사용해 고스트 상태로 보면 화면이 전체적으로 밝아져 그나마 좀 잘 보인다.[383] 그래서 Doors,Pressure 방 유형중인 십자가 방에서 노드몬스터가 스폰되면 Pressure에서는 노트몬스터를 피할 수 있지만 Doors에서는 피할 수 없다.[384]
[385] 가끔은 심지어 크로너 정산에서 얻은 크로너를 전부 가져가서 크로너를 못 얻는 경우도 있다.